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971A -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971A
KR20040021971A KR1020020053773A KR20020053773A KR20040021971A KR 20040021971 A KR20040021971 A KR 20040021971A KR 1020020053773 A KR1020020053773 A KR 1020020053773A KR 20020053773 A KR20020053773 A KR 20020053773A KR 20040021971 A KR20040021971 A KR 2004002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hroud
ladle
shroud nozzl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101B1 (ko
Inventor
이신호
허성천
최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1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02Connection arrangemen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6Means for supporting, manipulating or changing a pouring-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쉬라우드 노즐을 콜렉타 노즐에 안정되게 장착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결합 불량을 방지하여 연속주조되는 슬라브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빠른 시간내에 안정되게 연속주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설비사고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들 연결작업을 2~3명이 하던 작업을 1명이 안정되게 확인만 하는 업무혁신을 이룰 수 있고, 작업자가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결합실수에 의한 슬라브 품질 불량을 방지하였으며, 빠른 시간내 안정되게 작업을 함으로써 설비사고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SHROUD NOZZLE TO COLLECTOR NOZZLE}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정에서 래들과 턴디쉬를 연결하는 쉬라우드 노즐을 래들의 하측 콜렉타 노즐에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쉬라우드 노즐을 콜렉타 노즐에 안정되게 장착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결합 불량을 방지하여 연속주조되는 슬라브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빠른 시간내에 안정되게 연속주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설비사고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정련되어진 용강은 래들(300)에 담겨져서 연속주조설비로 이동되고, 연속주조설비에서는 용강이 담긴 래들(300)을 연속적으로 교환하면서 연속주조 작업을 하게 된다.
제1도에는 이와 같은 연속주조 작업의 공정이 도시된 것으로서, 이는 대략270톤의 용강저장 능력을 갖는 래들(300)로부터 대략 60톤 크기의 내용적을 갖는 턴디쉬(310)에 용강이 쉬라우드 노즐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턴디쉬(310)로 부터는 침지노즐(312)을 거쳐서 몰드(314)에 용강이 주입된 다음, 캐스팅 보우(316)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슬라브(318)로 응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속주조공정은 래들(300)을 연속적으로 교환하면서 턴디쉬(310)에 용강을 공급하고, 연속주조 작업을 이루는 것이며, 래들 권상용 크레인(322)을 이동시켜 래들 터렛트(330)의 대기위치에 있는 터렛트 암(332)에 작업자 신호에 의해 래들(300)을 올려 놓고 대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래들(300)은 터렛트 암(332)의 안착 스탠드(334)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바, 이는 상기 안착 스탠드(334)에 마련된 래들 암 가이드(336)를 기준으로 하여 래들(300)의 양측으로 돌출된 래들 암(340)을 상기 래들 암 가이드(336)의 내측에 안착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으로서, 이는 래들 암 가이드(23)를 기준으로 래들 암(340)의 위치가 전,후 약 80mm로 심하게 변동되어 쉬라우드 노즐(320)과 래들 콜렉타 노즐(350)들의 연결작업시, 작업자의 숙련 기능도에 따라 많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콜렉타 노즐(350)은 래들(300)내의 용강을 턴디쉬(310)내로 주입하는 하부 주입구로서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에서 연결되는 쉬라우드 노즐(320)은 래들(300)내의 용강을 턴디쉬(310)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용강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되어 턴디쉬(310)내로 용강을 주입하는 중간 통로이며, 내화물로 구성된 것이다.
제 2도에는 이와 같은 쉬라우드 노즐(320)과 콜렉타 노즐(350)의 연결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래들 터렛트(330)에서 앞 래들(300)내의 용강주입이 완료되면, 래들 터렛트(330)를 회전시켜 대기중인 뒷 래들(300)이 주조위치에 오도록 하고, 앞 래들(300)은 후방의 대기위치에 오도록 상기 래들 터렛트(33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쉬라우드 장착기구(360)의 쉬라우드 작동용 핸들(364)을 동작시켜 쉬리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 장착기구(360)는 일측의 핸들(364)에 의해서 전,후진이 가능한 장착바(366)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바(366)의 선단에는 쉬라우드 노즐(320)을 고정하며, 상기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장치(미도시)를 그 하부측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핸들(364)을 동작시켜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고,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에 위치되면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을 연결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 암(340)의 위치가 래들 암 가이드(336)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쳤을 때에는 작업자의 기능도에 따라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타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이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정상적인 연결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노즐(320)이 우측으로 치우친 다거나,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측으로 치우칠 뿐만 아니라, 앞,뒤로도 치우침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치우침이 발생되면,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어 쉬라우드 노즐(320)의 내측으로 공기가 혼입되고, 쉬라우드 노즐(320)의 씰링용 알곤라인(370)을 통하여 과도하고 국부적인 알곤혼입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서, 용강 재산화가 이루어지고, 쉬라우드 노즐(320)의 하부가 절단되며, 따라서, 이들을 연결하는 작업등이 지연되면 턴디쉬(310)내의 용강이 모두 소모되어 슬라브(318)의 연속주조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슬라브(318) 품질이 보장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연속주조설비의 후공정 설비트러블이나, 수요가의 불만사항을 제기하는 원인이 되고, 또한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의 정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항상 2인1조로 작업하다 보면 신호 실수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의 기능도에 따라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연결 상태가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래들연결 작업을 1인이 빠른 시간내에 실시하도록 하여 설비사고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 1도는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정을 위하여 래들이 터릿장치에 장착되어 턴디쉬에 용강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연결방식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작동 상태도,
b)도는 콜렉타 노즐과 쉬라우드 노즐이 정렬된 상태도,
c)도는 콜렉타 노즐에 대해 쉬라우드 노즐이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도,
d)도는 콜렉타 노즐에 대해 쉬라우드 노즐이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터렛 암에 래들을 크레인으로 장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작동 상태도,
b)도는 래들 암이 래들 안착 스탠드에 진입되는 상태도,
c)도는 래들 암이 래들 안착 스탠드에 장착된 상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도는 제 2구동부의 측면도,
b)도는 제 1구동부의 피니언 기어와 래크기어의 상세도,
c)도는 제 1구동부의 측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에 갖춰진 콘트롤러와 카메라들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착부 12,14.... 경사면
16.... 가이드 20.... 오목홈
22.... 홈 가이드 28.... 롤러
30.... 위치검출 센서 40.... 쉬라우드 장착부
45.... 제 1구동부 49.... 피니언 기어
51.... 래크기어 53.... 받침판
60.... 제 2구동부 66.... 베어링
70.... 종동기어 72.... 구동기어
80.... 유압부 82.... 유압 잭
90.... 위치 검출부 92.... 제 1화상 카메라
94.... 제 2화상 카메라 150.... 콘트롤러
300.... 래들 310.... 턴디쉬
312.... 침지노즐 314.... 몰드
316.... 캐스팅 보우 320.... 쉬라우드 노즐
322.... 래들 권상용 크레인 330.... 래들 터렛트
332.... 터렛트 암 334.... 안착 스탠드
336.... 래들 암 가이드 350.... 콜렉타 노즐
360.... 쉬라우드 장착기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정에서 래들과 턴디쉬를 연결하는 쉬라우드 노즐을 래들의 하측 콜렉타 노즐에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래들의 양측에 마련된 래들 암에는 일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일치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가이드가 터렛트 암에 형성되며, 상기 래들 암의 하면 중앙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이 끼워지는 가이드가 상기 터렛트 암의 안착 스탠드에 형성되어 래들이 항상 터렛트 암상에서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쉬라우드 노즐이 장착바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바를 모터 구동에 의해서 전,후진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장착바를 모터 구동에 의해서 좌,우회전시키는 제 2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바와 쉬라우드 노즐을 승하강시키는 유압부를 구비한 쉬라우드 장착부; 상기 터렛트 암의 일측에 마련된 제 1화상 카메라가 콜렉타 노즐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의 전,후위치 편차를 검출하고,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의 제 2화상 카메라가 콜렉타 노즐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의 좌,우 위치편차를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검출부;및 상기 위치 검출부의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구동부와 제 2구동부의 모터들을 제어하여 상기 콜렉타 노즐의 직하부에서 쉬라우드 노즐이 좌,우,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1)는 제 3도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300)이 항상 터렛트 암(332)상에서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착부(1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안착부(10)는 래들(300)의 양측에 마련된 래들 암(340)에 일측면이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에 대응하여 일치하는 경사면(14)을 형성한 가이드(16)가 터렛트 암(332)에 갖춰진다.
즉, 래들 크레인(322)이 래들(300)를 래들 터렛트(330)의 터렛트 암(332)에 정립위치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래들 암(340)에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는 터렛트 암(332)에 마련된 가이드(16)의 경사면(14) 각도와 동일하게 각도가 주어지게 된다.
또한, 래들 암(340)의 하면 중앙에는 유선형의 오목홈(20)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20)의 크기와 모양은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상부면에 형성된 유선형의 홈 가이드(22)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양쪽으로 배치된 2개의 래들 암 가이드(16)중 일측에는 그 경사면(14)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28)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롤러(28)들의 경사각도는 래들 암(340)의 경사면(12)과 일치되게 각도가 주어지며, 래들 암(340)이 상기 래들 암 가이드(16)에 진입하여 경사면(12)이 상기 롤러(28)들에 접촉되어 하강하면, 래들 암(340)에 마련된 오목홈(20)이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에 안착되게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에는 그 중간 상부에 위치검출 센서(30)가 마련되고, 이는 래들 암(340)의 오목홈(20)이 상기 홈 가이드(22)에 안착되면, 상기 센서(30)는 감지 핀(미도시)이 눌려서 이후에 설명되는 콘트롤러(150)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센서(30)들은 래들(300)의 양쪽에 각각 위치된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마다 설치된 것이어서, 그 중 어느 한쪽에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래들(300)이 정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래들 크레인(322)을 다시 들어 올려 장착하는 재 안착작업을 실시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안착부(10)에 의하면, 종전의 래들(300)이 터렛트 암(332)에 안착시 오차 범위가 대략 80mm인 것이 대략 15mm이하로 좁아지게 된다. 이것은 단지 기계적인 오차범위이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장착하기 위한 쉬라우드 장착부(4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노즐(320)을 선단에 고정한 장착바(366)를 모터(42) 구동에 의해서 전,후진시키는 제 1구동부(45)를 갖는다.
상기 제 1구동부(45)는 도 5b)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바(366)가 활주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진 안내대(47)의 일측에 모터(42)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42)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49)가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49)는 장착바(366)의 하면에 형성된 래크기어(51)에 치차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42)의 정,역회전작동은 피니언 기어(49)와 래크기어(51)를 통하여 상기 장착바(366)를 안내대(47)내에서 전,후진 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장착바(366)에 고정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구동부(45)가 마련된 받침판(53)의 하부측에는 상기 장착바(366)를 모터(62)의 구동에 의해서 좌,우 회전시키는 제 2구동부(6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제 2구동부(60)는 상기 받침판(53)의 하부 기둥(64)이 베어링(66)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판(68)상에 모터(62)가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2구동부(60)는 상기 기둥(64)의 중간에 원형의 종동기어(70)가 장착되고, 상기 종동기어(70)에는 수직으로 상기 하판(68)상에 위치된 모터(62) 축의 구동기어(72)가 치차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부(60)의 모터(62)의 정,역회전작동은 구동기어(72)와 종동기어(70)를 통하여 상기 기둥(64)상에 위치된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42)(62)들에는 각각 펄스 발생기(42a)(62a)가 장착되어 모터(42)(62)의 회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콘트롤러(150)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는 상기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부(80)를 구비한다. 이는 상기 하판(68)의 하부측으로 승하강 유압 잭(82)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유압 잭(82)은 그 로드(미도시)가 상기 하판(68)의 하면에 고정된 것이고, 상기 유압 잭(82)의 작동으로 하판(68)을 승하강시킴으로서 상기 하판(68)위의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들을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위치 편차를검출하고,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320)의 좌,우 위치편차를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검출부(90)를 갖는 바, 이는 상기 터렛트 암(332)의 일측에 마련된 제 1화상 카메라(92)와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상에 고정된 제 2화상 카메라(94)를 구비한다.
즉, 상기 위치 검출부(90)는 터렛트 암(332) 측면에 제 1화상 카메라(92)을 설치하되, 이는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에 위치하여 쉬라우드 장착부(40)에 의해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콜렉타 노즐(350)로 진입하게 되면,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으로 부터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화상 카메라(92)는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검출하도록 터렛트 암(332)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 2화상 카메라(94)는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 상단부에 위치하며, 이는 래들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쉬라우드 장착부(40)에 의해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콜렉타 노즐(350)로 진입하게 되면,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으로 부터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화상 카메라(94)는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이동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검출하도록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위치 검출부(90)의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92)(94)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구동부(45)와 제 2구동부(60)의 모터(42)(62)들을 제어하고, 상기 콜렉타 노즐(350)의 직하부에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하는 콘트롤러(150)를 구비한다.
상기 콘트롤러(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92)(94)와, 영상처리장치(96)및 출력장치(98)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모터(42)(62)들을 자동제어한다.
즉, 상기 콘트롤러(150)는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제 1구동부(45)에 갖춰진 모타(42)에 대해 콜렉타 노즐(350)의 제 1화상 카메라(92)로 부터의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를 통하여 받고, 출력장치(98)통해 상기 모터(42)를 구동하여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위치조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150)는 장착부(40)의 제 2구동부(60)에 갖춰진 모타(62)에 대해 제 2화상 카메라(94)로 부터의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를 통하여 받고, 출력장치(98)를 통해 상기 모터(62)를 구동하여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한다.
상기 2개의 모타(42)(62) 작동 싯점은 준비위치의 래들(300)이 주조위치로 돌아와 상기 안착부(10)의 위치 검출센서(30)에 의해서 신호가 콘트롤러(150)에 제공되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작동순서는 먼저 제 1구동부(45)의 전진 모타(42)가 작동후, 제 2구동부(60)의 좌우 모타(62)가 동작하지만 이들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는 상기 카메라(92)(94)들의 영상을 화상으로 처리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으로서, 콘트롤러(150)는 제 1화상 카메라(92)에서 찰영된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에서 십자형 기준선(P)에 영상을 올려놓고, 콘트롤러(150)에 해당 정보를 보내면 영상찰영 부분은 백색으로 나머지는 흑색으로 나타내어 그 중앙으로 부터 벗어난 편차를 미리 입력된 거리값으로 읽어 들이며, 그 거리값의 단위는 mm이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 편차값을 해소하도록 출력 장치(98)를 통해 제 1구동부(45)의 전진모타(42)를 작동시키고,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에 쉬라우드 노즐(320)을 일치시킨다.
제 2화상 카메라(94)에 의해서 쉬라우드 노즐(320)의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방식도 상기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기 편차값이 각각 15mm를 벗어나면, 콘트롤러(150)는 알람 부자(미도시)를 동작시켜 부자가 울리면서 동작을 멈추게 하고, 작업자가 쉬라우드 장착부(4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래들 연결 작업을 실시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래들(300)을 교환하여 연속주조 작업을 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 크레인(322)이 용강이 들어 있는 래들(300)을 래들 터렛트(330)의 주조준비위치 터렛트 암(332)에 안착을 위해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래들 암(340)에 마련된 경사면(12)과,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래들 암(340)의 가이드(16)에 마련된 경사면(14)의 롤러(28)들이 접촉하여 래들 암(340)이 자연스럽게 하강되도록 하고, 래들 암(340)의 오목홈(20)과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가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홈 가이드(22)에 마련된 센서(30)가 래들(300)의 안착을 검출하여 콘트롤러(150)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콘트롤러(150)는 제 1화상 카메라(92)가 찰영을 개시하고, 제 1구동부(45)의 모터(42)가 작동되어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이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화상 카메라(92)에 의해서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이 촬영되고, 이는 영상처리 장치(96)와 콘트롤러(150)및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모타(42)가 정밀하게 전,후진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화상 카메라(94)는 찰영을 하여 영상 처리장치(96)와 콘트롤러(150)및 출력장치를 거쳐 그 결과 값에 의해 제 2구동부(60)의 좌우모타(62)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래들(300)의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이 정일치되면 유압부를 동작시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시키고, 주조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래들 연결작업을 2~3명이 하던 작업을 1명이 안정되게 확인만 하는 업무혁신을 이룰 수 있고, 작업자가 쉬라우드 노즐(320)과 콜렉타 노즐(350)의 결합실수에 의한 슬라브(318) 품질 불량을 방지하였으며, 빠른 시간내 안정되게 작업을 함으로써 설비사고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6)

  1. 연속주조공정에서 래들(300)과 턴디쉬(310)를 연결하는 쉬라우드 노즐(320)을 래들(300)의 하측 콜렉타 노즐(350)에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래들(300)의 양측에 마련된 래들 암(340)에는 일측면이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에 일치하도록 경사면(14)을 형성한 가이드(16)가 터렛트 암(332)에 형성되며, 상기 래들 암(340)의 하면 중앙에는 오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20)이 끼워지는 홈 가이드(16)가 상기 터렛트 암(332)의 안착 스탠드(334)에 형성되어 래들(300)이 항상 터렛트 암(332)상에서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착부(10);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이 장착바(366)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바(366)를 모터(42) 구동에 의해서 전,후진시키는 제 1구동부(45)와, 상기 장착바(366)를 모터(62) 구동에 의해서 좌,우회전시키는 제 2구동부(60)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부(80)를 구비한 쉬라우드 장착부(40);
    상기 터렛트 암(332)의 일측에 마련된 제 1화상 카메라(92)가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위치편차를 검출하고,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제 2화상 카메라(94)가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320)의 좌,우 위치편차를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검출부(90);및
    상기 위치 검출부(90)의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92)(94)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구동부(45)와 제 2구동부(60)의 모터(42)(62)들을 제어하여 상기 콜렉타 노즐(350)의 직하부에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하는 콘트롤러(1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 암 가이드(16)중 일측에는 그 경사면(14)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28)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롤러(28)들의 경사각도는 래들 암(340)의 경사면(12)과 일치되게 각도가 주어지며, 상기 홈 가이드(22)에는 그 중간 상부에 위치검출 센서(30)가 마련되고, 이는 상기 래들(300)의 양쪽에 각각 위치된 래들 안착 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마다 설치된 것이어서, 그 중 어느 한쪽에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래들(300)이 정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래들 크레인(322)을 다시 들어 올려 장착하는 재 안착작업을 실시하도록 된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45)는 상기 장착바(366)가 활주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진 안내대(47)의 일측에 모터(42)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42)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49)가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49)는 장착바(366)의 하면에 형성된 래크기어(51)에 치차 결합되어 상기 모터(42)의 정,역회전작동은 피니언 기어(49)와 래크기어(51)를 통하여 상기 장착바(366)를 안내대(47)내에서 전,후진 시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 2구동부(60)는 상기 받침판(53)의 하부 기둥(64)이 베어링(66)을 통하여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판(68)상에 모터(62)가 위치되고, 상기 기둥(64)의 중간에는 원형의 종동기어(70)가 장착되며, 상기 종동기어(70)에는 수직으로 상기 하판(68)상에 위치된 모터(62) 축의 구동기어(72)가 치차결합되어 상기 제 2구동부(60)의 모터(62)의 정,역회전작동은 구동기어(72)와 종동기어(70)를 통하여 상기 기둥(64)상에 위치된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화상 카메라(92)는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검출하도록 터렛트 암(332)에 고정되고, 상기 제 2화상 카메라(94)는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이동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검출하도록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50)는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제 1구동부(45)에 갖춰진 모타(42)에 대해 콜렉타 노즐(350)의 제 1화상 카메라(92)로 부터의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를 통하여 받고, 출력장치(98)통해 상기 모터(42)를 구동하여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위치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콘트롤러(150)는 장착부(40)의 제 2구동부(60)에 갖춰진 모타(62)에 대해 제 2화상 카메라(94)로 부터의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를 통하여 받고, 출력장치(98)를 통해 상기 모터(62)를 구동하여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42)(62)들에는 각각 펄스 발생기(42a)(62a)가 장착되어 모터(42)(62)의 회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콘트롤러(150)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KR1020020053773A 2002-09-06 2002-09-06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KR10091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773A KR100916101B1 (ko) 2002-09-06 2002-09-06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773A KR100916101B1 (ko) 2002-09-06 2002-09-06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971A true KR20040021971A (ko) 2004-03-11
KR100916101B1 KR100916101B1 (ko) 2009-09-11

Family

ID=3732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773A KR100916101B1 (ko) 2002-09-06 2002-09-06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10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7646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Tete de support pour la manipulation d'un tube de poche
WO2010057645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Dispositif de transport et stockage pour un tube de poche pour transfert de metal liquide
WO2010057638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Element de coulee reutilisable
WO2010057640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Tube de coulee, dispositif de manipulation de ce tube et dispositif d'entrainement d'une valve
EP2191918A1 (fr) * 2008-11-20 2010-06-02 Vesuvius Group S.A Dispositif de nettoyage d'un tube de poche pour coulée de métal liquide
KR100964905B1 (ko) * 2008-07-25 2010-06-2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슈라우드의 포크암
EP2301693A1 (fr) * 2009-06-29 2011-03-30 Vesuvius Group S.A Tube de protection de jet.
KR101320306B1 (ko) * 2010-12-27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쉬라우드노즐 체결용 자동제어 로봇장치
KR101461796B1 (ko) * 2013-04-18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제어장치
KR20210024896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체결장치 및 노즐 체결방법
WO2021165299A1 (en) * 2020-02-18 2021-08-26 Vesuvius Group, S.A. Robotized ladle turret system
KR20220146057A (ko) 2021-04-23 2022-11-01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결합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102A (en) * 1979-10-29 1983-04-26 Flo-Con Systems, Inc. Shroud support and method for shroud engagement with teeming valve
JPS5922621B2 (ja) * 1981-06-25 1984-05-28 株式会社ナブコ ノズル自動接続分離装置
JP3179251B2 (ja) * 1993-07-02 2001-06-25 品川白煉瓦株式会社 浸漬ノズル自動交換装置
KR200152852Y1 (ko) * 1995-10-16 1999-08-02 이구택 쉬라우드 노즐의 수직도 조정장치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905B1 (ko) * 2008-07-25 2010-06-2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슈라우드의 포크암
RU2510307C2 (ru) * 2008-11-20 2014-03-27 Везувиус Груп С.А. Элемент для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а, содержащая его установка разлив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и способ его разливки
WO2010057640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Tube de coulee, dispositif de manipulation de ce tube et dispositif d'entrainement d'une valve
RU2524035C2 (ru) * 2008-11-20 2014-07-27 Везувиус Груп С.А. Опор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трубы ковша для разлив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EP2191918A1 (fr) * 2008-11-20 2010-06-02 Vesuvius Group S.A Dispositif de nettoyage d'un tube de poche pour coulée de métal liquide
WO2010057645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Dispositif de transport et stockage pour un tube de poche pour transfert de metal liquide
AU2009317593B2 (en) * 2008-11-20 2014-05-08 Vesuvius Group S.A. Casting pipe, device for handling said pipe and valve driving device
CN102281972A (zh) * 2008-11-20 2011-12-14 维苏威集团有限公司 浇注长水口、该长水口操控装置及阀驱动装置
US8272427B2 (en) 2008-11-20 2012-09-25 Vesuvius Crucible Company Reusable casting member
US8820592B2 (en) 2008-11-20 2014-09-02 Vesuvius Group S.A. Ladle shroud transport/storage device for transferring liquid metal
WO2010057646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Tete de support pour la manipulation d'un tube de poche
US9199306B2 (en) 2008-11-20 2015-12-01 Vesuvius Crucible Company Support head for handling a ladle shroud
WO2010057638A1 (fr) * 2008-11-20 2010-05-27 Vesuvius Group S.A. Element de coulee reutilisable
US8926893B2 (en) 2008-11-20 2015-01-06 Vesuvius Group S.A. Casting shroud, manipulation device for this shroud, and device for driving a valve
AU2009317513B2 (en) * 2008-11-20 2014-09-11 Vesuvius Group S.A. Bearing head for handling a ladle pipe
EP2301693A1 (fr) * 2009-06-29 2011-03-30 Vesuvius Group S.A Tube de protection de jet.
KR101320306B1 (ko) * 2010-12-27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쉬라우드노즐 체결용 자동제어 로봇장치
KR101461796B1 (ko) * 2013-04-18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제어장치
KR20210024896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체결장치 및 노즐 체결방법
US11951541B2 (en) 2020-02-18 2024-04-09 Vesuvius Group, S.A. Robotized ladle turret system
WO2021165299A1 (en) * 2020-02-18 2021-08-26 Vesuvius Group, S.A. Robotized ladle turret system
US20230145288A1 (en) * 2020-02-18 2023-05-11 Vesuvius Group, S.A. Robotized ladle turret system
KR20220146057A (ko) 2021-04-23 2022-11-01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결합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101B1 (ko)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101B1 (ko)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
JP3168157B2 (ja) 連続鋳造機のロングノズル着脱装置
CN106312265A (zh) 一种真空电弧炉辅助电极炉外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US66721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retention time of foam of beer
KR20100106661A (ko) 레일 주행방식의 자동 용접장치
JP3162535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浸漬ノズル交換装置
JP2001179437A (ja) 地金付着物の除去装置
KR102362664B1 (ko) 몰드 위치조절장치
KR100913921B1 (ko) 토출구의 센터링이 용이한 침지노즐 조립장치
KR20130034353A (ko) 기계 위치 조정 장치
JPS61172660A (ja) 連続鋳造設備のノズル交換方法
JP2514618B2 (ja) レベル墨出し機
CN220340057U (zh) 一种钢包检修装置
KR100784042B1 (ko) 연속 주조 몰드 레벨 측정 장치
CN220296113U (zh) 一种激光机的调焦机构
KR20090099190A (ko) 원심주조용 용탕 자동공급장치
CN118106483A (zh) 连铸机引流砂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40026750A (ko) 턴디쉬의 용강샘플 채취장치
CN219950270U (zh) 吊臂下盖板定位总成
KR102623291B1 (ko) 헤드 자동이동 시스템을 갖는 주조용 코어 자동 성형장치 및 제어방법
CN215263157U (zh) 一种具有固定机构的喷码视觉检测装置
JP2549325Y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レ−ドルタ−レットの昇降装置
JP3661490B2 (ja) モールド内湯面レベル計支持装置
JP2948428B2 (ja) スライディングゲートノズル自動酸素開孔装置
CN111618286A (zh) 一种阳极组件自动浇注方法及所用浇注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