KR20040027349A -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 Google Patents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349A
KR20040027349A KR1020030064889A KR20030064889A KR20040027349A KR 20040027349 A KR20040027349 A KR 20040027349A KR 1020030064889 A KR1020030064889 A KR 1020030064889A KR 20030064889 A KR20030064889 A KR 20030064889A KR 20040027349 A KR20040027349 A KR 2004002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ngle
work machine
turning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케다무네요시
아오시바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2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49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3Drives or 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Abstract

PURPOSE: A swing control device of a swing-type hydraulic shovel is provided to improve working efficiency by turning/swinging an excavator accurately and conveniently, to move to a digging position easily and to assume an attitude for digging an offset groove easily. CONSTITUTION: A swing control device of a swing-type hydraulic shovel comprises an upper turning body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a lower travel body and rotated by a turning unit(29) driven by a turning operating unit(32); an excavator mounted in the front of the upper turning body and swung right and left by a swing unit(17) driven by a swing operating unit(30); a turning angle detector(19) turning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turning body; an indicator(44); and a controller(40) calculating the right and left offset of the excavator to the vehicle body based on the turning angle signal from the turning angle detector, and indicating the calculation result to the indicator.

Description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Swing control device of swing hydraulic excavator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본 발명은 상부선회체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된 작업기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control device for a swing hydraulic excavator having a work machine with a proximal end swingably mounted from side to side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swing structure.

최근, 시가지에서의 굴삭공사가 증가하고 있지만 벽 가장자리에 걸친 홈굴삭이나 도로 연석(curbstone) 공사 등에 있어서는 차체폭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오프셋한 위치를 굴삭할 수 있는 스윙붐(swing boom)식 작업기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에 의해 작업이 행해진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excavation in urban areas, but in swing excavation over wall edges and road curbstones, there is a swing boom type work machine which can excavate the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body. Work is performed by a hydraulic excavator or the like.

종래의 스윙붐식 작업기는 작업기 기단부를 지지하는 스윙 브래킷을 스윙 실린더에 의해 스윙 구동함으로써 작업기 전체가 좌우로 스윙 구동된다. 또한, 이 작업기의 스윙과 상부선회체의 선회를 조합시킴으로써 작업기 선단의 버킷(bucket)위치를 좌우로 오프셋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스윙붐식 작업기의 경우에는 평행 링크기구를 구비한 오프셋 붐식 작업기에 비해서 가벼우므로 작업속도가 빠르고, 차체안정성도 좋고, 작업량이 많다라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conventional swing boom type work machine, the entire work machine is swing driven left and right by swing driving a swing bracket supporting a work machine base end by a swing cylinder.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swing of the work machine and the swing of the upper swing body, the bucket position of the work machine tip can be offset-moved from side to side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The swing boom type work machine is lighter than the offset boom type work machine provided with the parallel link mechanism, and thus has the advantage that the working speed is high, the body stability is good, and the work volume is large.

[특허문헌1][Patent Document 1]

일본 특개소63-206535호 공보(제2페이지, 제2도)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206535 (Page 2, Fig. 2)

[특허문헌2][Patent Document 2]

일본 특개평10-1833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8339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하에 서술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described below in the prior art.

즉, 관공사 등에 있어서의 홈굴삭작업에 있어서는 간헐적으로 차량이동(통상 후진)도 병행하면서 굴삭과 배토를 반복하므로 버킷을 빈번하게 굴삭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윙식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눈으로 바라봐서 작업기 선단의 버킷을 굴삭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위치맞춤이 대충이며 홈의 정밀도가 조잡하게 된다. 또한, 버킷을 굴삭위치에 정밀도 좋게 이동시켜도 작업기의 구동평면이 홈의 굴삭계획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면 굴삭계획선으로부터 어긋나게 경사져서 홈을 굴삭하게 된다. 계획선에 일치하는 굴삭을 행하기 위하여 작업기의 구동평면이 차체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자세(이후, 「오프셋 홈굴삭자세」라 칭함)를 취하는 것은 숙련을 요하며, 경험이 적은 작동자에게는 작업성이 좋지 않다.That is, in the groove excavation work in pipe work or the like, since the excavation and the clay are repeated while moving the vehicle (normally backward) intermittently, it is necessary to return the bucket to the excavation position frequently.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wing hydraulic excavator, since the bucket at the tip of the work machine is moved to the excavation position by looking at the eyes, the alignment is roughly rough and the groove precision is rough. Moreover, even if the bucket is moved to the excavation position with high precision, if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cavation plan line of the groove, the groove is inclined off the excavation plan line. In order to carry out excavation consistent with the planned line, it is necessary to take a posture in which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coincides with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This is not goo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굴삭위치로의 작업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하고,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control device for a swing hydraulic excavator that can easily move a work machine to an excavation position and easily take an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swing hydraulic exca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swing hydraulic exca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윙기구의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w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측홈 굴삭작업의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ide groove excavation work.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선회 구동시스템 및 스윙 구동시스템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swing drive system and a swing driv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컨트롤러의 출력 특성도이다.6 is an output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선회 구동시스템 및 스윙 구동시스템의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wing drive system and a swing driv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컨트롤러의 출력특성의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작동 설명도이다.9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출력특성도이다.10 is an output characteristic diagram of a controll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작동 설명도이다.11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스윙식 유압 셔블(shovel) 2 … 하부주행체One … Swing hydraulic shovel 2... Undercarriage

3 … 상부선회체 4 … 작업기3…. Upper swing structure 4. Working machine

10 … 스윙 브래킷 17 … 스윙 실린더10... Swing bracket 17. Swing cylinder

18 … 스윙각도센서 19 … 선회각도센서18. Swing angle sensor 19. Swivel Angle Sensor

20 … 엔진 21,22 … 유압펌프20... Engine 21,22. Hydraulic pump

25 … 스윙조작밸브 26 … 선회조작밸브25…. Swing control valve 26. Swivel Operation Valve

29 … 선회모터 30 … 스윙조작페달29. Turning motor 30. Swing operation pedal

31,33 … 파일럿밸브 32 … 선회조작레버31,33... Pilot valve 32. Swing operation lever

40,50 … 컨트롤러40,50... controller

41A,41B,42A,42B,51A,51B,52A,52B … 비례전자밸브41A, 41B, 42A, 42B, 51A, 51B, 52A, 52B...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3 … 모니터패널 44 … 표시기43. Monitor panel 44. Indicator

45 … 입력기45.. Inp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발명은 하부주행체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회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선회구동수단에 의해 선회구동되는 상부선회체와, 이 상부선회체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윙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스윙구동수단에 의해 스윙구동되는 작업기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의 선회각도를 검출하는 선회각도 검출기; 표시기; 및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기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의 현재의 오프셋량을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invention is pivotal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lower traveling body, and is pivotally driven by a turning driving means driven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turning operation means, and a front end of the upper turning body. A swing control device for a swing hydraulic excavator having a proximal end portion swingably mounted to a side and swing driven by a swing drive means drive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wing operation means, the sw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swinging the upper swing body A turning angle detector for detecting an angle; Indicator; And a controller which calculates a current offset amou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t the base of the work machine based on the turning angle signal input from the turning angle detector, and displays the calculation result on the display.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기에 작업기 기단의 현재의 오프셋량이 표시됨으로써 오프셋량에 대응한 굴삭위치로의 선회이동이 표시내용의 확인에 의해 정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urrent offset amount of the base of the work machi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turning movement to the excav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ffset amount can be performed accurately by confirming the display contents, and the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

또한, 제1발명에 기초하는 제2발명은 상기 작업기의 스윙각도를 검출하는 스윙각도 검출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는 선회각도와 스윙각도의 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vention based on the first invention includes a swing angle detector for detecting a swing angle of the work machine,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swing angle and the swing angle, and displays the calculation result on the display. We do with configuration to sa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회각도와 스윙각도의 차가 표시됨으로써 그 차가 제로로 되도록 선회 또는 스윙을 조작함으로써 작업기의 구동평면이 하부주행체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는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으므로 작업기 기단의 오프셋량을 원하는 양으로 일치시키고, 상기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가지는 조작이 표시내용의 확인에 의해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해짐으로써 오프셋에서의 홈굴삭작업의 정밀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urning angle and the swing angle is displayed so that the turning plane or the swing is operated so that the difference becomes zero so that the offset groove digging posture in which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coincides with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lower traveling body can be easily taken. By matching the offset amount to the desired amount, the operation having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is accurately and easily carried out by confirming the display contents,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groove excavation work at the offset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

또한, 제3발명은 하부주행체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회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선회구동수단에 의해 선회구동되는 상부선회체와, 상부선회체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윙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스윙구동수단에 의해 스윙구동되는 작업기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의 선회각도를 검출하는 선회각도 검출기; 상기 작업기의 스윙각도를 검출하는 스윙각도 검출기;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의 정지위치를 설정하는 정지위치 설정수단; 및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 상기 스윙각도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스윙각도신호 및 상기 정지위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에 기초하여 설정치의 정지위치에서 선회구동수단 및 스윙구동수단을 각각 정지하는 지령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hird invention is the upper swing structure pivotally mounted by the swing drive means that is pivotal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ravel body, and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and the proximal end of the upper swing body is left and right A swing control apparatus for a swing hydraulic excavator equipped with a work machine, which is mounted so as to be swingably swingable and swing driven by a swing driving means driven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swing operating means, the swing control device detecting swing angle of the upper swing body. Angle detector; A swing angle detector for detecting a swing angle of the work machine; Stop position setting means for setting a stop position of the swing drive and the swing drive; And stopping the swing drive means and the swing drive means at the stop position of the set value based on the swing angle signal input from the swing angle detector, the swing angle signal input from the swing angle detector, and the set value set by the stop position setting means.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controller which calculates and outputs the command signal.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동조작 및 자동제어에 상관없이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의 설정된 정지위치에서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을 각각 정지하므로 원하는 굴삭위치 또는 배토위치를 설정함으로써 동일 위치에서의 굴삭 또는 배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상기 정지위치로서 설정함으로써 오프셋에서의 홈굴삭작업의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regardless of manual operation and automatic control, turning and swing driving are stopped at the set stop positions of swing driving and swing driving, respectively, so that excavation or excavation work in the same position is easy by setting the desired excavation position or the excavation position. Done. Further, by setting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as the stop position, the workability of the groove excavation work at the offset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제3발명에 기초하는 제4발명은 상기 정지위치 설정수단이 표시기 및 정지위치 기억을 지시하는 입력기를 갖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기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의 현재의 오프셋량을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입력기가 기억지시하였을 때의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 및 상기 스윙각도 검출기의 검출치를 상기 설정치로서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Further, the fourth invention based on the third invention has an input device in which the stop position setting means instructs the indicator and the stop position memory,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base of the work machine based on the turn angle signal input from the turn angle detector. It calculates the current offset amou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displays the calculation result on the display, and stores the detected values of the swing angle detector and the swing angle detector when the input unit stores the memory as the set values. Doing.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오프셋 홈굴삭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표시내용의 확인에 의해 원하는 오프셋량에 대응한 굴삭위치로의 정밀도가 좋은 선회이동조작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원하는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취하기 쉽게 되므로 이 오프셋 홈굴삭자세의 선회위치 및 스윙위치를 정지위치로서 기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이로써 수동조작 및 자동조작에 상관없이 원하는 오프셋량에 대응하는 굴삭위치에서 작업기가 정지하므로 오프셋에서의 홈굴삭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the workability of offset groove excavation can be improved. That is, by confirming the display contents, the turning movement operation with good precision to the excav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offset amount can be facilitated, so that the desired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can be easily taken. It is easy to store as a position, and thus the work stops at the excav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offset amount irrespective of manual operation or automatic operation, thereby making it easy to operate the groove excavation at the offset and improve the workability. .

또한, 제5발명은 하부주행체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회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선회구동수단에 의해 선회구동되는 상부선회체와, 이 상부선회체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윙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스윙구동수단에 의해 스윙구동되는 작업기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의 선회각도를 검출하는 선회각도 검출기; 상기 작업기의 스윙각도를 검출하는 스윙각도 검출기; 상기 선회조작수단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선회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 상기 스윙조작수단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스윙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 및 상기 선회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량 신호 및 상기 스윙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량 신호 중 어느 한쪽의 조작량 신호,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 및 상기 스윙각도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스윙각도신호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구동평면이 하부주행체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선회구동수단 및 스윙구동수단을 동시 제어하는 지령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fth invention is an upper swing structure pivotally mounted by a swing drive means which is pivotal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lower travel body and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and a proximal end portion at a front end of the upper swing structure. A swing control device of a swing hydraulic excavator equipped with a work machine mounted swingably from side to side and swing driven by a swing driving means drive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wing operating means, the sw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detecting a swing angle of the upper swing body; Pivot angle detector; A swing angle detector for detecting a swing angle of the work machine; A swing manipulation means manipulation amount detector for detecting the manipulation amount of the swing manipulation means; A swing manipulation means manipulation amount detector for detecting an manipulation amount of the swing manipulation means; And a manipulated-variable signal of any one of a manipulated-variable signal inputted from the swing operating means manipulated-variable detector and a manipulated-variable signal inputted from the swing operated means manipulated-variable detector, a swinging-angle signal inputted from the turning-angle detector, and a swing input from the swing-angle detector. On the basis of the angle signal, while maintaining the attitude that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coincides with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wer traveling body, th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capable of calculating and outputting a command signal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turning drive means and the swing drive means. hav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회조작수단 및 스윙조작수단 중 어느 한쪽의 조작에 의해 작업기의 구동평면이 하부주행체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는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유지하면서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하는 것이므로 원하는 오프셋위치로의 작업기의 이동을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 이동시에 작업기가 자체의 좌우측방으로 크게 튀어나오는 일이 없으므로 벽이나 통행차량 등과의 접촉의 우려가 없고, 작동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is operated by either one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and the swing operation means to rotate and swing drive while maintaining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coinciding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lower traveling body. The movement of the work machine can be operated very easily. Further, when the work machine moves, the work machine does not protrude greatl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itself, so that there is no fear of contact with the wall, the traffic vehicle, or the like,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becomes easy.

또한, 제3~5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기초하는 제6발명은 상기 스윙구동수단이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壓油)의 유량을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하는 조작밸브와, 상기 조작밸브를 조작하는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전자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령신호를 상기 비례전자밸브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작밸브의 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Further, in the sixth invention based on the invention of any one of the third to fifth inventions, the swing driv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actuator, and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actuato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mount. And a proportional solenoid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a pilot pressur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valv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operation valve by outputting the command signal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have.

또한, 제3~5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기초하는 제7발명은 상기 선회구동수단이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하는 조작밸브와, 상기 조작밸브를 조작하는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전자밸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령신호를 상기 비례전자밸브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작밸브의 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invention based on the invention of any one of the third to fifth inventions, the swing drive means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actuator, and an operation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sure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actua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A proportional solenoid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ilot pressur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valve is provided,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operation valve by outputting the command signal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어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범용성이 있는 비례전자밸브를 이용하여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저비용의 장치로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ydraulic actuator is driven by using a general-purpos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without using a special device to construct the control system, thereby making it a low cost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좌우 및 상하의 각 방향은 특별히 알려주지 않는 한, 각각 본 발명의 스윙제어장치를 장착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각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ach direction of back, front, left, right, and up and down means each direction of back, front, left, right, and up and down of the swing type hydraulic shovel which mounts the swing control apparatus of this invention, unless it mentions specially.

우선,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은 좌우에 크롤러 (crawler)식 주행장치를 구비한 하부주행체(2)와, 이 하부주행체(2)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3)와, 이 상부선회체(3)의 전단부에 장착된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선회체(3)의 전방부 좌측에는 운전실(5)이 탑재됨과 아울러 상부선회체(3)의 후단부에는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6)가 탑재되어 있다. 후방 소선회형인 유압 셔블(1)의 상부선회체(3)의 후방부는 최대 후단 반경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개략 반원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hydraulic excavator 1 is pivotally mounted on the lower traveling body 2 which has a crawler-type traveling apparatus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upper traveling body of this lower traveling body 2. As shown in FIG. The upper swing structure 3 and the work machine 4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swing structure 3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cab 5 is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wing body 3, and a counter weight 6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upper swing body 3. The rear part of the upper swing body 3 of the hydraulic shovel 1, which is the rear small swing type,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swing within the maximum rear radius.

작업기(4)는 스윙 브래킷(10)에 기단부가 기복(起伏)할 수 있게 장착된 붐 (boom)(11)과, 붐(11)의 선단부에 기단부가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 암(arm)(12)을 갖고 있고, 작업용 툴(tool)로서 버킷(13)이 그 기단부를 암(12)의 선단부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4)는 또한 스윙 브래킷(10)과 붐(11) 사이에 끼워장착된 붐실린더(14)와, 붐(11)과 암(12) 사이에 끼워장착된 암실린더(15)와, 암 (12)과 버킷(13) 사이에 끼워장착된 버킷실린더(16)를 갖고 있고, 이들 유압 실린더(14,15,16)의 신축구동에 의해 작업기(4)는 구동된다.The work machine 4 includes a boom 11 mounted on the swing bracket 10 so that the proximal end can be undulated, and an arm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boom 11 so that the proximal end can be rotated. (12), the bucket 13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arm 12 as a work tool. The work machine 4 also includes a boom cylinder 14 fitted between the swing bracket 10 and the boom 11, an arm cylinder 15 fitted between the boom 11 and the arm 12, and an arm. The bucket cylinder 16 is inserted between the 12 and the bucket 13, and the work machine 4 is driven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se hydraulic cylinders 14, 15, and 16. As shown in FIG.

작업기(4)의 기단부로 되는 붐(11)을 지지하는 스윙 브래킷(1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선회체(3)의 전단부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8)에 상하방향의 핀(9)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윙 브래킷 (10)의 우측(도 3의 상측)에 돌출하게 설치된 레버(10a)의 선단부와 상부선회체(3) 사이에 끼워장착된 스윙 실린더(17)의 신축구동에 의해 작업기(4)는 스윙 브래킷 (10)과 함께 스윙 구동된다.As shown in FIG. 3, the swing bracket 10 which supports the boom 11 which becomes the base end of the work machine 4 is a pin of the up-down direction to the support bracket 8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upper swing body 3. (9) is mounted so as to swing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work machine 4 is operated by the telescopic drive of the swing cylinder 17 fitted between the tip end of the lever 10a protruding to the right side (upper side in FIG. 3) of the swing bracket 10 and the upper swing body 3. ) Is swing driven together with the swing bracket 10.

상부선회체(3)의 전단부에는 스윙 브래킷(10)을 요동각도, 즉, 작업기(4)의 좌우방향의 스윙각도(α)를 검출하는 스윙각도센서(18)가 장착되어 있고, 상부선회체(3)의 하부에는 상부선회체(3)의 선회각도(θ)를 검출하는 선회각도센서(19)가 장착되어 있다(도 1참조). 각 각도센서(18,19)는, 예컨대, 포텐셔미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회각도(θ)는 하부주행체(2)의 전방 정면으로부터 시계방향(우선회)을 양의 각도로 하고, 스윙각도(α)는 상부선회체(3)의 전방 정면으로부터 반시계방향(좌스윙)을 양의 각도로 한다.The front end of the upper swing body 3 is equipped with a swing angle sensor 18 for detecting the swing angle of the swing bracket 10, that is, the swing angle α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work machine 4, In the lower part of the sieve 3, a swing angle sensor 19 for detecting the swing angle θ of the upper swing body 3 is mounted (see Fig. 1). Each of the angle sensors 18 and 19 mainly comprises a potentiometer. That is, in this embodiment, turning angle (theta) makes clockwise (right turn) positive angle from the front front of the lower traveling body 2, and swing angle (alpha) is the front of the upper turning body (3). Make counterclockwise (left swing) positive angle from the front.

상기와 같이, 유압 셔블(1)은 스윙붐식 작업기(4)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이므로,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기(4)를 좌측방향으로 스윙각도(αO)만큼 스윙 구동하고, 상부선회체(3)를 스윙방향과는 반대의 우측방향의 선회각도(θO)가 대략 각도(αO)로 되도록 선회 구동함으로써 작업기(4)의 선단위치를 차체폭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오프셋 이동가능하고, 차체 우측의 벽 가장자리에 걸친 홈굴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ydraulic excavator 1 is a swing hydraulic excavator equipped with the swing boom type work machine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work machine 4 is swinged by the swing angle α O to the left. And turning the upper swing body 3 so that the swing angle θ O in the right direction opposite to the swing direction is approximately the angle α O , so that the line unit value of the work machine 4 is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width. The offset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groove excavation over the wall edge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20)을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1) 및 파일럿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22)의 토출측은 관로(23,2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관로(23)는 스윙조작밸브(25), 선회조작밸브(26) 및 도시하지 않은 다른 조작밸브(예컨대, 붐조작밸브나 암조작밸브 등)에 접속되고, 유압펌프 (2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이들 조작밸브에 공급하고 있다. 스윙조작밸브(25)는 2차측의 관로(27A,27B)를 통해서 스윙실린더(17)에 접속되어 있다. 선회조작밸브 (26)는 2차측의 관로(28A,28B)를 통해서 선회모터(29)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scharge side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1 which rotates using the engine 20 as a drive source, and the hydraulic pump 22 which produces pilot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pipe lines 23 and 24, respectively. . The pipeline 23 is connected to the swing control valve 25, the swing control valve 26 and other control valves (not shown) (for example, a boom control valve or a female control valve, etc.) and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21. Is supplied to these control valves. The swing control valve 25 is connected to the swing cylinder 17 via the pipelines 27A and 27B on the secondary side. The swing control valve 26 is connected to the swing motor 29 via the secondary conduits 28A and 28B.

상기 관로(24)는 스윙조작페달(30)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밸브(31), 선회조작레버(32)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밸브(33) 및 도시하지 않은 다른 파일럿밸브(예컨대, 붐조작용 파일럿밸브나 암조작용 파일럿밸브 등)에 접속되고, 유압펌프(22)로부터 토출되는 파일럿압을 이들 파일럿밸브에 공급하고 있다. 파일럿밸브(31)는 감압부(31a,31b)를 구비하고 있고, 파일럿밸브(33)는 감압부(33a,33b)를 구비하고있다.The conduit 24 is a pilot valve 31 operated by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a pilot valve 33 operated by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and other pilot valves not shown (e.g., boom operation pilot). Valves, female pilot valves, etc.), and the pilot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22 is supplied to these pilot valves. The pilot valve 31 is provided with the pressure reduction parts 31a and 31b, and the pilot valve 33 is equipped with the pressure reduction parts 33a and 33b.

감압부(31a)는 파일럿 관로(34A)를 통해서 스윙조작밸브(25)의 조작부(25a)에 접속되고, 공급되는 파일럿압을 제어하여 스윙조작밸브(25)를 스위칭하고, 스윙실린더(17)를 신장(좌스윙)한다. 감압부(31b)는 파일럿 관로(34B)를 통해서 스윙조작밸브(25)의 조작부(25b)에 접속되고, 공급되는 파일럿압을 제어하여 스윙조작밸브(25)를 스위칭하고, 스윙실린더(17)를 축소(우스윙)한다.The pressure reduction part 31a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rt 25a of the swing control valve 25 via the pilot pipe line 34A, controls the supplied pilot pressure, switches the swing control valve 25, and swing cylinder 17 Elongate (left swing). The pressure reduction part 31b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rt 25b of the swing control valve 25 via the pilot pipe line 34B, controls the supplied pilot pressure, switches the swing control valve 25, and swing cylinder 17 To zoom out.

감압부(33a)는 파일럿 관로(35A)를 통해서 선회조작밸브(26)의 조작부(26a)에 접속되고, 공급되는 파일럿압을 제어하여 선회조작밸브(26)를 스위칭하고, 선회모터(29)를 구동하여 좌선회한다. 감압부(33b)는 파일럿 관로(35B)를 통해서 선회조작밸브(26)의 조작부(26b)에 접속되고, 공급되는 파일럿압을 제어하여 선회조작밸브(26)를 스위칭하고, 선회모터(29)를 구동하여 우선회한다.The decompression unit 33a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26a of the swing operation valve 26 through the pilot pipe line 35A, controls the supplied pilot pressure to switch the swing operation valve 26, and the swing motor 29. Drive to turn left. The pressure reduction part 33b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rt 26b of the swing operation valve 26 via the pilot pipe line 35B, controls the supplied pilot pressure, switches the swing operation valve 26, and the swing motor 29 Drive to make a priority.

파일럿 관로(34A,34B,35A,35B)에는 컨트롤러(40)로부터의 지령신호 (iαA,iαB,iθA,iθB)에 의해 구동되는 비례전자밸브(41A,41B,42A,42B)가 각각 끼워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40)에는 스윙각도센서(18) 및 선회각도센서(19)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40)는 상기 스윙각도센서(18)로부터의 스윙각도신호(α) 및 선회각도센서(19)로부터의 선회각도신호(θ)에 기초하여 비례전자밸브(41A,41B,42A,42B)로의 지령신호(iαA,iαB,iθA,iθB)를 연산하여 출력하고 있다.The pilot pipelines 34A, 34B, 35A, 35B hav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41A, 41B, 42A, 42B driven by the command signals i αA , i αB , i θA , i θB from the controller 40. Each is fitted. The swing angle sensor 18 and the swing angle sensor 19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 and the controller 40 is the swing angle signal α and the swing angle sensor 19 from the swing angle sensor 18. Based on the turning angle signal θ from, the command signals i αA , i αB , i θA , i θB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41A, 41B, 42A, 42B are calculated and output.

컨트롤러(40)에는 모니터 패널(43)이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40)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모니터 패널(43)은 표시기(44)와 입력기(4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기(44)에는 선회각도(θ)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작업기 (4)의 기단(스윙 중심)의 차체폭 중심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의 오프셋량, 선회각도 (θ)와 스윙각도(α)의 차<차체 전후방향과 작업기(4)의 구동평면으로 되는 각도>를 시초로 하는 차량의 각종 상태량이나 설정치 등이 표시된다. 입력기(45)에는 복수의 스위치류가 설치되어 있고, 표시기(44)의 표시내용의 스위칭, 정지위치 등의 설정치의 입력이나 변경, 작업모드(수동모드, 설정치 정지모드, 전자동 제어모드 등)의 스위칭 등이 행해진다.The monitor panel 43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 and various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ontroller 40. The monitor panel 43 includes a display 44 and an input device 45. The display 44 has an offset amount from the center of the body width of the base end (swing center) of the work machine 4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turning angle θ,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urning angle θ and the swing angle α. Various state quantities, set values, and the like of the vehicle starting from < the angle between the vehicle body front-rear direction and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4 > are displayed. The input device 4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switching of the display contents of the display 44, input and change of set values such as the stop position, work mode (manual mode, set value stop mode, fully automatic control mode, etc.) Switching or the like is performed.

입력기(45)에 의한 설정치 입력내용의 예로서 현재의 선회각도(θn) 및 스윙각도(αn)를 정지위치의 설정치(θOO)로서 기억가능하다. 즉, 미리 「수동모드」에서 원하는 오프셋량이 되도록 선회조작레버(32) 및 스윙조작페달(30)을 조작하여 상부선회체(3) 및 작업기(4)를 위치결정하고, 그 위치에서 입력기(45)에 설치된 원하는 설정스위치(도시않함)를 조작함으로써 현재의 선회각도(θn) 및 스윙각도(αn)를 설정치(θOO)로서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프셋 굴삭을 행할 때의 선회각도(θO) 및 스윙각도(αO)를 정지위치의 설정치로서 기억하고, 작업모드를 「설정치 정지모드」로 스위칭한 경우의 컨트롤러 (40)의 출력특성에 관해서 도 6도 참조하여 설명한다.As an example of setting value input contents by the input device 45, the current turning angle θ n and the swing angle α n can be stored as the setting values θ O , α O of the stop position. That is, the upper swing body 3 and the work machine 4 are positioned by operating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and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so as to have a desired offset amount in the "manual mode" in advance, and the input unit 45 at that position. By operating a desired setting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the above), the current turning angle θ n and the swing angle α n are stored as setting values θ O , α O. Controller 40 when the turning angle θ O and the swing angle α O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offset excavation as shown in FIG. 4 are stored as the set values of the stop positions, and the work mode is switched to the “set value stop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well.

굴삭위치와 덤프트럭으로의 배토위치 사이의 작업기(4)의 이동은 통상 선회구동에 의해 행해진다. 작업기(4)를 굴삭위치로 되돌리는 경우, 작동자는 선회조작레버(32)를 통해서 파일럿밸브(33)의 감압부(33b)를 조작하여 상부선회체(3)를 우측으로 선회구동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선회각도(θO)로부터 소정 각도(dθ) 바로앞의 위치를 위치(θ1)로 하면 우선회의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전자밸브(42B)로의 지령신호(iθB)는 선회각도(θ)가 위치(θ1)보다 바로앞이면 100%의 출력신호<비례전자밸브(42B)의 개구량은 완전개방>로 되고, 위치(θ1)로부터 설정선회각도(θO)에 근접함에 따라서 선회각도(θ)에 응답하여 100%에서 m%로 점점 감소하고, 설정선회각도(θO)에 있어서 m%에서 0%로 되는 특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m%는 선회조작밸브(26)를 급히 닫아서 선회 급정지하여 작동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정도로 느린 선회속도(ωθO)로 되는, 예컨대, 10%정도의 출력이고, 소정 각도(dθ)는 선회속도(ωθ)가 최대인 경우에도 선회속도(ωθO)까지 감속하기에 충분한 각도범위로 설정되어 있다.The movement of the work machine 4 between the excavation position and the excavation position to the dump truck is usually performed by turning drive. When returning the work machine 4 to the excavation position, the operator rotates the upper swing body 3 to the right by operating the pressure reducing portion 33b of the pilot valve 33 through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As shown in Fig. 6A, when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predetermined angle d θ from the set turning angle θ O is set to the position θ 1 , a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2B capable of controlling the pilot pressure of the preferred command signal (i θB), to) is the turning angle (θ) position (θ 1) than is immediately before the 100% output signal <opening amount of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2B) is fully opened> and a, position (θ 1 As the angle of rotation is close to the setting angle of rotation (θ O ), it gradually decreases from 100% to m% in response to the rotation angle (θ), and from m% to 0% in the setting angle of rotation (θ O ). have. Here, m% is the turning operation and the valve 26, by urgently turning suddenly stopped by closing the to be at a slow revolution speed (ω θO) enough not to give an unpleasant feeling to the operator, for example, the output of 10%, a predetermined angle (d θ) Is set to an angular range sufficient to decelerate to the turning speed ω θO even when the turning speed ω θ is maximum.

좌선회에 관해서도 비례전자밸브(42A)로의 지령신호(iθA)가 마찬가지의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다(도시않함).Also for the left turn, the command signal i θA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2A is set to the same characteristic (not shown).

작업기(4)의 이동은 스윙구동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스윙각도(αO)로부터 소정 각도(dα) 바로앞의 위치를 위치(α1)로 하면 우스윙의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전자밸브(41B)로의 지령신호(iαB)는 스윙각도(α)가 위치(α1)보다 바로앞이면 100%의 출력신호 <비례전자밸브 (41B)의 개구량은 완전개방>로 되고, 위치(α1)로부터 설정스윙각도(αO)에 근접함에 따라서 스윙각도(α)에 응답하여 100%에서 n%로 점점 감소하고, 설정스윙각도(αO)에 있어서 n%에서 0%로 되는 특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n%는 스윙조작밸브 (25)를 급히 닫아서 스윙 급정지하여도 작동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짐넘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느린 스윙속도(ωαO)로 되는, 예컨대, 5%정도의 출력이고, 소정 각도(dα)는 스윙속도(ωα)가 최대인 경우에도 스윙속도(ωαO)까지 감속하기에 충분한 각도범위가 설정되어 있다.Since the work machine 4 can be moved by swing driving, as shown in FIG. 6 (b), the position (α 1 ) is positioned immediately before the predetermined angle d α from the set swing angle α O. In this case, the command signal i αB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1B capable of controlling the pilot pressure of the swing is 100% of the output signal when the swing angle α is just before the position α 1 . The opening amount of 41B becomes completely open>,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100% to n% in response to the swing angle α as the approach swing angle α O is approached from the position α 1 . It is set as the characteristic which becomes n% to 0% in angle (alpha) O. Here, n% is an output of, for example, about 5%, which results in a swing speed (ω αO ) that is slow enough to cause an operator to be unpleasant and no overflow occurs even if the swing control valve 25 is urgently closed. The predetermined angle d α is set to an angle range sufficient to decelerate to the swing speed ω αO even when the swing speed ω α is maximum.

좌스윙에 관해서도 비례전자밸브(41A)로의 지령신호(iαA)가 마찬가지의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다(도시않함).As for the left swing, the command signal i alpha A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1A is set to the same characteristic (not shown).

「설정치 정지모드」에서의 컨트롤러(40)로부터의 지령신호 (iαA,iαB,iθA,iθB)가 상기 출력특성으로 되므로 정지위치의 설정치인 선회각도(θO)의 소정 각도(dθ) 바로앞으로부터 파일럿압은 서서히 스로틀되어 가고, 선회각도(θO)에서 파일럿압은 차단됨으로써 작동자가 선회조작레버(32)를 계속 조작하여도 선회구동은 설정치인 선회각도(θO)에서 감속정지한다. 마찬가지로 정지위치의 설정치인 스윙각도(αO)의 소정 각도(dα) 바로앞에서부터 파일럿압은 서서히 스로틀되어 가고, 스윙각도(αO)에서 파일럿압은 차단됨으로써 작동자가 스윙조작페달 (30)을계속 조작하여도 스윙구동은 설정치인 스윙각도(αO)에서 감속 정지한다.Since the command signals i αA , i αB , i θA , i θB from the controller 40 in the “set value stop mode” become the output characteristics, the predetermined angle d of the turning angle θ O which is the set value of the stop position is given. θ ) The pilot pressure gradually throttles from the front, and the pilot pressure is cut off at the turning angle θ O so that even if the operator continues to operate the turning control lever 32, the turning drive is at the set turning angle θ O. Stop deceleration. Similarly, the pilot pressure is gradually throttled just before the predetermined angle d α of the swing angle α O , which is the set value of the stop position, and the pilot pressure is cut off at the swing angle α O , whereby the operator operates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Even if the operation is continued, the swing drive decelerates and stops at the swing angle α O which is the set value.

본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The effect by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수동모드」에서의 오프셋 위치결정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즉, 표시기(44)에 작업기(4) 기단의 현재의 「오프셋량」을 표시하여 둠으로써 오프셋량에 대응한 굴삭위치로의 선회이동량이 스스로의 측량에 의하지 않고 수치표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고, 「수동모드」에서의 선회이동이 정확하게 됨과 아울러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Offset positioning operation in the "manual mode" becomes easy. That is, by displaying the current "offset amount" of the base of the work machine 4 on the display unit 44, the amount of turning movement to the excav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ffset amount can be confirmed by numerical display, not by self-measuring. The turning movement in the "manual mode" becomes accurate and the operation becomes easy.

또한, 표시기(44)에 선회각도(θ)와 스윙각도(α)의 「차」를 표시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 차가 제로로 되도록 선회 또는 스윙함으로써 작업기(4)의 구동평면을 차체주행방향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표시내용을 확인하여 정밀도 좋은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urning angle θ and the swing angle α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44,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4 is made to coincide with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by turning or swinging so that the difference becomes zero. Can be.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confirm the display contents and take an accurat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또한, 표시되는 「오프셋량」을 원하는 양으로 일치시키고, 표시되는 「차」를 제로에 일치시킴으로써 「오프셋 홈굴삭자세」에서 작업기(4)의 버킷(13)을 굴삭위치에 일치<정확하게는 작업기(4)의 구동평면을 굴삭계획선 상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밀도가 요구되는 홈굴삭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된다.In addition, by matching the displayed "offset amount" to a desired amount and matching the displayed "car" to zero, the bucket 13 of the work machine 4 matches the excavation position in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The driving plane of (4) can be aligned on the excavation plan line. According to this, groove excavation which requires precision is performed easily.

또한, 제어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범용성이 있는 비례전자밸브(41A,41B,42A,42B) 및 포텐셔미터<스윙각도센서(18), 선회각도센서(19)>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저비용의 장치로 된다.In addition, by using a general-purpos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41A, 41B, 42A, 42B and potentiometers <swing angle sensor 18, turning angle sensor 19> without using a special device to construct a control system. Since it is comprised, it becomes a low cost apparatus.

또한, 작업모드를 「설정치 정지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작동자의 조작이계속되어도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을 각각 설정치(θOO)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토사를 배토한 후 작업기(4)를 매회 동일한 작업기 구동평면으로 일치시킬 수 있고, 동일 장소의 굴삭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배토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동일 장소의 배토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굴삭위치 및 배토위치를 함께 설정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In addition, b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set value stop mode", even if the operator continues to operate, the turning drive and the swing drive can be stopped at the set values θ O and α O , respectively. The same work machine drive plane can be matched, and the excavation operation at the same place becomes easy. Of course, the topdressing position can be set, in which case the topdressing operation at the same place becomes easy. Further, the excavation position and the excavation position may be set together.

또한, 원하는 「오프셋 홈굴삭자세」에서의 선회각도(θ)와 스윙각도(α)를 정지위치의 설정치로서 기억함으로써 매회 동일 「오프셋 홈굴삭자세」에서 정지할 수 있으므로 차체주행방향과 일치하는 홈굴삭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urning angle θ and the swing angle α in the desired "offset groove digging posture" are stored as the set values of the stop positions, it is possible to stop at the same "offset groove digging posture" every time. Excavation becomes eas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또한, 「설정치 정지모드」에 의한 정지제어는 소정 각도 바로앞에서부터 감속한 후에 정지하므로 정지시의 충격이 작고, 작동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짐넘침도 생기지 않고, 작업성이 좋다.In addition, the stop control by the "set value stop mode" stops after decelerating immediately before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impact at the time of stopping is small, the operator is not uncomfortable, and no overflow occurs, and workability is good.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FIG.7 and FIG.8.

또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tructure same as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윙조작페달(30)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밸브(31) 및 선회조작레버(32)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밸브(33)를 이용하는 유압제어식 구동시스템의 예이였지만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윙조작페달(30)의 조작량 및 선회조작레버(32)의 조작량을 각각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기를 이용하는 전기제어식 구동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the pilot valve 31 operated by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and the pilot valve 33 operated by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are examples of the hydraulically controlled drive system,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ically controlled drive system using a detector for electrically detecting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and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respectively.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50)는 스윙조작페달(30)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페달조작량 센서(53)로부터의 페달조작량 신호(δα) 및 스윙각도센서(18)로부터의 스윙각도신호(α)에 기초하여 스윙조작밸브(25)의 조작부(25a,25b)와 유압펌프(22)를 각각 접속하는 파일럿 관로(55A,55B)에 설치된 비례전자밸브 (51A,51B)로의 지령신호(iαA,iαB)를 연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pedal operation amount signal δ α from the pedal operation amount sensor 53 for detecting the operation amount of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and the swing angle signal from the swing angle sensor 18. Command signal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51A, 51B provided in the pilot conduits 55A, 55B connecting the operating portions 25a, 25b of the swing control valve 25 and the hydraulic pump 22 based on (α), respectively. i αA , i αB ) is calculated and output.

또한, 컨트롤러(50)는 선회조작레버(32)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레버조작량 센서(54)로부터의 레버조작량 신호(δθ) 및 선회각도센서(19)로부터의 선회각도신호(θ)에 기초하여 선회조작밸브(26)의 조작부(26a,26b)와 유압펌프(22)를 각각 접속하는 파일럿 관로(56A,56B)에 설치된 비례전자밸브(52A,52B)로의 지령신호(iθA,iθB)를 연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controller 50 is based on the lever operation amount signal δ θ from the lever operation amount sensor 54 and the turning angle signal θ from the turning angle sensor 19 to detect the operation amount of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Command signals i θA and i θB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52A and 52B provided in the pilot conduits 56A and 56B connecting the operating portions 26a and 26b of the swing control valve 26 and the hydraulic pump 22, respectively. ) Is calculated and output.

통상 작업시에는 컨트롤러(50)가 스윙페달 조작량(δα)에 대략 비례하는 지령신호(iαA,iαB) 및 선회레버조작량(δθ)에 대략 비례하는 지령신호(iθA,iθB)를 출력한다. 한편, 「설정치 정지모드」에서의 컨트롤러(50)로부터의 지령신호 (iαA,iαB,iθA,iθB)는 정지위치의 설정치(θOO)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출력특성으로 된다. 즉, 지령신호(iαA,iαB)는 스윙페달 조작량(δα)에 대략 비례하는 스윙 지령기준치(sαA,sαB)에 도 6에서 설명한 출력특성과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게인특성(καAαB)을 곱한 값으로 되고<도 8(a) 참조>, 지령신호(iθA,iθB)는 선회레버 조작량(δθ)에 대략 비례하는 선회지령기준치(sθA,sθB)에 도 6에서 설명한 출력특성과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게인특성(κθAθB)을 곱한 값으로 된다<도 8(b) 참조>.Typically has the controller 50, the swing pedal operation amount (δ α) command signal (i αA, i αB) and the turning lever operation amount command signal (i θA, i θB) which is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δ θ) that is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the time action Outputs On the other hand, the command signals i αA , i αB , i θA , i θB from the controller 50 in the “set value stop mode” are as shown in FIG. 8 for the set values θ O and α O of the stop position. Output characteristics. That is, the command signals i αA and i αB have gain characteristics κ having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swing command reference values s αA and s αB which are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the swing pedal manipulated value δ α . αA, and as the product of the κ αB) <Fig. 8 (a) reference>, command signal (i θA, i θB) is a turning lever operation amount (turning command reference value (s θA, s θB) which is approximately proportional to δ θ) Is multiplied by the gain characteristics κ θ A and κ θ B having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see FIG. 8 (b)).

이로써, 제2실시형태의 전기제어식 구동시스템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의 유압제어식 구동시스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표준 전기제어식 구동시스템에 스윙각도센서(18) 및 선회각도센서(19)를 추가함으로써 오프셋량의 표시나 설정치에서의 정지가 제어가능한 스윙제어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저비용의 제어장치가 얻어진다.Thereby, also in the electrically controlled drive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case of the hydraulically controlled driv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btained, and the swing angle sensor 18 and the turning angle sensor ( By adding 19), a swing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offset amount and the stop at the set value can be constituted, thereby obtaining a very low cost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하여도 상관없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does not matter even if it adds a change and correction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예컨대, 설정치 근방에서의 출력특성으로서 선형으로 감소하는 특성의 예로써 설명하였지만 선형이 아니더라도 설정치를 향하여 점점 감소하는 특성이면 곡선상이나 꺽임선상의 특성이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감속개시시 등의 변경시의 충격을 매우 작은 것으로 할 수 있고, 작동자의 거주성을 향상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it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which decreases linearly as an output characteristic in the vicinity of a set value, if it is not linear, if it is a characteristic which gradually decreases toward a set value, it may be a characteristic of a curve or a bending line. According to this, the impact at the time of change, such as deceleration start, can be made very small, and the operability of an operator can be improved.

또한, 「설정치 정지모드」에서 기억하는 정지위치의 설정치로서 현재의 선회각도(θn) 및 스윙각도(αn)를 설정치(θOO)로서 기억하는 예로써 설명하였지만원하는 선회각도(θ) 및 스윙각도(α)(오프셋 홈굴삭자세를 바라는 경우에는 θ=α)를 입력기(45)로부터 입력하여 기억시켜도 좋고, 원하는 오프셋량을 입력기(45)로부터 입력하여 이 오프셋량에 대응하는 선회각도(θ) 및 스윙각도(α)로 변환하여 이것을 기억시켜도 상관없다. 이 경우, 입력기(45)의 스위치로서 숫자판 및 데이터기억스위치를 설치하고, 「데이터설정모드」에 있어서 설정값(θOO)의 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원하는 오프셋량의 데이터를 기억하면 선회중심과 스윙중심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량에 따른 선회각도(θO) 및 스윙각도 (αO)를 구하여 기억하면 좋다.Although the present turning angle θ n and swing angle α n are stored as setting values θ O and α O as stop values stored in the “set value stop mode”, the desired turning angle ( θ) and swing angle α (θ = α in the case of offset groove digging posture) may be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45 and stored therein, or a desired offset amount may be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45 to correspond to the offset amount. It may be converted into the turning angle θ and the swing angle α to store this. In this case, a numeric keypad and a data storage switch may be provided as switches of the input device 45 so as to store data of the set values θ O and α O in the “data setting mode”. When the data of the desired offset amount is stored, the swing angle θ O and the swing angle α O corresponding to the offset amount may be obtained and stor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swing center and the swing center.

또한, 「설정치 정지모드」에서 기억하는 설정치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오프셋위치(h1,h2)를 기억시키고, 배토한 후에 굴삭위치로 되돌릴 때 위치(h1,h2)에 교대로 정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이것에 의하면 버킷(13)의 폭보다도 넓은 폭의 홈을 정밀도 좋고 용이하게 굴삭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et values stored in the "set value stop mode", as shown in Fig. 9, two offset positions h1 and h2 are stored and alternately placed at positions h1 and h2 when the clay is returned to the excavation position after the clay is released. It may be configured to stop. According to this, the groove | channel wid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bucket 13 can be excavated precisely and easily.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컨대, 「전자동 제어모드」에서 배토위치 등 임의의 현재의 선회위치(θn) 및 스윙위치(αn)로부터 설정치(θOO)까지 이동하여 정지하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령신호(iαA,iαB,iθA,iθB)를 컨트롤러 (50)가 자동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때 미리 결정된 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작동자는 스윙조작페달(30) 및 선회조작레버(32)를 조작하는 일없이 입력기(45)에 설치한 기동스위치 등<선회조작레버(32) 또는 스윙조작페달(30)의 조작에 의해 트리거신호로 하여도 좋다>의 원터치조작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부터 원하는 굴삭위치로 작업기(4)를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하며,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quot; full automatic control mode &quot;, the motor moves from any current turning position θ n and swing position α n to the set value θ O , α O in the excavation position and stop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troller 50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output the command signals i αA , i αB , i θA , i θB as shown in FIG. 10. At this time, it is good to move at a predetermined speed. According to this,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or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such as a start switch installed in the input unit 45 without operating the swing operation pedal 30 and the swing operation lever 32. By the one touch operation of &quot; trigger signal &quot;, the work machine 4 can be moved from an arbitrary position to a desired excavation position, and the operation is easy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 중 어느 한쪽의 구동조작부재<선회조작레버(32) 또는 스윙조작페달(30)>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한쪽의 구동을 「주」로 하고, 다른쪽의 구동을 「종」으로 하여 「선회각도(θ)=스윙각도(α)」를 항상 유지하여 작업기(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제어인 「오프셋 홈굴삭자세모드」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선회각도(θ)≠스윙각도(α)」의 상태로부터 이 기능에 의해 작업기(4)를 이동시킬 때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 중 어느 한쪽에 의해 「θ=α」로 이동한 후, 「θ=α」를 유지하는 구동제어를 행하면 좋다. 즉, 작업기(4)를 우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점(P1)과 같은 「θ〉α」의 상태로부터는 우선 좌스윙구동에 의해 「θ=α」로 이동한 후에 「θ=α」를 유지하여 이동하면 좋고, 또한, 점(P2)와 같은 「θ〈α」의 상태로부터는 우선, 우선회구동에 의해 「θ=α」로 이동한 후에 「θ=α」를 유지하여 이동하면 좋다. 또한, 작업기(4)를 좌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P3)과 같은 「θ〉α」의 상태로부터는 우선, 좌선회구동에 의해 「θ=α」로 이동한 후에 「θ=α」를 유지하여 이동하면 좋고, 점(P4)와 같은 「θ〈α」로부터는 우선, 우스윙구동에 의해 「θ=α」로 이동한 후에 「θ=α」를 유지하여 이동하면 좋다.In the second embodiment, one of the driving operation members &quot; swing operation lever 32 or swing operation pedal 30 &quot;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Mode" function, which is a drive control capable of moving the work machine 4 at all times by maintaining the turning angle θ = swing angle α with the other drive as the longitudinal type, can be added. Can be. In this case, when moving the work machine 4 by this function from the state of the "swivel angle (theta) ≠ the swing angle (alpha)", as shown in FIG. After moving to "(theta) = (alpha)", drive control which keeps "(theta) = (alpha)" may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right to move the working machine 4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1 (a), for example, the point (P 1) and "θ>α" in the first left swing drive to "θ = by from conditions such as after moving to the α "may moving to maintain" θ = α ', also, that from the state of "θ <α", such as (P 2), first, first, go to "θ = α" by the time the driving After that, it is good to keep moving "? = Alpha". As shown in 11 (b) cases also to left to move the working machine (4), the point (P 3) and such "θ>α", first, left-turn driving the "θ = α" by from the state of It is good to move after holding to "(theta) = (alpha)", and from "(theta) <(alpha)" like the point (P4), it moves to "(theta) = (alpha)" by the swinging drive first, and then moves to "(theta) = (alpha)". It is good to move by keeping.

이것에 의하면 선회하여도 작업기(4)의 구동평면은 항상 차체주행방향과 일치하는(「오프셋 홈굴삭자세」가 항상 유지되는) 것이므로 작업기(4)가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크게 튀어나오는 일이 없게 되고, 벽이나 통행차량에 작업기(4)가 접촉할 우려가 없다. 또한, 이 「오프셋 홈굴삭자세모드」에 의해 표시되는 「오프셋량」을 원하는 양으로 일치시킴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작업기(4)의 버킷(13)을 굴삭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4 always coincides with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even when turning, so that the work machine 4 does not protrude great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r body. There is no fear that the work machine 4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passing vehicle. In addition, by matching the "offset amount" indicated by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mode" to a desired amount, the bucket 13 of the work machine 4 can be easily matched to the excavation position,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Can be.

또한, 파일럿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22)를 설치하는 대신에 관로(23)에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파일럿압을 얻도록 구성하여도 상관없다.Instead of providing the hydraulic pump 22 for generating the pilot pressure, a pressure reducing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conduit 23 to obtain the pilot pressure.

또한, 컨트롤러(40,50)에 스위치나 볼륨을 구비한 조정기를 접속하여 출력특성의 각도(dβ,dα)나 m%, n% 등의 값을 작동자의 기호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by connecting a controller having a switch or a volume to the controller (40, 5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d β , d α ), m%, n%, etc. of th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perator's preference Also good.

각도센서(18,19)는 포텐셔미터의 예로 설명하였지만 포텐셔미터에 한정되지 않고, 인코더(encoder)를 이용하여도 좋다.The angle sensors 18 and 19 have been described as examples of potentiometers, but are not limited to potentiometers, and an encoder may be used.

스윙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17)에 한정되지 않고, 유압모터, 구동모터, 전동실린더 등이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선회구동수단은 유압모터(29)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모터이여도 좋다. 전동모터나 전동실린더의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서보앰프를 통해서 속도제어할 수 있다.The swing drive means is not limi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17, but may be a hydraulic motor, a drive motor, an electric cylinder, or the like. Similarly, the turning drive means is not limited to the hydraulic motor 29, but may be an electric motor. In the case of an electric motor or an electric cylinder,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speed through the servo amplifi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기에 작업기 기단의 오프셋량을 표시하는 것이므로 오프셋량에 대응한 홈굴삭위치로의 선회이동이 표시내용의 확인에 의해 정확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에 선회각도와 스윙각도의 차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표시내용의 확인에 의해 작업기의 구동평면이 차체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는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ffset amount of the work machine bas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ivoting movement to the groove excav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ffset amount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easily by confirming the display contents. In addition,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urning angle and the swing angle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by checking the display contents,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in which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coincides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easily taken,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have.

또한, 작동자의 조작이 계속되어도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은 각각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 장소의 굴삭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오프셋 홈굴삭자세를 상기 정지위치로서 설정함으로써 작업기를 배토위치로부터 오프셋 홈굴삭자세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오프셋위치의 홈굴삭작업의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위치로의 이동 및 정지를 원터치조작으로 자동으로 행하도록 하면 더욱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s continued, the turning drive and the swing drive can be stopped at desired positions, respectively, so that excavation of the same place is easy. In addition, by setting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as the stop position, it is very easy to move the work machine from the discharging position to the offset groove excavation posture, and the workability of the groove excavation work at the offset position can be greatly improved. Further, if the movement to the stop position and stop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one-touch operation, the operation becomes easier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Claims (7)

하부주행체(2)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회조작수단(32)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선회구동수단(29)에 의해 선회구동되는 상부선회체(3)와, 이 상부선회체(3)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윙조작수단(30)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스윙구동수단(17)에 의해 스윙구동되는 작업기(4)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있어서:An upper swing body 3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running body 2 and pivotally driven by a swing driving means 29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32; Swing type hydraulic pressure provided with the work machine 4 which is proximately mounted to the front-end part of (3) by the swing drive means 17 which is mounted so that a base end can swing left and right and dri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30. In shovel swing control: 상기 상부선회체(3)의 선회각도(θ)를 검출하는 선회각도 검출기(19);A swing angle detector (19) for detecting a swing angle (θ) of the upper swing body (3); 표시기(44); 및Indicator 44; And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19)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θ)에 기초하여 작업기(4)의 기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의 현재의 오프셋량을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상기 표시기(44)에 표시시키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On the basis of the turning angle signal θ input from the turning angle detector 19, the current offset amou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t the base end of the work machine 4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ion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44. Swing control device of a swing-type hydraulic shov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4)의 스윙각도(α)를 검출하는 스윙각도 검출기(18)를 구비함과 아울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ng angle detector (18) for detecting the swing angle (α) of the work machine (4), 상기 컨트롤러(40)는 선회각도(θ)와 스윙각도(α)의 차를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상기 표시기(4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The controller (4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wing angle (θ) and the swing angle (α), and displays the calculation result on the display (40) swing control device of a hydraulic excavator. 하부주행체(2)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회조작수단(32)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선회구동수단(29)에 의해 선회구동되는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윙조작수단(30)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스윙구동수단(17)에 의해 스윙구동되는 작업기(4)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있어서:An upper swinging structure (3)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raveling body (2) and pivotally driven by the swinging driving means (29) for driv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nging operation means (32); It is provided with the work machine 4 which is proximately mounted to the front-end part of the upper swing body 3 and swing-driven by the swing drive means 17 which dri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30. In the swing control of a swing hydraulic excavator: 상기 상부선회체(3)의 선회각도(θ)를 검출하는 선회각도 검출기(19);A swing angle detector (19) for detecting a swing angle (θ) of the upper swing body (3); 상기 작업기(4)의 스윙각도(α)를 검출하는 스윙각도 검출기(18);A swing angle detector (18) for detecting a swing angle (α) of the work machine (4); 선회구동 및 스윙구동의 정지위치를 설정하는 정지위치 설정수단(43); 및Stop position setting means (43) for setting stop positions of swing driving and swing driving; And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19)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θ), 상기 스윙각도 검출기(18)로부터 입력되는 스윙각도신호(α) 및 상기 정지위치 설정수단(45)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θ00)에 기초하여 설정치(θ00)의 정지위치에서 선회구동수단(29) 및 스윙구동수단(17)을 각각 정지하는 지령신호(iθA,iθB,iαA,iαB)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The swing angle signal? Input from the swing angle detector 19, the swing angle signal? Input from the swing angle detector 18, and the set value? 0 set by the stop position setting means 45. α 0) to the set value (θ 0, α 0) command signal (i θA, i θB, i αA, i αB), respectively stop the swing drive means 29 and the swing drive mechanism (17) in the stop position of the basis of the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 sw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outp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위치 설정수단(43)은 표시기(44) 및 정지위치 기억을 지시하는 입력기(45)를 갖고,4. The stop position setting means (43)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top position setting means (43) has an indicator (44) and an input unit (45) for instructing stop position storage,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19)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θ)에 기초하여 작업기(4)의 기단의 차체 좌우방향으로의 현재의 오프셋량을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상기 표시기(44)에 표시시킴과 아울러 상기 입력기(45)가 기억지시하였을 때의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19) 및 상기 스윙각도 검출기(18)의 검출치를 상기 설정치(θ00)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The controller 40 calculates a current offset amount in the vehicle body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ase of the work machine 4 based on the turning angle signal θ input from the turning angle detector 19, and calculates the result of the display. (44) and storing the detected values of the swing angle detector (19) and the swing angle detector (18) when the input device (45) instructed to store them as the set values (θ 0 , α 0 ). Swing control device of the swing-type hydraulic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하부주행체(2)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회조작수단(32)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선회구동수단(29)에 의해 선회구동되는 상부선회체(3)와, 이 상부선회체(3)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좌우로 스윙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윙조작수단(30)의 조작에 따라서 구동하는 스윙구동수단(17)에 의해 스윙구동되는 작업기(4)를 구비한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에 있어서:An upper swing body 3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running body 2 and pivotally driven by a swing driving means 29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32; Swing type hydraulic pressure provided with the work machine 4 which is proximately mounted to the front-end part of (3) by the swing drive means 17 which is mounted so that a base end can swing left and right and dri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30. In shovel swing control: 상기 상부선회체(3)의 선회각도(θ)를 검출하는 선회각도 검출기(19);A swing angle detector (19) for detecting a swing angle (θ) of the upper swing body (3); 상기 작업기(4)의 스윙각도(α)를 검출하는 스윙각도 검출기(18);A swing angle detector (18) for detecting a swing angle (α) of the work machine (4); 상기 선회조작수단(32)의 조작량(δθ)을 검출하는 선회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 (54);A swing operation means manipulated variable detector 54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δ θ of the swing operation means 32; 상기 스윙조작수단(30)의 조작량(δα)을 검출하는 스윙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 (53); 및A swing manipulation means manipulation amount detector 53 for detecting an manipulation amount δ α of the swing manipulation means 30; And 상기 선회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54)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량 신호(δθ) 및 상기 스윙조작수단 조작량 검출기(53)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량 신호(δα) 중 어느한쪽의 조작량 신호, 상기 선회각도 검출기(19)로부터 입력되는 선회각도신호(θ) 및 상기 스윙각도 검출기(18)로부터 입력되는 스윙각도신호(α)에 기초하여 작업기 (4)의 구동평면이 하부주행체(2)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선회구동수단(29) 및 스윙구동수단(17)을 동시 제어하는 지령신호(iθA,iθB,iαA,iαB)를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는 컨트롤러(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MV signal of either the MV signal δ θ input from the swing operation means MV detector 54 and the MV signal δ α input from the swing MV detector 53, the pivot angle detector 19 The driving plane of the work machine 4 coincides wit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ower traveling body 2 on the basis of the turning angle signal θ input from the swing angle signal θ and the swing angle signal α input from the swing angle detector 18. A controller 50 capable of calculating and outputting command signals i θ A , i θ B , i α A , i α B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swing drive means 29 and the swing drive means 17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Swing control device of a swing-type hydraulic shovel,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구동수단은 유압 액추에이터(17)로 구성되고,6. The swing drive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comprising a hydraulic actuator (17),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17)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하는 조작밸브(25)와,An operation valve 25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sure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actuator 17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상기 조작밸브(25)를 조작하는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전자밸브 (41A,41B)를 구비함과 아울러,In addition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 (41A, 41B) that can control the pilot pressur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valve 25,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지령신호(iαA,iαB)를 상기 비례전자밸브 (41A,41B)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작밸브(25)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operation valve 25 by outputting the command signals i αA and i αB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41A and 41B. Control unit.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구동수단은 유압 액추에이터(29)로 구성되고,6. The swing driving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comprising a hydraulic actuator (29),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29)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하는 조작밸브(26)와,An operation valve 26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sure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actuator 29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상기 조작밸브(26)를 조작하는 파일럿압을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전자밸브 (42A,42B)를 구비함과 아울러,In addition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42A and 42B capable of controlling the pilot pressur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valve 26,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지령신호(iθA,iθB)를 상기 비례전자밸브(42A,42B)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작밸브(26)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식 유압 셔블의 스윙제어장치.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operation valve 26 by outputting the command signals i θA and i θB to the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42A and 42B. Control unit.
KR1020030064889A 2002-09-26 2003-09-18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KR2004002734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0161A JP3929039B2 (en) 2002-09-26 2002-09-26 Swing control device for swing hydraulic excavator
JPJP-P-2002-00280161 200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49A true KR20040027349A (en) 2004-04-01

Family

ID=3227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889A KR20040027349A (en) 2002-09-26 2003-09-18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29039B2 (en)
KR (1) KR20040027349A (en)
CN (1) CN1237235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2625B2 (en) * 2006-07-04 2011-06-29 日立建機株式会社 Swing control device for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
KR101104027B1 (en) 2006-11-22 2012-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Swing Control Method of Boom_swing Excavator by The Proximity Sensors
CN102051895B (en) * 2009-11-05 2012-08-0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Travell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xcavator
CN102060243B (en) * 2011-01-20 2013-06-19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Wireless remotely-controlled deviation-checking device for crawler-type counterweight troll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556143B (en) * 2012-02-08 2014-08-13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velling direction of engineering mechanical equipment
JP5941014B2 (en) * 2013-04-26 2016-06-29 日立建機株式会社 Double arm working machine
CN103306329B (en) * 2013-05-28 2016-04-13 上海三一重机有限公司 A kind of hydraulic shear micro-control control system based on excavator and method and excavator
JP6190297B2 (en) * 2014-03-17 2017-08-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Operating device
EP3152368B1 (en) 2014-06-06 2020-10-21 CNH Industrial Italia S.p.A. System for coordinat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a hydraulic machine with the operator's position
JP6345080B2 (en) * 2014-10-30 2018-06-20 日立建機株式会社 Work machine turning support device
JP6716358B2 (en) * 2016-06-21 2020-07-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Work vehicle,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vehicle control method
EP3587673A4 (en) * 2017-02-24 2020-05-13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hovel, shovel control method,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6962743B2 (en) * 2017-08-23 2021-11-05 大成建設株式会社 Turn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s
JP6962841B2 (en) * 2018-03-22 2021-11-05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Turning work vehicle display system
CN109407563A (en) * 2018-12-26 2019-03-0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Th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of unmanned engineering machinery
JP7423399B2 (en) * 2020-04-17 2024-01-3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23171009A (en) 2022-05-20 2023-12-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Work machine and swing angle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CN114960800B (en) * 2022-06-21 2024-03-29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Deflection adjus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7105A (en) 2004-05-19
CN1237235C (en) 2006-01-18
JP2004116108A (en) 2004-04-15
JP3929039B2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7349A (en)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JP5052147B2 (en) Steering device for construction vehicles
KR20040022154A (en) Swing control unit for excavator
WO2016158779A1 (en) Shovel
US8087489B2 (en) Articulated construction vehicle including a lever-operated electrical Control device
JP3145027B2 (en)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excavator
EP0894902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three-joint type excavator
JP3461407B2 (en) Hydraulic excavator cab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WO2022209176A1 (en) Travel system for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 machine
KR20090065633A (en) Automatic travel pose setting system for excavator
JPH11229444A (en) Hydraulic controller for construction machinery and its hydraulic control method
JP3794771B2 (en) Hydraulic excavator work machine control device
JP3781920B2 (en) Area-limited excavation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H11256622A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il pressure of construction equipment
JP3604094B2 (en) Hydraulic circuit of hydraulic excavator
JP3615361B2 (en) Construction equipment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WO2022210619A1 (en) Shovel and shovel control device
JPH02232430A (en) Controller for depth of excavation of hydraulic shovel
JP6722627B2 (en) Hydraulic excavator
JPH11131530A (en) Travel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2856532B2 (en) Backhoe
JP2608162B2 (en) Backhoe control device
JPH0556521B2 (en)
JPH04171302A (en) Construction machine
JPS60133129A (en)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