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32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321A
KR20040026321A KR1020020057736A KR20020057736A KR20040026321A KR 20040026321 A KR20040026321 A KR 20040026321A KR 1020020057736 A KR1020020057736 A KR 1020020057736A KR 20020057736 A KR20020057736 A KR 20020057736A KR 20040026321 A KR20040026321 A KR 20040026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ircuit board
air conditioner
pollu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791B1 (ko
Inventor
문승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7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별도의 독립된 유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의 하부에 오염도 센서가 배치되어 정확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 사이에는 공기 흡입구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며, 공기청정기의 하부에는 흡입덕트의 전면에 부착되어 공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가 배치된다. 오염도 센서는 센싱부와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흡입덕트의 전면에는 회로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센서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센서 장착부는 리브와, 리브의 일측단에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와, 리브의 중앙부에 외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하여서, 회로기판은 그 일측단의 양측이 걸림돌기들에 걸려진 상태에서 그 중앙부의 양측이 후크들에 끼워져서 리브에 결합된다. 오염도 센서는 회로기판과 센싱부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 사이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냉기생성용 팬 케이싱에 오염도센서를 설치하여 독립된 공기정화유로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냉매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이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에서 그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분리되어 구성된 분리형 타입과, 상기의 요소들이 하나의 캐비닛에 설치되는 일체형 타입이 있다. 또한, 분리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넓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작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종래의 스탠드형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캐비닛(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11a)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그릴(11)과,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의 상부에 마련되어 냉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2)와, 토출구(12)에 설치된 상하 풍향조절 블레이드(12a) 및 좌우 풍향조절 블레이드(12b)와, 상기 흡입그릴(11)과 토출구(12)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커버(13)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흡입그릴(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4)와, 열교환기(14)의 상부에 배치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팬(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그릴(11)의 배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그물망 필터(16)와 전기 집진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송풍팬(15)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14)를 거쳐서 냉각된 후에, 토출구(12)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그물망 필터가 흡입그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져서 흡입구 전체를 가리도록 배치되며, 전기 집진기가 대략 흡입그릴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져서 흡입구의 하부를 가리도록 배치되어 유동저항이 크기 때문에,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기 위한 송풍팬의 용량이 냉방용량에 비해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전력소비가 증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큰 용량의 송풍팬의 작동에 따라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그물망 필터와 전기 집진기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거쳐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재 오염됨으로써 공기정화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그물망 필터와 전기 집진기가 흡입그릴의 배면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해 캐비닛의 내부에 오염도 센서를 설치하더라도 실내공기의 정확한 오염도를 감지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불필요하게 전기 집진기를 작동하여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정화시키게 되거나 오염된 공기를 제때에 정화시키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기가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별도의 공기 정화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재 오염을 방지하고 냉기토출유로에서 공기정화기에 의한 유동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도 센서가 공기청정기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작동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도 센서가 캐비닛의 내부에 간편하게 조립될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를 대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공기청정기가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오염도 센서가 공기청정기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공기청정기의 하부에서 흡입덕트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도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캐비닛 21a: 공기 흡입구
22a: 냉기 토출구 28: 흡입덕트
30: 공기청정기 33: 공기 유입구
34: 정화공기 토출구 50: 오염도 센서
51: 회로기판 52: 센싱부
53: 보호커버 60: 센서 장착부
61: 리브 62: 걸림돌기
63: 후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냉기 토출구 사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기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오염도 센서는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기생성용 팬을 수용하는 흡입덕트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오염도 센서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센싱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의 전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센서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는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리브와,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단의 양측이 걸려지도록 상기 리브의 일측단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와,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의 양측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리브의 중앙부의 양측에 외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하여서, 상기 회로기판은 그 일측단의 양측이 상기 걸림돌기들에 걸려진 상태에서 그 중앙부의 양측이 상기 후크들에 끼워져서 상기 리브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오염도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센싱부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호커버의 일측단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그 타측단에는 하나의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 장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들과 나사홀에 대응하는 걸림홀들과 나사홀이 마련되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센싱부와 회로기판을 덮은 상태로 상기 센서 장착부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센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홀들이 마련되어 상기 센싱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와 도 3은 각각 공기청정기가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오염도 센서가 공기청정기의 하부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와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와 도 5는 각각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와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대략 박스형상을 가진 캐비닛(20)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캐비닛(20)의 전면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흡입패널(21)과 토출패널(22)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패널(21)(캐비닛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도면에서는 전면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양 측면에는 실내공기를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구(21a)가 마련되어 있으며, 토출패널(22)의 상부에는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냉기 토출구(22a)가 마련되어 있다. 냉기 토출구(22a)에는 냉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풍향조절 블레이드(23)와 좌우 풍향조절 블레이드(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21a)가 마련된 흡입패널(21)과 냉기 토출구(22a)가 마련된 토출패널(22) 사이에는 공기청정기(30)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청정기(30)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도 센서(5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염도 센서(50)는 공기 흡입구(21a)를 통과한 실내공기를 후술하는 냉기생성용 팬(25)과 열교환기(26)로 안내하는 흡입덕트(28)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0)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21a)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냉기 토출구(22a)를 통해 냉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냉기생성용 팬(25)과,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열교환기(26)가 설치되어 있다. 냉기생성용 팬(25)은 캐비닛(20)의 하부에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열교환기(26)는 그 상단이 캐비닛(20)의 상단의 후벽에 배치되고 그 하단이 공기청정기(30)의 상부의 후방에 배치된 배수 트레이(26a) 위에 올려져서 배치된다.
그 전면에 본 발명에 따른 오염도 센서(50)가 장착되는 흡입덕트(28)는 냉기생성용 팬(25)과 공기청정기(30)가 구획되도록 냉기 생성용 팬(25)의 전방에 배치되어 냉기생성용 팬(25)을 통과한 공기가 열교환기(26)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구조에 의해 공기청정기(30)는 공기 흡입구(21a)와 냉기생성용 팬(25), 그리고 열교환기(26)와 냉기 토출구(22a)로 이어지는 냉기유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게 됨으로써 냉기유로에 공기청정기(30)의 설치에 따른 유동저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공기청정기(30)는 그 내부에 공기 정화수단(31)과 공기정화용 팬(32)을 구비하여서, 냉기생성용 팬(25)과는 별도로 공기 흡입구(21a)를 통해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에, 다시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기청정기(30)의 하부에는 공기 흡입구(21a)와 연통되어 실내공기를 공기청정기(3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유입구(33)가 캐비닛(20)의 하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청정기(30)의 상부에는 공기 정화수단(31)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정화공기 토출구(34)가 캐비닛(20)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닛(20)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냉기생성용 팬(25)에 의해 열교환기(26)를 거쳐서 냉기 토출구(22a)로 유동하는 냉기유로(검정색 화살표)와, 공기 흡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공기정화용 팬(32)에 의해 공기 유입구(33)와 공기 정화수단(31)을 거쳐서 공기정화 토출구(34)로 유동하는 공기정화유로(흰색 화살표)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30)는 전면부재(36)와 후면부재(37)가 나사 결합되어 하나의 케이스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청정기(30)의 내부에는 모터(32a)에 의해 구동되는 횡류팬 타입의 공기정화용팬(32)과, 전기 집진기와 집진필터, 그리고 항균필터가 일체로 조합되어 콤팩트하게 만들어진 공기 정화수단(31)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정화수단(31)은 전면부재(36)와 후면부재(37)에 걸쳐서 마련된 수납공간(38)에 서랍식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청정기(30)의 하부에는 각각 하방을 향해 개방된 공기 유입구(33)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청정기(30)의 상부에는 캐비닛(20)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며 정화공기 토출구(34)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 개폐장치(35)가 설치된다. 상기 정화공기 토출구(34)에는 토출구 개폐장치(35)의 일측단에 설치된 모터(35a)에 의해 회동되어 정화공기 토출구(34)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부재(4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 개폐부재(41)와 정화공기 토출구(34)를 구비하여 정화공기 토출구(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장치(35)는 상기 전면부재(36)와 후면부재(37)와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전면부재(36)에 결합된다.
도 6은 공기청정기의 하부에서 흡입덕트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도 센서와 센서 장착부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도 센서(50)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기판(51)과, 상기 회로기판(51)의 전면에 부착되어 공기의 오염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52)와, 상기 회로기판(51)과 센싱부(52)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53)를 구비한다.
센싱부(52)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양을 센싱하게 되며, 회로기판(51)은 센싱부(52)에 의해 센싱된 먼지의 양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저항값은 회로기판(51)의 전면에 설치된 커넥터(54)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공기청정기(30)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보호커버(53)는 회로기판(51)과 센싱부(52)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그 우측단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53a)가 마련되고 그 좌측단에는 하나의 나사홀(53b)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센서 장착부(60)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보호커버(53)의 전면에는 센싱부(52)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홀(55)들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덕트(28)의 전면에 마련된 센서 장착부(60)는 오염도 센서(50)의 회로기판(5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이루어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리브(61)와, 상기 리브(61)의 좌측단의 양측에서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62)와, 리브(61)의 중앙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 쌍의 후크(63)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63)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상단부에는 회로기판(51)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턱(63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센싱부(52)가 부착되어 있는 회로기판(51)의 좌측단이 한 쌍의 걸림돌기(62)에 걸려지도록 한 후에 그 우측단을 리브(61)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한 쌍의 후크(63)가 외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회로기판(51)의 중앙부가 걸림턱(63a)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회로기판(51)은 리브(61)의 내부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크(63)들을 외향으로 벌어지게 한 후에 회로기판(51)을 빼내게 되면 회로기판(51)을 리브(61)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브(61)의 우측에는 상기 보호커버(53)의 한 쌍의 걸림돌기(53a)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걸림홀(64)이 마련되어 있으며, 리브(61)의 좌측단에는 보호커버(53)의 나사홀(5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의 나사홀(64)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51)이 리브(6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커버(53)의 걸림돌기(53a)들을 센서 장착부(60)의 걸림홀(64)에 끼우고 나사 보호커버(53)의 나사홀(53b)을 센서 장착부(60)의 나사홀(65)에 맞춘 후에, 나사홀(53b)(65)들에 나사(66)를 체결하게 되면 오염도 센서(50)는 센서 장착부(60)에 간단히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30)가 공기 흡입구(21a)와 냉기생성용 팬(25), 그리고 열교환기(26)와 공기 토출구(22a)로 이어지는 냉기 유로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기청정기(30)가 자체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용 팬(32)을 구비함으로써 냉기생성용 팬(25)에 유동저항을 주지 않게 되어서 냉기생성용 팬(25)의 용량과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고 정화시키기 위해 냉기생성용 팬(25)과 공기정화용 팬(32)을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공기 흡입구(21a)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공기정화용 팬(32)에 의해 열교환기(26)를 거쳐서 냉각된 후에, 냉기 토출구(22a)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냉기유로를 따라 유동하게 됨과 동시에, 일부의 실내공기는 공기정화용 팬(32)에 의해 공기 유입구(33)와 공기 정화수단(31)을 거쳐서 정화된 후에, 정화공기 토출구(3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정화유로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냉기유로와 공기정화유로는 서로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게 되어 공기 흡입구(21a)를 통해 캐비닛(20)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와 같은 두 유로를 따라 서로 간섭됨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됨으로써 유동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실내공기를 정화시키지 않고 냉각만 시키기 위해 공기정화용 팬(32)은 작동시키지 않은 채 냉기생성용 팬(25)만을 작동시키게 되면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공기청정기(30)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기(26)와 냉기 토출구(22a)를 통해서 실내로 유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지 않고 정화만 시키기 위해 냉기생성용 팬(25)은 작동시키지 않은 채 공기정화용 팬(32)만을 작동시키게 되면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공기정화용 팬(32)에 의해 직접 공기 유입구(33)를 통해 공기청정기(30)의 내부로 흡입되어 공기 정화수단(31)을 거쳐서 정화된 후에, 정화공기 토출구(34)를 통해 실내로 토출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30)의 작동은 공기청정기(30)의 하부에서 흡입덕트(28)에 마련된 센서 장착부(60)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도 센서(50)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즉, 오염도 센서(50)에 의해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상승된 것으로 측정되면 공기청정기(30)를 작동시켜서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게 되며, 오염도가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측정되면 공기청정기(3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염도 센서(50)는 공기청정기(30)의 하부에서 공기 흡입구(21a)를 통과한 공기가 직접 유입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공기청정기(30)와 냉기생성용 팬(25)에 유입되기 직전의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가 흡입패널과 토출패널 사이에서 캐비닛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공기 흡입구와 냉기생성용 팬, 그리고 열교환기와 냉기 토출구로 이어지는 냉기유로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됨으로써 냉기유로에서 공기청정기에 의한 유동저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냉기생성용 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냉기생성용 팬의 작동에 따른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정화를 위한 공기정화유로가 별도로 마련되어 냉기생성용 팬과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재오염을 방지하여 실내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기의 하부에 배치된 오염도 센서에 의해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오염도 센서를 흡입덕트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기 오염도 센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공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냉기 토출구 사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기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센서는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기생성용 팬을 수용하는 흡입덕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센서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센싱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의 전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센서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는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리브와,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단의양측이 걸려지도록 상기 리브의 일측단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와,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의 양측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리브의 중앙부의 양측에 외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하여서, 상기 회로기판은 그 일측단의 양측이 상기 걸림돌기들에 걸려진 상태에서 그 중앙부의 양측이 상기 후크들에 끼워져서 상기 리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센싱부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일측단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그 타측단에는 하나의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 장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들과 나사홀에 대응하는 걸림홀들과 나사홀이 마련되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센싱부와 회로기판을 덮은 상태로 상기 센서 장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센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홀들이 마련되어 상기 센싱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57736A 2002-09-24 2002-09-24 공기조화기 KR10049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36A KR100491791B1 (ko) 2002-09-24 2002-09-2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736A KR100491791B1 (ko) 2002-09-24 2002-09-2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21A true KR20040026321A (ko) 2004-03-31
KR100491791B1 KR100491791B1 (ko) 2005-05-30

Family

ID=3732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736A KR100491791B1 (ko) 2002-09-24 2002-09-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7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4B1 (ko) * 2005-11-30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장박스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구조
KR100745456B1 (ko) * 2005-12-27 2007-08-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필터용 적외선센서 장착구조
KR100836847B1 (ko) * 2007-03-26 2008-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 블로워 하우징 결합 장치
KR20170071314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앵글 센서
KR20170126177A (ko) *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90029480A (ko) * 2017-09-1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US10583384B2 (en) 2014-12-3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33B1 (ko) 2005-11-29 2007-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 에어컨의 디스플레이용 인쇄회로기판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20A (en) * 1979-07-06 1981-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treating reaction of semiconductor wafer
KR100485011B1 (ko) * 1997-09-13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00056578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
KR100360427B1 (ko) * 2000-05-12 2002-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정화기의 오염도 감지기구
KR100483918B1 (ko) * 2002-09-16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0104027A (ko) * 2003-06-02 2004-12-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4B1 (ko) * 2005-11-30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장박스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구조
KR100745456B1 (ko) * 2005-12-27 2007-08-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필터용 적외선센서 장착구조
KR100836847B1 (ko) * 2007-03-26 2008-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 블로워 하우징 결합 장치
US10583384B2 (en) 2014-12-3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KR20170071314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앵글 센서
KR20170126177A (ko) *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90029480A (ko) * 2017-09-1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00050928A (ko) * 2017-09-11 202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200052257A (ko) * 2017-09-11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
US11525588B2 (en) 2017-09-1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purifier
US11754302B2 (en) 2017-09-11 2023-09-1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791B1 (ko) 200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491791B1 (ko) 공기조화기
JP4663182B2 (ja) 電装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3995789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080011507A (ko) 외기도입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7825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234253A (ja) 通風路構造
JP58007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50062044A (ko) 공기조화기
CN217929117U (zh) 新风机
JP2000240977A (ja) 空気調和機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KR100483918B1 (ko) 공기조화기
JP3908646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700755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60449A (ko)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0371851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KR100547676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안내 구조
KR100484935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16117A (ko) 공기조화기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KR1006072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28672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100654728B1 (ko) 에어컨 흡입부의 전기집진기 장착구조
KR2007002868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