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987A -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987A
KR20040023987A KR1020020055448A KR20020055448A KR20040023987A KR 20040023987 A KR20040023987 A KR 20040023987A KR 1020020055448 A KR1020020055448 A KR 1020020055448A KR 20020055448 A KR20020055448 A KR 20020055448A KR 20040023987 A KR20040023987 A KR 2004002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automatic gai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2960B1 (ko
Inventor
하윤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960B1/ko
Priority to US10/396,553 priority patent/US7123932B2/en
Priority to CNB031084559A priority patent/CN100469183C/zh
Publication of KR2004002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안정화 장치를 구동하여 송신 전력의 변동량을 최소화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안정화 회로를 구동하지 않고 일정한 전력을 유지하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적응적으로 송신 전력을 안정화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 {APPRATUS FOR STABILIZING TRANSMISSION POW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CDMA}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의 경우 송신부의 동작 범위(Dynamic range)가 넓기 때문에 송신 전력 안정화 회로를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것은 송신 전력 검출기가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 요구하는 90dB정도의 동작 범위를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 구현되는 송신 전력 안정화는 다음 두 가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첫째, 송신 전력 검출기의 출력을 1.25m 주기로 자동이득조절기가 읽어들여 이를 송신 전력에 반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실제 구현시 원하는 전력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RAS 테이블에 평균값을 이용한 보상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RAS 테이블에 평균값을 이용한 보상 방법 또한 전력의 변동량이 크고, 온도, 주파수에 의한 편차에 따른 정확한 보상이 힘들며, 무선 주파수 태스크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송신 전력 검출기의 동작 범위의 제한으로 인해 약 -20dBm 이상의 송신 전력에서만 적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방식은 송신 전력 검출기의 출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송신 전력이 설정된 전력에서 변동이 있을 경우 피드백 루프를 통하여 자동 이득 조절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하여 설정 전력으로 복귀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실시간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전력 안정도가 높고, 응답이 빠른 장점이 있지만, 역시 송신 전력 검출기의 동작 범위의 제한으로 인해 약 -20dBm 이상의 송신 전력에서만 적용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가지 전력 안정화 방식은 송신 신호의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이 최대인 상태에서만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률이 빈번히 달라지고 그에 따라 검출되는 전력이 달라지는 CDMA 이동 통신 단말에서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용 가능한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최대 전력 송신시 전력 변동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최대 전력 송신시 정확한 전류 소모 제어를 위한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인가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동 이득 증폭기와,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력 증폭시 소모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전류 값을 초과하면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전류 감지 장치와, 상기 최종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송신 전력 검출기와, 상기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송신 전력을 출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이 입력되면 임의의 기준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비교 값에 비례하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기준 전력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안정화 장치를 구동하여 송신 전력의 변동량을 최소화고, 그 외의 경우에는 안정화 회로를 구동하지 않고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기준 전압에 비례하는 전력을 유지하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적응적으로 송신 전력을 안정화한다.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은 동일한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전류 소모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최대 출력으로 송신시 최대 데이터 전송률(full data rate)을 가지는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할 때 전력 증폭기의 소모전류와 하프 데이터 전송률(half data rate)을 가지는 송신신호를 전력 증폭할 때 전력 증폭기의 소모전류는 대략 200mA의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를 구성하고, 구동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01), 전류감지기(103), 전력 증폭기(105), 송신 전력 검출기(107), 스위치(109), 이득 제어기(111), 제어부(미 도시함.)(113)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01)는 이득 제어기(111)에서 인가되는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에 따라 이득을 결정하며, 입력되는 송신 신호 Pin을 결정된 이득에 따라 증폭하여 전력 증폭기(105)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105)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0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가지는 송신 신호 Pout를 안테나로 출력한다.
상기 전류 감지기(103)는 상기 전력 증폭기(105)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전류를 초과하면 감지 신호 Vsen를 상기 스위치(109)로 인가한다. 상기 설정 전류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 신호가 최대 전력으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105)에서 상기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할 때 소모하는 전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109)는 상기 전력 증폭기(105)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 Pout의 최종 송신 전력 Vdet을 검출하여 상기 스위치(109)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109)는 상기 전류 감지기(103)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 Vsen가 인가되면 온(on)되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109)로부터 입력되는 최종 송신 전력Vdet을 상기 이득 제어기(11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09)는 상기 전류 감지기(10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없으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113)는 수신 전계 강도에 따른 적정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 전력에 따른 기준 전력 Vref를 이득 제어기(111)로 인가한다.
상기 이득 제어기(111)는 상기 스위치로(109)부터 최종 송신 전력 Vdet이 입력되면 기준 전력 Vref과 비교하여 적정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을 결정하여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101)로 출력한다. 즉, 상기 이득 제어기(111)는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증가하면 최종 송신 전력 Vdet와 기준 전력 Vref의 차이가 감소하고, 그에 비례하여 감소된 자동 이득 제어값 Vagc를 출력하며,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감소하면 최종 송신 전력 Vdet와 기준 전력 Vref의 차이가 증가하고, 그에 비례하여 증가된 자동 이득 제어값 Vagc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로(109)부터 최종 송신 전력 Vdet의 입력이 없으면 기준 전력 Vref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을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101)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력 안정화 장치가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자동 이득 증폭기(101)가 입력되는 송신 신호 Pin을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에 따른 이득으로 증폭하여 전력 증폭기(105)로 출력하면, 전력 증폭기(105)는 이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신호 Pout을 출력한다. 이때, 전류 감지기(103)는 전력 증폭기(105)의 소비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 전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고, 송신 전력 검출기(107)는 최종 송신 전력 Vdet을 검출하여 스위치(109)로 출력한다.
상기 전류 감지기(103)는 전력 증폭기(105)의 소비 전류가 설정 전류를 초과하면 감지 신호 Vsen을 스위치(109)로 인가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109)는 온되어 상기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이득 제어기(111)로 출력한다. 상기 소비 전류가 설정 전류를 초과한다는 것은 현재 송신 신호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고, 최대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득 제어기(111)는 기준 전력 Vref와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값 Vagc를 자동 이득 증폭기(10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최종 송신 전력이 점차 증가한다면 기준 전력 Vref와 최종 신호 전력 Vdet의 차이가 감소하여 자동 이득 제어값 Vagc이 감소하고, 따라서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감소한다. 감소된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107)와 스위치(109)를 통해 이득 제어기(111)에 입력되면, 기준 전력 Vref와 최종 송신 신호 전력 Vdet의 차이가 증가되어, 자동 이득 제어값Vagc이 증가하고, 따라서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 신호가 최대 전력으로 송신될 때 전력 안정화가 이루어 진다.
만약 상기 전류 감지기(103)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력 증폭기(105)의 소모 전류가 상기 설정 전류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스위치(109)는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이득 제어기(111)는 기준 전력 Vref에 비례하는 전력 이득 조절 값 Vagc를 출력한다. 즉, 낮은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기준 전력 Vref에 비례하여 전력 이득 조절 값 Vagc을 조정함으로써 전력 안정화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전력 안정화 장치의 동작을 하기 표1과 표2에 기재하였다. 하기표1은 최대 전력 송신시와 최대 전력 송신시를 제외한 일반 전력 송신시 감지 신호Vsen의 발생 여부와, 스위치의 상태, 그에 따른 이득 제어값 Vagc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 표2는 최대 전력 송신시 최종 송신 전력 Vdet의 증감에 따른 최종 송신 전력 Vdet와 기준 전력 Vref의 비교값과 이득 제어값 Vagc의 증감을 나타내었다.
Vsen 스위치 Vagc
최대 전력 송신 발생 on Vdet와 Vref의 비교값에 비례
일반 전력 송신 · off Vref에 비례
Vdet Vdet와 Vref의 비교값 Vagc
증가 감소 감소
감소 증가 증가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안정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201), 전류감지기(203), 전력 증폭기(205), 송신 전력 검출기(207), 제어부(209), 이득 제어기(211)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201)는 이득 제어기(211)에서 인가되는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에 따라 이득을 결정하며, 입력되는 송신 신호 Pin를 결정된 이득에 따라 증폭하여 전력 증폭기(205)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205)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201)로부터 입력되는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가지는 송신 신호 Pout를 안테나로 출력한다.
상기 전류 감지기(203)는 상기 전력 증폭기(205)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전류를 초과하면 감지 신호 Vsen을 상기 제어부(209)로 출력한다. 상기 설정 전류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 신호가 최대 전력으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105)에서 상기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할 때 소모하는 전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207)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205)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 Pout의 최종 송신 전력 Vdet을 검출하여 상기 이득 제어기(211)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9)는 수신 전계 강도에 따른 적정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 전력에 따른 기준 전력 Vref를 이득 제어기(211)로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신호 Vsen1이 상기 전류 감지부(203)으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207)가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득 제어기(211)는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207)부터 최종 송신 전력 Vdet이 입력되면 기준 전력 Vref과 비교하여 적정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을 결정하여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201)로 출력한다. 즉, 상기 이득 제어기(211)는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증가하면 최종 송신 전력 Vdet와 기준 전력 Vref의 차이가 감소하고, 그에 비례하여 감소된 자동 이득 제어값 Vagc를 출력하며,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감소하면 최종 송신 전력 Vdet와 기준 전력 Vref의 차이가 증가하고, 그에비례하여 증가된 자동 이득 제어값 Vagc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207)부터 최종 송신 전력 Vdet의 입력이 없으면 기준 전력 Vref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을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201)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력 안정화 장치가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자동 이득 증폭기(201)가 입력되는 송신 신호 Pin을 자동 이득 제어 값 Vagc에 따른 이득으로 증폭하여 전력 증폭기(205)로 출력하면, 전력 증폭기(205)는 이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신호 Pout을 출력한다. 이때, 전류 감지기(203)는 전력 증폭기(205)의 소비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 전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고, 송신 전력 검출기(207)는 최종 송신 전력 Vdet을 검출하여 제어부(209)로 출력한다.
상기 전류 감지기(203)는 전력 증폭기(205)의 소비 전류가 설정 전류를 초과하면 감지 신호 Vsen을 제어부(209)로 인가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209)는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207)가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소비 전류가 설정 전류를 초과한다는 것은 현재 송신 신호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고, 최대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득 제어기(211)는 기준 전력 Vref와 최종 송신 전력 Vdet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값 Vagc를 자동 이득 증폭기(20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최종 송신 전력이 점차 증가한다면 기준 전력 Vref와 최종 신호 전력 Vdet의 차이가 감소하여 자동 이득 제어값 Vagc이 감소하고, 따라서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감소한다. 감소된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207)를 통해 이득 제어기(111)에 입력되면, 기준 전력 Vref와 최종 송신 신호 전력 Vdet의 차이가 증가되어, 자동 이득 제어값Vagc이 증가하고, 따라서 최종 송신 전력 Vdet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신 신호가 최대 전력으로 송신될 때 전력 안정화가 이루어 진다.
만약 상기 전류 감지기(203)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력 증폭기(205)의 소모 전류가 상기 설정 전류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감지 신호 Vsen이 제어부(209)에 인가되지 않고, 제어부(209)는 송신 전력 검출기(207)를 구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이득 제어기(211)는 제어부(209)에서 인가되는 기준 전력 Vref에 비례하는 전력 이득 조절 값 Vagc를 출력한다. 즉, 낮은 전력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기준 전력 Vref에 비례하여 전력 이득 조절 값 Vagc을 조정함으로써 전력 안정화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안정화 장치의 동작을 하기 표3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3은 최대 전력 송신시와 최대 전력 송신시를 제외한 일반 전력 송신시 감지 신호Vsen의 발생 여부와, 그에 따른 송신 전력 검출기 동작 상태와 이득 제어값 Vagc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때 최대 전력 송신시 최종 송신 전력 Vdet의 증감에 따른 최종 송신 전력 Vdet와 기준 전력 Vref의 비교값과 이득 제어값 Vagc의 증감은 상기 표2와 동일하다.
Vsen 송신전력 검출기 Vagc
최대 전력 송신 발생 Vdet출력 Vdet와 Vref의 비교값에 비례
일반 전력 송신 · · Vref에 비례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는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최대 데이터 전송률의 송신 신호 최대 전력 송신시 전력 변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최대 전력 송신시 정확한 전류 소모 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7)

  1.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기준 전력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인가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동 이득 증폭기와,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력 증폭시 소모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전류 값을 초과하면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전류 감지 장치와,
    상기 최종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송신 전력 검출기와,
    상기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송신 전력을 출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비교 값에 비례하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기준 전력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전류 값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의 송신 신호를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가 소모하는 전류 값을 기준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두 전력의 차이 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자동 이득 제어값을 증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인가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동 이득 증폭기와,
    상기 자동 이득 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력 증폭시 소모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전류 값을 초과하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 장치와,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송신 전력을 결정하여 결정된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기준 전력을 출력하며,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송신 전력 검출기를 구동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최종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송신 전력 검출기와,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비교 값에 비례하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고, 상기 송신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기준 전력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전류 값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의 송신 신호를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가 소모하는 전류 값을 기준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기는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두 전력의 차이 값의 증감에 따라 상기 자동 이득 제어값을 증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에 따라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자동 이득 증폭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최종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전력 증폭시 소모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전류 값을 초과하면 상기 최종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송신 전력 검출기와,
    상기 송신 전력 검출기로부터 상기 송신 전력이 입력되면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기준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비교 값에 비례하는 상기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고, 상기 송신 전력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기준 전력에 비례하는 자동 이득 제어 값을 인가하는 이득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0055448A 2002-09-12 2002-09-12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KR10049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48A KR100492960B1 (ko) 2002-09-12 2002-09-12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US10/396,553 US7123932B2 (en) 2002-09-12 2003-03-25 Apparatus for stabilizing transmission power of broad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B031084559A CN100469183C (zh) 2002-09-12 2003-04-11 用于稳定宽带码分多址型移动通信终端发射功率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48A KR100492960B1 (ko) 2002-09-12 2002-09-12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987A true KR20040023987A (ko) 2004-03-20
KR100492960B1 KR100492960B1 (ko) 2005-06-07

Family

ID=3198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48A KR100492960B1 (ko) 2002-09-12 2002-09-12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23932B2 (ko)
KR (1) KR100492960B1 (ko)
CN (1) CN10046918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48B1 (ko) * 2006-12-14 2008-10-24 이학범 발 사이즈 자동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00685T2 (de) * 2004-01-21 2008-01-24 Nec Corp.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endeleistungsregelung, Computerprogramm für Sendeleistungsregelungseinrichtung und Funksender
US7818021B2 (en) * 2004-07-30 2010-10-19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328209B2 (en) * 2004-08-11 2008-02-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for ontology-based semantic matching in a relational database system
CN101295965B (zh) * 2007-04-27 2010-05-26 北京朗波芯微技术有限公司 数字式自动增益控制电路装置
US8274772B2 (en) * 2008-12-22 2012-09-25 Conexant Systems, Inc. Current detection and limiting method and apparatus
CN107222888A (zh) * 2016-03-22 2017-09-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rru抗阻塞实现方法及装置、rru
TWI743841B (zh) * 2020-06-17 2021-10-2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抑制無線功率變化之方法及其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09A (en) *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JPH1022756A (ja) * 1996-07-04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機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JP2000134151A (ja) * 1998-10-28 2000-05-12 Nec Saitama Ltd 電力制御方法とその方法を採用した移動通信機
WO2000052837A1 (fr) * 1999-03-01 2000-09-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de puissance d'emission
KR100301727B1 (ko) * 1999-04-12 2001-09-26 송문섭 출력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cdma 휴대전화기의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58598B2 (ja) * 1999-09-14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パワー補正回路
KR100330415B1 (ko) * 2000-01-19 2002-03-27 오길록 코드분할다중접속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제어 장치 및방법
JP3414357B2 (ja) * 2000-04-25 2003-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KR100640480B1 (ko) * 2000-08-16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EP1414159A4 (en) * 2001-08-01 2006-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PORTABLE RADIO
JP2004056195A (ja) * 2002-07-16 2004-02-19 Alps Electric Co Ltd 送信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48B1 (ko) * 2006-12-14 2008-10-24 이학범 발 사이즈 자동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2756A (zh) 2004-03-17
US7123932B2 (en) 2006-10-17
KR100492960B1 (ko) 2005-06-07
CN100469183C (zh) 2009-03-11
US20040053633A1 (en)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780B1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KR101101548B1 (ko) 스위칭 모드 전력 증폭 시스템
CA216075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mplifier efficiency
US20080284510A1 (en) Error driven rf power amplifier control with increased efficiency
US20050266809A1 (en) Controlling transmission mode on basis of power in preceding time slot
KR100492960B1 (ko)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안정화 장치
KR2005008108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048797A (ja) 送信機および電力増幅器
US77388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mobile terminal
KR1003265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대 파워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326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출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4722342B2 (ja) 中間周波数がゼロである構造の送信機で、htb技術によるパワー増幅器を使用可能にする制御方法および回路
KR200700232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 입력 레벨 제어 장치
JPH0326008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KR20010066414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송신단의 전력 증폭 장치
JP2012170132A (ja) 無線送信機
JP3041149B2 (ja) パワー制御装置
KR20010035821A (ko) 잡음신호를 이용한 이득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76771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optical disc drivers and the related method
JPH04372227A (ja) 無線送信電力制御装置
KR20010010538A (ko) 무선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S61210726A (ja) 送信機の出力電力制御装置
JP3002018U (ja) Apc回路
JPH11298257A (ja) 電力増幅回路
KR20050062167A (ko) 전력 증폭기 출력 파워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