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734A - 토출 유속 제어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 유속 제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734A
KR20040023734A KR10-2004-7001953A KR20047001953A KR20040023734A KR 20040023734 A KR20040023734 A KR 20040023734A KR 20047001953 A KR20047001953 A KR 20047001953A KR 20040023734 A KR20040023734 A KR 2004002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ow rate
passage
rate control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시 하기하라
Original Assignee
타다시 하기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8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226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8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211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42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22653A/ja
Application filed by 타다시 하기하라 filed Critical 타다시 하기하라
Publication of KR200400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경로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는 동시에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토출 유속 제어 용기{CONTAINER WITH DISCHARGE FLOW VELOCITY MECHANISM}
요즘 음료수 용기를 중심으로 PET 병이 보급되어 형상도 가지각색인 것이 유통되게 되었다. 또, 세제 용기를 중심으로 한 플라스틱병에 관해서는, PET 병 이상으로 다양한 타입의 용기가 제안되어 있으나, 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 재이용이라는 관점에서 리필용 용기로서 봉지형 용기가 보급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는 용기 본체가 주목을 받아, 배출구에 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었다. 즉,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분출되는 사고가 있어, 예를 들어 대용량화된 페트병을 기울일 때 무거워서 배출 제어를 제대로 할 수 없어 용기에서 쏟아져 나오거나, 또 세제를 리필용 봉지 용기에서 플라스틱병에 채워 넣을 때 부주의하게 봉지 용기를 잡으면 배출구로부터 분출되거나, 또한 용기 본체가 접혀 배출구가 목적하는 방향에서 벗어나 주위를 더럽힌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용기 내에 수납된 액체가 용기에서 부주의하게 토출되지 않도록 배출구의 구조를 연구할 필요가 있고, 그래서 출원인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38278호에서 배출구에서의 액체의 유속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한편, 특히 점안약(点眼藥) 등과 같이 액체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점적처럼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는 용기가 있다. 점적처럼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는 액체는 점안약 외에 화장품 및 식품 첨가물 등 다양하다.
종래의 점적 토출 용기는 점안약의 용기로 대표되듯이 용기의 배출구를 단순히 좁게 하여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액체가 멈추게 되어 있으며, 용기 본체를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써 내압이 높아져 밀려나오는 구조였다. 또, 화장품이나 식품 첨가물 용기의 경우에는, 배출구는 점안약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좁게 하기만 한 것이라 해도 이 경우는 용기 본체를 눌러 나오게 한다기 보다 용기 본체를 흔들어 나오게 하는 것이 많았다.
그러나, 점안약은 누구에게나 경험이 있듯이 한 방울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용기 본체를 누르는 힘 조절이 어려워, 한 방울 나오게 하려던 것이 두 방울이 나오는 등 힘의 미세조정이 요구되어 왔다. 그 때문에 용기 본체 소재를 선택(용기의 경도, 강성)하는 데에도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튜브와 같은 연질의 용기 본체로부터 내용물을 점적 배출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필연적으로 알맞은 경도 및 강성을 구비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만든 용기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동시에 내용물의 점적 배출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용기 본체의 제약이 적어 다양한 유연성 용기에 적용 가능한 점적 토출 용이한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종래부터 세제 등의 액체 용기로서 펌프식 수지제 병이 보급되고 있다. 이는 수지제 병용기 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손으로 누르는 형식의 펌프를 구비하고 필요할 때 이 펌프를 손으로 눌러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펌프는 이른바 플랜저 펌프로서, 손누름부를 누르면 펌프 내에 체류하고 있는 내용물이 배출구로부터 밀려나오고 손을 떼면 리턴 스프링에 의해 손누름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동시에 용기 본체 내로부터 내용물을 빨아올리는 구조이다. 펌프 내에는 통상 체크 볼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이 역지밸브가 되어 한번 펌프 내로 빨아올린 내용물이 다시 용기 본체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펌프 본체의 하단에는 세관(細管)이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서 빨아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는 세제, 샴푸 등 비교적 점성이 높은 액체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보급된 용기이다.
그러나, 펌프는 리턴 스프링이 금속제인 것 등, 단일 소재로 구성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 해도 비용 문제 등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때마침 환경 보전 의식이 사회적으로 높아지고 있어 쓰레기 문제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 펌프 내에 역류 방지를 위한 역지밸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에서 토출구까지 이어지는 관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여 굳고 다음 토출시에 굳은 내용물이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액체 용기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단일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단순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유량 제어에 의해 부주의한 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토출관 내의 내용물은 용기 본체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내용물이 관내에 체류하여 굳는 일이 없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부터 계량을 필요로 하는 액체는 약품, 화장품을 비롯하여, 도료, 세제 등 다양하다. 약품 등에서는 병에서 계량컵으로 계량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생각된다. 또, 약품보다도 1회의 사용량이 많은 세제 등의 액체 용기로는 병의 캡이 계량컵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펌프식 합성 수지제 병이 보급되어 있다. 전자는 계량컵을 용기 본체에서 떼어 사용하는 것이라 필요량을 자유롭게 계량할 수 있지만, 정확한 계량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후자는 합성 수지제 병 용기 본체의 상방 개구부에 손누름식 펌프를 구비하여 필요할 때 이 펌프를 손으로 눌러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1회의 누름 동작에 의해 토출되는 양은 대체로 일정하다.
그러나, 계량컵을 구비한 용기는 계량컵에 표시된 눈금에 맞추어 내용량을 용기 본체에서 따라내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계량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따르는 방법이 나쁘면 쏟아지거나, 또 캡의 조임이 헐거우면 만일 용기가 전도되었을 경우에는 내용물이 누설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펌프식 병의 경우에는 펌프의 리턴 스프링이 금속제인 것 등 단일 소재로 구성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 해도 비용 문제 등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또, 펌프 내에 역류 방지를 위한 역지밸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에서 토출구까지 이어지는 관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여 굳고, 다음 토출시에 굳은 내용물이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단일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단순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유속제어에 의해 부주의한 토출을 방지하고 나아가 토출관 내의 내용물은 용기 본체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내용물이 관 내에 체류하여 굳는 일이 없는 액체 용기인 동시에, 일정량의 정확한 계량을 가능하게 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로부터 내용물(액체)을 배출시킬 때에, 용기 본체를 손으로 누르거나 하여 가압함으로써 점적(点滴)처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한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토출 유속 제어 기구를 구비하여 일정량을 계량할 수 있는 정량 계량 용기를 구비한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그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배출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그 A-A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유속 제어 액체 통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사용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유속 제어 액체 통로의 구성 패턴을 나타내는 배출관의 바닥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I)는 미소통로의 구성 패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2 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그 배출관의 바닥면이다.
도 12 는 배출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캡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실시예 3 을 나타내는 배출관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5 는 그 배출관의 바닥면이다.
도 16 은 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7 은 실시예 4 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8 은 그 배출관의 바닥면이다.
도 19 는 실시예 5 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0 은 그 배출관의 바닥면이다.
도 21 은 실시예 6 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마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은 실시예 7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는 이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 은 배출관을 나타내며, 도 26(a)는 종단면도 및 도 26(b)는 바닥면도이다.
도 27 은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 은 사용(토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9 는 사용(흡인)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0 은 실시예 2 의 배출관을 나타내며, 도 30(a)는 종단면도 및 도 30(b)는 바닥면도이다.
도 31 은 실시예 3 을 나타내는 배출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32 은 본 발명의 정량 계량 유출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는 그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a)는 배출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4(b)는 바닥면도이다.
도 35 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 은 사용(토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7 은 종래의 개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 은 사용(흡인)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9 는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은 계량 용기가 상한 위치의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1 은 계량 용기가 하한 위치의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2(a) 및 도 42(b)는 실시예 3 을 나타내는 배출관의 종단면도 및 바닥면도이다.
도 43 은 실시예 4 를 나타내는 배출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44 는 배출구의 폐지(閉止)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토출 유속 제어 기구를 구비한 용기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1)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경로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는 동시에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
(2)유속 제어 통로가 상기 배출경로의 주통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3)유속 제어 통로가 상기 배출경로의 주통로와 직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4)유속 제어 통로가 구멍인 것.
(5)유속 제어 통로가 간극인 것.
(6)유속 제어 통로가 2개 이상 있는 경우, 이들이 짝수 개인 경우는 쌍별로 각각 쌍이 되는 유속 제어 통로가 대향 위치에 있거나 또는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
(7)유속 제어 통로의 개구 면적을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로 증감할 수 있도록 개구 면적 변경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
(8)유속 제어 통로의 내용물 유입구가 용기 본체 측에 개구되어 있고, 내용물이 유속 제어 통로로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것.
(9)유속 제어 통로의 내용물 유입구에 용기 본체로부터 나온 내용물을 유도하는 유도경로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유도경로는 그 유입구가 배출구측에 구비되어 있고, 내용물이 이 유도경로를 거쳐 유속 제어 통로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또한, 본 발명의 토출 유속 제어 용기는, 이하의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10)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경로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는 동시에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행정 완료후에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에 흡인함으로써 평상시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는 것.
(11)유속 제어 통로와 용기 본체 사이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용기 본체 내에서 격리시키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원하는 용량을 가진 공간을 구비하고, 이 공간과 용기 본체는 세관으로만 연통되어 이루어지며, 용기 내 액압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작용하지 않는 동시에 이 세관의 관내 저항에 의해 용기 본체 내압이 감쇠되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미치지 않도록 한 것.
또한 본 발명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는 이하의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12)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고,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행정 완료후에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에 흡인함으로써 평상시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주통로를 내부에 돌출설치시킨 계량용기를 구비하였다.
(13)배출구로부터 계량 용기 내로 내용물을 배출시킨 후에, 용기의 복원력에 의해 발생하는 용기내 부압에 의해 계량 정량 이상의 잉여 내용물을 용기 본체 내로 회수하고 계량 용기 내에 계량 정량을 잔류시켜서 계량하는 것.
(14)계량 정량은 계량 용기 내에 돌출설치한 배출구의 계량 용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동시에 이 계량 용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배출구의 계량 용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 가능한 것.
그리고 유속 제어 통로와 용기 본체 사이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용기 본체 내에서 격리시키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원하는 용량을 가진 공간을 구비하고, 이 공간과 용기 본체는 세관으로만 연통되어 이루어지며, 용기 내 액압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작용하지 않는 동시에 이 세관의 관내 저항에 의해 용기 본체 내압이 감쇠되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미치지 않도록 한 것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실시예 1)
도 1 은 점적 토출 액체 배출구를 구비한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 본체(1) 위에는 배출구(2)를 구비한 배출관(3) 및 이 배출관(3)을 용기 본체(1)에 고정하는 누름 캡(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누름 캡(4)의 상단에는 비사용시의 예기치 않은 배출을 방지하고 또한 배출구(2)를 보호하기 위해 캡(5)이 준비되어 있다. 이 캡(5)은 상기 누름 캡(4)의 상단 외주에 형성한 단차(6)에 합치하게 되어 있고, 각각에 약간의 돌조 또는 조홈(條溝)을 구비하여 알맞은 압입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 는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병모양 용기 본체(1)의상부에는 개구(7)가 있고, 배출관(3)이 구비되어 있다. 배출관(3)은 플랜지(8)가 용기 본체(1)의 개구부(7)의 상단면에 올려지고 누름 캡(4)으로 용기 본체(1)에 나사로 조여 고정되어 있다. 이 용기 본체(1)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휘기 쉬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라미네이트 튜브 및 복합 필름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배출관(3)은 경질 합성 수지제이며, 용기 본체(1)의 개구부(7)에 들어맞게 하기 위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은 플랜지(8)를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주된 배출통로(이하, 주통로; 9)를 구비하고 있는 관형 부재이다. 이 주통로(9)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관통되지 않고 하단은 바닥부(10)에 의해 막혀 있다. 그리고 그 바닥부(10) 근방에는 그 측벽(11)에 상기 주통로(9)와 직행하는 방향으로 유속 제어 통로로서의 미소 단면 구멍(이하, 미소통로; 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소통로(12)는 직경이 수납하는 액체의 표면장력 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기포가 섞인 경우에는 이른바 베이퍼 로크 상태가 되어 상압하에서는 용이하게는 통과되지 않을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액체의 표면장력이나 점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물과 같은 저점도 유체라면 0.3㎜ 내지 1.5㎜가 적합하다.
그리고 이 미소통로(12)는, 도 3 에서는 배출관(3) 두께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그 횡단면은 원형, 삼각, 사각 등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미소통로(12)의 길이는 이 통로 출구에서의 내용물 유출상태를 안정(정류)시키기 위해서는 긴 것이 좋다. 즉, 너무 짧으면통로 출구에서 확산되게 되므로 대향하는 내용물끼리가 제대로 충돌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미소통로(12)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로부터 주통로(9) 내로 토출된 내용물(액체)이 주통로(9)의 대략 중앙에서 충돌함으로써 토출의 유속이 0(zero)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미소통로(12)를 통과하는 그대로의 유속으로 배출구(2)로부터 내용물이 토출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미소통로(12)는 직경을 작게 하면 할수록 이 미소통로(12)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양을 제한할 수 있는데, 이는 주통로(9) 내에 내용물이 충만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게 되는 동시에 용기 본체(1)에 가해지는 외압(손으로 누르는 힘)에 대하여 둔감해진다. 즉, 배출구(2)로부터 적하되는 내용물의 적하수 조정은 용기 본체(1)를 누르는 힘의 조절보다는 오히려 누르고 있는 시간의 길이에 의존하게 되어, 적하 컨트롤이 매우 용이해진다. 그리고 적하 속도는 외압(용기 본체(1)를 누르는 힘)의 크기에 따라 미소통로의 통과유속에 의존하는데, 적하 컨트롤을 용기 본체(1)를 누르는 시간과 힘 중 어느 쪽을 중시할지는 미소통로(12)의 유효 개구 면적(구멍 직경)을 바꿈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미소통로(12)의 개구 면적의 크기는 용기 본체(1)의 유연성 정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시켜 균형을 맞춤으로써 용기에 수용하는 내용물의 성상 및 적하 조건에 맞추어 세밀한 적응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구성한 실시예 1 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도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를 거꾸로 해서 용기 본체(1)를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하여 압력을 가하면 용기 본체(1)가 도면의 파선과 같이 변형됨으로써 용기 내압이 상승되어, 내용물(액체)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로부터 미소통로(12)로 유입되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로부터 주통로(9)의 중앙을 향해 밀려 나오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토출되고 서로 충돌하여 일단 속도가 0(zero)가 된다. 그리고 배출구(2)로부터 갑자기 토출되는 일 없이 표면장력에 의해 주통로(9)의 내벽에 착벽되면서, 그리고 도 7 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통로(9) 내를 서서히 채우면서 충만된 후에 넘쳐 배출구(2)로부터 적하된다.
배출구(2)의 바로 앞에서 토출속도(유속)가 0(zero)가 되므로 미소통로(12)를 통과하는 그대로의 유속으로 배출구(2)로부터 토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유출이 매우 느리며, 예기치 않은 외압이 용기 본체(1)에 가해져도 배출구(2)로부터 분출되는 일없이 적하량의 미세조정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한 방울이 떨어지는 타이밍을 계산하기 쉽고 또한 적하수를 세는 것도 용이하며, 나아가 연속적으로 토출시키는 것도 용이하다.
배출후는 용기 본체(1)에 가해져 있던 외압을 배제하면 용기 본체(1)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들어간 만큼의 공기가 용기 본체(1) 내로 들어가는 동시에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도 용기 본체(1) 내로 되돌아가므로, 주통로(9) 내에도 내용물은 잔존하지 않고 배출구(2)에 액이 거의 남지 않아 잉여 적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주통로(9) 내에 내용물의 잔류가 없으므로 예기치 않게 용기본체(1)에 외압이 가해져도 주통로(9) 내가 채워지지 않으면 배출구(2)로부터 유출되는 일은 없다. 또, 미소통로(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장력 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기포가 섞인 경우에는 이른바 베이퍼 로크 상태가 되어, 상압하에서는 용이하게는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통로이지만, 용기가 복원될 때의 흡인력에 의해 미소통로(12) 내에도 잔존하는 일이 없다.
배출구(2)의 직경은 상압하에서 내용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정체되어 적하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이면 되고,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저점도 액체라면 1.5㎜ 내지 3㎜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내용물의 성상이나 용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면 된다. 또, 배출구(2)의 내경과 주통로(9)의 내경은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주통로(9)를 좁게 하는 경우나 또는 반대로 크게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미소통로(12)의 수는 하나이어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는 벽면에 충돌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미소통로(12)로부터 분출될 때의 유속을 0(제로)으로 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실제로는 도 8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소통로(12)의 출구로부터 유속이 0(zero)가 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유로저항이 되며, 보다 분출 방지가 도모되기 때문이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대략 중앙에서 모든 미소통로(12)로부터 분출된 내용물이 충돌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하면 된다. (c)는 추가로 미소통로(12)가 4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미소통로가 짝수 개인 경우에는 동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소통로쌍을 몇 개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미소통로(12)는 기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미소통로(12)로부터의 유입방향의 속도가 없어지는(제로가 되는) 경우는 미소통로(12)로부터 유입된 내용물이 벽이나 대향하여 유입되는 내용물과 충돌하는 경우 외에 흐름의 방향전환이 강제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9 에 있어서 각각 (a)는 측벽(11)의 미소통로(12)에서 유입된 내용물이 대면의 내벽에 충돌하는 것, (b)는 주통로(9)의 바닥부 중앙에 충돌벽(13)을 세워 설치하고 이 충돌벽(13)을 사이에 두는 방향에 있는 측벽(11)의 미소통로(12)에서 내용물이 유입되어 이 벽에 충돌하는 것, (c)는 측벽(11)의 비대향위치에 형성한 미소통로(12)에서 유입된 내용물이 대면의 내벽에 직각이 아닌 각도로 충돌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내용물은 주통로(9)의 내벽을 따라 방향전환되어 흐르므로 주통로(9) 내에 소용돌이가 생긴다. (d)는 미소통로(12)는 상기 (c)와 동일하지만 유입지의 정면 내벽에는 유입된 내용물이 충돌하는 벽(14)이 직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도면 부호에 붙여진 숫자 1 은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2 는 미소통로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또, (e)는 배출관(3)의 하단각의 대향위치에 절결을 형성하여 미소통로(12)를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는 (e)-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바닥면을 따라 내용물이 주통로(9) 내로 유입된다. (e)-3 은 미소통로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f)는 대향하는 위치의 측벽에서 상하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미소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g)는 상기 (b)의 경우에서 상하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미소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경우, (h)는 측벽(11)에서 주통로(9)의 바닥면 코너를 향하여 비스듬히 유입되는 미소통로(12)를 구비한 경우, 및 (I)는 측벽(11) 또는 바닥면에서 비스듬히 내벽을 향해 유입되는 미소통로(12)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I)의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이 내벽에 충돌하였을 때 상방을 향해 흐르지 않도록 하는 충돌벽(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10 은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의 실시예 2 를 나타낸 배출관(3)의 정면 종단면도이다. 이 배출관(3)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7)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실시예 1 에서의 미소통로(12)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 구조이다. 실시예 1 에서는 미소통로의 직경을 1㎜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하였지만, 실제 제조공정에서는 1㎜ 이하 직경의 구멍을 가공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에서의 문제점을 개량한 것이 된다.
즉,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3)의 주통로(9)는 상하단으로 관통되어 있고, 또 바닥부 단면(16)에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를 구성하는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바닥부 단면(16)에 끼워 맞춰지는 캡(18)이 형성되어 있다. 캡(18)에는 그 측면에서 미소통로(12)에 들어맞는 위치에 미소통로(12)보다도 단면적이 큰 가로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캡(18)은 그 내측 바닥면(20; 도 12)이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에 밀착하도록 끼워져 밀착 부분을 용착 또는 접착하여 일체화된다. 그리고 홈(17)이 캡(18)의 내부 바닥면(20)에 의해 막혀 폐단면의 관형이 되어 미소통로(12)를 형성한다. 도 12 는 배출관(3)과 캡(18)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이 미소통로(12)는, 도 10 에서는 배출관(3) 두께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그 횡단면은 원형, 삼각, 사각 등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미소통로(12)의 길이는 이 통로 출구에서의 내용물 유출상태를 안정(정류)시키기 위해서는 긴 것이 좋다. 즉, 너무 짧으면 통로 출구에서 확산되게 되므로 대향하는 내용물끼리가 제대로 충돌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한 실시예 2 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사용할 때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도 13 은 캡(18)에 형성된 가로구멍(19)과 미소통로(12)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도면 중 (a)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이다. 또, (b)는 도 8 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쌍의 미소통로 쌍을 직행하는 위치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미소통로(12)를 쌍으로 하여 복수 개 방사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미소통로 쌍을 각각 다른 횡단 면적으로 하는 동시에 캡(18)을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에 용착 또는 접착하지 않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면, 도 1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8)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로구멍(19)에 들어맞는 미소통로(12)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미소통로 쌍의 수만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a)의 경우에도 캡(18)을 회전식으로 하고 가로구멍(19)을 미소통로(12)가 없는 위치로 이동시켜 가로구멍(19)과 미소통로(12)의 합치를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토출을 금지하는 내부 마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미소통로(12)의 형성이 구멍 가공이 아니라 홈 가공이 되고, 형에 의한 성형이 가능해져 가공이 용이해진다. 마찬가지로 캡(18)의 가로구멍 가공도 미소통로(12)의 단면적보다도 큰 구멍이면 되고 정밀도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드릴 가공이나 몰드 성형이 가능하여 가공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상기 2 가지 실시예는 모두 점적 토출시키기에는 매우 바람직한 구조이지만, 용기를 거꾸로 했을 때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 유입구의 높이(파선 위치 WL)까지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어, 그렇게 된 후에는 누름 캡(4)을 벗겨 배출관(3)을 용기 본체(1)에서 떼어내 배출해야 한다는 새로운 과제가 생긴다.
(실시예 3)
도 14 는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의 실시예 3 을 나타내는 배출관(3)의 정면도이다. (a)는 정면도, (b)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 배출관(3)이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구조, 즉 용기를 거꾸로 한 상태로 내용물의 전량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4(b) 및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주통로(9)는 상하단으로 관통되어 있고, 바닥부 단면(16)에는 미소통로(12)를 구성하는 홈(1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미소통로(12)의 유입구 위치(배출관(3)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출관(3)의 외벽에 상방의 플랜지(8)를 향해 세로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홈(21)의 횡단면적은 미소통로(12)의 횡단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이 바닥부 단면(16)에 끼워 맞춰지는 캡(18)이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 바닥면(20)이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밀착 부분을 용착이나 접착하여 일체화된다. 그리고 상기 홈(17)이 캡(18)의 내부 바닥면(20)에 의해 막혀 폐단면의 관형이 되어 미소통로(12)를 형성하는 동시에 캡(18)의 내측벽이 세로홈(21)과 밀착되어 이것을 막아 폐단면의 관형 통로(22)를 형성한다. 이 때, 캡(18)의 상단 위치(23)가 관형 통로(22)로의 내용물 유입구가 되므로 캡(18)의 높이(깊이; h)를 변경함으로써 유입위치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한 실시예 3 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를 거꾸로 하여 용기 본체(1)를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하여 압력을 가하면 용기 본체(1)가 도면의 파선과 같이 변형됨으로써 용기 내압이 상승되어, 내용물(액체)은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은 용기 본체(1)로부터 배출관(3)의 플랜지(8)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관형 통로(22)로 유입되고 일단 관형 통로(22) 내를 용기 본체측(도면에서 상향)으로 역류하여, 미소통로(12)의 유입구(배출관(3)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도달한다. 그리고 미소통로(12)에 유입되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로부터 주통로(9)의 중앙을 향해 밀려 나오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토출되고 서로 충돌하여 일단 속도가 0(zero)가 된다. 그리고, 배출구(2)로부터 갑자기 토출되는 일 없이 표면장력에 의해 주통로(9)의 내벽에 착벽되면서, 그리고 도 7 의 주통로(9) 내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서히 채우면서 충만된 후에 넘쳐 배출구(2)로부터 적하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거꾸로 한 용기 내의 내용물은 확실하게 배출되어 잔류가 없다.
또, 이 관형 통로(22)가 있기 때문에 관로 저항이 더욱 가해져 용기 본체(1)의 예기치 않은 가압에 의한 분출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에 공헌하고 있다.
(실시예 4)
도 17 은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의 실시예 4 를 나타내는 배출관(3)의 중앙 종단면도, 도 18 은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을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이 배출관(3)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7)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3 가지 실시예에서는 유속 제어 통로가 관형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 실시예는 유속 제어 통로가 간극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유속 제어 통로가 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 와 동일하다.
즉,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배출관(3)은 상하단으로 관통되어 있고, 바닥부 단면(16)에는 캡(18)이 끼워져 있다. 바닥부 단면(16)에는 이 단면(16)과 캡(18)의 바닥면 사이에서 유속 제어 통로가 되는 간극통로(25)를 형성하도록 간극분 높이의 돌기 또는 융기부분(이하, 돌기; 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통로의 높이는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미소통로(12)와 동등한 단면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18)에는 그 측면에서 간극통로(25)에 들어맞는 위치에 이 간극통로의 유효 개구 면적보다도 큰 개구면적의 가로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캡(18)은 그 내부 바닥면(20; 도 12)이 배출관(3)의 상기 돌기(24)에 밀착하도록 끼워지고 밀착 부분을 용착이나 접착하여 일체화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캡(18)의 가로구멍(19)로부터 간극통로(25)로 침입하여 스며 나오도록 주통로(9) 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에 만약 간극통로(25)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유속이 높으면 주통로(9) 내에서 대향하는 위치에서 유입된 내용물이 충돌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속을 제어할 수 있고, 배출구(2)로부터의 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적하의 미세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통로(25)를 쌍으로 하여 복수 개 방사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간극통로(25)의 쌍을 각각 다른 횡단면적(또는 폭)으로 하는 동시에 캡(18)을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에 용착 또는 접착하지 않고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면, 도 1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로구멍(19)과 들어맞는 간극통로(25)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미소통로 쌍의 수만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속 제어(간극) 통로가 1 쌍인 경우에도 캡(18)을 회전식으로 하고 가로구멍(19)을 간극통로(25)가 없는 위치로 이동시켜 가로구멍(19)과 간극통로(25)의 합치를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토출을 금지하는 내부 마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간극통로(25)의 간극 높이를 폭방향에서 다르게 하면 상기 가로구멍(19)과의 합치 상태에 의해 개구면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무단계로 토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9 는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의 실시예 5 를 나타낸 배출관(3)의 중앙 종단면도, 도 20 은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출관(3)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7)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 과 상기 실시예 4 를 조합한 것이다.
즉,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주통로(9)는 상하단으로 관통되어 있고, 바닥부 단면(16)에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성하는 간극통로(25)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간극통로(25)의 유입구 위치(배출관(3)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출관(3)의 외벽에 상방의 플랜지(8)를 향해 세로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홈(21)의 횡단면적은 간극통로(25)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이 바닥부 단면(16)에 끼워 맞춰지는 캡(18)이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 바닥면(20)이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밀착 부분을 용착이나 접착하여 일체화딘다. 그리고 상기 홈(17)이 캡(18)의 내부 바닥면(20)에 의해 막혀 폐단면의 관형이 되어 간극통로(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캡(18)의 내측벽이 세로홈(21)과 밀착되어 이것을 막아, 폐단면의 관형 통로(22)를 형성한다. 이 때, 캡(18)의 상단 위치(23)가 관형 통로(22)로의 내용물 유입구가 되므로 캡(18)의 높이(깊이; h)를 변경함으로써 유입위치의 높이를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은 용기 본체(1)에서 배출관(3)의 플랜지(8)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관형 통로(22)로 유입되고 일단 관형 통로(22) 내를 역류하여 간극통로(25)의 유입구에 도달한다. 이 관형 통로(22)가 있기 때문에 관로 저항이 가해져 용기 본체(1)의 예기치 않은 가압에 의한 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에 공헌하고 있다.
(실시예 6)
도 21 은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의 실시예 6 을 나타내는 배출관(3)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 배출관(3)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7)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통로(9)는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주통로(9)의 직경은 하단 부근에서 확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확대부(26)에 끼워맞추는 마개(27)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27)에는 도 2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측면에 미소통로를 형성하는 세로홈(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개(27)는 그 상단이 상기 배출관(3)의 확대부(26)의 단차에 부딪혔을 때 약간의 간극을 갖도록 치수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세로홈(28)은 대략 횡단면적이 직경 1㎜ 이하인 상기 각 실시예의 관형 미소통로(12)의 횡단면적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세로홈, 즉 미소통로(28)는 배출관(3)의 하단으로부터 주통로(9)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후에는 직행하는 간극을 통하여 주통로(9)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2(b)는 마개(27)에 있어서 세로홈(28)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에는 추가로 가로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가로홈(29)을 유속 제어 통로로 하고 세로홈(28)은 횡단면적을 가로홈(29)보다도 큰 것으로 할 수 있고, 강한 관로 저항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세로홈(28) 및 가로홈(29) 모두 유속 제어 통로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면 중 부호 30 은 액체의 충돌실을 형성하는 오목부이다. 이 오목부가 있으면 좋다. 또,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경우의 사용에 관해서는, 용기 본체(1)를 누름으로써 가압된 내용물(액체)은 상기 세로홈(28)에 유입되는데 관로 저항이 크기 때문에 유량이 제한되고, 또한 세로홈(28)의 종점은 직각으로 굴절되어 있기 때문에 더 저항이 되며, 나아가 동지점에서 주통로(9)까지 도달할 때까지는 간극 또는 유속 제어 통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저항이 가해진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간극 또는/ 및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해 온 액체는 다시 주통로(9) 내에서 충돌하여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고, 주통로(9) 내에 충만된 후에 배출구(2)로부터 적하된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를 튜브 용기(31)로 한 것이다. 즉, 튜브 용기(31)의 상단 개구부(7)에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출관(3)이 누름 캡(4)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배출관(3)의 상부 외주에는 나사(32) 홈을 형성하고 캡(5)이 나사 고정되어 배출구(2)를 보호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의 배출관(3)은 유연성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봉지형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24 는 본 발명의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 본체(1)의 상부에는 배출구(33)를 구비한 배출구 캡(34) 및 이 배출구 캡(34)이 끼워져 있는 배출관(3)을 용기 본체(1)에 고정하는 누름 캡(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5 는 배출구 부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병모양 용기 본체(1)의 상부에는 개구(7)가 있고, 배출관(3)이 구비되어 있다. 배출관(3)은 플랜지(8)가 용기 본체(1)의 개구부(7)의 단면에 올려지고 누름 캡(4)으로 용기 본체(1)에 나사로 조여 고정되어 있다. 이 용기 본체(1)는 합성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휘기 쉬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라미네이트 튜브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배출관(3)의 플랜지(8)의 하부에는 그것보다 아래 부분을 덮는 커버 부재(35)가 이 배출관(3)을 용기 본체 내에서 격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세관(36)이 삽입되어 있다. 커버 부재(35)와 배출관(3) 사이에는 원하는 용량을 가진 공간(37)이 있고, 이 공간(37)과 용기 본체 내는 유일하게 이 세관(36)으로만 연통되어 있다. 이 세관(36)의 하단은 도 2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바닥부에 도달해 있다. 바닥부에서 내용물을 빨아올리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용기 내의 액압이 후술할 미소통로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용기 내압은 세관(36)의 관로 저항에 의해 감쇠된 후, 커버 부재(35)의 내측 공간(37; 평상시에는 내용물의 체류 없음)이 있기 때문에 만일 용기 본체(1)를 예기치 않게 강하게 눌러 내압이 급상승하였다 해도 내용물이 배출구(33)로부터 분출되는 일은 없다. 또, 용기 본체(1)를 전도시키거나 넘어뜨리거나 한 경우에도 세관(36)의 하단이 액면 위로 나오기 때문에 내용물의 압력이 미소통로에 가해지는 일이 없고 분출도 누출도 없다.
배출관(3)은 도 2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개구부(7)에 합치하게 하기 위하여 외형은 플랜지(8)를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주된 통로(이하, 주통로 ;9)를 구비하고 있는 관형 부재이다. 이 주통로(9)는 도 2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으로는 관통되지 않으며, 상단은 측면에 토출구(2)를 구비하고 있어 배출구 캡(34)이 끼워진다. 이 배출구 캡(34)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어, 배출통로의 입구(38)와 상기 토출구(2)가 합치하는 위치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구 캡(34)을 회전시켜 양자의 합치를 해제함으로써 내용물이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단은 바닥 캡(18)에 의해 막혀 있다. 그리고 이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16)과 바닥 캡(18)을 맞추는 부분에는 상기 주통로(9)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미소통로로서의 미소단면구멍(이하, 미소통로; 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소통로(12)의 치수 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며,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배출관(3)의 하단면(16)에 홈(17)을 형성하고, 이것을 바닥 캡(18)으로 관형 통로(12)가 되도록 폐쇄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또, 관형 통로(12)의 배치 및 작용효과도 상기 실시예 1 과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구성한 실시예 7 의 액체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도 2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를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하여 압력을 가하면 용기 본체(1)의 변형에 의해 용기 내압이 상승되어, 내용물(액체)은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세관(36)을 통해 커버 부재(35)의 공간내로 들어가고 미소통로(12)에 유입되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로부터 주통로(9)의 중앙을 향해 밀려 나오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토출되고 서로 충돌하여 일단 속도가 0(zero)가 된다. 그리고 배출구(33)로부터 갑자기 토출되는 일 없이 표면장력에 의해 주통로(9)의 내벽에 착벽되면서, 그리고 도 5 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통로(9) 내를 서서히 채우면서 충만된 후에 넘쳐 배출구(33)로부터 토출된다.
배출구(33)의 바로 앞에서 일단 토출속도(유속)가 0(zero)가 되기 때문에 배출구(33)로부터의 내용물 유출이 매우 느리며, 예기치 않은 외압이 용기 본체(1)에 가해져도 배출구(33)로부터 분출되는 일은 없어 토출량의 미세조정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이 완료되었다면 용기 본체(1)에서 손을 떼면 용기 본체(1)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용기 본체 내가 부압이 된다. 그러면 그 부압에 의해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구(33)에서 세관(36)에 이르는 모든 통로 내의 내용물이 되돌아가 용기 본체(1) 내로 돌아간다. 본래 이 미소통로 정도의 직경인 관이라면 액체가 모세관 현상으로 체류하게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 내의 부압에 의해 체류하지 않고 용기 본체(1) 내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에도 정확하게는 세관(36)의 하단에는 약간이지만 대기압과 용기내압의 균형 상태에 따라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용물이 멈춘다.
그 결과, 배출구(33)에서 세관(36)에 이르는 배출경로 내의 대부분에는 평상시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으므로 용기 본체(1) 내의 내용물은 용기 본체(1)를 손으로 누른 경우에 배출구(33)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다소 걸리지만, 용기 본체(1)에 가해지는 예기치 않은 외압에 대해서도 내용물이 분출되는 일은 없다.
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여 굳는 일이 없으므로 일단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할 때에도 배출구(33)에 고착된 내용물이 분출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액흘러내림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배출구(33)의 직경은 상압하에서 내용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멈춰 적하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이면 되고,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저점도 액체라면 1.5㎜ 내지 3㎜ 정도가 적합하지만, 내용물의 성상이나 용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30(a) 는 본 발명의 토출 유속 제어 용기의 실시예 8 를 나타내는 배출관(3)의 중앙 종단면도, (b)는 배출관(3)의 바닥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출관(3)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7 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7 에서는 미소통로가 관형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 실시예는 미소통로가 간극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통로는 관통되어 있고, 바닥부 단면(16)에는캡(18)이 끼워져 있다. 바닥부 단면(16)에는 이 단면과 캡(18)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서 미소통로가 되는 간극통로(25)를 형성하도록 간극분 높이의 돌기 또는 융기부분(이하, 돌기; 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통로(25)의 치수, 배치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실시예 4 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9)
도 3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9 의 토출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배출관의 정면 종단면도이다. 이 배출관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7 과 동일하다.
도 3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3)의 주통로(9)는 상하단으로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주통로(9)의 직경은 하단 부근에서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 확대부(26)에 끼워맞추는 마개(27)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27)의 구조는 도 2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6 과 동일하다.
(실시예 10)
도 32 는 본 발명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 본체(1)의 상부에는 토출구(2)와, 이 토출구(2)를 구비한 배출관(3)을 용기 본체(1)에 고정하는 누름 캡(4) 및 계량 용기(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33 은 계량 용기 부근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병모양 용기 본체(1)의 상부에는 개구부(7)가 있고, 배출관(3)이 구비되어 있다. 배출관(3) 및 용기 본체(1)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7 과 동일하지만, 상이한 점은 토출구(2)가 바로 위를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배출관(3)은 도 3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의 관형부(43)를 구비하여 그 끝이 토출구(2)로 되어 있으나, 이 관형부(43)를 축으로 하도록 계량 용기(42)가 삽입되어 있다. 계량 용기(42)의 상단은 이 토출구(2)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도 34(a) 는 배출관(3)의 중앙 단면도 및 도 34(b) 는 바닥면도이다.
이렇게 구성한 실시예 10 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도 3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를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하여 압력을 가하면 용기 본체(1)가 도면의 파선과 같이 변형함으로써 용기 내압이 오르고, 내용물(액체)은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바닥부로부터 세관(36)을 통하여 커버 부재(35)의 공간 내로 들어가고 미소통로(12)로 유입되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통로(12)로부터 주통로(9)의 중앙을 향하여 밀려 나오는 동시에 같은 속도로 토출되고 서로 부딪혀 일단 속도가 0(제로)이 된다. 그리고 토출구(2)로부터 갑자기 토출되는 일 없이 표면 장력에 의해 주통로(9)의 내벽에 착벽하면서 도 5 의 파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통로 내를 서서히 채우면서 충만된 후에 넘쳐 흘러 토출구(2)로부터 토출된다.
종래의 사고에 의하면, 계량 용량 내에 돌출시킨 배출관(43)으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경우에는, 도 3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용기(42)의 개구부를 향하여 토출시키는 것은 분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토출구(2)는 계량 용기(42)의 내벽에 충돌시키도록 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는 토출구(2)의 바로 앞에서 토출속도(유속)가 일단 0(제로)이 되기 때문에, 미소통로(12)를 관통하는 그대로의 유속으로 토출구(2)로부터 토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내용물의 유출이 매우 느리며, 예기치 않은 외압이 용기 본체(1)에 가해져도 토출구(2)로부터 분출되는 일없이 토출량의 미세조정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천천히 토출시키는 경우에도 토출량의 조정이 용이하므로,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용기(42)의 개구를 위로 항하게 해도 분출될 위험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2)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은 계량 용기 내로 넘쳐 나와 이 토출구(2)의 높이보다도 수위(WL)가 올라간다. 그 상태에서 용기 본체(1)를 잡고 있는 손에서 힘을 빼면 용기 본체(1)의 복원력에 의해 용기 본체(1) 내가 부압이 된다. 그러면 도 3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부압에 의해 토출구(2)로부터 그것보다 높은 수위의 내용물은 다시 토출구(2)로 빨려 들어가 세관(36)까지의 모든 통로 내의 내용물이 되돌려져 용기 본체(1) 내로 돌아간다. 수위(WL)는 토출구(2)의 높이로 결정된다. 본래 이 미소통로 정도의 직경인 관이라면 액체가 모세관 현상으로 체류하게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1) 내의 부압에 의해 체류하지 않고 용기 본체(1) 내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항상 계량 용기 내에 머무는(잔존하는) 내용물의 양은 일정하며, 용기 본체(1)로부터의 배출량이나 배출 속도 등에 좌우되는 일은 없다.
또, 토출구(2)에서 세관(36)의 하단에 이르는 배출경로 내에는 평상시에 내용물이 체류되지 않으므로 계량이 끝난 내용물을 계량 용기 내에서 배출시킬 때 용기를 기울여도 토출구(2)에서 여분으로 흘러나오는 일이 없으며, 용기(1)가 예기치않게 전도된 경우에도 내용물이 토출되는 일이 없다.
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여 굳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일단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할 때에도 토출구(2)에 고착된 내용물이 분출되는 일이 없다.
또, 토출구(2)의 직경은 상압하에서 내용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멈추어 적하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이면 되고,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저점도 액체라면 1.5㎜ 내지 3㎜ 정도가 적합하지만, 내용물의 성상이나 용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3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 본체(1)로부터 내용물의 배출방법 및 배출경로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실시예 10 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0 및 도 4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용기(42)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배출관(3)의 관형부(43)의 대략 하반부에 나사(44)가, 또 계량 용기(42)에도 이 관형부(43)의 나사(44)에 합치하는 나사(45)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계량 용기(42)의 나사부(45)의 상단은 중앙부에 개구를 가진 캡형으로 되어 있고, 이 개구에 관형부(43)가 삽입되어 있다. 개구에는 관형부(43)와 접하는 부분에 O 링(46)이 형성되어 있어, 계량 용기 내의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계량 용기(42)는 회전시킴으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해진다. 계량 용기 내의 계량 정량은 계량 용기(42)의 바닥에서 토출구(2), 즉 수위(WL)까지의 높이(h)로 정한다. 따라서, 도 4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용기(42)를 상한까지 올린 상태에서는 최소의 계량 정량이 되고, 도 4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용량을 하한까지 내린 상태에서는 최대의 계량 정량이 되므로, 관형부(43)와 나사부(44,45)의 길이 및 계량 용기(42)의 내경 및 높이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용량을 계량할 수 있다.
또, 도 3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부(43)의 외측에 눈금(49)을 새겨 둠으로써 임의로 계량 정량을 정할 수 있다.
또, 계량 용기(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나사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이하게 이동시키지 않고 또한 내용물의 누설이 없는 방법이라면 단순히 슬라이딩시키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4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 의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를 나타내는 배출관의 정면 종단면도, 도 42(b) 는 배출관의 바닥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출관이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에서는 미소통로가 관형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 실시예는 미소통로가 간극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3)
도 43 은 본 발명의 액체 용기의 실시예 13 을 나타내는 배출관의 정면 종단면도이다. 이 배출관(3)은 상기 실시예 6 의 마개 구조를 적용한 것이며,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되는 방법은 실시예 12 와 동일하다.
또, 도 4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용기(42)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2)를 봉쇄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즉, 도 4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관(3)의 관형부(43)의 상단은 봉쇄되어 있어 주통로(9)는 관통되지 않으며, 토출구(2)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계량 용기(42)의 내측에 돌기되어 이루어지는 개구(46)에는 이 횡방향 토출구(2)에 합치하는 위치에 슬릿(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경우는, 계량 용기(42)를 회전시켜 도 4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2)와 슬릿(51)의 위치를 합치하게 함으로써 토출구(2)로부터의 내용물 유출이 가능해지며, 그리고 사용후는 계량 용기(42)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도 44(b) 와 같이 슬릿(51)과 토출구(2)의 결합을 해제하면 토출구(2)로부터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된다. 물론 관형부(43)와 슬릿(51)이 없는 부분 사이에서는 계량 용기 내의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시일이 장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계량 용기(42)를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 등 세정액이나 물이 토출구(2)를 통해 들어가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에 의하면, 유연성을 구비한 액체 용기라면 다양한 용기에 적응할 수 있고, 내용물의 점적 토출을 어려움 없이 행할 수 있다.
즉, 점안약 용기로 대표되는 종래의 점적 토출 용기는, 점적 토출시키기 위해 용기에 가하는 힘조절에 신중을 기할 것이 요구되어 그 사용은 어려웠지만, 본발명의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는 유속 제어에 의해 토출 유속을 컨트롤하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가압에 대해서도 반응이 둔감해져 토출량의 적하 조정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배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한 방울을 배출시키기 위해 신중하게 힘조절할 필요도 없고, 또한 방울 수를 세면서 배출시키는 경우에도 어려움없이 배출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점적 용기와 같이 반드시 경질 용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어 튜브 용기와 같은 유연한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유연성을 구비한 액체 용기라면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토출량 조정을 어려움없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으므로, 예기치 않게 용기 본체가 가압되어도 내용물이 토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토출 종료시에는 용기 본체의 복원성에 의해 발생한 용기 본체 내의 부압에 의해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을 용기 본체 내로 빨아들임으로써, 배출구에 내용물이 체류하여 고착되는 일이 없고, 다음에 배출시켰을 때에도 고착된 내용물이 분출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유연성을 구비한 액체 용기라면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어, 내용물의 토출량 조정을 용이하게 하면서 계량을 어려움 없이 행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토출 제어 용기에 계량 용기를 장착하면 계량 용기 내의 배출구 높이로 계량 정량이 정해지므로, 토출량이나 토출 속도 등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량의 계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아 예기치 않게 용기 본체가 가압되어도 내용물이 토출되는 일은 없으므로, 계량한 양보다도 더 배출되는 일도 없어 계량 정밀도가 높다.
또, 토출 종료시에는 용기 본체의 복원성에 의해 발생한 용기 본체 내의 부압에 의해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을 용기 본체 내로 빨아들임으로써 배출구에 내용물이 체류하여 고착되는 일이 없고, 다음에 배출시켰을 때에도 고착된 내용물이 분출되는 일이 없다.
나아가서는 계량 용기를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Claims (15)

  1.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경로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는 동시에,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가 상기 배출경로의 주통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가 상기 배출경로의 주통로와 직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가 구멍인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가 간극인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가 2개 이상 있는 경우, 이들이 짝수 개인 경우는 쌍별로 각각 쌍이 되는 유속 제어 통로가 대향 위치에 있거나 또는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의 개구 면적을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로 증감할 수 있도록 개구 면적 변경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의 내용물 유입구가 용기 본체 측에 개구되어 있고, 내용물이 유속 제어 통로로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것인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의 내용물 유입구에 용기 본체로부터 나온 내용물을 유도하는 유도경로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유도경로는 그 유입구가 배출구측에 구비되어 있고, 내용물이 이 유도경로를 거쳐 유속 제어 통로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적 토출 유속 제어 용기.
  10.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경로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고,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행정 완료후에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에 흡인함으로써 평상시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유속 제어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와 용기 본체 사이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용기 본체 내에서 격리시키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원하는 용량을 가진 공간을 구비하고, 이 공간과 용기 본체는 세관으로만 연통되어 이루어지며, 용기 내 액압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작용하지 않는 동시에 이 세관의 관내 저항에 의해 용기 본체 내압이 감쇠되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미치지 않도록 한 토출 유속 제어 용기.
  12.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이 배출경로에는, 상압하에서는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 스스로 봉쇄될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는 유속 제어 통로를 구비하고, 내용물 배출시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통과한 내용물의 그 통로방향 유속이 일단 0(zero)가 되고, 이 유속 제어 통로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배출경로의 주통로를 채운 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행정 완료후에 배출경로 내의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에 흡인함으로써 평상시에 배출경로 내에 내용물이 체류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주통로를 내부로 돌출설치시킨 계량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배출구로부터 계량 용기 내로 내용물을 배출시킨 후에, 용기의 복원력에 의해 발생하는 용기내 부압에 의해 계량 정량 이상의 잉여 내용물을 용기 본체 내로 회수하고 계량 용기 내에 계량 정량을 잔류시켜서 계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계량 정량은 계량 용기 내에 돌출설치한 배출구의 계량 용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동시에 이 계량 용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배출구의 계량 용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계량 유속 제어 용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속 제어 통로와 용기 본체 사이에는, 이 유속 제어 통로를 용기 본체 내에서 격리시키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 커버 부재의 내측에는 원하는 용량을 가진 공간을 구비하고, 이 공간과 용기 본체는 세관으로만 연통되어 이루어지며, 용기 내 액압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작용하지 않는 동시에 이 세관의 관내 저항에 의해 용기 본체 내압이 감쇠되어 직접 유속 제어 통로에 미치지 않도록 한 토출 유속 제어 용기.
KR10-2004-7001953A 2001-08-09 2002-06-21 토출 유속 제어 용기 KR200400237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2828 2001-08-09
JP2001242827A JP2005022652A (ja) 2001-08-09 2001-08-09 吐出流速制御容器
JP2001242826A JP2005021173A (ja) 2001-08-09 2001-08-09 点滴吐出流速制御容器
JPJP-P-2001-00242827 2001-08-09
JP2001242828A JP2005022653A (ja) 2001-08-09 2001-08-09 定量計量流速制御容器
JPJP-P-2001-00242826 2001-08-09
PCT/JP2002/006254 WO2003016163A1 (fr) 2001-08-09 2002-06-21 Recipient a mecanisme a vitesse d'ecoulement de dechar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34A true KR20040023734A (ko) 2004-03-18

Family

ID=2734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953A KR20040023734A (ko) 2001-08-09 2002-06-21 토출 유속 제어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45290A1 (ko)
EP (1) EP1426302A1 (ko)
KR (1) KR20040023734A (ko)
CN (1) CN1538923A (ko)
CA (1) CA2457350A1 (ko)
TW (1) TW573241B (ko)
WO (1) WO2003016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02757A1 (en) * 2003-02-07 2004-08-30 Hoffmann Neopac Ag Drop-dispensing insert with laser bore
AU2003202768A1 (en) * 2003-02-07 2004-08-30 Hoffmann Neopac Ag Drop dispensing with insert for optimizing the dosing precision of liquids
US7637402B2 (en) * 2006-09-01 2009-12-29 Polytop Corporation Dispensing cap with center channel and helical flow profile
US7980432B2 (en) * 2006-09-01 2011-07-19 Polytop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having a flow conduit with key-hole shape
US8336745B2 (en) 2006-09-01 2012-12-25 Mwv Slatersville, Llc Dispensing closure having a flow conduit with key-hole shape
WO2008028195A2 (en) * 2006-09-01 2008-03-06 Polytop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having a flow conduit with key-hole shape
US8038041B2 (en) * 2006-09-01 2011-10-18 Polytop Corporation, A Rhode Island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with obstructed, offset, non-linear flow profile
ATE513759T1 (de) * 2007-10-10 2011-07-15 Deltona Innovations Ag Kunststoffverschluss
CN101937822B (zh) * 2009-06-30 2012-03-07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掺杂气发生装置
FR2950037B1 (fr) * 2009-09-11 2011-12-16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JP5892943B2 (ja) * 2010-11-18 2016-03-23 テルモ株式会社 薬剤収納容器
JP5873247B2 (ja) * 2011-03-22 2016-03-01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吐出容器
FR2974350B1 (fr) * 2011-04-21 2014-06-06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liquide muni d'un organe de reduction de debit
CN103054722A (zh) * 2011-10-20 2013-04-24 苏州市锦新医用塑料容器厂 一种滴眼剂瓶的瓶塞
CN106516397A (zh) * 2016-08-30 2017-03-22 嘉兴市腾翔塑业有限公司 液态化妆品出液器
DE102016124947A1 (de) 2016-12-20 2018-06-21 Bericap Holding Gmbh Ausgießverschluss
CN208264912U (zh) 2018-03-28 2018-12-21 深圳市通产丽星股份有限公司 一种点滴软管
CN112292338B (zh) * 2018-04-27 2023-06-23 S·卡尔利克 用于饮用器皿的可变流量盖组合件
JP7199653B2 (ja) * 2018-08-17 2023-01-06 住化エンバイロメンタルサイエンス株式会社 樹脂製容器入り外部寄生虫駆除剤
CN113439061B (zh) 2018-12-21 2023-08-15 H.J.海因茨品牌有限责任公司 容器、封闭件及制造方法
US11292642B2 (en) 2018-12-21 2022-04-05 H. J. Heinz Company Brands Llc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USD889260S1 (en) 2018-12-21 2020-07-07 H.J. Heinz Company Brands Llc Closure for a container
CN115135583A (zh) 2019-09-20 2022-09-30 H.J.海因茨品牌有限责任公司 容器、封闭件及制造方法
KR20220081474A (ko) * 2020-12-09 2022-06-16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음료 용기용 리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9446A (en) * 1950-04-06 1952-06-03 Greene Norman Resilient walled supply container with connected measuring trap chamber
US4106673A (en) * 1977-03-21 1978-08-15 Donoghue Robert J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
US4474312A (en) * 1982-09-28 1984-10-02 Donoghue Robert J Dispensing bottle with metered chamber
JPH0644842Y2 (ja) * 1989-01-20 1994-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定量分配器
JPH0966956A (ja) * 1995-09-01 1997-03-11 Toppan Printing Co Ltd 計量キャップ
US5833124A (en) * 1996-05-21 1998-11-10 Pfizer Inc. Fluid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8923A (zh) 2004-10-20
TW573241B (en) 2004-01-21
US20040245290A1 (en) 2004-12-09
EP1426302A1 (en) 2004-06-09
WO2003016163A1 (fr) 2003-02-27
CA2457350A1 (en) 200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3734A (ko) 토출 유속 제어 용기
US7350673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RU2586989C9 (ru) Емкости и способы смешивания и до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концентратов напитков
EP2188205B1 (en) Refillable/reusable mixer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7331489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having a dip tube with a rotatable leg
US7222755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with flexible-T dip tube
US20220240730A1 (en) Two-Piece Foam Piston Pump
US8292131B2 (en) Fluid dispenser pump
EP3580528B1 (en) Dosing timer and dispensers using the same
CA3056140C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ispensing a measured quantity of liquid
US6997358B2 (en) Liquid dosing device
CA2181059A1 (en) Fluid dispensing device with gravity-fill continuously variable dosage selection
US7549816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with brush
KR20040012732A (ko)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US5071039A (en) Viscous liquid dispensing container
US20120248058A1 (en) Cartridge having a plug
JP2004291969A (ja) 液体計量容器
RU2667633C2 (ru) Дозирующее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JP2005022653A (ja) 定量計量流速制御容器
CN108414044B (zh) 计量分配器及其使用方法
JP2005022652A (ja) 吐出流速制御容器
WO1993003338A1 (en) Viscous liquid dispenser with integral measuring device
US20220281645A1 (en) Inverted Dispensing Container
WO1998032667A1 (en) Collapsible measured-dose dispensing container
JP4954689B2 (ja) 定量排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