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424A - 재생 수지제 형틀 - Google Patents

재생 수지제 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424A
KR20040022424A KR10-2003-7014958A KR20037014958A KR20040022424A KR 20040022424 A KR20040022424 A KR 20040022424A KR 20037014958 A KR20037014958 A KR 20037014958A KR 20040022424 A KR20040022424 A KR 20040022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ecycled resin
resin
concrete
fa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쿠무라고우이치
고타니가즈야
미즈타니요시노부
오치아이겐이치로
엔도슈니치
Original Assignee
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2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8Scaffoldings or removable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락톤 중합체,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 및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배합하여 된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을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에 성형한 것은 재생 수지, 예를 들면 폐PET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지지체 등을 사용한 형틀의 설치나, 타설 후 그들을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은 성형가공성이 개량되고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재생 수지제 형틀{Form made from recycled resin}
종래부터 건물을 건축할 때에는 가장 아랫부분에 지지 지반에 자중을 전달하기 위한 콘크리트제 기초가 먼저 축조된다. 콘크리트제 기초는 지면을 굴삭하여 깔자갈(hollow ballast), 고르기 콘크리트(leveling concrete)를 타설하고, 지중보 및 베이스 등을 배근하여 형틀을 조립해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축조되지만, 형틀의 측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속의 잉여수와 공기(일반적으로 화이트 와쉬(white wash)라 불리우고 있는 시멘트 성분을 약간 포함하는 물)를 신속하게 외부로 빼낼 수 있는 금속제 그물형상의 팽창식 라스 형틀(lath form)이 알려져 있다. 상기 금속제 라스 형틀은 한 쌍의 라스 형틀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경화한 후 재사용하기 위해 콘크리트로부터 떼어낸다. 그러한 이유로 설치에 사용한 다수의 지지체를 라스 형틀로부터 떼어낼 때 라스 형틀로부터 유출된 화이트 와쉬가 그 형틀의 하단(下端)부분 바깥쪽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그것을 제거하면서 지지체를 떼어낸다. 상세하게는, 금속제 라스 형틀로부터 유출된 시멘트풀(cement paste)로 인해 지지체의 하부는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매설부를 파낼 필요가 있어 그 작업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했다. 또한, 종래의 금속제 라스 형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하단부분의 위치결정용 고정구(fastening hardware) 및 상단(上端)부분의 위치결정용 고정구를 필요로 하여 부품 개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경우가 있었다.
한편, 재질에 대해서는 각종 폐플라스틱의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내수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성형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통상 PET로 약칭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가볍고 튼튼하며,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음료병으로서 대량으로 제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용기 포장 재활용법이 시행되는 등 플라스틱에 관해서는 재활용을 행하는 시책이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세계적인 추세를 보아도 PET병의 재활용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PET 재생재는 성형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통상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범용 수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출성형법을 사용하여 성형품으로 가공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러한 이유로 PET 재생재의 사용 용도가 제한되어 PET 재생재의 활용이 반드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PET 재생재는 회수된 음료병, 섬유, 필름 등을 분쇄하기 때문에 통상은 부정형이거나 판형상(flake-like shapes)으로 부피가 커서 수송 효율이 나쁘다. 따라서, 수송 효율을 고려하면 PET 재생재는 펠릿형상(pellet-like shapes)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성형가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펠릿을 제조하는 것은곤란하여 각종 성형품을 얻을 때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성이나 압출가공성 등의 성형가공성이 개량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재생 수지제의 콘크리트용 형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상기와 같은 형틀에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3057777호에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은 성형성이 나쁜 재생 PET의 성형성 등을 개량하여 사용하는 것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시사된 바도 없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재생 수지제 형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성이나 압출가공성 등의 성형가공성이 개량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로 된 콘크리트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 등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i) 폴리에스테르 재생재에 대해 특정량의 락톤 중합체 및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추가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한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재료에 관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
(ii)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용 형틀의 제조를 검토하고, 투수(water-pervious) 라스 형틀, 플레이싱 라스 형틀(placing lath form), 투수 다공 형틀, 플레이싱 다공 형틀, 투수 리브부착(ribbed) 다공 형틀, 플레이싱 리브부착 다공 형틀 등의 형틀을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것.
(iii) 그 중에서도 리브부착 다공 형틀은 설치할 때 형틀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충전 후에 지지체를 떼어내는 것이매우 용이해지는 것.
(iv) 특히, 리브가 콘크리트의 타설면과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틀의 구조로 하면 보강목 등의 형틀 지보재 대용이 되거나, 형틀재의 강성(剛性)을 높여 축조한 기초의 폭이 리브부분에서 감소되어 강도적으로 불리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또한 기초의 폭이 리브부분에서 반대로 확대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성능에 있어서 유리해지고, 또한 각 리브의 돌출부에 다수의 공기빼기용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리브부분 등에도 공기가 남지 않아 미충전의 공극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
즉, 본 발명의 제1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틀로서, 형틀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 100중량부, 락톤 중합체(B) 0.5~20중량부,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 0.5~30중량부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폴리올레핀 수지(D) 0.5~30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로 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는 본 발명의 제1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가 적어도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에 있어서,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가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된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의 블록으로 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의 부분 수소첨가물을 에폭시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D)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생 수지제 형틀이 콘크리트 기초부분을 타설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틀로서, 타설 후 지중계(地中系)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생 수지제 형틀이 투수 형틀, 플레이싱 형틀, 베니어 형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은 본 발명의 제6에 있어서, 투수 형틀이 라스 형틀, 다공 형틀, 리브부착 다공 형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은 본 발명의 제6에 있어서, 플레이싱 형틀이 라스 형틀, 다공 형틀, 리브부착 다공 형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는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에 있어서, 투수 라스 형틀 및 플레이싱 라스 형틀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로 된 띠, 끈 또는 실이 물빼기가 가능한 그물형상으로 조합되고 융착되어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面材)(1)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은 본 발명의 제6에 있어서, 투수 다공 형틀 및 플레이싱 다공 형틀이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1)에 잉여수와 공기 빼기용 관통구멍(4)가 다수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은 본 발명의 제7 또는 제8에 있어서, 면재(1)의 하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 또는 면재(1)의 상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동일한 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a) 및 필요에 따라 면재(1)의 좌단(左端) 또는 우단(右端)에 면재(1)과 동일면 상에 또는 면재(1)과 직각으로 플랜지부분(2')가 설치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는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투수 리브부착 다공 형틀 및 플레이싱 리브부착 다공 형틀이, 세로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리브(3)이 형성된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1)의 평탄부분(1')에 관통구멍(4)가 다수 설치되고, 각 리브(3)이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동일한 쪽 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필요에 따라 다수의 공기빼기 구멍(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은 본 발명의 제10에 있어서, 면재(1)의 하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 또는 면재(1)의 상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동일한 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a)가 형성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는 본 발명의 제10 또는 제11에 있어서, 리브(3)이 면재(1)의 하단보다 약간 위쪽 위치부터 상단까지, 또는 상단보다 약간 아래쪽 위치부터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는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변형 가능한 두께로 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6은 본 발명의 제9 또는 제11에 있어서, 플랜지부분(2)에 고정구멍(5)가 형성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7은 본 발명의 제9, 제11 또는 제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재(1)과 플랜지부분(2) 또는 (2a)가 이루는 각이 90°보다 약간 작은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8은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통구멍(4)의 구멍 가장자리부분이 면재(1)에 대해 약간 통형상으로 돌출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9는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통구멍(4)의 구멍 가장자리부분이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된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0은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재(1)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1은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통구멍(4)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그 직경 또는 최대변이 5~15 mm인 재생 수지제 형틀을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로서 하단 형틀(lower end form)(6-1)로서 사용되는 것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로서 상단 형틀(upper end form)(6-2)로서 사용되는 것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방향에서 본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상하방향 중간에 위치되는 중간 형틀(6-3)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에 사용되는 스페이서(9)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에 의한 형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다른 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의 상단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쌍의 하단 형틀(6-1)에 의한 형틀 하단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와 그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형틀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와 그의 B-B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I. 먼저, 본 발명에 형틀용 재료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디카르복실산 화합물과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중축합, 옥시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중축합 또는 이들 세 성분 화합물의 중축합 등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로서, 호모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탄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과 같은 공지의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알킬, 알콕시 또는 할로겐 치환체 등이다. 또한, 이들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은 에스테르 형성 가능한유도체, 예를 들면 디메틸 에스테르와 같은 저급 알코올에스테르의 형태로 중합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예를 나타내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디히드록시페닐, 나프탈렌디올, 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시클로헥산디올,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디에톡시화 비스페놀 A와 같은 디히드록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들의 알킬, 알콕시 또는 할로겐 치환체 등으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옥시카르복실산의 예를 나타내면, 옥시안식향산, 옥시나프토산, 디페닐렌옥시카르복실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알킬, 알콕시 또는 할로겐 치환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에스테르 형성 가능한 유도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외에 3관능성 모노머, 즉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롤프로판 등을 소량 병용한 분지 또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해당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공지의 가교, 그래프트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변성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모노머 성분으로서 중축합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모두 해당하고, 더욱이 이들을 2종류 이상 혼합한 것도 해당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는 적어도 PET를 포함하고 있는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PET가 주성분인 것, 특히 PET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PEN은 와이어(wire) 대체용 플라스틱 와이어에도 사용할 수 있다.
PET는 통상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예를 들면 디메틸 에스테르, 모노메틸 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원료로 하여 촉매 존재하에 가열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지는 테레프탈산의 글리콜 에스테르를 촉매 존재하에 소정의 중합도까지 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음료병, 섬유, 필름 또는 컨테이너 등의 대형 성형품 등의 제품으로서 사용된 것을 다시 이용하기 위해 회수하여 처리한 것을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라 칭한다. 이것은 재생재나 재활용 수지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는 재생 처리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품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음료병, 섬유, 필름, 성형품 등의 재생 처리품을 들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제품으로서 사용되지 않아도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필름의 단재(end material), 사출성형품의 게이트 및 러너 부재(runner members) 등의 재생재도 사용할 수 있다.
락톤 중합체(B)
본 발명에 사용되는 락톤 중합체(B)로서는 탄소수 4~11의 락톤의 개환중합으로 얻을 수 있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4~11의 락톤으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폴리 ε-카프로락톤을 들 수 있다. 또한 ε-카프로락톤 이외에 발레로락톤이나 글리콜리드, 락티드 등의 코모노머를 사용한 공중합체도 락톤 중합체로서 사용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이외의 락톤 중합체로서 말단기가 봉쇄되어 있는 폴리카프로락톤(이하, 간단히 말단 봉쇄 폴리카프로락톤이라고 한다)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락톤 중합체(B)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례를 들면, 락톤 모노머에 중합개시제를 가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촉매를 첨가하여 120~230℃, 바람직하게는 140~220℃에서 수시간 교반하에 반응시킴으로서 얻어진다.
락톤 중합체(B)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물 또는 수산기 말단을 갖는 화합물로, 수산기 말단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헥실 알코올, n-헵틸 알코올, n-옥틸 알코올, n-노닐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등의 1가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에틸렌 글리콜, 2-메틸-1,2-프로판디올, 피나콜, β-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글리콜류, 글리세린, 1,2,3-부탄트리올, 1,2,3-펜탄트리올 등의 3가 알코올류, 코발트화,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4가 알코올류, 페놀, 비스페놀-A, 2,4,6-트리브로모페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등의 방향족 알코올류, 안식향산, p-메틸안식향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2,3,4-트리브로모안식향산, 펜타브로모안식향산 등의 1가 카르복실산류,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린디카르복실산, 4,4'-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인산, 데카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로프탈산, 테트라브로모테레프탈산 등의 2가 카르복실산류, 트리카르발릴산, 트리멜리신산, 트리멜리트산 등의 3가 카르복실산류, 피로멜리트산 등의 4가 카르복실산류, ε-옥시카르복실산, 히드록시에톡시안식향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중합촉매로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의 금속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디부틸주석 옥시드, 디부틸주석 라우레이트, 옥틸산 주석, 염화 제1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의 사용량은 출발원료에 대해 0.1~1,000 ppm, 바람직하게는 0.5~500 ppm이다.
락톤 중합체(B)의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 1,000~500,000, 바람직하게는 5,000~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이다. 락톤 중합체(B)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의 성형가공성을 개량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500,000보다 크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로의 용융 혼련이 곤란하다.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된 블록과 공연 디엔 화합물로 된 블록으로 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의 부분수소첨가물을 에폭시화한 것이다.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과 공연 디엔 화합물의 중량비(블록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25/75~95/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75~80/2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800,000의 범위이고, 분자량 분포[중량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는 10 이하이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구조는 직쇄형상, 분지형상, 방사형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X-Y-X, Y-X-Y-X, (X-Y-)4Si, X-Y-X-Y-X 등의 구조를 갖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X) 블록-공역 디엔 화합물(Y) 블록 공중합체이다. 더욱이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의 공역 디엔 화합물의 불포화 결합은 부분적으로 수소첨가한 것이어도 된다.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p-제3급 부틸스티렌, 디비닐벤젠, p-메틸스티렌, 1,1-디페닐스티렌 등 중에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역 디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페닐-1,3-부타디엔 등 중에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이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상기한 구조를 갖는것이라면 어떠한 제조방법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40-23798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51-33184호 등의 각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리튬촉매 등을 사용하여 불활성 용매 중에서 비닐 방향족 화합물-공역 디엔 화합물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더욱이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42-870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제(소)43-6636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소)59-13320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불활성 용매 중에서 수소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첨가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부분적으로 수소첨가한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는 상기의 블록 공중합체를 불활성 용매 중에서 하이드로퍼옥시드류, 과산류 등의 에폭시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과산류로서는 과포름산, 과초산, 과안식향산을 예시할 수 있다. 하이드로퍼옥시드류의 경우, 텅스텐산과 가성소다의 혼합물을 과산화수소와, 또는 유기산을 과산화수소와, 또는 몰리브덴 헥사카르보닐을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와 병용하여 촉매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폭시화제의 사용량에는 엄밀한 제한은 없어,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최적량은 사용하는 개개의 에폭시화제, 목적으로 하는 에폭시화도, 사용하는 개개의 블록 공중합체 등의 가변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얻어진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의 단리는 적당한 방법, 예를 들면 빈 용매(poor solvent)에서 침전시키는 방법, 중합체를 열수 속에 교반하에 투입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하는 방법, 직접 탈용매하는 방법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얻어진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의 에폭시 당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320~8000이다.
폴리올레핀 수지(D)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D)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1-부텐, 폴리 1-펜텐 등의 올레핀 중합체 및 그 혼합물;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등의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M,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EPDM, EPD, EPT) 등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그 혼합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 중합체와의 혼합물; 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른 비닐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의 2종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각 성분의 배합량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 100중량부당 락톤 중합체(B) 0.5~20중량부,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 0.5~30중량부 및 필요에 따라 폴리올레핀 수지(D) 0.5~30중량부를 배합하여 된다. 여기에서 락톤 중합체(B)가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해 0.5중량부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로의 성형성 개량효과가 없고, 20중량부보다 많아지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불이익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제로서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 또는 다른 수지 첨가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수지 첨가제로서는 안정제, 착색제, 내후제(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증량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합성 수지섬유 등의 보강재, 기타 첨가제를 들 수 있다. 투명성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활석, 점토 등의 무기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성형방법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은 통상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 락톤 중합체(B),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 및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D), 더 나아가서는 기타 첨가제를 압출기, 반죽기(kneader), 롤 또는 밴버리 믹서(benbury mixer) 속에서 용융 혼련하는 방법, 또는 입자형상 물질끼리 균일하게 기계적으로 혼합한 후 직접 사출성형기로 혼합하는 동시에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은 펠릿으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고, 압출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형 등에 의해 성형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성형품은 기계적 강도 외에 내열성, 전기절연성도 우수하다.
II. 이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용 형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은 콘크리트용 형틀의 재료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은 상기 재료를 사용한 것이라면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은 구체예로서는 투수 라스 형틀, 플레이싱 라스 형틀, 투수 다공 형틀, 플레이싱 다공 형틀, 투수 리브부착 다공 형틀, 플레이싱 리브부착 다공 형틀, 베니어 형틀이나 그것에 관련된 패널, 플라스틱 와이어 등으로서 사용된다. 형틀의 치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조립에 편리한 크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세로, 가로의 치수가 30, 60, 90, 120, 180, 240 cm인 조합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cm×120 cm, 60 cm×180 cm, 90 cm×180 cm 등을 들 수 있다. 두께는 0.5~10 mm, 바람직하게는 라스 형틀은 3~6 mm, 다공 형틀은 1~3 mm, 베니어 형틀은 3~6 mm의 판형상의 재료로서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콘크리트용 형틀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은 판형상의 면재(1) 상에 바람직하게는 잉여수와 공기 빼기용 관통구멍(4)가 다수 설치된다. 관통구멍(4)의 횡단면은 투수 라스 형틀, 플레이싱 라스 형틀, 투수 다공 형틀, 플레이싱 다공 형틀, 투수 리브부착 다공 형틀, 플레이싱 리브부착 다공 형틀 등 어느 것에 있어서도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D자형, 별형 등이어도 상관없지만 그 직경 내지 상당 직경, 또는 최대 변길이는 1~15 mm, 바람직하게는 2~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mm 정도로, 이 범위로 함으로써 콘크리트 믹서로부터 콘크리트 압송기 및 호스를 거쳐 형틀에 충전되는 통상의 콘크리트 유동상태로 막히지 않고 또한 콘크리트 자체의 유출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잉여수와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면재(1)의 평탄부분(1')에 가능한 한 많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면재(1)의 한쪽 끝에 플랜지부분(2)를 거의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은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형틀 전체 또는 적어도 면재부분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시공관리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품질이 높은 기초를 축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에 대해 간략하게 기재하기 위해 리브부착 다공 형틀을 대표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다른 형틀에도 적용되는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이하, 본 형틀이라 약칭한다.)의 일례로서 하단 형틀(6-1)로서 사용되는 것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형틀로서 상단 형틀(6-2)로서 사용되는 것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에서 본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2의 V-V선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형틀의 상하방향 중간에 위치되는 중간 형틀(6-3)으로서 사용되는 것의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형틀에 사용되는 스페이서(9)의 사시도, 도 8은 본 형틀에 의한 형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동 형틀의 다른 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동 형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상태의 상단부분 단면도, 도 11은 한 쌍의 하단 형틀(6-1)에 의한 형틀 하단부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하단 형틀(6-1)은 기초 콘크리트용 형틀 전체에 있어서 최하단에 위치되는 것이고, 도 2의 상단 형틀(6-2)는 그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며, 도 6에 나타내는 중간 형틀(6-3)은 그들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스페이서(9)는 한 쌍의 마주하는 형틀 사이에 개장(介裝)되는 것이다.
상기 형틀은 세로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리브(3)을 형성한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1)을 구비하고, 그 면재(1)의 평탄부분(1')에 상술한 다수의 관통구멍(4)가 설치된다. 그리고 면재(1)의 한쪽 끝에 플랜지부분(2)가 면재(1)과 거의 직각으로, 리브(3)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리브(3)은 단면 삼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또는 원뿔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면재(1)에는 다수의 관통구멍(4)가 서로 근접하여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관통구멍(4)는 형틀의 안쪽면 쪽(콘크리트 타설쪽)에 약간 깔때기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플랜지부분(2)는 면재(1)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각도가 직각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각 θ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각 θ는 5°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단 형틀(6-1) 한 쌍을 마주하게 했을 때 그 간격이 하단보다 위쪽이 약간 넓어지기 때문에, 그것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와이어나 스페이서로 조정하여 벽면 두께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형틀 폭은 그것을 확대하기 보다도 축소하는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작업성이 좋다. 따라서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면재(1)과 플랜지부분(2)가 이루는 각이 정해져 있다. 더욱이, 플랜지부분(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고정구멍(5)는 그 바깥면 쪽에 약간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관통구멍(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관통구멍(4)를 면재(1)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2에 나타내는 상단 형틀(6-2)는 면재(1)의 상단에 플랜지부분(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분(2a)는 하단 형틀(6-1)의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3)과 동일하게 플랜지부분(2a)가 형틀의 안쪽면 쪽으로 돌출된다. 플랜지부분(2a)에는 다수의 구멍(5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분(2a)와 면재(1)이 이루는 각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각보다도 약간 각 θ(5°정도)만큼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했을 때 그 플랜지부분(2a)의 가장자리부분을 제외하고 그것이 콘크리트내에 매설되기 때문에 외관이 좋은 기초 등의 마무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멍(5a)는 약간 그 구멍 가장자리부분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것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된 콘크리트에 그 통형상 돌출부가 매설되기 때문에 형틀과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이 증가한다.
또한, 관통구멍(4)의 구멍 가장자리부분을 깔때기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틀끼리 관통구멍(4)로 겹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의해 형틀끼리의 정합(整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형틀을 반송할 때 조밀하게 겹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중간 형틀(6-3)은 상기 하단 형틀(6-1), 상단 형틀(6-2)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분(2, 2a)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 면재(1)에 형성된 관통구멍(4), 리브(3)은 다른 형틀과 동일하다.
이어서, 한 쌍의 형틀 사이에 개장되는 스페이서(9)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목재 또는 플라스틱재,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기 재료로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막대부분(10)의 양 끝부분에 그것에 직교하여 각각 스토퍼부분(11)이 나비모양으로 바람직하게는 막대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스토퍼부분(11)의 밑동부분이 대체로 막대부분(10)의 직경 일부를 남기고 있다. 이것은 이 밑동부분에 있어서 와이어(와이어·세퍼레이터, 번선(annealing wire)이라고도 한다)(13)을 형틀에 돌려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재생 수지제 다공 형틀을 사용하여 기초의 매설부를 구성하는 순서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하단 형틀(6-1)을 고르기 콘크리트(20) 상에 설치하고 그 플랜지부분(2)의 고정구멍(5)에 콘크리트 못(19)를 박아넣어 하단 형틀(6-1)을 고르기 콘크리트(20) 상에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하단 형틀(6-1)은 플랜지부분(2)에 고정구멍(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형틀(6-1)을 고르기 콘크리트(20)에 매우 용이하게 또한 다른 고정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하게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부품 개수가 적은 형틀을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어서, 다수의 하단 형틀(6-1)을 기초에 따라 병렬로 배치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하단 형틀(6-1)의 이음매는 리브(3)에서 서로 일부 겹쳐진다. 이어서, 하단 형틀(6-1)의 상단부분을 중간 형틀(6-3)의 하단부분에 겹치고 두 형틀 사이를 와이어 등으로 고정한다. 더욱이 중간 형틀(6-3)의 상단부분에 상단 형틀(6-2)의하단부분을 겹치고 두 형틀 사이를 와이어 등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의 두께에 정합하여 한 쌍의 형틀을 배치하고 그들 사이에 다수의 스페이서(9)를 삽입하여 그 막대부분(10)의 양 끝을 면재(1)의 관통구멍(4)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스페이서(9)의 스토퍼부분(11)이 각 면재(1)에 맞닿도록 하여 하단 형틀(6-1)끼리 와이어로 고정한다. 동일하게 하여 상단 형틀(6-2)끼리, 중간 형틀(6-3)끼리 와이어(13)으로 고정한다. 그와 동시에 다수의 지지체(12)를 하단 형틀(6-1), 상단 형틀(6-2), 중간 형틀(6-3)의 바깥면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배치하고 마주하는 한 쌍의 형틀 사이에서 각각의 지지체(12) 사이를 와이어(13)으로 체결 고정한다. 또한, 상단 형틀(6-2)의 상단 바깥쪽에는 상단 지지재(14)가 배치되어, 그것이 상단 형틀(6-2)에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재(14)와 받침기둥(15)의 끝부분이 와이어(13)으로 체결 고정된다. 받침기둥(15)의 다른쪽 끝은 도시하지 않는 적절한 지지재에 고정된다.
또한, 상단 형틀(6-2)의 상단면을 소정의 높이로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소정 높이에 수평으로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수평실(leveling string) 등의 측정도구가 되는 것을 도 8에 있어서 상단 형틀(6-2)의 플랜지부분(2a)로 정합시킨다. 이때, 상단 형틀(6-2)의 하단부분은 중간 형틀(6-3)의 상단부분에 겹쳐진다. 그리고 상단 형틀(6-2)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중간 형틀(6-3)의 바깥면 쪽에 수평선을 그어 검게 표시하고, 이어서 상단 형틀(6-2)의 하단이 그 검게 표시된 수평선에 정합하도록 하여 상단 형틀(6-2)와 중간 형틀(6-3)사이를 관통구멍(4)에 관통한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체결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된 한 쌍의 형틀 사이에는 미리 도 9에 나타내는 철근(17)이 배치된다. 또한, 철근(17)의 하단은 스페이서 블록(18)을 매개로 하여 고르기 콘크리트(20) 상에 소정의 피복두께를 취하여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최하단에 위치하여 마주하는 하단 형틀(6-1)은 그 면재(1)과 플랜지부분(2)의 각이 90°보다 θ만큼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면재(1)은 형틀의 바깥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이 한 쌍의 하단 형틀(6-1) 사이에는 스페이서(9)가 개장되어 그것을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와이어(13)이 고정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 형틀(6-2)의 플랜지부분(2a)를 형틀의 상단에 일치시킴으로써 그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조립된 형틀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이 때 상단 형틀(6-2)의 플랜지부분(2a)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22)의 윗면(22a)에 매설된다. 왜냐하면, 플랜지부분(2a)와 상단 형틀(6-2)의 면재(1)과의 각이 90°보다 θ만큼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 그것이 고르기 콘크리트(20)의 내부에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충전된 콘크리트내에 포함된 여분의 수분 및 공기는 각 형틀의 다수의 관통구멍(4)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그 콘크리트의 경화를 기다린 후 와이어(13)을 절단하여 지지체(12)를 떼어내고, 이어서 기초 콘크리트(22)의 바깥쪽에 흙을 되묻는다. 또한, 지지체(12) 자체를 폐플라스틱재로 형성하면 그것을 떼어내지 않고 본 형틀과 함께 흙을 되묻으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형틀은 설치할 때 형틀을 지지하는 지지체(12)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충전 후에 지지체(12)를 떼어내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즉, 종래의 철망 모양의 라스 형틀과 같이 세로방향에 다수의 지지체를 대체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로방향의 지지체(12)의 밑동부분이 콘크리트 충전 후에 라스그물로부터 유출된 시멘트풀로 매설되지 않아 그 매설부의 시멘트풀 제거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사를 매우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형틀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면재(1)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분(2, 2a)의 존재에 의해 벽면의 상단 또는 하단의 위치결정이 매우 용이해진다. 즉, 그들의 플랜지부분(2, 2a)를 상단 또는 하단의 기준면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기초 콘크리트 등의 제작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버너 등의 열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가공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얇은 두께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의 코너부분 또는 요철에 정합시켜 형틀을 변형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더욱이, 그 변형에 있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공사를 조용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다른 일례의 설명도이다. 이 다공형상 형틀(6)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수평방향으로 뻗어있는 수평 리브(3')를 갖는 것이다. 이 다공형상 형틀(6)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했을 때 콘크리트내의 잉여수와 공기가 그 형틀의 바깥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합판에 의한 형틀에 비해 지지 강도를 약하게 해도 지장이 없다. 이 종류의 다공형상 형틀(6)은 조립이 용이한 동시에 다공형상 형틀(6) 자체를 떼어낼 필요가 없어 신속한 기초공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다공형상 형틀(6)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기초부분을 따라 홈형상으로 굴삭한 바닥부분에 고르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고르기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 서까래 또는 위치결정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형상 형틀(6)의 하단부분 위치를 결정하는 동시에 거기에 지지체(12)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다공형상 형틀(6)의 각 부분과 지지체(12)를 와이어(13)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한 쌍의 마주하는 다공형상 형틀(6) 사이에 적절한 스페이서를 매개로 하여 두 형틀의 간격을 일정간격으로 유지한다. 또한, 다공형상 형틀(6)의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위치결정용 고정구를 배치하여 그 상단 높이를 수평으로 뻗은 수평실에 맞추고, 이하는 상기 예와 동일하게 하여 조립된다.
도 13 (a)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3 (b)는 그 A-A 단면도이다. 도시한 형틀(6)은 가장 아랫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한 것과 리브의 돌출방향은 다르지만 동일한 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각 리브(3)은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들 돌출부에 다수의 공기빼기 구멍(7)이 각각 길이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공기빼기 구멍(7)의 직경은 0.5~5 mm, 바람직하게는 1~3 mm정도이다. 공기빼기 구멍(7)의 직경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막힘을 억제하면서 공기를 효율좋게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면재(1)의 하단에는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가 형성된다. 플랜지부분(2)에는 다수의 고정구멍(5)가 설치되고, 그 고정구멍(5)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콘크리트 못 등의 고정구로 형틀(6)을 굴삭한 홈 바닥의 고르기 콘크리트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형틀에 있어서 각 리브를 면재의 하단보다 약간 위쪽 위치부터 상단까지 형성하면 판재로부터 굽힘가공에 의해 플랜지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형틀(6)에 의해 콘크리트제의 기초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도 13의 형틀(6)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굴삭한 지지층의 고르기 콘크리트(도시하지 않는다) 상에 한 쌍의 형틀(6)을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위치를 결정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플랜지부분(2)에 설치한 다수의 고정구멍(5)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못 등의 고정구를 박아넣는다. 그에 의해 하단 형틀(6-1)이 형성된다. 또한, 형틀(6)은 미리 소정의 수치로 대량으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조정에 의해 직접 기초의 길이에 따라 그와 같은 형틀(6)을 목적으로 하는 장수만큼 기초의 길이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한다. 그 경우에 형틀(6)의 폭방향의 이음매는 리브(3)부분에서 일부가 서로 겹쳐진다.
이어서, 하단 형틀(6-1)에 있어서의 마주하는 각 형틀(6) 사이에 스페이서(9)를 삽입하고, 그 양 끝부분을 각 형틀(6)의 관통구멍(4)에 관통시켜 장착한다. 그 상태에서 형틀(6) 사이의 아랫부분 및 중간부분 2단을 각각 와이어(13)으로 고정한다. 와이어(13)은 형틀(6)의 관통구멍(4)를 관통시켜 형틀(6)의 바깥쪽에 수평으로 배치한 파이프로 된 지지체(12)를 이용하여 루프형상으로 고정한다.이 와이어(13)의 고정과 스페이서(9)에 의해 형틀 간격은 소정 값으로 정확하게 설정된다.
이어서, 기초의 높이가 형틀(6) 한 장의 높이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하단 형틀(6-1)의 상단부분을 상단 형틀(6-2)의 하단부분에 겹치고 그 부분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와이어(13)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단 형틀(6-2)는 플랜지부분(2)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13의 형틀(1)과 동일하게 구성된 형틀을 사용하여 그 아랫부분과 윗부분에 각각 스페이서(9)가 장착된다. 더욱이 상단 형틀(6-2)의 중간부분과 상단부분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와이어(13)으로 고정하지만 상단부분의 지지체(12)는 보강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은 목제의 두꺼운 각재(square timb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단부분의 지지체(12)에는 위치결정용으로서 주위의 고정 부재에 고정된 목제의 보강목 등으로 만들어진 보조 지지체(12')가 못이나 와이어 등에 의해 연결된다.
도 14의 예에서는 하단 형틀(6-1)의 상단부분을 상단 형틀(6-2)의 하단부분에 겹친 2단쌓기로 하였지만, 보다 등길이가 작은 기초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하단 형틀(6-1)만으로 충분하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형틀내에는 미리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이 배근되어 있다. 그리고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잉여수와 공기는 관통구멍(4)로부터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고, 리브(3)에 체류하는 공기는 공기빼기 구멍(7)로부터 동일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콘크리트의 경화 이후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도 15 (a)는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5 (b)는 그 B-B 단면도로, 도 1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예가 도 13의 예와 다른 부분은 각 리브(3)이 면재(1)의 하단보다 약간 위쪽 위치부터 상단까지 형성되고, 그 하단부분이 기울어져 평탄부분(1')에 달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그 리브(3)의 하측에 공간(29)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로 인해 판재로부터 굽힘가공에 의해 플랜지부분(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리브가 콘크리트 타설면과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틀을 사용하면 축조된 기초의 폭이 리브부분에서 감소하여 강도적으로 불리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기초의 폭이 리브부분에서 반대로 확대되기 때문에 성능적으로 유리해진다. 또한 각 리브의 돌출부분에 다수의 공기빼기용 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리브부분에 공기가 축적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실시태양도 개시한다.
(1)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한쪽 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다수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리브(3)을 갖는 면재(1)과 면재(1)의 길이방향의 한쪽 변에 설치된 플랜지부분(2)를 갖고, 면재(1)의 평탄부분(1')에 다수의 잉여수와 공기빼기용 관통구멍(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재생 수지제 형틀.
(2) (1)에 있어서, 면재(1)의 리브(3)을 제거한 면에 다수의 지그(jig)장착용 구멍을 갖고 있는 재생 수지제 형틀.
이로 인해, 다수의 지그장착용 구멍을 사용하여 지그장착이 행해지는 것 외에, 지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구멍도 사용하여 잉여수와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3) (1) 또는 (2)에 있어서, 리브(3)에 공기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재생 수지제 형틀.
이로 인해, 콘크리트를 흘려넣었을 때의 압력에 의해 재생 수지제 형틀 자체가 변형되지는 않는다.
(4) (1) 또는 (2)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면재의 리브(3)과 동일면쪽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리브(3)과 교차하여 설치되는 수평리브(3')을 갖고 있는 재생 수지제 형틀.
이로 인해, 재생 수지제 형틀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리브(3)과 수평리브(3')가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리브(3')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작용한다. 또한, 수평리브(3')에도 공기빼기 구멍(7)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흘려넣었을 때의 압력에 의해 재생 수지제 형틀 자체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태양을 포함하여 면재(1)과 플랜지부분(2)의 경계부분에 형틀 굽힘용 홈을 설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시공 등을 할 때 평면 상의 면재를 L자형으로 굽혀 플랜지부분(2)를 형성시킬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형틀재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수지제 형틀을 굽혀 사용할 때 또는 2개의 재생 수지제 형틀을다른 각도로 조합하여 사용할 때, 각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어 사용하는, 목적으로 하는 부위가 목적으로 하는 각도로 굽혀지고 또한 지그장착용 구멍을 갖는 각진 패널도 본 발명의 재생 수지제 형틀과 동일한 재료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은 지하 매설용 등에 사용되어 1회만 사용되는 묻어넣기 타입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되고, 지상에서 사용하여 수십회 내지 수백회 반복하여 이용할 수 있는 복수회 사용 타입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도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조예 및 제조 비교예에서 실시한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시험은 노치 시험편(notched test pieces)(3.2 mm 두께)을 제작하고, 23℃, ASTM D25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1~12]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Taisei Plastics Co., Ltd.제, PET), 락톤 중합체(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제, PLACCEL H7[수평균 분자량 70,000의 폴리 ε-카프로락톤]),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제, A1020[에폭시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수지(Sumitomo Chemical Co., Ltd.제, AZ564[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표 1및 표 2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텀블러(tumbler)로 혼합하였다. 그 후, 도시바(주)제 TEM35B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55℃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펠릿을 도시바(주)제 IS100P 사출성형기를 사용해 가공온도 255℃, 금형온도 25℃의 조건에서 시험편으로 성형하여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펠릿의 용융유속(Melt flow rate)을 270℃×2.16 kg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 제조예 1~4]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Taisei Plastics Co., Ltd.제, PET), 락톤 중합체(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제, PLACCELH 7[수평균 분자량 70,000의 폴리 ε-카프로락톤]),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Taisei Plastics Co., Ltd.제, A1020[에폭시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부분 수소첨가물(Asahi Kasei Cororation제, 터프텍(Tuftek))을 표 3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텀블러로 혼합하였다. 그 후, 도시바(주)제 TEM35B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55℃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펠릿을 도시바(주)제 IS100P 사출성형기를 사용해 가공온도 255℃, 금형온도 25℃의 조건에서 시험편으로 성형하여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펠릿의 용융유속 270℃×2.16 kg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조예의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은 펠릿화(입자만들기)와 사출성형을 문제없이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얻어진 사출성형품은 우수한 내충격 강도를 갖는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180 cm, 높이 60 cm, 두께 1.5 mm의 판형상 면재에 최대 외경 12 mm, 최소 내경 8 mm의 깔때기형상 통구멍이 다수 뚫린 평판형상의 다공 형틀을 성형하였다. 평판형상이지만, 깔때기형상 통구멍이 평판형상의 타설면과 반대쪽에 설치됨으로써 깔때기형상 통의 리브효과에 의해 평판의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겹쳐 보관하여 운반하는 데 편리하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180 cm, 높이 60 cm, 두께 1.5 mm의 판형상 면재에 직경 10 mm의 물빼기구멍이 다수 설치되고, 평탄부분에 반경 2 cm의 반구 모자형상 돌기가 타설면쪽에 소수 설치된 다공 형틀을 성형하였다. 반구 모자형상 돌기에 의해 콘크리트로의 형틀 밀착이 좋고 끝이 둥글기 때문에 노치효과는 보이지 않으며, 또한 겹쳐 보관하여 운반하는 데 편리하다.
[실시예 3]
높이 1 cm, 직경 1 cm(벽두께는 1.5 mm)의 원뿔 모자형상 돌기가 타설면에 대해 바깥쪽에 설치되고, 돌기의 끝에 직경 1 mm의 공기빼기 구멍을 설치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다공 형틀을 성형하였다. 돌기가 바깥쪽에 돌출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또한 겹쳐 보관하여 운반하거나 와이어로 지지체를 장착하는 데 편리하다. 또한, 돌기의 외경과 물빼기구멍의 내경을 동일하게 하였기 때문에 양자의 배치를 적절히 하여 성형함으로써 형틀 설치공사를 할 때 형틀끼리 겹쳐 연장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20 mm, 두께 1 mm의 테이프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다수의 테이프를 상하, 좌우로 직교하도록 겹쳐 열 프레스하여, 20 m의 장척 롤이고 높이 90 cm, 물빼기 사각형구멍(사각형구멍의 변길이 8 mm)을 형성한 띠형상 다공 형틀을 성형하였다. 장척이기 때문에 긴 기초부분에 일률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둥형상으로 감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버너 등으로 가열하면 직각을 포함하여 임의의 각도로 굽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띠형상 다공 형틀의 상단, 하단, 좌단, 우단 등에 면재의 연장방향 또는 면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플랜지 상에 설치된 사각형 돌기에 걸고 서로 겹치거나, 고르기 콘크리트부분 등에 고정시키거나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의 플랜지도 동일 수지제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90 cm, 두께 1 mm로 원형구멍(구멍직경 7 mm)이 뚫린 장척 시트를 성형하였다. 얻어진 장척시트는 상기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띠형상 다공 형틀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120 cm, 높이 60 cm, 두께 1.5 mm, 높이 10 mm의 정삼각형모양 리브를 상단부터 하단 부근 5 cm까지 연속하여 10 cm 간격으로 콘크리트 타설면쪽에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면재의 평탄부분에 구멍직경 10 mm인 다수의 공기 및 잉여수 빼기구멍을 설치하고, 더욱이 바닥부분에 바닥폭 10 cm의 고정용 플랜지부분을 설치한 리브부착 다공 형틀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120 cm, 높이 60 cm, 두께 3 mm, 바닥폭 10 cm의 사다리꼴모양 리브를 상단부터 하단 부근 5 cm까지 연속하여 30 cm 간격으로 콘크리트 타설면쪽과 반대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면재의 평탄부분에 구멍직경 10 mm인 다수의 구멍을 설치하며, 사다리꼴모양 리브의 꼭대기면부분에는 직경 2 mm의 공기빼기 구멍을 다수 설치하고, 더욱이 바닥부분에 바닥폭 10 cm의 고정용 플랜지부분을 설치한 리브부착 다공 형틀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수지를 사용하여 폭 90 cm, 높이 90 cm, 두께 3 mm의 베니어 형틀을 성형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형틀을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하게 하고, 지지체 등을 사용해 플랜지부분을 매개로 하여 고르기 콘크리트 상에 설치시키고, 그 사이에는 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형틀 사이에 프레시 콘크리트(freshly-mixed concrete)를 흘려넣어 경화시켰다. 어떤 형틀을 사용해도 콘크리트 기초를 지장없이 타설할 수 있었다. 지지체 등의 조립, 떼어내기 작업은 종래의 철망 팽창식 라스 형틀에 비해 간단하였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로 된 콘크리트용 재생 수지제 형틀은 사출성형성이나 압출가공성 등의 성형가공성이 개량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투수 라스 형틀, 플레이싱 라스 형틀, 투수 다공 형틀, 플레이싱 다공 형틀, 투수 리브부착 다공 형틀, 플레이싱 리브부착 다공 형틀 등의 형틀로서 이용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Claims (21)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틀로서, 형틀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 100중량부, 락톤 중합체(B) 0.5 내지 20중량부,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 0.5 내지 30중량부 및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D) 0.5 내지 30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로 된 재생 수지제 형틀.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A)가 적어도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폭시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C)가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된 블록과 공역 디엔 화합물로 된 블록으로 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의 부분 수소첨가물을 에폭시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D)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 수지제 형틀이 콘크리트 기초부분을 타설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틀로서, 타설 후 지중계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 수지제 형틀이 투수 형틀, 플레이싱 형틀, 베니어 형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7. 제6항에 있어서, 투수 형틀이 라스 형틀, 다공 형틀, 리브부착 다공 형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8. 제6항에 있어서, 플레이싱 형틀이 라스 형틀, 다공 형틀, 리브부착 다공 형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수 라스 형틀 및 플레이싱 라스 형틀이 폴리에스테르 재생 수지 조성물로 된 띠, 끈 또는 실이 물빼기가 가능한 그물 형상으로 조합되고 융착되어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1)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10. 제6항에 있어서, 투수 다공 형틀 및 플레이싱 다공 형틀이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1)에 잉여수와 공기 빼기용 관통구멍(4)가 다수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면재(1)의 하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 또는 면재(1)의 상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동일한 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분(2a) 및 필요에 따라 면재(1)의 좌단 또는 우단에 면재(1)과 동일면 상에 또는 면재(1)과 직각으로 플랜지부분(2')가 설치된 재생 수지제 형틀.
  12.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수 리브부착 다공 형틀 및 플레이싱 리브부착 다공 형틀이,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리브(3)이 형성된 사각형 판형상의 면재(1)의 평탄부분(1')에 관통구멍(4)가 다수 설치되고, 각 리브(3)이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같은쪽 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형성된 돌출부에 필요에 따라 복수의 공기빼기 구멍(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수지제 형틀.
  13. 제10항에 있어서, 면재(1)의 하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반대쪽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분(2) 또는 면재(1)의 상단에 콘크리트의 타설면(8)과 같은쪽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분(2a)가 형성된 재생 수지제 형틀.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리브(3)이 면재(1)의 하단보다 약간 위쪽 위치부터 상단까지, 또는 상단보다 조금 아래쪽 위치부터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는 재생 수지제 형틀.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변형 가능한 두께로 한 재생 수지제 형틀.
  16.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플랜지부분(2)에 고정구멍(5)가 형성된 재생 수지제 형틀.
  17. 제9항, 제11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재(1)과 플랜지부분(2) 또는 (2a)가 이루는 각이 90°보다 약간 작은 재생 수지제 형틀.
  18.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구멍(4)의 구멍 가장자리부분이 면재(1)에 대해 약간 통형상으로 돌출된 재생 수지제 형틀.
  19.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구멍(4)의 구멍 가장자리부분이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된 재생 수지제 형틀.
  20.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재(1)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생 수지제 형틀.
  21. 제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구멍(4)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그 직경 또는 최대변이 5~15 mm인 재생 수지제 형틀.
KR10-2003-7014958A 2001-05-18 2002-05-20 재생 수지제 형틀 KR20040022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8754A JP2004346482A (ja) 2001-05-18 2001-05-18 再生樹脂製型枠
JPJP-P-2001-00148754 2001-05-18
PCT/JP2002/004853 WO2002094934A1 (fr) 2001-05-18 2002-05-20 Forme faite de resine recycl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424A true KR20040022424A (ko) 2004-03-12

Family

ID=1899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958A KR20040022424A (ko) 2001-05-18 2002-05-20 재생 수지제 형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00177A1 (ko)
EP (1) EP1403321B1 (ko)
JP (1) JP2004346482A (ko)
KR (1) KR20040022424A (ko)
CN (1) CN1250645C (ko)
DE (1) DE60206627T2 (ko)
WO (1) WO20020949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770B1 (ko) * 2017-07-31 2018-07-25 (주)교하엔텍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무해체 옹벽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5609B2 (ja) * 2005-06-13 2012-05-09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製発泡シート、およびこのシート製容器の製造方法
WO2010074550A1 (en) * 2008-12-23 2010-07-01 Nan San Lee Assemblage formwork
JP2011032804A (ja) * 2009-08-05 2011-02-17 Takamura Sogyo Kk 擁壁用基礎ブロックの施工方法
US8984840B2 (en) * 2009-09-14 2015-03-24 Universal Floor & Wall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ediating and covering wood floors
WO2013005232A1 (en) * 2011-07-05 2013-01-10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Laced composite system
JP5871848B2 (ja) * 2013-03-27 2016-03-01 株式会社マルソウ 建築用型枠材の製造方法
WO2015130154A1 (es) * 2014-02-25 2015-09-03 Chávez Flores José Equipo de accesorios, que en conjunto y armados, forman moldes para recibir hormigón o similar, que construyen cubos, tales como dalas, castillos, cerramientos, columnas, trabes, guarniciones y losas y/o techos, en obras de construcción civil
US10815669B2 (en) * 2017-03-30 2020-10-27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Multifunction structural furring system
US11965330B2 (en) * 2020-11-18 2024-04-23 Arthur H. Bond Building system
DE102022122074A1 (de) * 2021-09-03 2023-03-09 Imprimere Ag Haltesystem für die halterung einer armierung oder armier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errichtung des haltesystems sowie verfahren zum vergiessen des halte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066A (en) * 1901-09-24 1902-07-08 Mark W Marsden Building material.
US849427A (en) * 1906-12-04 1907-04-09 James M Rude Metal lath.
US930255A (en) * 1908-09-17 1909-08-03 Elmer A Wilson Metal lath.
US1399088A (en) * 1920-08-09 1921-12-06 Seymour William Reinforced building unit
US1739473A (en) * 1927-07-28 1929-12-10 John W Gleason Ribbed expanded-metal lath
US1726696A (en) * 1928-01-11 1929-09-03 James H Dean Sheet lath
US1766857A (en) * 1928-11-12 1930-06-24 William E Van Dorn Metal car end
US1783196A (en) * 1929-03-30 1930-12-02 William G Purdy Lattice work and means for supporting the same
US1891240A (en) * 1930-07-30 1932-12-20 James W Pearce Ribbed lath
US3458168A (en) * 1966-11-03 1969-07-29 Airtherm Mfg Co Vented metal form or sheeting
US4074495A (en) * 1975-05-27 1978-02-21 Bodnar Ernest R Sheet metal panel
US4099359A (en) * 1976-06-24 1978-07-11 Sivachenko Eugene W High strength corrug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235197A (en) * 1978-12-20 1980-11-25 Curtis Carl F Surface decking
US4343119A (en) * 1979-06-18 1982-08-10 Caterpillar Tractor Co. Beveled lobe anti-skid grating
US4562678A (en) * 1984-01-26 1986-01-07 North American Agricultural, Inc. Grain bin flooring
US4695033A (en) * 1985-10-19 1987-09-22 Shin Nihon Kohan Co., Ltd. Modular panel for mold
JPH02504051A (ja) * 1987-06-05 1990-11-22 ジョン ライサグト (オーストラリア) リミテッド スチールとコンクリートの複合構造部材におけるアンカー装置
DE9106488U1 (de) * 1991-05-27 1991-07-11 Hoechst Trespaphan GmbH, 66539 Neunkirchen Verpreßter Formkörper aus Inertteilchen und hitzehärtbarem Harz
JPH06328420A (ja) * 1993-05-26 1994-11-29 Kuraray Co Ltd 木製コンクリート打込型枠用面板
JP3450035B2 (ja) * 1993-09-28 2003-09-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箱状の高剛性板金構造体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装置
US5529192A (en) * 1994-03-31 1996-06-25 Conen; Ella B. Display fixture system
US5528876A (en) * 1994-05-09 1996-06-25 Lu; Sin-Yuan Wall structure for buildings
JP2000154282A (ja) * 1998-11-20 2000-06-06 Daicel Chem Ind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6344508B1 (en) * 1998-11-20 2002-02-0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Reclaimed pet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thereof, an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6357191B1 (en) * 2000-02-03 2002-03-19 Epic Metals Corporation Composite deck
US6615555B2 (en) * 2000-06-30 2003-09-09 Michael Madden Light transmitting storm shutter system
US20030096882A1 (en) * 2000-08-09 2003-05-22 Kazutoshi Fujita Recycled-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fr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770B1 (ko) * 2017-07-31 2018-07-25 (주)교하엔텍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무해체 옹벽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6627T2 (de) 2006-07-20
US20040200177A1 (en) 2004-10-14
DE60206627D1 (de) 2006-02-23
JP2004346482A (ja) 2004-12-09
EP1403321B1 (en) 2005-10-12
EP1403321A4 (en) 2005-02-16
CN1509313A (zh) 2004-06-30
WO2002094934A1 (fr) 2002-11-28
EP1403321A1 (en) 2004-03-31
CN1250645C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2424A (ko) 재생 수지제 형틀
US20020011043A1 (en) Aesthetic, self-aligning shingle for hip, ridge, or rake portion of a roof
EP0462378B1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CN101240098A (zh) 硬质聚氯乙烯隔声屏障及制造工艺
US7166668B2 (en) Method of making a finished product
US20200087218A1 (en) Composite concre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concrete material
KR102077357B1 (ko) 특정 단면 구조를 갖는 성형체
JP2008031774A (ja) 地下貯水システム用充填部材
JP4834980B2 (ja) 成形材の製造方法
US20030096882A1 (en) Recycled-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from
CN114311486A (zh) 一种微发泡聚脂薄膜的制备方法及制备装置
JPH07108582A (ja) 一体型高強度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0319A (ko) 콘크리트 슬라브용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
JPH09124909A (ja) 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215978037U (zh) 一种填充墙
JPH0726123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品
JP4955430B2 (ja) 地下貯水システム用充填部材
KR102671106B1 (ko)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일체형 방수·방근 복합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형 방수·방근 시공방법
KR101836866B1 (ko) 친환경 재생재료 기반의 거푸집용 폼
JPH0716604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614936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組成物
JP2008266974A (ja) 地下埋設機器のカバーボックス
KR101720552B1 (ko) 폴리에스테르계 탄성 접착 수지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JP2003001719A (ja) ペット系ポリエステルの植生マ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447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