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370A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370A
KR20040022370A KR1020030010451A KR20030010451A KR20040022370A KR 20040022370 A KR20040022370 A KR 20040022370A KR 1020030010451 A KR1020030010451 A KR 1020030010451A KR 20030010451 A KR20030010451 A KR 20030010451A KR 20040022370 A KR20040022370 A KR 2004002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image carrier
process cartridge
stirring
conve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345B1 (ko
Inventor
사이키아츠나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Abstract

현상제가 수납되는 현상제 수납 공간을, 주사 광로를 구성하는 윈도우부(120)를 사이에 두고, 상방에 배치된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와, 하방에 배치된 제2 현상제 수납부(116b)로 분할한다. 이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와 제2 현상제 수납부(116b)는 윈도우부(120)의 양측에 설치된 현상제 통로(122a, 122b)를 거쳐 연통되고, 제 1 현상제 수납부(116a)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는 제1 교반/반송 부재(124)에 의해 현상제 통로(122a, 122b)에 유도되고, 현상제 통로(122a, 122b)를 거쳐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에 공급되고, 또한 제2 교반/반송 부재(130)에 의해 현상부의 중앙 부분에도 균등하게 반송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나로서, 주사 광로를 사이에 두고 클리닝 장치와 현상 장치를 상대적으로 상하의 위치 관계에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거의 수직 방향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하면서 전사/고정하는 태양으로 한 경우, 현상 장치가 주사 광로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높이를 저감하려면, 현상 장치가 주사 광로의 하측에 있기 때문에, 현상 장치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현상 장치에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를 가지므로, 이 현상제 수납부를 작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상제 수납 용량을 유지한 채로 장치를 소형화하기가 곤란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수납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현상제의 공급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화상 캐리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기기 유니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기기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기기 유니트를 나타내는, 배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9a~도9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사용한 제2 교반/반송 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화상 형성 장치
12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화상 형성 수단
16배출부
18a∼18d급지 유니트
22급지 카세트
32반송로
36고정 장치
38레지스터 롤러
42 전사 장치
44화상 캐리어
52경사부
54개방부
56대전 장치
58광학 기입 장치
60현상기기
62클리닝 장치
64프로세스 카트리지
66화상 캐리어 유니트
68현상 기기 유니트
70현상제 수납 공간
116a 제1 현상제 수납부
116b 제2 현상제 수납부
120윈도우부
122a, 122b현상제 통로
124 제1 교반/반송 부재
130제2 교반/반송 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화상 캐리어와, 이 화상 캐리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고, 현상제 수납 공간을 갖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잠상이 기입되는 상기 화상 캐리어의 잠상 기입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현상제 수납 공간을 제1 현상제 수납부와 제2 현상제 수납부에 상하 방향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현상제 수납부와 제2 현상제 수납부를 현상제 통로를 거쳐 연통시킨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다. 현상제 수납 공간을 잠상 기입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할했으므로, 잠상 기입 위치의 하방의 제2 현상제 수납부의 현상제 수납 용량을 작게 해도 제2 현상제 수납부에 수납되는 현상제에 의해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상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주사형 레이저 수광 장치를 사용한 경우는 이 주사형 레이저 노광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주사 광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제1 현상제 수납부와 제2 현상제 수납부와의 사이에 주사 광로를 구성하는 윈도우부를 형성하고, 제1 현상제 수납부와 제2 현상제 수납부가 이 윈도우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분리된다. 또, 이 윈도우부의 양측에 현상제 통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현상제 수납부에는 현상제를 중앙에서 양측으로 교반/반송하는 제1 교반/반송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교반/반송 부재는, 예를 들면 와이어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크랭크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축선 방향에서 보아 중앙부에서 양측을 향해 다른 감는 방향으로서,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현상제 수납부는 현상제를 양측으로부터 중앙에 교반/반송하는 제2 교반/반송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현상제의 양을 축방향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단, 현상제의 유동성이 좋은 경우는 제2 교반/반송 부재는 특별한 구조를 채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크랭크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는다.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 화상 형성 수단(14)이 탑재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후술하는 배출부(1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예를 들면 2단의 급지 유니트(18a, 18b)가 배치되어 있다.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방에는 광학 급지 유니트로서 착탈 장착되는 2단의 급지 유니트(18c, 18d)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급지 유니트(18a∼18d)는 급지 유니트 본체(20)와, 용지가 수납되는 급지 카세트(22)를 갖는다. 급지 카세트(22)는 급지 유니트 본체(20)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정면 방향(도1의 우측)으로 인출된다. 또, 급지 카세트(22)의 안쪽끝에 인접한 상부에는 너저 롤러(24)가 배치되고, 이 너저 롤러(24)의 전방에 리타드 롤러(26) 및 피드 롤러(2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옵션의 급지 유니트(18c, 18d)에는 각각 쌍을 이루는 피드 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32)는 최하단의 급지 유니트(18d)의 너저 롤러(24)로부터 배출구(34)까지의 용지 경로이고, 이 반송로(32)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이면(도1의 좌측면) 근방에 있어, 최하단의 급지 유니트(18d)의 피드 롤러(30)로부터 후술하는 고정 장치(36)까지 거의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다. 이 반송로(32)의 고정 장치(36)의 상류측에 후술하는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가 배치된다. 또한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의 상류측에 레지스터 롤러(3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로(32)의 배출구(34)의 근방에는 배출 롤러(4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유니트(18a∼18d)의 급지 카세트(22)로부터 너저 롤러(24)에 의해 송출된 기록 매체는 리타드 롤러(26) 및 피드 롤러(28)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로(32)로 유도된다. 이 유도된 기록 매체는 레지스터 롤러(38)에 의해 임시 정지된 다음, 적절한 타이밍을 조절하여 후술하는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를 통과해 현상제 화상이 전사되고, 이 전사된 현상제 화상이 고정 장치(36)에의해 고정되고, 배출 롤러(40)에 의해 배출구(34)에서 배출부(16)로 고정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가 배출된다.
단, 양면 인쇄의 경우는 이 기록 매체는 반전로(48)에 복귀된다. 즉, 반송로(30)의 배출 롤러(40)에 대한 전로부는 2갈래로 분리되고, 그 갈라진 부분에 전환 클로(4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갈라진 부분에서 레지스터 롤러(38)까지 돌아오는 반전로(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전로(48)에는 반송 롤러(50a∼50c)가 설치되어 있고,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전환 클로(46)가 반전로(48)를 개방하는 측으로 전환되고, 배출 롤러(40)에 기록 매체의 전단부가 걸리는 시점에서 배출 롤러(40)가 반전하고, 기록 매체가 반전로(48)에 유도되고, 레지스터 롤러(38),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 및 고정 장치(36)를 관통해 배출구(34)에서 배출부(16)로 배출된다.
배출부(1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선회 가능한 경사부(52)를 갖는다. 이 경사부(52)는 배출구 부분이 낮고, 정면 방향(도1의 우측)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배출구 부분은 경사부(52)의 하단으로, 높아진 선단이 그 상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경사부(52)는 하단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지지되어 있다. 도1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52)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열었을 때에는 개방부(54)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54)를 거쳐 후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64)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수단(14)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이 화상 형성 수단(14)에는 감광 부재로 이루어지는 화상 캐리어(44)와, 대전 장치(56)와, 광학 기입 장치(58)와, 현상 기기(60)와, 전사 장치(42)와, 클리닝 장치(62)와, 고정 장치(36)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 장치(56)는, 예를 들면 화상 캐리어(44)를 균일하게 대전할 수 있는 대전 롤러이다. 광학 기입 장치(58)는 이 대전 장치(56)에 의해 대전된 화상 캐리어(44)에, 광학적으로 잠상을 기입한다. 현상 기기(60)는 광학 기입 장치(58)에 의해 형성된 화상 캐리어(44)의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한다. 전사 장치(42)는 이 현상 기기(60)에 의한 현상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한다. 클리닝 장치(62)는 화상 캐리어(44)에 잔존하는 현상제를 클리닝하는, 예를 들면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고정 장치(36)는 전사 장치(42)에 의해 전사된 용지상의 현상제 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키는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로 이루어진다. 광학 기입 장치(58)는, 예를 들면 주사형의 레이저 노광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급지 유니트(18a∼18d)와 평행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정면 근방에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상 기기(60) 내부를 횡단 스캐닝하여 화상 캐리어(44)를 노광한다. 이 화상 캐리어(44)의 노광 위치가 잠상 기입 위치(P)가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 기입 장치(58)로서 주사형의 레이저 노광 장치를 이용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LED나 면 발광 레이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화상 캐리어(44), 대전 장치(56), 현상 기기(60) 및 클리닝 장치(62)를 일체화한 것이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배출부(16)의 경사부(52)의 바로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52)를 열었을때에 형성되는 개방부(54)를 거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와 현상 기기 유니트(68)로 착탈 가능하게 분리된다.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에는, 화상 캐리어(44), 대전 장치(56) 및 클리닝 장치(62)가 배치된다. 현상 기기 유니트(68)는, 예를 들면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 공간(70)을 갖는다. 이 현상제 수납 공간(70)의 상부는 도1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52)와, 경사부(52)의 하단에서 뻗은 수평면과, 경사부(52)의 상단으로부터 뻗은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영역(A) 내에 속하고 있다. 또, 현상제 수납 공간(70)을 구성하는 상부 벽면(72)은 경사부(52)를 따라 경사부(52)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부(52)의 하면에는 복수의 리브(74)가 경사부(52)의 경사 방향을 따라 평행으로 형성된다. 이 리브(74)가 형성됨으로써, 경사부(52)와 프로세스 카트리지(64)와의 사이에 유로(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76)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장치(36)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수납 공간(70)의 상부에는 파지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78)는 현상제 수납 공간(70)을 구성하는 상부 양측의 벽면이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64)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면,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이 파지부(78)를 쥐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2~ 도8에는 전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64)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64)는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와 현상 기기 유니트(68)로 구성되어 있고,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와 현상 기기 유니트(68)는 결합핀(80a, 80b)을 거쳐 화상 캐리어 유니트(66)가 현상 기기 유니트(68)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화상 캐리어 유니트(66)와 현상 기기 유니트(68)는 모두 인장 스프링(82)과 압축 스프링(84)에 의해 서로 압압되고, 화상 캐리어(44)에 대하여 현상 롤러(86)가 눌려지게 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64)의 측면(즉, 화상 캐리어 유니트(66) 및 현상 기기 유니트(68)의 한쪽 또는 양쪽의 측면)에는 인쇄 매수 등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88)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화상 캐리어 유니트(66)는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를 갖고, 이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에 의해 화상 캐리어(44)와 대전 장치(56)가 각각 화상 캐리어(44)용 베어링(92a, 92b) 및 대전 장치(56)용 베어링(94a, 94b)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전 장치(56)용 베어링(94a, 94b)은 전력 공급부를 겸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2개의 핑거(96a, 96b)가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핑거(96a, 96b)는 핑거(96a, 96b)용 스프링에 의해 핑거(96a, 96b)의 선단이 화상 캐리어(44)의 표면에 눌려지므로, 이 선단에 의해 화상 캐리어(44)를 감싸려는 기록 매체를 벗기도록 되어 있다. 또,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 내에서 클리닝 장치(클리닝 블레이드)(62)의 상방에는 현상제 회수 공간(98)이 형성되고, 따라서 클리닝 장치(62)에 긁혀서 떨어진 현상제가 이 현상제 회수 공간(98)에 회수된다. 이 현상제 회수 공간(98)에는 패들(1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패들(100)은 패들(100)용 기어(102)를 거쳐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에 지지되어 있고,회전함으로써 회수한 현상제를 현상제 회수 공간(98)의 내측에 반송한다. 또,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의 상부에는 셔터(10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셔터(104)는 셔터(104)용 샤프트(106)를 거쳐 화상 캐리어 유니트 본체(90)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셔터(10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64)가 장착되기 전에는 화상 캐리어(44)의 개방 부분을 폐쇄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64)가 장착된 경우에는 화상 캐리어(44)가 밖으로 나오도록 열리는 것이다.
현상 기기 유니트(68)는 프론트 하우징(108)과 리어 하우징(110)을 접합해 구성된 현상 기기 유니트 본체(112)를 갖는다. 이 현상 기기 유니트 본체(112) 내부는 현상제 수납 공간(70)과, 현상 롤러(86)가 배치된 현상부(114)로 분리되어 있다. 현상제 수납 공간(70)은 잠상 기입 위치(P)로부터 뻗은 수평선을 경계로 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와, 제2 현상제 수납부(116b)로 격벽(118)을 거쳐 분리되어 있다.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의 현상제 수납 용적은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의 현상제 수납 용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118)은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의 주사 광로를 형성하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윈도우부(12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윈도우부(120)의 양측으로 현상 기기 유니트 본체(112)와 함께 현상제 통로(122a, 122b)를 구성하고 있다. 현상제 통로(122a, 122b)는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와 제2 현상제 수납부(116b)를 연통하고 있다. 제1 현상제 수납부(116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의 상부가 영역(A)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1 교반/반송 부재(12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교반/반송 부재(124)는 도3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126)와, 이 축부(126)의 축선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해, 서로 다른 감는 방향을 따라,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된 와인딩부(128a, 128b)를 갖고, 이 축부(126)와 와인딩부(128a, 128b)가 1개의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 교반/반송 부재(124)가 회전되면,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에 수납된 현상제를 축선 방향 양측의 현상제 통로(122a, 122b)에 공급할 수 있고, 이 현상제 통로(122a, 122b)를 거쳐 현상제가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에 공급된다.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에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가 제1 교반/반송 부재(124)의 하방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도3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132)와, 이 축부(132)의 축선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부(134a, 134b)로 이루어지는 스크류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교반/반송 부재(130)가 회전되면, 양측의 현상제 통로(122a, 122b)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중심 방향으로 보다 많이 반송되고, 현상제가 균등하게 분산되어 다음의 제3 교반/반송 부재(136)에 공급된다.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에는 또한 제3 교반/반송 부재(136)와 제4 교반/반송 부재(138)가 배치되어 있다. 제3 교반/반송 부재(136)는 축부(140)와, 이 축부(140)에 일단이 고정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상부(142)를 갖고, 현상제를 제4 교반/반송 부재(138)에 공급한다. 제4 교반/반송 부재(138)는 제2 현상제 수납부(116)의 출구에 배치된다. 제3 교반/반송 부재(136)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를현상 롤러(86)에 반송함과 동시에, 이 새로운 현상제와, 현상 롤러(86)로부터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혼합한다.
현상 롤러(86)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 롤러에 슬리브를 감은 것이고, 마그넷 롤러의 양측에는 트랙킹 캡(144a, 144b)이 설치되고, 이 트랙킹 캡(144a, 144b)이 화상 캐리어(44)에 접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82)과 압축 스프링(84)에 의해 화상 캐리어(44)에 대해 눌리는 것에 의해 현상 갭을 확보하게 되어 있다. 이 현상 롤러(86)에는, 예를 들면 수지로 구성된 층 두께 규제 부재(146)가 접촉되어 있다. 이 층 두께 규제 부재(146)에 의해서, 현상 롤러(86)의 표면에 부착한 현상제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또, 이 현상 롤러(86)의 측면은 현상 부재 밀봉 부재(148)에 의해 밀봉되고 있다.
또한, 참조 번호 150a, 150b는 현상 기기 유니트 본체(1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현상제캡이다. 이 현상제캡(150a, 150b)을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제1 현상제 수납부(116a) 또는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에 현상제가 공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64)의 구동계는 화상 캐리어(44)측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고, 현상 롤러 기어(152), 각각의 제1~제4 교반/반송 부재용 기어(154) 및 아이들 기어(156)를 거쳐 현상 롤러(86) 및 각각의 제1~제4 교반/반송 부재(124, 130, 136, 138)에 전달된다. 교반/반송 부재용 기어(154)의 베어링 부분에는 교반/반송 부재 밀봉 부재(158)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현상 기기 유니트 본체(112)의 측면에는 각각의 반송 부재용 기어(154) 및 아이들 기어(156)를 둘러싸는 기어 커버(15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캐리어(44)가 대전 장치(5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대전된 화상 캐리어(44)에는 화상 신호에 대응하여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 발광한 광이 조사되고, 잠상 기입 위치(P)에서 잠상이 형성되는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의 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64)의 윈도우부(120)를 거쳐 프로세스 카트리지(64) 내부를 통과한다. 이 광학 기입 장치(58)에 의해 형성된 화상 캐리어(44)의 잠상은 현상 기기(60)의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된다.
현상제는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와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의 양쪽에 수납되어 있고, 제1 현상제 수납부(116a)에 수납된 현상제는 제1 교반/반송 부재(124)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반송되고, 현상제 통로(122a, 122b)를 거쳐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에 반송된다. 또한 제2 현상제 수납부(116b)의 현상제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균등하게 분산되고, 균등하게 분산된 현상제는 제3 교반/반송 부재(136) 및 제4 교반/반송 부재(138)에 의해 현상부(114)에 반송된다. 이 현상부(114)에서는 반송된 현상제가 현상 롤러(86)에 부착하고, 층 두께 규제 부재(146)에 의해 부착된 현상제의 층 두께가 규제되고, 두께가 규제된 현상제는 화상 캐리어(44)와 대향하는 현상 위치까지 반송되고, 화상 캐리어(44)의 잠상에 대응해 현상제의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사이즈 신호 등에 의해 급지 유니트(18a∼18d) 중에서 1개가 선택되고, 급지 카세트(22)의 1개에 수납된 기록 매체는 너저 롤러(24)에 의해 송출되고, 리타드 롤러(26) 및 피드 롤러(28)에 의해 부드럽게 분리되어 반송로(32)로 유도된다. 이 유도된 기록 매체는 레지스터 롤러(38)에 의해 임시 정지된 다음, 적절한 타이밍을 조절하여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의 사이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가 전사 장치(42)와 화상 캐리어(44)와의 사이에 유도되면, 화상 캐리어(44)상의 현상제가 전사 장치(42)에 의해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이 현상제가 전사된 기록 매체는 고정 장치(36)를 관통해 배출구(34)에서 배출부(16)로 배출된다.
기록 매체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급지 유니트(18a∼18d)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반송로(32)를 이루고 있고, 배출부(16)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소위 C패스를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C패스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64)를 수납하고 있으므로, 이 화상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이 컴팩트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 설계되는 바와 같이, 현상부(114)에 접속되는 현상제 수납 공간을 잠상 기입 위치(P)보다도 하방에 배치하면, 배출부(16)의 하방이 데드 스페이스가 된다. 현상부의 수납 용량을 크게 하려고 하면, 잠상 기입 위치(P)의 하방 스페이스도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큰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 기입 장치(58)로부터의 주사 광로가 되는 윈도우부(120)를 프로세스 카트리지(64)에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이 윈도우부(120)의 양측에 현상제 통로(122a, 122b)를 형성하고, 주사 광로의 상방에 제1 현상제 수납부(116a)를 배치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충분한 현상제 수납 용적을 확보하면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9a~도9e는, 전술한 제2 교반/반송 부재(130)에 관한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9a에 나타내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축부(132)와, 이 축부(132)의 축선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부(134a, 134b)로 이루어지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스크류부(134a, 134b)의 각 스크류 부분의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킨 점에 있어 다르다. 스크류부(134a, 134b)의 피치는 양단에서 중앙을 향해 서서히 커지고, 현상제가 중앙부에 모이기 쉽도록 함에 따라, 축방향의 현상제의 반송량이 균일하게 되어 있다.
도9b에 나타내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도9a에 나타내는 것이 각 스크류부분의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킨 것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도9c에 나타내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스크류부의 대신에 평판부(160a, 160b)로 하고, 이 평판부(160a, 160b)의 피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도9d에 나타내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평 판부(160a, 160b)의 피치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도9e에 나타내는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의 유동성이 좋은 경우는 이와 같이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해 교반하는 것만으로, 현상제중의 유동에 의해 현상제를 균일하게 반송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2 교반/반송 부재(130)는 반송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간헐 구동해도 좋다. 간헐 구동에는 다른 구동계에 사용한 모터와는 별개로, 예를 들면 펄스 모터를 사용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1성분 현상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2성분 현상 방식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 캐리어로부터 직접 기록 매체에 현상제 화상을 전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전사 작업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간 전사체를 화상 캐리어와 기록 매체와의 사이에 두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서는 흑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컬러용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캐리어의 잠상 기입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현상제 수납부를 설치하였으므로, 현상제 수납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7)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화상 캐리어와,
    이 화상 캐리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가시화하고, 현상제 수납 공간을 갖는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잠상이 기입되는 상기 화상 캐리어의 잠상 기입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현상제 수납 공간을 제1 현상제 수납부와 제2 현상제 수납부로 상하 방향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현상제 수납부와 제2 현상제 수납부를 현상제 통로를 거쳐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현상제 통로는 주사 광로를 구성하는 윈도우부(window portion)의 주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현상제 통로는 상기 윈도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제 수납부는 제1 교반/반송 부재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현상제를 교반/반송하는 제1 교반/반송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제 수납부는 제2 교반/반송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현상제를 교반/반송하는 제2 교반/반송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제2 교반/반송 부재는 간헐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에 기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10451A 2002-09-06 2003-02-1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597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1912 2002-09-06
JP2002261912A JP4161364B2 (ja) 2002-09-06 2002-09-06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70A true KR20040022370A (ko) 2004-03-12
KR100597345B1 KR100597345B1 (ko) 2006-07-10

Family

ID=2972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451A KR100597345B1 (ko) 2002-09-06 2003-02-1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71476B1 (ko)
JP (1) JP4161364B2 (ko)
KR (1) KR100597345B1 (ko)
CN (1) CN100495250C (ko)
TW (1) TWI238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8659B2 (ja) * 2003-03-19 2007-08-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38215B2 (en) * 2003-06-20 2006-11-21 Fuji Xerox Co., Ltd.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7136608B2 (en) * 2003-12-19 2006-11-14 Steven Miller Removable toner cartridge universal adapter
US7426361B2 (en) * 2005-09-01 2008-09-16 Eastman Kodak Company Developer mixing apparatus having four ribbon blenders
JP4732847B2 (ja) * 2005-09-30 2011-07-2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305206B2 (en) * 2005-10-31 2007-12-04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developer unit having variable pitch auger
JP2007298908A (ja) 2006-05-08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US7676184B2 (en) * 2006-12-04 2010-03-09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apparatus
JP5884340B2 (ja) * 2011-08-30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5980158B (zh) * 2014-04-30 2018-04-2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连接至料盒内的流激励器的鉴别信息载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694A (ja) * 1992-05-20 1993-12-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8642B2 (ja) * 1999-08-31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8298B (en) 2005-08-21
JP4161364B2 (ja) 2008-10-08
US6671476B1 (en) 2003-12-30
TW200403966A (en) 2004-03-16
CN100495250C (zh) 2009-06-03
JP2004101760A (ja) 2004-04-02
CN1480807A (zh) 2004-03-10
KR100597345B1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96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gent cartridge
US8320800B2 (en) Image forming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JP2006195401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18629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KR10059734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7636535B2 (en) Developing unit
JP370536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KR100657392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496320B2 (en) Toner supply device providing toner agitation and developing unit using the same
KR100614068B1 (ko)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재생 방법
JP2007256441A (ja) 現像装置
US72280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replenishment portion
KR100717172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23002265A (ja) 画像形成装置
JP2939804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6110274A (ja) 両面印刷装置
US200500368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es in the same
US20070122206A1 (en) Toner supply device and developing unit using the same
JP2004191436A (ja) 現像剤攪拌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4181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022719A (ja) 画像形成装置
JP4088548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21089420A (ja) 回転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9246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01378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