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517A - 타이어 빌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빌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517A
KR20040024517A KR1020030063291A KR20030063291A KR20040024517A KR 20040024517 A KR20040024517 A KR 20040024517A KR 1020030063291 A KR1020030063291 A KR 1020030063291A KR 20030063291 A KR20030063291 A KR 20030063291A KR 20040024517 A KR20040024517 A KR 20040024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ead
complex
carcass reinforcement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엔스존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Publication of KR2004002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5Drums for the sing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and the toroidal expansion of it are realised on the sam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14Locking the beads on the drum; details of the drum in the bead locking areas, e.g. drum 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28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one bladder acting on each side of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35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two or more bladders acting on each side of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단일스테이지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타이어를 빌딩하는 방법 및 드럼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를 가지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드럼의 외면의 섹션은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갖고 형성된다. 드럼은 복수의 비드 장벽을 갖는다. 다른 단계는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드럼의 외면의 섹션상에 대한 카커스 보강재의 적용을 수반한다. 하나 이상의 미경화 고무부가 카커스 보강재상에 적용된다. 카커스 보강재는 미경화 고무부의 배향이 동일하게 남아있도록 미경화 고무부 둘레에 감싸여진다.

Description

타이어 빌딩 방법 및 장치{Tire buil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압 튜브가 없는 타이어를 위한 타이어 빌딩(building)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을 참조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수인이 소유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 5,891,279호에 타이어의 한가지 디자인이 예시되어 있다. 이 타이어의 타이어 및 림 조립체는 림상에 배치된 링 형상의 가요성 탄성중합체 재료를 구비한다. 이때, 차량의 부하 및 탑승자의 동적 부하는 탄성중합체 링에 의해 지지된다. 차량 운전자에 의한 정당하고 적절한 응답과 함께, 이런 디자인은 갑작스러운 공기압의 소실 동안 차량 제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림 및 다른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특정 타이어는 종래의 공압 타이어와는 다른 비드(bea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비드 구조는 타이어에 대한 공기압의 소실시, 비드가 림을 파지하고, 통상적인 종래의 공압 타이어에서 보다 많이 림상에 타이어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공압 타이어의 구축은 종종 트레드(tread) 및 레터링(lettering)이 타이어에 새겨지기 이전에 두 스테이지의 프로세스를 수반한다. 첫 번째 스테이지는 드럼상에 타이어의 비드 및 카커스(carcass)를 빌딩하는 것에 관련한다. 그후, 타이어는 타이어 빌딩 프로세스의 제 2 스테이지가 이루어지는 다른 드럼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벨트, 미마감(unfinished) 타이어 트레드, 및/또는 가능하게는 측벽이 타이어에 추가된다. 그러나, 두 스테이지의 조합 및 단일 드럼상에 상술한 타이어의 빌딩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드럼을 제공하는 것도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런 프로세스는 트레드 및/또는 레터링 이전의 모든 단계가 단일 드럼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단일스테이지(unistage) 빌딩 프로세스라 공지되어 있다.
이 비드 구조를 빌딩하는 기존 방법은 또한 타이어 제조 동안 비드내의 미경화 고무부의 배치 및 정확도의 변화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견실한 타이어 비드 구조를 가지는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드럼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타이어 빌딩시 사용되는 기존 빌딩 방법 및 드럼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단일스테이지 방법인 타이어 빌딩 장치 및 방법과 단일스테이지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드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의 일부에 기술되거나,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학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빌딩에 사용되는 드럼을 제공한다. 이 드럼은 드럼의 축방향 중심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는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드럼의 외면의 섹션을 형성한다.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는 드럼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양자 모두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비드 장벽(gorge)이 존재하고, 드럼 세그먼트의 축방향 이동이 비드 장벽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도록 드럼 세그먼트와 결합한다. 또한, 드럼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은 비드 장벽의 반경방향 이동을 유발한다. 상기 비드 장벽은 타이어의 제조 동안 비드 콤플렉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턴-업 기낭(turn-up bladder)이 드럼 세그먼트에 인접배치된다. 턴-업 기낭의 팽창은 타이어 제조를 도우며, 미경화 고무부가 비드 장벽에 인접하고, 턴-업 기낭의 팽창 및 수축 동안 동일 방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비드 장벽이 제 1 비드 장벽 구조이고, 다른 비드 장벽이 제 2 비드 장벽 구조인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타이어의 빌딩에 사용하기 위한 드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빌딩 방법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이 방법은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를 가지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드럼 세그먼트는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드럼의 외면의 섹션을 형성한다. 부가적으로, 드럼은 복수의 비드 장벽을 가진다. 카커스 보강재( carcass reinforcement)는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드럼의 외면의 섹션상에 적용된다. 하나 이상의 미경화 고무부가 카커스 보강재상에 적용된다. 카커스 보강재는 미경화 고무부의 배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미경화 고무부 둘레를 감싼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이어 빌딩 방법을 포함한다. 비드 장벽은 재료 배설 위치(material lay position)로 이동되고, 그후, 비드 장벽이 비드 설치 위치(bead set position)로 이동된다. 카커스 보강재, 미경화 고무부 및 비드 콤플렉스(complex)가 복수의 비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비드 콤플렉스가 비드 장벽내에 포획된다. 비드 장벽은 성형 위치로 이동되고, 트레드 콤플렉스는 카커스 보강제와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비드 콤플렉스를 배치하는 추가 단계가 포함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타이어 빌딩법을 포함한다. 상기 비드 콤플렉스는 비드 정점(bead apex) 및 비드 와이어를 가지고, 비드 콤플렉스는 드럼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비드 장벽 및 비드 콤플렉스는 비드 콤플렉스가 비드 장벽내에 포획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비드 콤플렉스 및 미경화 고무부는 타이어의 비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드 콤플렉스가 사전결정된 위치에 위치되는 직전에 언급한 타이어 빌딩 방법을 포함한다. 비드 콤플렉스는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비드 장벽내에 포획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드 장벽이 복수의 공압 드럼 팽창 기낭에 의해 비드 콤플렉스에 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미 설명한 타이어 빌딩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비드 장벽이 제 1 비드 장벽 구조이고, 다른 비드 장벽이 제 2 비드 장벽 구조인 이미 설명한 타이어 빌딩 방법을 포함한다. 직전에 언급한 방법에는 제 2 비드 장벽 구조가 제 1 비드 장벽 구조 보다 깊은 부가적인 양호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도 1은 타이어의 빌딩(building)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의 개요도. (이 드럼의 양호한 실시예는 단일스테이지 시스템의 사용에 의한 타이어 빌딩을 위한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와 함께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됨)
도 2는 드럼의 외면에 적용된 내부층 콤플렉스(complex)를 가지는 드럼의 개요도.
도 3은 내부층 콤플렉스에 적용되는 카커스 보강재(carcass reinforcement)를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4는 카커스 보강재로부터 이격되어 드럼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비드(bead) 콤플렉스를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5는 카커스 보강재위에 배치된 복수의 미경화 고무부(uncured rubber section)를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6은 미경화 고무부 둘레에 내부 층 콤플렉스와 카커스 보강재를 감싸기 위해 확장된 복수의 턴-업 기낭(turn-up bladder)을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7은 드럼의 중심선으로부터 축방향 외향으로 이동된 비드 콤플렉스와 드럼 세그먼트 양자 모두를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8은 비드를 형성하기 위해 비드 장벽내에 비드 콤플렉스 및 미경화 고무부를 포획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드럼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9는 카커스 보강재와 비드에 부착되는 측벽을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10은 트레드 콤플렉스에 카커스 보강재가 부착되도록 축방향 내향으로 이동된 비드 장벽과 가압된 드럼을 도시하는 드럼의 개요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또는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소재 타이어(green tire)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미팽창 턴-업 기낭의 상세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드럼 12: 비드 드럼
14: 중심선 18: 드럼 팽창 기낭
30: 기낭 캐리어 46: 턴-업 기낭
110: 고무 밀봉체 118: 개구 공동
그 하나 이상의 예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각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로서,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예시 또는 설명된 특징은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어 제 3의 실시예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이들 및 다른 변형과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타이어 빌딩에 사용하기 위한 드럼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드럼(10)은 드럼(10)의 축방향 중심선(미도시)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드럼(1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소정 수의 드럼 세그먼트(20)를 포괄한다. 드럼(10)은 형상이 실질적인 원통형이다.
각 드럼 세그먼트(20)는 드럼 세그먼트(20)의 외면상에 배치된 비드 장벽(12)을 포함한다. 비드 장벽(12)은 일 양호한 실시예에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될 수 있는 연속적인 환형 물품일 수 있다. 비드 장벽(12)은 후술될 바와 같이 타이어의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내부에 배치된 오목부를 구비한 링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비드 장벽(12)은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드럼 세그먼트(2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세그먼트(20)는 드럼(10)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균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표면(16)을 형성한다. 사실, 이 표면(16)은 원통체의 외면으로서 생각될 수 있으며, 이 외면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비드 장벽(12)은 도 1에서 "재료 배설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드럼(10)은 드럼 세그먼트(20) 사이에 있는 중심선(14)을 가진다. 일 양호한 실시예에서, 중심선(14)은 드럼 세그먼트(20) 양자 모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을 수 있으며,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드럼 세그먼트(20)가 중심선(14)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다. 중심선(14)은 드럼(10)의 반경방향(24)으로 연장한다. 또한, 드럼(10)은 도 1의 반경 방향(24)에 수직인 축방향(22)을 가진다.
각 드럼 세그먼트(20)에 인접하여 드럼 팽창 기낭(18)이 배치되어 있다. 드럼 팽창 기낭(18)은 공압 작동식 팽창 기낭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팽창 기낭(18)은 미팽창 상태이다. 드럼 팽창 기낭(18)의 목적은 드럼 세그먼트(20)를 반경방향(24)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드럼 팽창 기낭(18)은 반경 방향(24)으로 드럼 세그먼트(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예로서, 유압 실린더, 운동학적 연동장치 또는 선형 작동기가 드럼 팽창 기낭(18)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내측 커버 정지부(26) 및 외측 커버 정지부(28)가 드럼 세그먼트(20)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드럼(10)내에 존재한다. 내측 및 외측 커버 정지부(26, 28)는 또한 드럼 세그먼트(20)의 반경방향 이동을 한정하는 그 기능을 통해 원하는 반경방향(24)으로 드럼 세그먼트(20)를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개방 공동(100)이 드럼(10)내에 존재한다. 개방 공동(100)은 후술될 바와 같이 드럼(10)상에 빌딩되는 타이어의 내측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개방 공동(100)은 축방향(22)으로 드럼 세그먼트(20)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드럼 팽창 기낭(18)을 지지하기 위해 가동성 하우징(104)이 제공될 수 있다. 가동성 하우징(104)은 드럼 세그먼트(2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호한 실시예에서, 가동성 하우징(104)은 드럼(10)상에 형성된 타이어의 팽창 동안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키(116)가 제공되어 외측 커버 정지부(28)에 연결될 수 있다. 키(116)는 드럼 세그먼트(20)의 하부 또는 연장부(108)와 소통할 수 있다. 키(116)는 드럼 세그먼트(20)의 이동 동안 반경방향 안정성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드럼(10)내부가 가압될 때, 예로서, 공기압이 개방 공동(100)에 공급될 때의 시간 동안 드럼(10)의 기밀을 제공하는 고무 밀봉체(110)가 제공된다. 도 8에서 볼 수 있은 바와 같이, 드럼 세그먼트(20)의 다양한 반경방향 위치 동안 기밀이 달성될 수 있도록 고무 밀봉체(110)는 연장가능하다. 개구 공동(118)은 고무 밀봉체(110)의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고무 밀봉체(110)는 일 단부가 고무 밀봉체 부착 부재(112)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제 2 고무 밀봉체 부착 부재(1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키(116) 및/또는 하부 또는 연장부(108)의 반경방향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다른 개구 공동(114)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드럼 세그먼트(20)에 인접하여, 기낭 캐리어(30)가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팽창 턴-업 기낭(46)은 기낭 캐리어(30)상에 존재한다.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참조 번호는 도 1의 우측의 드럼 세그먼트(20)상에 존재하는 소자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이들 소자는 또한 후속 도면에도 존재하지만,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부가적으로, 다른 참조 번호가 하나 이상의 도면에 포함되어 있지만, 나머지 도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역시, 특정 도면에서 특정 참조 번호의 생략은 명료성을 위한 것이다.
도 2는 드럼 세그먼트(20)의 외면(16)에 적용되고 비드 장벽(12)을 덮는 내부 층 콤플렉스(32)를 가지는 도 1의 드럼(10)을 도시한다. 내부 층 콤플렉스(3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드럼(10)상에 성층된다. 내부 층 콤플렉스(32)의 외부 에지는 기낭 캐리어(30) 및 미팽창 턴-업 기낭(46)에 인접하게 놓여진다. 따라서, 내부 층 콤플렉스(32)는 드럼(10)을 덮는 재료의 튜브일 수 있다. 내부 층 콤플렉스(32)는 두 유형의 고무 또는 소정의 다른 소망하는 합성체에 의해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빌딩 프로세스에서, 드럼(10)상에 두 유형의 고무를 배치하기 이전에 이들 두 유형의 고무를 내부 층 콤플렉스(32)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층 콤플렉스(32)로 예비성형되는 것과 반대로, 드럼(10)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두 유형의 고무를 가지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내부 층 콤플렉스(32)는 타이어의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일 유형의 고무로 구성된다. 이 내부 라이너는 공기 소실을 방지하고, 타이어 내측에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한다. 부가적으로, 내부 층 콤플렉스(32)를 형성하기 위해 경질 고무 보호층(미도시)이 또한 적용된다. 이 경질 고무 보호층은 비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카커스 보강재(34)가 다음에 내부 층 콤플렉스(32)의 외측에 적용된다. 카커스 보강재(34)는 내부 층 콤플렉스(32) 위로, 그리고, 기낭 캐리어(30) 및 미팽창 턴-업 기낭(46)에 인접한 영역상으로 연장한다. 카커스 보강재(34)는 전체 드럼(10) 둘레에 연장할 수 있다. 카커스 보강재(34)는 일련의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층 콤플렉스(32) 보다 축방향(22)으로 보다 길 수 있다. 강철, 텍스타일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부가적인 보강재가 카커스 보강재(34) 전체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 카커스 보강재(34)의 다양한 구조는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카커스 보강재(34)의 다양한 구조를 포괄한다. 예로서, 모든 목적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을 참조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 3,784,426 호는 다른 것들 중에서, 카커스 보강재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양 재료가 나타내는 "점성"으로 인해 미경화 상태의 내부 층 콤플렉스(32) 및 카커스 보강재(34)는 서로 부착된다. 따라서, 카커스 보강재(34)와 내부 층 콤플렉스(32) 양자는 접촉 및 가압시 서로 점착된다. 그러나, 타이어의 추후 가공이 내부 층 콤플렉스(32)와 카커스 보강재(34)가 서로에 대한 보다 영구적인 부착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카커스 보강재(34)의 점성은 타이어 성형을 위해 드럼(10)에 적용된 다른 소자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내부 층 콤플렉스(32) 및 카커스 보강재(3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드럼(10)에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단일스테이지 빌딩 방법에 의해 타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양호한 실시예의 다른 스테이지를 도시한다. 여기서, 한 쌍의 비드 콤플렉스(36)가 카커스 보강재(34)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드럼(10)의 축방향 중심 둘레에 동심으로 위치된다. 상기 비드 콤플렉스(36)는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 드럼(10) 둘레로 연장하는 링의 형상이다. 비드 콤플렉스(36)는 두 개의 비드 캐리어(미도시)의 사용에 의해 d적소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부가적으로, 비드 콤플렉스(36)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기타 기계적 디바이스 또는 손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비드 콤플렉스(36)는 비드 와이어(40) 및 비드 정점(38)으로 구성된다. 비드 와이어(40)는 단일 와이어 또는 복수의 와이어일 수 있다. 이런비드 와이어의 구성은 본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의 비드 와이어(40)를 포함한다. 비드 정점(38)은 비드 와이어(40)에 바로 인접 배치된 일 유형의 고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콤플렉스(36)는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드 정점(38)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비드 정점(38)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비드 콤플렉스(36)는 그들이 중심선(14)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드럼 세그먼트(2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부가적으로, 드럼 세그먼트(20)는 양 비드 장벽(12) 쌍 사이에서 드럼(10)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에 있는 표면(16)을 형성할 수 있다. 드럼 세그먼트(20)는 드럼 세그먼트(20)가 후술될 바와 같이 이동될 필요가 있을 때, 기계적 또는 공압적 방법이나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비드 장벽(12) 및 기낭 캐리어(30)에 인접하게 카커스 보강재(34)상에 배치된 한 쌍의 미경화 고무부(42)를 도시한다. 미경화 고무부(42)는 소정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럼(10) 둘레로 연장하는 링 형상이다. 미경화 고무부(42)는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기계적 장치(미도시)에 의해서, 또는, 손에 의해서 위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외부 안내부(미도시)가 사용되어, 미경화 고무부(42)가 드럼(10)상에 적절히 위치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경화 고무부(42)는 타이어의 비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경화 고무 프로파일일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4변형형상부로 도시되어 있지만, 미경화 고무부(42)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경화 고무부(42)는 표준 ASTM:D-1646에 따라 측정시 100℃에서, 70 이상의 Mooney ML(1+4) 점성을 가지는 콤파운드이다. 부가적으로, 다른 경도의 미경화 고무부(42)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미팽창 턴-업 기낭(46)이 도 1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미팽창 턴-업 기낭(46)은 제 1 챔버(130)와 제 1 챔버(130) 아래에 깔린 제 2 챔버(132)를 가지는 이중 챔버 기낭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미팽창 턴-업 기낭(46)은 드럼(10)의 전체 원주를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 및 기낭(46)의 구조가 본 발명에 따라 고려 및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팽창된 턴-업 기낭(44)으로 팽창되는 미팽창 턴-업 기낭(46)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턴-업 기낭(44)의 팽창은 팽창된 턴-업 기낭(44) 양자 모두와 소통하는 공압 디바이스(미도시)에 의해 실행된다. 확장된 턴-업 기낭(44)은 그 팽창시, 그들이 미경화 고무부(42) 둘레에서 카커스 보강재(34) 및 내부 층 콤플렉스(32)를 감싸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팽창된 턴-업 기낭(44)은 종래에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이중 챔버 턴-업 기낭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팽창된 턴-업 기낭(44)은 제 1 챔버(130) 및 제 2 챔버(132)로 이루이질 수 있다. 챔버(130, 132)는 그들이 별개로 또는 서로 동시에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1 챔버(130)가 먼저 팽창되고, 이것이 강제로 내부 층보강제(32) 및 카커스 보강재(34)가 들어올려져 턴하기 시작하게 만들 수 있다. 팽창된 턴-업 기낭(44)은 힌지(134)를 가지고, 이 지점에서, 제 1 챔버가 힌지(134)를 "플롭 오버(flop over)"하고, 기본적으로 미경화 고무부(42)의 상단상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내부 층 콤플렉스(32) 및 카커스 보강재(34)는 수직 위치로 이동되고, 그후, 미경화 고무부(42) 위에 겹쳐진다. 힌지의 위치설정은 미경화 고무부(42)를 회전시키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서 미경화 고무부 위에 팽창된 턴-업 기낭(44)이 겹쳐지는 것을 보증하는데 중요하다. 힌지(134)의 적절한 위치설정은 드럼(10)을 설정할 때, 시행착오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런 위치설정은 드럼(10) 설정시 둘 또는 세 번의 작은 시도로 얻어질 수 있다. 이 위치설정의 결정에는 불합리한 수준의 실험이 소요되지 않는다. 힌지(134)의 위치설정은 비드 장벽(12) 또는 미경화 고무부(42)에 대하여 기낭 캐리어(3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 2 챔버(132)는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미경화 고무부(42) 위로 제 1 챔버를 밀어붙이는 것을 돕도록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턴-업 기낭(44)은 내부 층 콤플렉스(32) 및 카커스 보강재(34)를 그 자체상으로 밀고, 부분적으로는 카커스 보강재(34)의 미경화 고무의 점착 특성으로 인해 그 자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추가로 팽창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된 턴-업 기낭(44)으로부터의 압력은 내부 층 콤플렉스(32)상에 적용되고, 카커스 보강재(34)는 또한 이들 두 층 사이의 강한 접합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동작시 팽창된 턴-업 기낭(44)의 구성은 카커스 보강재(34) 및 내부 층 콤플렉스(32)가 미경화 고무부(42)가 동일 배향을 유지하도록 미경화 고무부(42) 둘레에 감싸여지는 것을 보증한다. 달리 말해서, 드럼(10)에 관한 미경화 고무 섹션(42)의 배향은 팽창된 턴-업 기낭(44)의 팽창 동안 변화하지 않으며, 카커스 보강재(34)와 내부 층 콤플렉스(32)를 미경화 고무부(42) 둘레에 감싸는 동안에도 변화하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카커스 보강재(34) 및 내부 층 콤플렉스(32)를 감싸는 것은 미경화 고무부(42)가 감싸는 프로세스 전체에 걸쳐 사전결정된 위치에 위치된 다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미경화 고무부(42)는 드럼(10)상에 빈틈없이 위치되고, 카커스 보강재(34) 및 내부 층 콤플렉스가 조작되는 동안 이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여기에 기술된 타이어 빌딩 방법은 타이어의 비드부의 보다 견실하고, 강인한 디자인 및 타이어 비드부의 제조를 제공한다. 미경화 고무부(42)가 타이어의 비드내의 알려진 위치에 견실하게 배치된 미경화 고무부(42)를 가지는 것은 보다 예측가능한 특성을 나타내면 구조적으로 느껴지는 타이어의 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미경화 고무부를 사용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미경화 고무부(42)를 갖지 않는 다른 타이어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의 다음 스테이지를 도시한다. 여기서, 비드 장벽(12)은 드럼(10)의 중심선(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22)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도 7에 화살표 B로 표시되어 있다. 드럼 세그먼트(20)의 팽창은 비드 장벽(12)이 팽창되게 한다. 비드 장벽(12)은 도 7에서, "비드 설정 위치"라 알려진 위치에 있다. 또한, 비드 콤플렉스(36)도 드럼(10)의 중심선(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22)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비드 콤플렉스(36)는 도 7의 비드 설정 위치로 이동된다. 드럼 세그먼트(20) 및 비드 콤플렉스(36)의 이동은 동시적이거나,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하나가 나머지 이전에 이동할 수 있다. 비드 장벽(12)이 비드 설정 위치로 이동할 때, 미경화고무부(42)가 비드 장벽(12)의 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10)의 축방향(22)으로 비드 장벽(12)과 함께 드럼 세그먼트(20)가 이동하는 것은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서보 피구동 볼스크류(servo driven ballscrew)(136)의 사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드럼(10)이 회전될 때, 볼스크류 서보모터(미도시)가 비드 장벽(12) 사이에 필요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드럼 회전 모터(미도시)와 동기될 수 있다. 볼스크류(136)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이동을 제공하는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예로서, '426 특허는 이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구동 스크류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장벽(12) 각각은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진다. 제 1 비드 장벽 구조(48)는 드럼 세그먼트(20) 중 하나에 존재하고, 제 2 비드 장벽 구조(50)는 나머지 드럼 세그먼트(20)에 존재한다. 제 1 및 제 2 비드 장벽 구조(48, 50)는 제 2 비드 장벽 구조(50)가 보다 깊고 제 1 비드 장벽 구조(48)와는 다소 상이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는 점이 서로 다르다. 도시된 제 1 및 제 2 비드 장벽 구조(48, 50)는 불균등한 깊이를 가지며, 그래서, 서로 다른 비드(62)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제조된 타이어는 타이어의 어느 한 단부상에서 비균등 직경의 비드 콤플렉스(36)를 가진다. 이는 휠 지지림상에 대한 타이어의 추후 조립 때문에 부분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타이어가 탄성중합체 링 또는 휠 지지림 외측상의 림의 다른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직경 및/도는 형상의 비드를 가지는 것은 빌딩 프로세스의 추후 스테이지에서 조립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능적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비드 장벽 구조(48, 50)가 동일한 비드 장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비드 장벽 구조(48, 50)의 다양한 구성을 포괄한다.
도 8은 단일스테이지 빌딩 구성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드럼 세그먼트(20)는 드럼(10)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경방향(24)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화살표 D로 표시되어 있다. 이 이동은 드럼 팽창 기낭(18)의 팽창에 의해 실행된다. 드럼 팽창 기낭(18)은 공압 기낭이지만, 드럼 세그먼트(20)를 팽창시키는 다른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비드 장벽(12)은 드럼 세그먼트(20)와 함께 반경방향(24)으로 이동된다. 비드 장벽(12)은 미경화 고무부(42), 내부 층 콤플렉스(32), 카커스 보강재(34) 및 비드 콤플렉스(36)를 포획하여 비드(62)를 형성한다.
비드 장벽(12)의 프로파일은 그들이 결과적인 비드(62)의 외측에 달하도록 미경화 고무부(42)를 "감싸"도록 설계되어 있다. 미경화 고무부(42)가 이미 적절히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드(62) 형성 단계는 비드(62)내의 미경화 고무부(42)의 위치가 견실하고 빈틈없이 결정되도록 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미경화 고무부(42)의 배향은 비드 장벽(12)의 프로파일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 1 비드 장벽 구조(48) 및 제 2 비드 장벽 구조(50) 양자 모두는 다양한 방식으로 비드(62)상으로 미경화 고무부(42)를 감싸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드 장벽(12)의 오목부의 윤곽은 비드 정점(38) 및/또는 결과적인 비드(62)의 형상에 일치될 수 있다. 이는 특정 양호한 실시예에서 보다 유리한 형성을 허용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드 장벽 구조(48)는 제 2 비드 장벽 구조(50)에 의해 형성된 비드(62)와는 다른 구성을 가지는 비드(62)를 형성한다. 이들 서로 다른 비드 구성은 비드 장벽(12)의 프로파일, 또는, 비드 콤플렉스(36)의 형상이나 미경화 고무부(42)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미경화 고무부(42) 및 비드 콤플렉스(36)와 접촉하는 비드 장벽(12)을 가지는 대신, 비드 콤플렉스(36)와 미경화 고무부(42)가 비드 장벽(12)과 접촉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비드 콤플렉스(36)와 함께 비드 장벽(12) 및 미경화 고무부(42) 양자 모두가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빌딩 프로세스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측벽(52)은 비드(62)와 카커스 보강재(34)에 적용된다. 측벽(52)은 드럼(10)상에 수동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측벽은 드럼(10)이 회전할 때 드럼(10)을 횡단하여 병진하는 동적 롤러(미도시)를 사용하여 함께 재봉될 수 있다. 드럼(10)의 회전은 서보모터(미도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빌딩 프로세스의 제 1 단계의 완료를 도시한다. 그후,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빌딩 공정은 드럼(10)으로부터 타이어를 제거하여 완성을 위한 다른 드럼에 배치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빌딩 공정의 제 2 단계가 도 10에 도시되어있으며, 단일스테이지 방법에서는 도 1 - 도 9에 도시된 제 1 스테이지와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일스테이지 방법에서, 타이어는 이 동일 드럼(10)상에서 추가로 축조된다. 이 추가 축조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소정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도 10은 단일 스테이지 방법을 사용하여 타이어가 완성되는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트레드 콤플렉스(58)는 일련의 벨트(56) 및 타이어 트레드(54)와 이미 조립되어 제공된다. 역시,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들 부품은 예비조립되지 않고, 드럼(10)상에 조각조각 실제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 콤플렉스(58)는 드럼(10)의 중심 위에 T-링(미도시)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그후, 드럼(10)은 카커스 보강재(34)가 압력을 인가받아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게 만들도록 가압될 수 있다. 이 드럼(10)의 가압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드럼(10)이 가압되는 것과 동시에, 비드 장벽(12)과 함께 드럼 세그먼트(20)는 드럼(10)의 축방향(22)으로 중심선(14)을 향해 이동된다. 이들은 도 10에 도시된 "성형 위치"로 이동된다. 드럼(10)의 가압 및 비드 장벽(12)의 성형 위치로의 이동시, 카커스 보강재(34)는 트레드 콤플렉스(58)의 내측에 접촉하고, T-링은 트레드 콤플렉스(58)를 방임한다. 역시, 카커스 보강재(34)의 점착성은 트레드 콤플렉스(58)를 그 자체 위에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다. 트레드 콤플렉스(58)는 그후 드럼(10)이 회전할 때 병진하는 동적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카커스 보강재(34)상에 재봉될 수 있다. 재봉이 완료되었을 때, 드럼 회전이 중지된다. 그후, T-링이 타이어 트레드(54)의 외측을 파지하고, 드럼(10)이 가압해제된다. 드럼(10)은 접혀져서 T-링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드럼(10)으로부터 마감된 소재 타이어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소재 타이어(6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소재 타이어(60)는 트레드가 타이어 트레드(54)내로 각인되고, 문자 또는 다른 형상이 소재 타이어(60)상에 배치되는 추가 가공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등가체의 범주내에서 이루어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타이어 장치의 실시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은 다양한 변형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견실한 타이어 비드 구조를 가지는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드럼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타이어 빌딩시 사용되는 기존 빌딩 방법 및 드럼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스테이지 방법인 타이어 빌딩 장치 및 방법과 단일스테이지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드럼을 제공한다.

Claims (23)

  1. 타이어 빌딩에 사용하기 위한 드럼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축방향 중심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로서, 상기 드럼의 외면의 섹션을 형성하고, 상기 드럼의 상기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며, 상기 드럼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와,
    상기 드럼 세그먼트와 결합하는 복수의 비드 장벽(bead gorge)으로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의 축방향 이동이 상기 비드 장벽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고, 상기 드럼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이동이 상기 비드 장벽의 반경방향 이동을 유발하도록 상기 드럼 세그먼트와 결합하고, 상기 타이어의 제조 동안에 비드 콤플렉스(bead complex)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비드 장벽, 및
    상기 드럼 세그먼트에 인접한 복수의 턴-업 기낭(turn-up bladder)으로서, 상기 비드 장벽에 인접한 미경화 고무부(uncured rubber section)가 상기 턴-업 기낭의 팽창 및 수축 동안 동일 배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턴-업 기낭을 포함하고,
    상기 턴-업 기낭의 팽창은 상기 타이어의 제조를 돕는 타이어 빌딩용 드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는 서보 피구동 볼스크류(servo driven ballscrew)에 의해 상기 드럼의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타이어 빌딩용드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서보모터의 사용에 의해 회전되는 타이어 빌딩용 드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장벽 중 하나는 제 1 비드 장벽 구조이고, 상기 비드 장벽들 중 나머지는 제 2 비드 장벽 구조인 타이어 빌딩용 드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와 결합하여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드럼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도록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복수의 공압 드럼 팽창 기낭을 추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용 드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에 인접 배치된 하나 이상의 기낭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턴-업 기낭은 상기 턴-업 기낭의 수축 상태 동안 상기 기낭 캐리어상에 안치되는 타이어 빌딩용 드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업 기낭은 상기 턴-업 기낭이 상기 미경화 고무부가 동일 배향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기 미경화 고무부 둘레의 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기낭 캐리어에 의해 위치되는 타이어 빌딩용 드럼.
  8. 타이어 빌딩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가 그 축방향 중심 둘레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가 상기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상기 드럼의 외면의 섹션을 형성하며, 상기 드럼 세그먼트가 복수의 비드 장벽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이 반경방향 중심선을 가지는, 드럼 제공 단계와,
    상기 외면의 상기 섹션 및 상기 비드 장벽상에 내부 층 콤플렉스를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층 콤플렉스상에 카커스 보강재를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중심선에 관해 상기 비드 장벽으로부터 축방향 내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드럼 둘레에 동심으로 비드 정점 및 비드 와이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비드 콤플렉스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중심선에 관해 상기 비드 콤플렉스로부터 축방향 외향으로, 상기 비드 장벽에 인접한 상기 카커스 보강재상에 하나 이상의 미경화 고무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미경화 고무부의 배향이 불변 상태로 남아 있도록 상기 미경화 고무부 둘레에 상기 카커스 보강재 및 상기 내부 층 콤플렉스를 감싸도록 하나 이상의 턴-업 기낭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상기 드럼의 상기 반경방향 중심선에 관해 축방향 외향으로 상기 드럼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과
    상기 드럼의 상기 반경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축방향 외향으로 상기 비드 컴플렉스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드 콤플렉스 및 상기 미경화 고무부가 복수의 비드를 형성하도록 상기 비드 장벽에 의해 포획되도록 상기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상기 드럼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및 상기 카커스 보강재상에 측벽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카커스 보강재로부터 이격하여 그 둘레에 동심으로 상기 드럼 위에 트레드 콤플렉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중심선에 관해 축방향 내향으로 상기 드럼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드럼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 및 상기 드럼 세그먼트의 축방향 내향 이동이 상기 카커스 보강재가 상기 트레드 콤플렉스에 접촉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재(green) 타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카커스 보강재에 상기 트레드 콤플렉스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을 가압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소재 타이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11. 타이어 빌딩 방법에 있어서,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드럼의 외면의 섹션을 형성하면서 상기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는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복수의 비드 장벽을 가지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외면의 상기 섹션상에 카커스 보강재를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카커스 보강재상에 하나 이상의 미경화 고무부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미경화 고무부의 배향이 동일하게 남아있도록 상기 미경화 고무부 둘레에 상기 카커스 보강재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는 복수의 턴-업 기낭의 팽창에 의해 상기 미경화 고무부 둘레에 감싸여지는 타이어 빌딩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둘레에 동심으로 비드 와이어 및 비드 정점을 구비하는 복수의 비드 콤플렉스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비드 콤플렉스가 상기 비드 장벽내에 포획되도록 상기 비드 장벽과 상기 비드 콤플렉스를 서로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드 콤플렉스와 상기 미경화 고무부는 상기 타이어의 비드를 형성하는타이어 빌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장벽은 복수의 공압 드럼 팽창 기낭에 의해 상기 비드 콤플렉스에 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타이어 빌딩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에 측벽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는 서보 구동 볼스크류에 의해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타이어 빌딩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서보모터의 사용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타이어 빌딩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장벽 중 하나는 제 1 비드 장벽 구조이고, 상기 비드 장벽 중 나머지는 제 2 비드 장벽 구조인 타이어 빌딩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드 장벽 구조는 상기 제 1 비드 장벽 구조 보다 깊은 타이어 빌딩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로부터 이격하여, 그 둘레에 동심으로 상기 드럼 위에 트레드 콤플렉스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트레드 콤플렉스를 상기 카커스 보강재와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트레드 콤플렉스를 상기 카커스 보강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콤플렉스는 사전결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비드 장벽내에 포획되는 타이어 빌딩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경화 고무부에 관한 상기 비드 콤플렉스의 위치설정은 사전결정되는 타이어 빌딩 방법.
  23. 타이어 빌딩 방법에 있어서,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드럼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지고 상기 드럼의 외면의 섹션을 형성하면서 복수의 비드 장벽을 가지는 복수의 드럼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 장벽을 재료 배설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면의 상기 섹션상에 카커스 보강재를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카커스 보강재상에 하나 이상의 미경화 고무부를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미경화 고무부의 배향이 동일하게 남아있도록 상기 미경화 고무부 둘레에 상기 카커스 보강재를 감싸는 단계와,
    상기 비드 장벽을 비드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카커스 보강재, 상기 미경화 고무부 및 비드 콤플렉스가 복수의 비드를 형성하도록 상기 비드 장벽내에 복수의 비드 콤플렉스를 포획하는 단계와,
    상기 비드 장벽을 성형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트레드 콤플렉스를 상기 카커스 보강재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빌딩 방법.
KR1020030063291A 2002-09-12 2003-09-09 타이어 빌딩 방법 및 장치 KR20040024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PCT/US2002/29136 2002-09-12
PCT/US2002/029136 WO2004024430A1 (en) 2002-09-12 2002-09-12 Tire building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517A true KR20040024517A (ko) 2004-03-20

Family

ID=3198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291A KR20040024517A (ko) 2002-09-12 2003-09-09 타이어 빌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51619A4 (ko)
JP (1) JP2005538865A (ko)
KR (1) KR20040024517A (ko)
CN (1) CN1668453A (ko)
AU (1) AU2002330021A1 (ko)
BR (1) BR0214057A (ko)
WO (1) WO20040244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48B1 (ko) * 2006-10-10 2007-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터보 챠저의 제어 방법
CN114286747A (zh) * 2019-12-19 2022-04-05 米其林集团总公司 将容器模制到轮胎中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90191A1 (it) * 2009-03-13 2010-09-14 Marangoni Meccanica Metodo e tamburo di formatura per carcasse di pneumatici
KR101819995B1 (ko) * 2009-12-23 2018-01-18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
US20190070813A1 (en) * 2017-09-01 2019-03-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dr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9145B1 (de) * 1965-08-25 1972-02-03 Continental Gummi Werke Ag Maschine zum Aufbauen von Luftreifenrohlingen
US4214939A (en) * 1978-03-15 1980-07-29 Nrm Corporation Tire building machine
US6250356B1 (en) * 1998-04-28 2001-06-26 Compagnie Géń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 Michelin & Cie. Assembly drum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WO2001043956A1 (en) * 1999-12-15 2001-06-2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Radial tire form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48B1 (ko) * 2006-10-10 2007-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터보 챠저의 제어 방법
CN114286747A (zh) * 2019-12-19 2022-04-05 米其林集团总公司 将容器模制到轮胎中的方法
CN114286747B (zh) * 2019-12-19 2023-09-26 米其林集团总公司 将容器模制到轮胎中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14057A (pt) 2004-10-13
AU2002330021A1 (en) 2004-04-30
EP1551619A1 (en) 2005-07-13
JP2005538865A (ja) 2005-12-22
CN1668453A (zh) 2005-09-14
EP1551619A4 (en) 2006-03-29
WO2004024430A1 (en)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702B2 (ja) 高クラウン単一ステージタイヤ組立てドラム
CN1792622B (zh) 使用高胎冠单段式轮胎成型鼓制造轮胎的方法
US20230278303A1 (en) Tyre for vehicle wheels
CN104416935B (zh) 轮胎成型鼓
KR20100108538A (ko)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타이어 제조 드럼
EP1200247A1 (en) Tyre assembling apparatus
JP2019503899A (ja) タイヤを構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ラント
US20050150587A1 (en) Tire building method and apparatus
EP3450151B1 (en) Method of making a tire
KR20040024517A (ko) 타이어 빌딩 방법 및 장치
US7152649B2 (en) Tire-assembling apparatus
EP2242642B1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US4708840A (en) Manufacture of pneumatic tires
CN106457713A (zh) 用于构建轮胎的工艺和设备
US5433814A (en) Green tire building apparatus
EP1588831B1 (en) Shaping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EP292867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tires for vehicle wheels
EP3450152B1 (en) Method of making a tire and tire building drum
EP0509095B1 (en) Green tire building apparatus
EP15562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neumatic tyre for vehicle wheels
EP15562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neumatic tyre for vehicle wheels
JPS6330855B2 (ko)
JPH01566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