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529A -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 Google Patents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529A
KR20040022529A KR1020020054123A KR20020054123A KR20040022529A KR 20040022529 A KR20040022529 A KR 20040022529A KR 1020020054123 A KR1020020054123 A KR 1020020054123A KR 20020054123 A KR20020054123 A KR 20020054123A KR 20040022529 A KR20040022529 A KR 2004002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bacn
bandwidth
branch nodes
dbacns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987B1 (ko
Inventor
임세윤
송재연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87B1/ko
Priority to JP2003315378A priority patent/JP3793189B2/ja
Priority to US10/657,368 priority patent/US7352759B2/en
Publication of KR2004002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4Star or tre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88Signall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와 연결된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의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은, 각각 하나의 뿌리 노드와 다수의 가지 노드를 갖는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ontrol Node : DBACN)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는 트리 형성 과정과; 가지 노드로부터의 대역 요청 정보를 취합하며, 취합된 대역 요청 정보를 뿌리 노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최하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요청 취합 과정과; 가지 노드들에게 할당 대역을 분배하는 단계를 최상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역 할당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 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MECHANISM APPLYING TREE ALGORITHM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l)과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로 구성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구조에서 ONU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 요청 전달 방법과 이를 사용한 동적 대역폭할당(Dynamic Bandwidth Allocation: DBA)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가비트 이더넷 및 ATM-PON(Asynchronous Transfer Mode-Passive Optical Network)용 MAC(Medium Access Control) 기술은 이미 표준화가 완료되어 있는 상태로서, 그 내용은 IEEE 802.3z 및 ITU-T G.983.1에 기술되어 있다. 기가비트 이더넷에서는 PON 구조에서 요구하는 기능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PON 형태로는 ATM-PON 이 먼저 개발되고 표준화가 이루어졌는데 ATM-PON 은 ATM 셀(cell)을 일정한 크기로 묶은 프레임 형태로 상,하향 전송이 이루어지며 트리(tree) 형태의 PON 구조에서 OLT는 이 프레임 안에 각 ONU에 분배될 하향 셀을 적절히 삽입하게 된다. 또한, 상향 전송의 경우 TDM(Time Division Multiflexing) 방식으로 각 ONU의 데이터를 액세스(access)하게 되는데 수동 소자인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에서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도록 레인징(ranging)이라는 방법을 통해 해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하향 프레임에는 일정간격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전용 ATM 셀 또는 일반 ATM 셀 내에 필드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입자 측에서는 더욱 더 많은 대역폭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가 장비이며 대역폭에 제한이 있고 IP 패킷을 분할(segmentation)해야 하는 ATM 기술보다는 상대적으로 저가이며 높은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는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종단 간(end to end) 전송을 목표로 삼게 되었다. 따라서 가입자 망의 PON 구조에서도 ATM이 아닌 이더넷 방식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ATM-PON에서는 일정한 크기의 ATM 셀을 기본으로 상, 하향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점 대 다점(point to multi-point) 연결의 트리 구조에 따라 상향 전송에 대해서는 TDM 방식을 사용한다. 기가비트 이더넷의 경우 점 대 점 방식이나 충돌방식의 MAC 프로토콜(protocol)은 이미 표준화되어 MAC 컨트롤러 칩(controller chip)이 상용화되어 있으나 PON 구조는 기존의 이더넷 방식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점 대 다점 구조로서 MAC 컨트롤을 포함하여 전체 스케쥴링(scheduling) 절차가 현재 IEEE8023.ah EFM(Ethernet in the First Mile) TF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인 실정이다. 또한, 현재 GE-PON에서는 PON 구조에서 요구하는 기능이 구체화 되어있지 않다.
ATM-PON에서의 ONU 데이터 전송을 위한 DBA 스케쥴링은 다음과 같다. ONU들은 VBR(Variable Bit Rate), CBR(Constant Bit Rate), 실시간성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정의된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4개의 독립적인 큐(queue)를 가진다. 이 큐에 ONU로 들어오는 데이터 트래픽들을 저장하고 이 서비스 클래스를 고려하여 동적 대역폭 할당을 함으로써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한다. 그러나 GE-PON의 경우, ATM과는 달리 프로토콜 기반이 이더넷이므로 정의된 서비스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기반 기술인 이더넷의 패킷 크기가 가변적이라는 특징이 있으므로 패킷 크기가 고정적인 셀을 가지는 ATM이 기반인 ATM-PON에서의 대역 할당 방법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GE-PON에서의 대역 할당 스케쥴링은 이더넷기반의 망에서 이제까지 사용되지 않았던 점 대 다점의 구조를 갖는 PON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OLT에서 ONU로 가는 하향 트래픽의 경우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이므로 기존의 이더넷과 비교하여 다른 점이 없다. 그러나 각 ONU에서 OLT로 가는 트래픽의 경우,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이 되어 OLT에게 도착하므로 이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OLT가 각각의 ONU에게 서로 다른 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시간을 분배해주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E-PON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E-PON은 하나의 OLT(110)와, 다수의 ONU(130A,130B,130C)와, ODN(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OLT(110)는 트리 구조의 루트에 위치하며 억세스 망의 각 가입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ODN(120)은 트리(tree) 토플로지 구조를 가지고 상기 OLT(110)로부터 전송되는 하향(Downstream) 데이터 프레임을 분배하고, 역으로 상향(Upstream) 데이터 프레임을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OLT(110)로 전송한다.
상기 다수의 ONU(130A,130B,130C)는 상기 하향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종단 사용자들(end users, 140a,140b,140c)에게 제공하고, 상기 종단 사용자들(140a,140b,140c)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향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상기 ODN(120)에 전송한다. 상기 종단 사용자들(140a,140b,140c)은 NT(Network Terminal)을 포함하여 상기 GE-PON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가입자망 종단 장치를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OLT(110)의 동적 대역 할당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기신호 "Sync"는 OLT(110)와 ONU(130A,130B,130C)간의 사이클(cycle) 주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로서, OLT(110)로부터 주기적으로 하향 전송된다.
상기 OLT(110)는 상기 등록된 다수의 ONU들(130A,130B,130C) 각각에게 그랜트(Grant)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기 다수의 ONU들(130A,130B,130C) 각각이 대역 할당을 요구할 기회를 부여한다.
상기 대역 할당을 요구할 기회를 받은 ONU(130A,130B,130C)는 다음 주기의 대역 할당 요구 시작 시점에 현재 전송 대기 중인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 사이즈 정보를 포함한 대역 할당 요구 프레임을 상향 전송한다. 대역 할당 요구 상향 전송 기회를 받은 ONU(130A,130B,130C)는 상기 대역 할당 요구 프레임을 전송한 후 전송 시간 길이동안 전송 대기 중인 데이터를 이어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가비트 이더넷의 경우는 PON에서 사용될 TDM 방식의 상향 전송이 일정한 셀로 구분되는 ATM-PON 에 비해 QoS 측면이나 상, 하향 프레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기술적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ON 구조에서 기가비트 이더넷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ONU 간의 공평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와 연결된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의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은,
각각 하나의 뿌리 노드와 다수의 가지 노드를 갖는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ontrol Node : DBACN)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는 트리 형성 과정과;
가지 노드로부터의 대역 요청 정보를 취합하며, 취합된 대역 요청 정보를 뿌리 노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최하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요청 취합 과정과;
가지 노드들에게 할당 대역을 분배하는 단계를 최상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역 할당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E-PON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OLT의 동적 대역 할당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RGA(Tree Request Grant Algorithm)를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을 모델링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N 개의 ONU로부터 수신된 대역 요청 정보(또는, 큐 정보)를 가지고 해당 OLT에서 각 ONU에게 동적으로 대역을 할당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ONU로부터 동적 대역 할당을 위해 전송된 큐 정보를 통해 해당 OLT는 효율적이고, 공평성이 있도록 대역을 할당해야만 한다. 이러한 요청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해서 각 ONU 사이의 정보 전달 연결 구조가 트리 구조로 연결되어 전달될 때 효율적인 동적 대역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트리 구조를 이루는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를 정의하고 내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RGA(Tree Request Grant Algorithm)를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을 모델링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은 트리 형성 과정과, 요청 취합 과정과, 대역 할당 과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트리 형성 과정은 TRGA를 구현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에 해당한다.
Ⅰ. 트리 형성 과정(초기화 과정)
도 3에 도시된 트리 구조는 ONU(210A,210B,...210H)의 개수가 8일 때를 가정하고 있으며, 상기 트리 구조는 계층을 이루는 다수의 레벨(230A,230B,230C)로 구성되며, 상기 각 레벨은 하나 이상의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ontrol Node : DBACN)(220A,220B,...220G)로 이루어진다. 상기 DBACN(220A,220B,...220G)은 실제 네트워크 상의 노드가 아니라 알고리즘 수행 상의 특정 단계를 나타낸다. 즉, 상기 ONU들(210A,210B,...210H)로부터 대역 요청 정보를 받는 제2 레벨(230B)부터가 TRGA의 시작이며, 이후의 모든 과정은 실제로는 OLT의 스케쥴러에서 발생하는 알고리즘의 수행이다.
상기 트리 구조를 이루는 상기 각 DBACN(220A,220B,...220G)은 TRGA(Tree Request Grant Algorithm)에 따라 상위 DBACN(220A,220B,...220G)와 하위 DBACN(220A,220B,...220G), 또는 ONU(210A,210B,...210H),로 전송할 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각 DBACN(220A,220B,...220G)을 중심으로 그 상위 DBACN(220A,220B,...220G)을 뿌리 노드, 그 하위 DBACN(220A,220B,...220G), 또는 ONU(210A,210B,...210H),을 가지 노드라고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DBACN(220A,220B,...220G)은 자신의 하위 DBACN(220A,220B,...220G)에게는 뿌리 노드가, 자신의 상위 DBACN(220A,220B,...220G)에게는 가지 노드가 된다. 또한 각 DBACN(220A,220B,...220G)은 트리 상위 방향과 트리 하위 방향으로의 입출력 구분이 있다. 상위 방향으로의 입출력들은 다음과 같다. 가지 노드로부터의 대역 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두 개의 입력들 BWLREQ, BWRREQ과 이 입력들의 합을 자신의 뿌리 노드로 전달하는 상위 방향으로의 출력 BWTREQ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하위 방향으로의 입출력들은, 뿌리 노드로부터의 대역 할당 정보인 입력 BWTALLOC과, 이를 하위단으로 전달하는 출력 BWLALLOC, BWRALLOC이다.
Ⅱ. 요청 취합 과정
BWLREQ과 BWRREQ는 각각 왼쪽과 오른쪽 가지 노드로부터의 대역 요청 정보들을 나타낸다. 이 값을 합하여 BWTREQ로서 뿌리 노드로 전달한다. 이를 C-유사 코드 프래그먼트(code fragment)로 살펴보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BWTREQ= BWLREQ+ BWRREQ;// 상위 방향으로의 입출력
이 단계는 ONU들(210A,210B,...210H)의 대역 요청 정보가 제1 레벨(230A)을 구성하는 최상위 DBACN(220A)에 전달될 때까지 반복된다.
Ⅲ. 대역 할당 과정
최상위 DBACN(220A)은 그 하위의 DBACN들(220B,...220G)로부터의 전체 요청된 대역을 나타내는 BWTREQ과 전체 할당 가용 대역 BWAVAIL을 비교하여 그 중 작은 값을 선택한다. 이를 C-유사 코드 프래그먼트로 살펴보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BWTALLOC= MIN(BWTREQ, BWAVAIL); // BWTREQ와 BWAVAIL중에서 작은 값을 선택
이후, 그 뿌리 노드로부터 전달받거나 선택된 할당 대역을 그 가지 노드들에게 분배하는 단계가 최상위 DBACN(220A)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즉, 최상위 DBACN(220A)을 제외한 나머지 DBACN들(220B,...220G)은 뿌리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할당 대역을 가지 노드에게 다시 할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최하위 레벨(230C)을 구성하는 해당 ONU(210A,210B,...210H)에 대역이 할당될 때까지 이를 반복한다. 이 때, 방향 선택기(DIRECTION SELECTOR, 240)는 "DIRECTION"이라는 파라미터(parameter)의 값을 설정하며, 이에 따라서 BWTALLOC는 BWLALLOC와 BWRALLOC두 방향 중에서 한 방향으로만 할당된다. 만약, 한쪽 방향으로 대역을 할당하고 BWTALLOC이 남는다면 남은 대역은 다른 방향으로 할당한다. 상기 방향 선택기(240)는 각 레벨(230A,230B,230C)마다 서로 다른 주기의 클럭을 사용하여, 방향 선택을 번갈아 스위칭하여 양쪽 방향이 대역 요청을 처리할 기회를 동등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C-유사 코드 프래그먼트로 살펴보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IF(DIRECTION == LEFT) {// 이전 방향이 왼쪽이면
DIRECTION == RIGHT;// 현재 방향을 오른쪽으로 설정
} ELSE IF(DIRECTION == RIGHT) {// 이전 방향이 오른쪽이면
DIRECTION == LEFT;// 현재 방향을 왼쪽으로 설정
}
IF(DIRECTION == Left) {// 현재 방향이 왼쪽이면
IF(BWTallloc< BWLALLOC) {// 할당 대역이 요청 대역보다 작으면
BWLALLOC= BWTALLOC;
BWRALLOC= 0;// BWTALLOC를 모두 왼쪽 가지 노드에 할당함
} ELSE {// 할당 대역이 요청 대역 이상이면
BWLALLOC= BWLALLOC;// 요청 대역만큼 할당하고
BWRALLOC= BWTALLOC- BWLALLOC;// 나머지를 오른쪽 가지 노드에 할당
}
} ELSE IF(DIRECTION == Right) { // 현재 방향이 오른쪽이면
IF(BWTALLOC< BWRALLOC) {// 할당 대역이 요청 대역보다 작으면
BWRALLOC= BWTALLOC;
BWLALLOC= 0;// BWTALLOC를 모두 오른쪽 가지 노드에 할당함
} ELSE {// 할당 대역이 요청 대역 이상이면
BWRALLOC= BWRALLOC,// 요청 대역만큼 할당하고
BWLALLOC= BWTALLOC- BWRALLOC// 나머지를 왼쪽 가지 노드에 할당함
}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은 하기하는 바와 같은 이점들을 갖는다.
첫 째, 간단한 트리 구조를 적용하여 복잡한 동적 대역 할당 알고리즘의 동작속도를 고속화시켰다는 점이다.
둘 째, 할당 기회를 스위칭하여 받음으로써 요청된 대역 할당에 대하여 처리할 기회를 동등하게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역 할당을 하나의 방향으로만 하는 것은 부족한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 및 트래픽의 특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며, 선택 방향을 스위칭하는 것은 방향에 따른 대역 할당의 불균형을 제거하여 처리 기회의 균등 분배를 위한 것이다. 특히 버스티(busty) 특성을 가져 큐(queue)에 쌓이는 패킷의 입력율의 변화치가 높은 트래픽의 경우, 리소스의 양의 한계로 자신이 요구한 양보다 낮은 대역을 할당받게 됨으로써 버스티 특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 때, 처리 기회를 번갈아 갖는다면 상대적으로 큰 리소스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트래픽의 특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ONU 입장에서 볼 때 할당 기회가 2번에 1번 꼴로 오는 것이므로 큐에 쌓인 패킷은 기본적으로 한 주기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는 면이 있으나, 이는 기존의 일반적인 DBA 알고리즘들의 할당 결과가 한 번의 요청으로 요청된 대역을 대부분 모두 할당받지 못하여 요청 대역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한 주기 이상을 기다린 후 다시 요청 기회를 갖는다는 것을 생각할 때 이러한 지연에 따른 문제점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셋 째,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에서 각 방향에 요청된 대역 할당 후 남는 대역에 대해서는 반대편으로 할당하여 처리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처리율을 또한 향상 시킨다는 것이다.

Claims (5)

  1.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와 연결된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에 있어서,
    상기 OLT는, 각각 하나의 뿌리 노드와 다수의 가지 노드를 갖는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ontrol Node : DBACN)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고, 가지 노드로부터의 대역 요청 정보를 취합하며, 취합된 대역 요청 정보를 뿌리 노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최하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가지 노드들에게 할당 대역을 분배하는 단계를 최상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DBACN은 그 가지 노드들로부터의 전체 요청된 대역과 전체 할당 가용 대역을 비교하여 그 중 작은 값을 선택하고, 이를 가지 노드들에게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DBACN은 가지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지 노드에게 할당 대역을 우선적으로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DBACN은 그 가지 노드들을 하나씩 차례대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5.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상기 OLT와 연결된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의 동적 대역 할당 방법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뿌리 노드와 다수의 가지 노드를 갖는 동적 대역 할당 제어 노드(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ontrol Node : DBACN)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는 트리 형성 과정과;
    가지 노드로부터의 대역 요청 정보를 취합하며, 취합된 대역 요청 정보를 뿌리 노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최하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요청 취합 과정과;
    가지 노드들에게 할당 대역을 분배하는 단계를 최상위 DBACN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대역 할당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 알고리즘을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KR1020020054123A 2002-09-09 2002-09-09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KR10060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23A KR100605987B1 (ko) 2002-09-09 2002-09-09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JP2003315378A JP3793189B2 (ja) 2002-09-09 2003-09-08 ツリーアルゴリズムを使用した動的帯域幅割り当て方法及びこれを使用した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
US10/657,368 US7352759B2 (en) 2002-09-09 2003-09-08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method employing tree algorithm and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23A KR100605987B1 (ko) 2002-09-09 2002-09-09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29A true KR20040022529A (ko) 2004-03-16
KR100605987B1 KR100605987B1 (ko) 2006-07-26

Family

ID=3198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23A KR100605987B1 (ko) 2002-09-09 2002-09-09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52759B2 (ko)
JP (1) JP3793189B2 (ko)
KR (1) KR100605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771B1 (ko) * 2002-11-04 2004-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pon에 있어서 상향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그 장치
KR100534418B1 (ko) * 2002-12-24 2005-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pon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256B2 (en) * 2001-07-24 2004-10-12 Glory Telecommunications Co., Ltd. Automatic bandwidth adjustment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7636354B2 (en) * 2004-12-11 2009-12-22 Alcatel Lucent Deriving passive optical network port identifiers
US7453804B1 (en) * 2005-02-08 2008-11-18 Packeteer, Inc. Aggregate network resource utilization control scheme
WO2006106499A2 (en) * 2005-04-04 2006-10-12 Passave Lt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based on partial cycles
US20070019957A1 (en) * 2005-07-19 2007-01-25 Chan Kim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and EPON master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76872B2 (en) * 2005-10-19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hop wireless mesh networ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KR100737523B1 (ko) * 2005-12-05 2007-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QoS보장을 위한 대역 할당장치 및 방법
JP4168059B2 (ja) * 2006-04-10 2008-10-22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Ponシステムおよび局側装置
CN102196322B (zh) * 2010-03-12 2015-06-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Epon系统的光功率调整方法及光线路终端
JP5257623B2 (ja) * 2010-03-27 2013-08-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局側装置、集線部、通信システムおよび帯域割り当て方法
US8437355B1 (en) * 2010-11-04 2013-05-07 Adtra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business and residential services in optical networks
JP5634275B2 (ja) * 2011-01-17 2014-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における帯域制御方法
JP5276143B2 (ja) * 2011-06-01 2013-08-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
EP2645735B1 (en) * 2012-03-29 2014-04-23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scheduling in a multi-process environment
CN102664753B (zh) * 2012-04-17 2015-12-02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转发树生成方法及其装置
CN109428762B (zh) * 2017-09-05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带宽调度方法及装置
CN107770091B (zh) * 2017-09-15 2020-08-04 北京国电通网络技术有限公司 电力光纤到户带宽分配方法及装置
US10009673B1 (en) * 2017-09-15 2018-06-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Efficient CPRI transmission
CN109728927B (zh) * 2017-10-30 2021-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延优化方法、业务调度方法及存储介质
JP7052646B2 (ja) * 2018-08-29 2022-04-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模擬信号光生成装置及び模擬信号光生成方法
CN113938770B (zh) * 2020-06-29 2023-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多级无源光网络的带宽调度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722A (ja) 1991-09-02 1993-03-12 Hitachi Cable Ltd パケツト中継方式
JPH10336188A (ja) 1997-05-28 1998-1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伝送システム
JP2000312208A (ja) * 1999-04-27 2000-11-07 Fujitsu Ltd 帯域設定方式
JP3795254B2 (ja) * 1999-05-21 2006-07-12 富士通株式会社 Atm−ponにおける上り送信速度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2077212A (ja) * 2000-09-01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多分岐通信システム
KR20020033362A (ko) * 2000-10-31 2002-05-06 오길록 비동기 전송모드 수동광 네트워크상에서의 매체접속제어용신호의 프레임 구조 및 매체접속제어 방법
US20030039211A1 (en) * 2001-08-23 2003-02-27 Hvostov Harry S. Distributed bandwidth allocation architecture
KR100584420B1 (ko) * 2002-03-11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동적 대역폭할당방법
KR100566294B1 (ko) * 2002-05-10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동적 대역폭할당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771B1 (ko) * 2002-11-04 2004-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pon에 있어서 상향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그 장치
KR100534418B1 (ko) * 2002-12-24 2005-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pon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93189B2 (ja) 2006-07-05
KR100605987B1 (ko) 2006-07-26
US7352759B2 (en) 2008-04-01
JP2004104794A (ja) 2004-04-02
US20040057462A1 (en)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987B1 (ko)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 동적 대역 할당 방법 및 이를채택한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
US7539211B2 (e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method considering multiple services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Sherif et al. A novel decentralized Ethernet-based PON access architecture for provisioning differentiated QoS
Leligou et al. Efficient medium arbitration of FSAN‐compliant GPONs
EP2467978B1 (en) Method for soft bandwidth limiting i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US8526815B2 (e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congestion management in PON channel aggregation
KR100666989B1 (ko) Epon 시스템 및 epon 시스템의 트래픽 스케줄링방법
KR100651364B1 (ko) 기가 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전송대역폭할당 방법
CN100571081C (zh) 一种无源光网络级联系统及其光线路终端
Chen et al. Efficient and fine scheduling algorithm for bandwidth allocation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0584420B1 (ko)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동적 대역폭할당방법
CN109348315B (zh) 基于时分复用的调节带宽分配参数的动态带宽分配方法
Angelopoulos et al. An optical network architecture with distributed switching inside node clusters features improved loss, efficiency, and cost
US8295700B2 (en) Distributed packet switch for use in a network
Radzi et al. Recent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methods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kubic et al.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 EPON and GPON
Choudhury et al. Efficient queue base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scheme for Ethernet PONs
KR100503417B1 (ko) 이더넷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QoS 보장형 스케쥴링시스템 및 방법
Ozimkiewicz et al. Evaluation of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s in GPON networks
Zhang et al. Delay constraint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Yang et al. QoS provisioning in the EPON systems with traffic-class burst-polling based delta DBA
EP1993239A1 (en) A Distributed Packet Switch for use in a Network
Ngo et al. A priority-based multiservice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Naser et al. A fast class-of-service packet scheduling for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Prahmkaew Performance Evaluation of Adaptive Rate Control (ARC) over Ethernet Based PONs (EP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