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006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006A
KR20040026006A KR1020020056505A KR20020056505A KR20040026006A KR 20040026006 A KR20040026006 A KR 20040026006A KR 1020020056505 A KR1020020056505 A KR 1020020056505A KR 20020056505 A KR20020056505 A KR 20020056505A KR 20040026006 A KR20040026006 A KR 2004002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ata
data line
lines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006A/ko
Publication of KR2004002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각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각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연결된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압 유지/보상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전압 유지/보상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turn on)되어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연결된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 신호(-제1 제어 신호와 반대 위상을 갖는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보상 전압의 크기가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전압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조정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각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개선된 화질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A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표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경량화, 박형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도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대신 액정 표시 장치(이하 LCD라 명명함)와 같은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LCD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electric field)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신호를 얻는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LCD는 휴대가 간편한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서, 이 중에서도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스위칭 소자로 이용한 TFT-LC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TFT-LCD에 적용되는 액정 패널이 최근 들어, 대형화 및 고해상도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나, 이는 액정 패널 내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이 길어져 각 라인간에 크로스오버(crossover)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기생 커패시턴스도 증가시킨다. 특히, 고 개구율의 액정 패널 설계시에는 화소와 각 라인간의 중첩(overlap)이 증가하여 신호 지연이 매우 심각해진다.
이러한 신호 지연 및 신호 왜곡에 대한 도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액정 패널에서의 신호 지연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첨부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데이터 신호와 게이트 신호는 입력 지점에서는 구형파이지만, 액정 패널상의 해당 라인으로 전송되면서 입력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라인 저항과 커패시턴스로 인하여 상기 구형파가 왜곡됨을 알 수 있다. 즉, 입력 지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게이트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지연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신호 지연은 액정 패널 내의 각 화소의 충전 특성을 악화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호 지연 및 왜곡이 심할수록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에서의 하이 레벨 구간이 짧아져 각 화소가 덜 충전된다. 이로 인해, 액정 표시 장치의 대비비(contrast ratio)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표시 균일성이 불량해지는 구동 능력의 저하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구동 능력 저하는 고전압 구동(high level driving)과 같이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클 경우에 더욱 더 심각해진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일 예가 첨부된 도 2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화소별 충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신호 지연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가 제일 먼저 입력되는 액정 패널의 상측에 위치한 화소(PX_First)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지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액정 패널의 하측에 위치한 화소(PX_Last)간의 충전 전압차가 100mV에 이름을 알 수 있다. 이를 중간 계조 전압이라고 하면 상하 화소간 5계조 이상의 차이를 보일 수 있는 크기로서, 이는 곧 세이딩(shading) 현상을 발생시켜 표시 품질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신호 지연 및 신호 왜곡을 방지시켜 구동 능력 저하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LCD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화질 특성이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신호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화소별 충전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대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상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제어 신호와 그에 따른 계조 전압의 크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각 화소별 충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화소에서의 충전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별 충전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타이밍 제어부 20 : 데이터 구동부
30 : 게이트 구동부 40 : LCD 패널
41 : 전압 유지/보상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행렬 형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간에 격자 배열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화소가 포함되어 있는 LCD 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에 화상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각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각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상기 연결된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압 유지/보상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 유지/보상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상기 연결된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보상 전압의 크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전압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조정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단자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상 전압 공급시 발생하는 킥백(kickbace) 전압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액정 표시 장치의 대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타이밍 제어부(10), 데이터 구동부(20), 게이트 구동부(30) 및 LCD 패널(40)을 포함하며,LCD 패널은(40)은 다수의 전압 유지/보상부(41)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유지/보상부(41)는 LCD 패널(40) 내에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타이밍 제어부(10)는 외부의 그래픽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R, G, B 화상 데이터와 라인을 구별하기 위한 수평동기신호(Hsync), 각 프레임을 구별하기 위한 수직동기신호(Vsync), 데이터가 들어오는 구역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구간 동안만 하이 레벨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메인 클럭 신호(MCLK)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부(20)와 게이트 구동부(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데이터 구동부(20)는 클록(HCLK)에 동기되어 타이밍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R, G, B 화상 데이터를 각각 대응하는 계조 전압으로 바꾼 후, 바뀐 계조 전압을 타이밍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로드(LOAD) 신호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라인에 전달한다.
게이트 구동부(30)는 타이밍 제어부(10)로부터 게이트 클럭 신호(Gate clk)와 수직 라인 시작 신호(STV)를 제공받고, 구동 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전압(Von, Voff)을 제공받아 복수의 게이트 온 신호(G1, G2, ..., Gn)를 순차적으로 LCD 패널(40)의 게이트 라인에 출력하여 각 화소의 전압 값이 해당 화소에 전달되도록 길을 열어준다.
LCD 패널(40)은 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m개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과 직교하여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n개의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간에 격자 배열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를 가지는 다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D 패널(40)에는 데이터 라인의 각 종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부(20)로부터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왜곡을 보상하여 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압 유지/보상부(41)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유지/보상부(41)는 데이터 라인의 각 종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부(20)로부터 인가되어 종단에 인접한 화소로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크기가 원래의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상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한다. 이렇게 각 화소에 공급된 보상 전압은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의 전압 충전률을 상승시켜 LCD 패널(40) 내의 각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최소화시킨다. 이는 곧 LCD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화질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LCD 패널(40)이 대형화됨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0)로부터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각 화소의 스위칭 소자로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의 길이 역시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라인의 길이 증가는 데이터 구동부(20)로부터 출력되어 각 화소의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계조 전압의 왜곡 및 신호 지연을 유발시킨다.
즉,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계조 전압은 LCD 패널(40)의 상측에 위치한 화소에서는 구형파이지만, 상기 상측에 위치한 화소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LCD 패널의 하측에 위치한 화소에서는 라인 저항과 커패시턴스로 인하여 상기 구형파가 왜곡된다. 이러한 신호 왜곡 및 지연은 LCD 패널 내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들의 충전 특성을 악화시켜 구동 능력 저하로 인하 화질 특성 저하를 불러 일으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의 충전 특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각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전압 유지/보상부(41)를 형성하여 이를 통한 화소별 충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전압 유지/보상부에 대한 구조가 첨부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압 유지/보상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유지/보상부(41)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살펴보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의 소스 단자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의 게이트 단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trol 1, control 2)를 전달한다. 또한, 제1 트랜지스터(TFT1)의 드레인 단자 역시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트랜지스터(TFT2)의 드레인 단자 또한 소스 단자와 함께 상기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의 게이트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trol 1, control 2)는 타이밍 제어부(10)로부터 수신되며 1H 주기의 구형파로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며, 서로 반대 위상을 갖는다.
즉, 제1 트랜지스터(TFT1)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시켜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며, 제2 트랜지스터(TFT2)의 소스 단자는 드레인 단자와 함께 상기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TFT1)의 보상 전압(VEVEN) 공급시 발생하는 킥백(kickback) 전압 만큼을 보상하여, 원래 크기의 보상 전압(VEVEN)이 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1 트랜지스터(TFT1)의 드레인 단자에서 출력되어 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되는 계조 전압(VEVEN)은 데이터 구동부(20)에서 각 데이터 라인으로 출력되는 최대 계조 전압과 최소 계조 전압 사이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도트 반전을 통한 구동의 경우, 전압 유지/보상부(41)를 통해 해당 게이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계조 전압(VEVEN)과, 상기 전압 유지/보상부(41)가 포함되어 있는 화소와 동일행에 바로 인접하고 있는 화소 내의 전압 유지/보상부를 통해 해당 게이트 라인으로 출력되는 계조 전압(VODD)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으며, 반면 라인 반전을 통한 구동의 경우 서로 같은 극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전압 유지/보상부(41)의 동작 과정에 자세히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역위상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trol 1, control 2)가 수신되면, 제1 트랜지스터(TFT1, TFT2)는 턴 온(turn on)되면서 제2트랜지스터(TFT2)는 턴 오프(turn off)된다.
이후, 제1 트랜지스터(TFT1, TFT2)는 데이터 구동부(20)로부터 해당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출력한다. 이후, 제1 트랜지스터(TFT1)는 턴 오프 되면서 킥백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는 제2 트랜지스터(TFT2)는 연결 구조(소스 및 드레인 단자가 상기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된 구조)로 인해 보상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유지/보상부(41)는 제1 트랜지스터(TFT1)를 통해 계조 전압 이외의 보상 전압을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위치한 각 화소로 전달하며, 전달시 발생하는 킥백 전압을 제2 트랜지스터를 통한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통해 보상함으로써, 원래 크기의 보상 전압이 각 화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유지/보상부(41)는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각 화소의 충전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동작 과정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유지/보상부(41)는 제1 트랜지스터(TFT1)의 크기를 적어도 제2 트랜지스터(TFT2)의 크기보다는 크도록 하며, 본 발명과 같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가 좌우대칭인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제1 트랜지스터(TFT1)의 크기를 제2 트랜지스터(TFT2)의 두 배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는 곧 제1 트랜지스터(TFT1)의 턴 오프시 발생하는 킥백 전압을 제2 트랜지스터(TFT2)의 유지 전압을 통해 상쇄시켜 주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FT1, TFT2)의 기생용량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함이다. 이러한 동작 과정에 대한 표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제어 신호와 그에 따른 계조 전압의 크기를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타이밍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어 각 트랜지스터(TFT1, TFT2)의 게이트 단자로 전달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control 1, control 2)는 서로 반대 위상을 갖으며, 이러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통한 각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통해 해당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보상 전압(VEVEN)의 출력 레벨 역시 적정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각 전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인가한 경우의 각 화소별 충전 특성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각 화소별 충전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데이터 구동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제일 먼저 입력되는 상측 화소(P_First, P2, ..)에서부터 상기 상측 화소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LCD 패널(40)의 하측 화소(P_Last))에 이르기까지 각 화소별 충전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선 특성은 동일 위치에서의 기존의 지연 파형과 비교해 보면 더 확실히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화소에서의 충전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동일한 화소(P3) 일지라도 충전되는 전압의 크기가 기존과 비교시 훨씬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각 화소별 충전 전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첨부된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화소별 충전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각 화소별(PX_First, PX2, PX3, ..., PX_Last) 충전 전압차가 기존에 비해 100mV에서 10mv 이하로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각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최소화시켜 LCD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화질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이러한 동작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화소별 충전 전압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해당 트랜지스터에서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보상 전압(VEVEN,VODD)이 중간 계조를 표시할 수 있는 크기로서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통한 5V의 액정 구동시, 해당 계조를 화이트(white)에서 블랙(black)으로 표시하기 위해 5V 전위를 중심축으로 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계조 전압을 각 화소에 인가하였을 경우, 상하 화소(PX_First, PX_Last)별 충전 전압차는 인가된 보상 전압의 크기가 5V일 때 최소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각 화소별 전압차가 최소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위치한 전압 유지/보상부를 통해 해당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는 보상 전압은 중간 계조의 전압값으로서, 각 데이터 라인에 전달하는 계조 전압과 동일한 크기로 세팅된 전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전압 유지/보상부를 통해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보상 전압을 중간 계조의 전압값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공급함으로써, 각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LCD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화질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전압 유지/보상부를 통해 계조 전압과 동일한 크기의 보상 전압을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각 화소별 충전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신호 왜곡 및 지연으로 인한 구동 능력 저하를 방지하여 개선된 화질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행렬 형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간에 격자 배열된 일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화소가 포함되어 있는 LCD 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에 화상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에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를 포함하며,
    각 데이터 라인의 종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각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상기 연결된 각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전압 유지/보상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유지/보상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계조 전압을 보상하여 상기 연결된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되는 보상 전압의 크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전압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조정하는 제2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단자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상 전압 공급시 발생하는 킥백(kickbace) 전압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서로 반대 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되는 보상 전압은 중간 계조가 표시되도록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56505A 2002-09-17 2002-09-17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26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505A KR20040026006A (ko) 2002-09-17 2002-09-17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505A KR20040026006A (ko) 2002-09-17 2002-09-17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006A true KR20040026006A (ko) 2004-03-27

Family

ID=3732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505A KR20040026006A (ko) 2002-09-17 2002-09-1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0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64B1 (ko) * 2006-06-27 2013-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64B1 (ko) * 2006-06-27 2013-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760B1 (ko)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31804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4162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85054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069061A1 (en) Driv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33005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KR20020009900A (ko) 스윙 공통 전극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9078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14081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5009280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350645B1 (ko) 플리커링을 줄이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US201101282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80094180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84809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4004955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757813B (zh) 抑制顯示面板閃爍之驅動方法及其驅動電路
KR2010006317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14337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5011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40026006A (ko) 액정 표시 장치
WO2007052421A1 (ja) 表示装置、データ信号線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60094513A (ko)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KR100783709B1 (ko) 킥백 전압을 보상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54066A (ko) 표시 장치
KR1004438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