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328A -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328A
KR20040020328A KR1020020051919A KR20020051919A KR20040020328A KR 20040020328 A KR20040020328 A KR 20040020328A KR 1020020051919 A KR1020020051919 A KR 1020020051919A KR 20020051919 A KR20020051919 A KR 20020051919A KR 20040020328 A KR20040020328 A KR 2004002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nano
slurry
water
smect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544B1 (ko
Inventor
오택수
정병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5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5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 상태에서 나노크기(100nm이하)를 가지고 있는 층상 클레이(clay)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분자 매트릭스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나노두께를 갖는 클레이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고분자/클레이 나노복합재료를 제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자상태에서 나노크기의 두께를 갖는 나노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멕타이트계 클레이를 나노 클레이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와 물을 교반하여 클레이의 층간이 박리된 슬러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분무된 입자를 열풍으로 건조하여 나노 클레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ano clay powder using spray dryer}
본 발명은 입자 상태에서 나노크기(100nm이하)를 가지고 있는 층상 클레이(clay)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리상태에서 층상분리된 클레이를 분무건조에 의해 나노클레이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는 클레이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의 클레이로서, 이러한 클레이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Si사면체와 Al팔면체가 2:1의 비율로 3층판(Si-Al-Si)구조를 이루는 층상구조(layer 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스멕타이트계에서 층상구조를 이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 헥토라이트(hectorite), 세포나이트(saponite)와 같은 것들이 있다.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중에서도 물 속에서 팽윤성이 크고 분산성이 가장 좋은 몬모릴로나이트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는 MMT는 층상형 규산염광물(phyllosilicates)의 화학 구조식인 Al2Si4(OH)로 형성되어 있다. 산화알미늄(aluminum oxide) 중간층인 기브자이트 층(gibbsite layer)에서 +3가의 Al이 +2가인 마그네슘(magnesium)으로 치환되고, 이에 따라서 MMT의 표면에 -1가 만큼의 교환성 이온을 가지게 되며, 부족한 전하를 만족시킨 성분에 따라서 Na+로 만족시킨 형태가 Na+형-MMT이고, Ca+로 만족시킨 형태가 Ca+형-MMT이다.
일반적인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의 특성은 층상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물 사이에 작용하는 수화작용에 의하여 클레이의 층과 층 사이에 물분자가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작용과 더불어 교반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외력을 가하여 주게되면 클레이의 층과 층이 수중에서 박리되어 한층의 두께가 약 1나노미터(nm)의 두께를 갖는 각각의 층으로 박리되어 슬러리 상태로 수중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에서 수분을 건조하면 클레이의 층간에 작용하는 강력한 분자간력으로 인하여 클레이를 수중에 수화시키기 전과 같은 상태로 환원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입자를 이용한 고분자/클레이 복합재료의경우에도 매트릭스재료인 고분자 재료와 혼합하는 등의 공정을 거쳐도 클레이의 층과 층이 나노 두께를 갖는 상태로 박리 되는 작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나노복합재료가 아닌 일반적인 복합재료가 제조된다.
따라서, 나노복합재료용 클레이는 클레이의 층간에 존재하는 교환성 양이온을 유기개질제로 치환시켜서 클레이의 층간거리를 증가시키는 유기화 공정을 거쳐서 유기화된 클레이를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미국특허 제4,889,885 및 4,810,734호가 있다. 유기화된 클레이는 입자상태에서 그 크기가 마이크로 크기를 가지므로 이러한 클레이가 나노화되기 위해서는 클레이와 고분자 매트릭스재료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클레이의 유기화 과정에 매우 많은 시간과 공정이 필요하고 환경적으로도 유기화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매트릭스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나노두께를 갖는 클레이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고분자/클레이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입자상태에서 나노크기의 두께를 갖는 나노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클레이 슬러리의 개념도
도 3은 분무건조기의 일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나노클레이의 사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노클레이 제조방법은, 스멕타이트계클레이를 클레이와 물을 교반하여 클레이의 층간이 박리된 슬러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분무건조기에서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분무된 입자를 열풍으로 건조하여 나노 클레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중에서 수화성을 갖는 스멕타이트계 클레이가 슬러리 상태에서는 클레이의 층과 층이 나노크기로 박리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이들을 분무건조하면 물과 함께 여러 개의 층으로 박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나노두께를 갖는 클레이 입자가 분무되는 물 입자속에 나노크기로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멕타이트계 클레이는 잘 알려져 있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 헥토라이트(hectorite), 세포나이트(saponite)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스멕타이트계 클레이를 층간이 박리된 상태의 슬러리로 만든다(도 2). 즉, 스멕타이트계 클레이를 물과 혼합하고 교반하여 슬러리로 만든다. 물과의 혼합비나 교반조건은 통상의 조건으로 한다. 즉, 슬러리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정도로 물과 혼합하고, 교반도 물과 클레이가 충분히 혼합되어 클레이의 층간이 박리된 상태로 만들면 된다.
클레이 슬러리를 분무건조한다. 분무비말건조의 다른 예인 초음파분사도 가능하지만, 나노클레이를 얻는데는 분무건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분무건조에 이용되는 분무건조기의 예가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즉, 클레이 슬러리를 펌프(1)에 의해 온도가 높은 상태로 예열된 분무관(2, 노즐)에 의해 고압으로 분무하게 되면, 물과 함께 여러 개의 층이 박리된 상태로 수중에 존재하던 나노두께를 갖는 클레이 입자가 분무되는 물입자 속에 나노크기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무된 물입자는 안개와 같은 상태로 분무되기 때문에 분무건조기의 분무관(2) 내부의 높은 온도와 접촉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건조되어 나노 두께를 갖는 입자가 제조된다. 노즐을 통과한 분무입자는 건조공기와 분리되어 집진기(9)에 집진되고, 분리된 공기는 송풍기(10)에 의해 배출된다.
이러한 분무건조공정은 0.1~5kgf/cm2의 압력으로 입구온도 150~200℃, 출구온도 50~100℃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조건을 만족할 때 두께가 극히 얇은 나노클레이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나노클레이를 분무건조방법으로 제조하면 클레이는 그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환경적으로 어떠한 유해물질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미국의 Southern Clay사에서 생산되는 natural MMT를 물 속에 클레이의 농도가 4 중량 퍼센트(%)가 되도록 혼합한 후에 교반 날개가 달린 교반기를 이용하여 적정시간(실시예 에서는 6000rpm, 30분의 조건)혼합하여 클레이의 층간이 박리 된 상태의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일본의 야마토(Yamato)에서 생산된 Pulvis Mini Spray Dryer(model: GB-22)를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다. 분무건조 조건은 아래 표 1과 같다.
분무건조 조건 단위 분무조건
분무건조 압력 kgf/cm2 2.0
분무건조 풍량 m3/min 40
분무건조 온도 입구온도 175~180
출구온도 75~80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나노클레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클레이의 두께가 100nm이하인 나노 클레이로 확인되었다(도 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유해물질도 사용하지 않는 분무건조방법으로 나노클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스멕타이트계 클레이를 나노 클레이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멕타이트계 클레이와 물을 교반하여 클레이의 층간이 박리된 슬러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슬러리를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분무된 입자를 열풍으로 건조하여 나노 클레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건조는 0.1~5kgf/cm2의 압력으로 입구온도 150~200℃, 출구온도 50~100℃에서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나노 클레이는 두께가 10nm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 제조방법.
KR10-2002-0051919A 2002-08-30 2002-08-30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KR10048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919A KR100484544B1 (ko) 2002-08-30 2002-08-30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919A KR100484544B1 (ko) 2002-08-30 2002-08-30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328A true KR20040020328A (ko) 2004-03-09
KR100484544B1 KR100484544B1 (ko) 2005-04-20

Family

ID=3732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919A KR100484544B1 (ko) 2002-08-30 2002-08-30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5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4208A1 (es) 2007-09-14 2009-03-19 Clayspray, S.L. Composición cosmética para administración tópica en forma de spray
WO2021034281A1 (en) * 2019-08-20 2021-02-25 Bezmialem Vakif Universitesi A method for producing a bioactive component-containing nano-composite, and a montmorillonite-based, bioactive component-containing nano-composite
WO2021225548A1 (en) * 2020-05-07 2021-11-11 Ozmen Zekeriya A novel method for carrying bioactive molecules using nanocarri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627A (en) * 1985-07-05 1993-08-03 The Dow Chemical Company Adducts of clay and activated mixed metal oxides
JPH02267113A (ja) * 1989-04-06 1990-10-31 Shiseido Co Ltd 有機複合粘土鉱物
US5202496A (en) * 1989-04-18 1993-04-13 Aristech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isophor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4208A1 (es) 2007-09-14 2009-03-19 Clayspray, S.L. Composición cosmética para administración tópica en forma de spray
WO2021034281A1 (en) * 2019-08-20 2021-02-25 Bezmialem Vakif Universitesi A method for producing a bioactive component-containing nano-composite, and a montmorillonite-based, bioactive component-containing nano-composite
CN114929280A (zh) * 2019-08-20 2022-08-19 特库瓦兹健康服务医疗清洁化学品产业和贸易有限公司 用于生产含生物活性成分的纳米复合物和含生物活性成分的蒙脱石基纳米复合物的方法
EP4017536A4 (en) * 2019-08-20 2023-05-03 Turkuaz Saglik Hizmetleri Medikal Temizlik Kimyasal Urunler Sanayi Ve Ticaret A.S. METHOD OF PREPARING A BIOACTIVE COMPONENT-CONTAINING NANOCOMPOSITE AND A MONTMORILLONITE-BASED BIOACTIVE COMPONENT-CONTAINING NANOCOMPOSITE
WO2021225548A1 (en) * 2020-05-07 2021-11-11 Ozmen Zekeriya A novel method for carrying bioactive molecules using nano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544B1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n et al. Hydroxylated boron nitride materials: From structures to functional applications
EP3487829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eopolymer or geopolymer composite
JP4063464B2 (ja) 鱗片状シリカ粒子、硬化性組成物、それからなる硬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García-López et al. Influence of clay modification process in PA6-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 properties
JP5412109B2 (ja) 酸化アルミニウム及び元素周期律表の第1及び2主族の元素の酸化物よりなるナノ粒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EP2222611B1 (en) Structural materials with nearly zero carbon emissions
CN101049580A (zh) 采用气流粉碎方法制备高纯纳米颗粒的工艺和装置
CN112174179A (zh) 一种高反应活性纳米氢氧化钙粉体的工业化制备方法
CN101857274A (zh) 一种纳米WS2/MoS2颗粒的制备方法
CN102634242A (zh) 埃洛石纳米管的改性处理及与水性聚氨酯复合制备复合材料的方法
CN109133765A (zh) 一种用热还原石墨烯-碳纳米管改性增强水泥基复合材料的方法
CN106433221B (zh) 一种单层硅酸盐改性的超细重质碳酸钙及其制备方法
KR100484544B1 (ko) 분무건조에 의한 나노클레이의 제조방법
CN106242465B (zh) 一种纳米高强石膏3d打印材料的制备方法
CN107614438B (zh) 碱金属钛酸和磨擦材料
JP2007508229A (ja) 煤中の剥離クレイ複合体及びその製造
Shao et al. Intercalation and exfoliation of talc by solid‐state shear compounding (S3C) using pan‐mill equipment
JP3569969B2 (ja) 薄片状再水和性アルミナの製造方法
US7571869B2 (en) Mineral layered silicate in the form of a nanopower
JP2003327851A (ja) 層状無機結晶体−ポリマー複合体の製造方法
CN107418432A (zh) 一种基于纳米二氧化钛提高皮革稳定性及耐久性的方法
CN102702799A (zh) 利用聚乙二醇改性处理埃洛石纳米管及其制备方法
JP5322472B2 (ja) 多孔質フィラー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フィラー
JPH1129319A (ja) 補強性充填剤
Wahyuningsih et al. Characteristics of Silica Nanoparticles from Rice Husk as Influenced by Surface Modification with Used Solvent Containing Si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