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086A -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086A
KR20040021086A KR1020020052531A KR20020052531A KR20040021086A KR 20040021086 A KR20040021086 A KR 20040021086A KR 1020020052531 A KR1020020052531 A KR 1020020052531A KR 20020052531 A KR20020052531 A KR 20020052531A KR 20040021086 A KR20040021086 A KR 2004002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hook
attachment
chain conveyo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358B1 (ko
Inventor
최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는, 체인 컨베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링크 푸셔와 선택적으로 탈착되어 레일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이동되는 트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장치는 하부에 씨-후크가 링크된 수평 지지대의 상부 일측단에 프론트 트롤리가 설치되고 상부 타측단에 리어 트롤리가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롤리에는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후방면에 수평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와, 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 상기 수평 홈에 결합되는 가이드구가 설치된 플라이 휠과, 이 플라이 휠에 고정 설치되고 플라이 휠이 회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링크 푸셔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리트렉트블 도그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 트롤리에는 뒤따르는 프론트 트롤리의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에 접촉되도록 그 후방면에 캠 어태치먼트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Trolley apparatus for preventing bad engagement in C-hook for coil transferring}
본 발명은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렛(billet)을 열간 공형압연하여 나선형으로 집적한 코일을 이송하는 씨-후크를 체인 컨베이어에 연결하여 코일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트롤리 장치에 있어서 프론트 트롤리의 엑추에이팅 레버(actuating lever)와 리어 트롤리의 캠 어태치먼트(cam attachment)가 엇물리는 것을 방지하여 코일의 이송장애를 해결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트롤리 장치를 도1, 도2a 및 도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후크(11)는 두 개의 수평 바가 C자 형태로 서로 연결되고, 그 하부 수평 바에 선재 코일이 적재된다. 또한, 상부 수평 바에는 트롤리 장치(10)가 설치되는데, 이 트롤리 장치(10)는 상기 씨-후크(11)의 상부 수평 바와 링크된 수평 지지대(12)의 우측단에 프론트 트롤리(20)가 설치되고 좌측단에 리어 트롤리(30)가 설치된다. 트롤리 장치(10)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1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트롤리 휠(33)이 레일을 따라이동함으로써 씨-후크(11)가 이송되도록 해주는데, 씨-후크(11)가 체인 컨베이어(13)를 따라 이동할 때 앞선 씨-후크(11)가 체인의 교차 지점에서 대기하기 위해 정지하는 경우에는 뒤따라오는 씨-후크(11)도 정지하여야 하고 앞선 씨-후크(11)가 다시 이동하면 뒤에 있는 씨-후크(11)도 이동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씨-후크(11)가 체인 컨베이어(13)를 따라 이동할 때, 앞선 씨-후크(1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13)에 의한 동력 전달을 차단하거나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동력전달의 차단은 전방 씨-후크(11)의 트롤리 장치(10)의 후단에 설치된 리어 트롤리(30)와 후방 씨-후크(11)의 트롤리 장치(10)의 전단에 설치된 프론트 트롤리(20)의 상호 결합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여 상기 후방 씨-후크의 프론트 트롤리(20)와 전방 씨-후크의 리어 트롤리(30)의 상호 결합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트롤리(20)는 "ㄴ"자 형태의 본체(21)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21)에는 그 본체(21)의 수평부과 평행하도록 엑추에이팅 레버(22)가 설치되는데, 이 엑추에이팅 레버(22)의 선단부와 본체(21)의 수평부는 리어 트롤리(30)의 후면에 마련된 캠 어태치먼트(31)가 그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엑추에이팅 레버(22)는 그 중앙부가 연결 볼트(23)에 의해 상기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말단부에는 리트렉트블 도그(retractable dog,24)가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엑추에이팅 레버(22)와 연동된다. 상기 리트렉트블 도그(24)의 상단부는 상기 체인 컨베이어(13)의 하단에 설치된 링크 푸셔(14)에 걸려진다.
씨-후크가 이동중일 때에는 전방 씨-후크와 후방 씨-후크가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후방 씨-후크의 트롤리 장치에 있어서 엑추에이팅 레버(22)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엑추에이팅 레버(22)의 말단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리트렉트블 도그(24)는 상기 체인 컨베이어(13)의 하단에 설치된 링크 푸셔(14)에 걸려지므로 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트롤리 장치도 함께 이동한다. 즉,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에 리트렉트블 도그(24)가 걸려져 있는 경우에는 체인 컨베이어(13)에 의한 동력의 트롤리 장치에까지 전달되어 씨-후크가 이동되며, 이에 의해 씨-후크에 적재된 코일이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씨-후크가 체인의 교차 지점에서의 대기 등에 의해 정지된 때에는 후방 씨-후크가 계속 전진하여 후방 씨-후크의 트롤리 장치의 선단에 설치된 프론트 트롤리(20)가 전방 씨-후크의 트롤리 장치의 후단에 설치된 리어 트롤리(30)에 접근하게 된다. 전·후방 씨-후크가 일정 거리 이하로 접근되면 후방 씨-후크의 프론트 트롤리(20)의 엑추에이팅 레버(22)와 본체(21)의 수평부와의 사이 공간에 전방 씨-후크의 리어 트롤리(30)의 후면에 마련된 캠 어태치먼트(31)가 삽입되어 서로 맞물려진다.
이렇게 상기 캠 어태치먼트(31)가 삽입되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팅 레버(22)의 선단부가 들어올려지고, 이때 상기 엑추에이팅 레버(22)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그 말단부는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말단부가 내려가게 되면 말단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상기 리트렉트블 도그(24)도 함께 내려가게 된다. 즉, 상기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에 걸려있던 리트렉트블도그(24)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의해 양자의 연결이 해제되어 더 이상 체인 컨베이어(13)에 의한 동력이 씨-후크로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방 씨-후크가 정지하게 되면 후방 씨-후크도 정지되어 양자가 서로 충돌되지 않는다. 그 후, 전방 씨-후크가 다시 이동하면 삽입되었던 캠 어태치먼트(31)가 빠져나와 후방 씨-후크의 프론트 트롤리와 전방 씨-후크의 리어 트롤리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후방 씨-후크의 엑추에이팅 레버(22)의 선단부가 아래로 내려오고 그 말단부는 다시 위로 올라가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엑추에이팅 레버(22)의 말단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리트렉트블 도그(24)가 상승하여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에 다시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13)의 동력이 트롤리 장치에 전달되어 후방 씨-후크는 다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씨-후크는 필요에 따라 정지와 이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씨-후크의 트롤리 장치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 씨-후크의 프론트 트롤리(20)와 전방 씨-후크의 리어 트롤리(30)가 서로 엇물려짐으로써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장시간 사용에 의한 리어 트롤리(30)의 캠 어태치먼트 핀(32) 또는 트롤리 휠(33)의 파손 및 변형, 리어 트롤리(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에 의해 캠 어태치먼트(31)가 정상 위치보다 위로 향하게 되거나, 프론트 트롤리(20)의 엑추에이팅 레버(22)가 변형으로 인해 정상 위치보다 아래로 향하게 되면, 리어 트롤리(30)의 캠 어태치먼트(31)가 프론트 트롤리(20)의 엑추에이팅 레버(22) 상부로 진입하게 되어, 양자가 서로 엇물려지게 된다. 이렇게 엇물려지게 되면 상기 엑추에이팅 레버(22)와 연동되도록 설치된 리트렉트블 도그(24)가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고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에 걸려있게 되어, 체인 컨베이어(13)에 의한 동력이 차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씨-후크에 전달된다. 따라서, 전방 씨-후크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후방 씨-후크는 계속 이동되므로 양자는 서로 충돌하여 씨-후크에 적재된 코일이 손상되고, 더욱 심각하게는 체인 컨베이어(13) 자체가 파손되어 연속 생산의 커다란 장애를 가져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어 트롤리의 캠 어태치먼트가 프론트 트롤리의 본체 수평부와 엑추에이팅 레버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작동되는 종래의 트롤리 장치를 개선하여, 리어 트롤리의 캠 어태치먼트가 프론트 트롤리의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에 단지 접촉만 되더라도 리트렉트블 도그가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롤리 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장치에 의하면 리어 트롤리와 프론트 트롤리의 엇물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코일 제품의 손상이나 체인 컨베이어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연속 생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코일 이송용 씨-후크와 트롤리 장치의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트롤리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3은 종래의 트롤리 장치가 엇물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롤리 장치(trolley apparatus)11: 씨-후크(C-hook)
12: 수평 지지대13: 체인 컨베이어
14: 링크 푸셔(link pusher)20,40: 프론트(front) 트롤리
21: 본체22: 엑추에이팅 레버
23: 연결 볼트24,44: 리트렉트블 도그
30,50: 리어(rear) 트롤리31,51: 캠 어태치먼트
32,52: 캠 어태치먼트 핀33,53: 트롤리 휠
41: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2: 수평 홈
43: 플라이 휠45: 연결부재
46: 회전 중심홀47: 가이드구
48: 와셔49: 너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는, 연속이동되는 체인 컨베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링크 푸셔와 선택적으로 탈착되어 레일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이동되는 트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장치는 하부에 씨-후크가 링크된 수평 지지대의 상부 일측단에 프론트 트롤리가 설치되고 상부 타측단에 리어 트롤리가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롤리에는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후방면에 수평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와, 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 상기 수평 홈에 결합되는 가이드구가 설치된 플라이 휠과, 이 플라이 휠에 고정 설치되고 플라이 휠이 회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링크 푸셔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리트렉트블 도그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 트롤리에는 뒤따르는 프론트 트롤리의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에 접촉되도록 그 후방면에 캠 어태치먼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링크이고 그 링크는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와 플라이 휠의 양측면을 상호 연결 설치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의 전체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는 종래의 트롤리 장치와 같이 프론트 트롤리(40)와 리어 트롤리(50)로 구성되지만 그 각각의 구성요소는 다르다. 즉, 프론트 트롤리(40)는 전방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전방면은 편평한 수직면을 이루며 후방면에는 수평 홈(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후방에는 연결부재(45)에 의해 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연동되도록 플라이 휠(43)이 연결 설치된다. 이 플라이 휠(43)의 전방에는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후방면에형성된 수평 홈(42)과 동일한 높이로 회전 중심홀(46)이 형성되고, 이 회전 중심홀(46)에는 가이드구(47)가 끼워지며, 이 가이드구(47)는 와셔(48)와 너트(49)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플라이 휠(43)의 상부에는 리트렉트블 도그(44)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 리트렉트블 도그(44)는 종래의 트롤리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체인 컨베이어의 링크 푸셔와 탈착되면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한편, 리어 트롤리(50)에는 종래의 트롤리 장치와 같이 그 후방면에 캠 어태치먼트(51)가 캠 어태치먼트 핀(52)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캠 어태치먼트(51)의 후방면이 편평한 수직면을 이룬다는 점에서 프론트 트롤리(40)에 삽입되기 위해 뾰족한 경사면을 이루던 종래의 캠 어태치먼트(31)와 구별된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인 교차지점에서의 대기 등으로 인해 전방 씨-후크의 리어 트롤리(50)가 정지된 상태에서 후방 씨-후크가 계속에서 이동하게 되면, 후방 씨-후크의 프론트 트롤리(40)가 전방 씨-후크의 리어 트롤리(50)에 접근하게 된다. 후방 씨-후크가 전방 씨-후크에 일정거리 이하로 접근하면, 프론트 트롤리(40)의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가 리어 트롤리(50)의 캠 어태치먼트(51)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슬라이딩은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에 연결부재(45)를 매개로 연결 설치된 플라이 휠(43)을 연동시킨다. 즉,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플라이 휠(43)의 전방에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에 형성된 수평홈(42)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가이드구(47)가 그 수평 홈(42) 내에 끼워진다. 이렇게 가이드구(47)가 수평 홈(42)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가 계속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연결부재(45)가 슬라이딩된 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연결부재(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플라이 휠(43)의 무게중심이 아래에 위치하고, 연결부재(45)가 아래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연결부재(4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링크이고 그 링크는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플라이 휠(43)의 양측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플라이 휠(43)의 연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또한, 이 연결부재(45)는 자체가 회동되어야 하므로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상기 플라이 휠(43) 모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연결부재(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플라이 휠(43)도 이와 연동하여 캠 어태치먼트(51)의 수평 홈(42)에 끼워진 가이드구(47)를 회동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상기 가이드구(47)는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슬라이딩 시에 수평 홈(4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 줌과 동시에 플라이 휠(4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해주는 회동축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라이 휠(43)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플라이 휠(4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리트렉트블 도그(44)는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고, 이로 인해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더 이상 체인 컨베이어(13)에 의한 동력이 씨-후크로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방 씨-후크가 정지하게 되면 후방 씨-후크도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서로 충돌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전방 씨-후크가 다시 이동하게 되면, 리어 트롤리(50)의 캠 어태치먼트(51)와 프론트 트롤리(40)의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힘이 없어지므로 상기 플라이 휠(43)의 반작용으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플라이 휠(43)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의 수평 홈(42)에 결합되었던 가이드구(47)가 빠져 나오면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동시에 플라이 휠(43)의 상부에 설치된 리트렉트블 도그(44)는 다시 위로 올라가 상기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체인 컨베이어(13)의 동력이 다시 전달되어 후방 씨-후크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와 종래의 트롤리 장치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종래의 트롤리 장치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어 트롤리(30)의 캠 어태치먼트(31)가 프론트 트롤리(20)의 본체(21) 수평부와 엑추에이팅 레버(22)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캠 어태치먼트(31)가 정상위치보다 위를 향할 때에는 서로 엇물리게 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장치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어 트롤리(50)의 캠 어태치먼트(51)의 후방면과 프론트 트롤리(50)의 전방면을 모두 편평한 수직면으로 구성하여 단지 양자의 면접촉만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엇물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에 의하면, 프론트 트롤리와 리어 트롤리가 단지 면접촉에 의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양자가 서로 엇물림으로써 생기는 코일 제품의 손상이나 체인 컨베이어 설비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연속이동되는 체인 컨베이어(13)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링크 푸셔(14)와 선택적으로 탈착되어 레일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이동되는 트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장치는 하부에 씨-후크(11)가 링크된 수평 지지대(12)의 상부 일측단에 프론트 트롤리(40)가 설치되고 상부 타측단에 리어 트롤리(50)가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롤리(40)에는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후방면에 수평 홈(42)이 형성된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이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에 연결부재(45)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에 상기 수평 홈(42)에 결합되는 가이드구(47)가 설치된 플라이 휠(43)과, 이 플라이 휠(43)에 고정 설치되고 플라이 휠(43)이 회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13)의 링크 푸셔(14)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리트렉트블 도그(44)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 트롤리(50)에는 뒤따르는 프론트 트롤리(40)의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에 접촉되도록 그 후방면에 캠 어태치먼트(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링크이고 그 링크는 상기 슬라이딩 어태치먼트(41)와 플라이 휠(43)의 양측면을 상호 연결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KR1020020052531A 2002-09-02 2002-09-02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KR10089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31A KR100897358B1 (ko) 2002-09-02 2002-09-02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31A KR100897358B1 (ko) 2002-09-02 2002-09-02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86A true KR20040021086A (ko) 2004-03-10
KR100897358B1 KR100897358B1 (ko) 2009-05-15

Family

ID=3732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531A KR100897358B1 (ko) 2002-09-02 2002-09-02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478B2 (ja) * 1979-02-23 1983-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摺電装置
JPS571111A (en) * 1980-05-27 1982-01-06 Daifuku Co Ltd Coil relay-loader
JPS60183423A (ja) * 1984-09-14 1985-09-18 Daifuku Co Ltd コイル等の円筒状物移載方法
JPH0442257Y2 (ko) * 1985-03-26 1992-1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358B1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6650A (en) Trolley device in a duplex chain conveyor
US7461735B2 (en) Suspension conveyance apparatus
KR100897358B1 (ko) 코일 이송용 씨-후크의 엇물림 방지 트롤리 장치
US6378441B2 (en) Article conveying method
US3407751A (en) Floor conveyors
JP2665521B2 (ja) パワーアンドフリーコンベヤ用のキヤリア格納軌道
US5526753A (en) Storage apparatus for a storage conveyor
GB2349860A (en) Suspension conveyor system
CN214673425U (zh) Usb焊接机与铁壳机的自动转接装置
US6592322B2 (en) Personal guided transport vehicle
US3027850A (en) Conveyor systems
US3059587A (en) Drag line conveyor system
JPH0112709B2 (ko)
WO2000068057A1 (en) Power and free conveyer system using a towing cable
CN1133016A (zh) 保龄瓶或九柱戏木柱自动安放机
US3244114A (en) Conveyor apparatus
JP3551715B2 (ja) 搬送設備
CN219299243U (zh) 一种输送组件及动力猫道
JP6988720B2 (ja) 搬送装置
US6253684B1 (en) Stop mechanism for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JPH06993Y2 (ja) 椅子自動布設機
JPH11300407A (ja) 鋼材の正逆方向搬送装置
JP3409475B2 (ja) 搬送設備
JP369269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SU1484780A1 (ru) Тележечный конвей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