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742A -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742A
KR20040019742A KR1020020051454A KR20020051454A KR20040019742A KR 20040019742 A KR20040019742 A KR 20040019742A KR 1020020051454 A KR1020020051454 A KR 1020020051454A KR 20020051454 A KR20020051454 A KR 20020051454A KR 20040019742 A KR20040019742 A KR 20040019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ape
fixed
rolls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764B1 (ko
Inventor
양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7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압연된 강판의 권취시 내외경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권취된 형상불상코일을 내경부로 내경 교정수단을 삽입하여 교정함과 동시에 외경부에 외경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형상불량코일을 안정적으로 교정하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롤 구동조인트(20)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하는 한 쌍의 구동롤(22,23)로 이루어져 형상불량코일(1)을 회전키는 코일 회전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롤(34)과, 이들이 고정되는 지지롤 베이스(30) 및 베이스 몸체(31)에 축결합하는 제1구동실린더(33) 및 상기 베이스 몸체(31)의 후면부에 축고정되는 압착실린더(36)로 이루어지는 외경 지지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정롤(41,42)과, 이의 양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0a)이 형성된 수정롤 라이너(40)와, 상기 수정롤(41,42)의 양축부에 삽입되는 베어링(45)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링크암(44)들의 단부를 유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작동바(43)와, 이의 일측 단부에 축결합하는 제2구동실린더(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HAPE OF BAD-SHAPE COIL ON THE MINI MILL}
본 발명은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압연된 강판의 권취시 내외경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권취된 형상불상코일을 내경부로 내경 교정수단을 삽입하여 교정함과 동시에 외경부에 외경 지지수단으로 지지하여 형상불량코일을 안정적으로 교정하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연코일 냉각장에서 상온의 온도로 냉각이 완료된 미니밀 열연코일이나 열간압연되어 권취된 극박물인 (두께1.2~1.8㎜를 통상 박물로 칭함) 코일이 열연코일 냉각장에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부에 2단으로 적치된 코일의 중량을 못 견뎌 내려않거나, 조업자의 자동운전 실수로 자동분기 과정에서 1단에 적치된 코일의 상부에 중량이 1단 코일보다 더 많이 나가는 코일을 상부의 적치하여 냉각하는 경우 코일의 내외경 형상이 변형되어 타원형 형상으로 되는데, 이러한 코일의 내외권부 형상이 불량한 코일은 형상의 재수정 및 정정압연시 압연속도의 자동통판의 제어로 코일정정작업시 실수율 향상과 압연오작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장애요인의 제거와 함께 미니밀 제품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압연후 권취된 열연코일 제품의 품질의 향상과 엄격한 사내 품질검사를 위해 냉각장에서 상온으로 냉각된 열연코일은 재압연분할 검사와 같은정정작업을 위하여 조질압연공정에 투입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정 압연설비(2)의 권취 삽입 맨드릴(Mandrill; 3)은 열연코일(1)의 내경으로 규격화 되어 있어서 코일의 내경형상이 불량이 심할 경우에는 삽입하지 못하고 스크랩 불량 처리를 하여야 하는 매우 심각한 제조원가하락의 원인이 되어 수요가 납기요구 지연 등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또한, 형상불량코일(1)을 내경을 부득이하게 산소토치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서 작업자가 절개하여 강제로 정정 압연설비(2)에 피해를 감수하면서 압연설비(2)에 삽입한 후 작업을 하나, 그 과정에서 삽입된 열연코일(1)은 원구의 형상이 아닌 관계로 인하여 코일의 내경중심의 편심 이탈하여 정정 압연설비(2)로부터 추락하여 대형설비 고장발생은 물론 그로 인한 내외권 형상 불량코일(1)의 작업투입 기피의 현상으로 이어 지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질압연 형상수정의 압연작업 중에도 압연설비(2)의 운전자가 형상불량 열연코일(1)의 형상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그대로 압연하는 경우에는 코일이 편심, 편파되어 마치 파도의 파형(6)으로 스트립(1a)이 권해되어 압연롤(6) 내로 겹치면서 삽입되면 압연롤의 절손이 발생하며, 압연오작과 심할 경우 20톤 이상의 열연코일을 스크랩 처리하여야 함으로써 운전자의 심적, 육체적의 피로의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형상이 타원형으로 변형된형상불량코일을 정정압연설비에 장착되도록 형상불량코일의 내경부 및 외경부에서 동시에 원형 형상으로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형상불량코일에 대한 종래의 교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형상불량코일이 권해되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문제 발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내경 교정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및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외경 지지수단 및 코일 회전수단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형상불량코일 20:롤 구동조인트 21a,21b,21c,21d:베어링블록
22,23:구동롤 30:지지롤 베이스 34:지지롤 31:베이스 몸체
32:연결암 33:제1구동실린더 36:압착실린더 41,42:수정롤
40a:가이드홈 40:수정롤 라이너 44a,44b,44c,44d:링크암
43:작동바 46:제2구동실린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롤 구동조인트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블록에 축고정되는 한 쌍의 구동롤로 이루어져 형상불량코일을 수용하여 회전키는 코일 회전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지지롤 베이스에 베어링블록으로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 베이스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에 고정된 연결암에 축결합하는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후면부에 축고정되는 압착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외경 지지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정롤과, 이의 양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가 형성된 수정롤 라이너와, 상기 수정롤의 양축부에 삽입되는 베어링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링크암과, 이들의 단부를 유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작동바와, 이의 일측 단부에 축결합하는 제2구동실린더로 이루어져 코일의 내경부에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내경 교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내경 교정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외경 지지수단 및 코일 회전수단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는 크게, 형상불량코일(1)을 수용하여 회전키는 코일 회전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면을 압착하여 지지하는 외경 지지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형상불량코일(1)을 교정하는 내경 교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3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내경 교정수단은 회전하는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정롤(41,42)을 제2구동실린더(46)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수정롤(41,42)이 상하부로 확장됨으로써 회전하는 형상불량코일(1)을 형상을 교정하게 된다.
상기 수정롤(41,42) 각각의 좌우측 회전축은 상하부에 가이드홈(40a)이 형성된 수정롤 라이너(40)에 의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에 삽입된 각각의 베어링블록(45a,45b/45c,45d)은 이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브래킷(51)에 유동가능하도록 링크암(44a,44b/44c,44d)이 고정되며,
상기 링크암(44a,44b/44c,44d)은 작동바(43)의 좌우측에 각각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작동바(43)는 일측(도면상에서 우측)에는 제2구동실린더(46)의 축이 고정되어 상기 제2구동실린더(46)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바(43)가 이동하여 이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된 상기 링크암(44a,44b/44c,44d)이 상기 수정롤(41,42)을 각각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경 교정수단은,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구성하는 작동바(43)와 제2구동실린더(46)가 결합하는 부위에 축결합하는 상하이동실린더(47)의 축이 체결되어지며,
상기 상하이동실린더(47)는 레일(50)을 활주하는 이동대차(48)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대차(48)는 이의 일측단부에 체결되는 제3구동실린더(49)의 작동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도어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는 별도의 코일 회전수단을 구비한다.
즉, 구동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에 체결된 롤 구동조인트(20)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블록(21a,21b,21c,21d)에 축고정되는 한 쌍의 구동롤(22,23)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구동롤(22,23)의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베어링블록(21a,21b,21c,21d)은 각각의 지지대(24a,24b)에 고정되어 고정 장착되어 형상불량코일(1)이 상기 구동롤(22,23)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롤(22,23) 사이에 형상불량코일(1)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구동롤(22,23)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형상불량코일(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는 상기한 내경 교정수단 및 코일 회전수단과 더불어 회전하여 교정되는 형상불량코일(1)의 외권부를 압착하여 지지함으로써 형상교정 동작이 안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경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을 구성하는 외경 고정수단은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지지롤 베이스(30)의 하부면에 베어링블록(35)으로 다수의 지지롤(34)이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롤(34)은 원형의 코일 외경부를 압착 지지할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상기 지지롤 베이스(30)의 하부면에 고정되면서 베어링블록(35)으로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코일(1)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롤 베이스(30)의 후단부에는 베이스 몸체(31)가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31)의 후미부에는 연결암(3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암(32)에는 제1구동실린더(33)의 구동축이 체결되어 형상불량코일(1)의 교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하향작동하여 코일(1)을 상부에서 압착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31)의 후면부에는 압착실린더(36)의 구동축이 고정되어 있어 교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회전하는 코일(1)의 외경부 상부면을 압착함으로써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는 이송용 코일카(??)에 의하여 형상불량코일(1)이 이송되어 코일 회전수단에 장착되면 교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 형상불량코일이 장착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내경교정수단이 이에 축결합하여 일측 하부면에 고정된 제3구동실린더(49)의 확장작용에 의하여 이동대차(8)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대차(8)의 1차적 이동이 완료되면, 이의 상부면에 장착된 상하이동실린더(47)의 구동축이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승작용이 완료되어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코일 회전수단에 수용되어 지지된 코일(1)의 내경부와 위치가 일치되면, 다시 상기 제3구동실린더(49)를 2차적으로 확장시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코일내경 교정수단을 코일(1)의 내경부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에 삽입되면, 이를 구성하는 제2구동실린더(46)가 수축작용을 함으로써 이의 축에 결합된 작동바(43)가 수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여기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된 각각의 링크암(44a,44b,44c,44d)이 상하부로 각각 확장됨으로써 상하부 수정롤(41,42)이 코일(1)의 내경부와 밀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동작관계에 의하여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로 삽입 완료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코일외경 지지수단의 제1구동실린더(33)가 수축작용을 하여 상기 코일외경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지지롤(34)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지지롤 베이스(30)를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롤 베이스(30)가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롤 베이스(30)의 후면부에 고정된 베이스 몸체(31)의 상부면에 축결합된 압착실린더(36)가 확장하여 다수의 지지롤(34)을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코일(1)의 내경부에 삽입되고, 코일외경 지지수단이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면에 밀착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코일 회전수단의 구동롤(22,23)이 롤 구동조인트(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으로써 형상불량코일(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상불량코일(1)이 코일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코일(1)의 타원형 내경부에 삽입 밀착되어 확장되어진 한 쌍의 수정롤(41,42)에 의하여 상기 타원형 내경부의 단반경 부위가 확장되는 것이며,
상기 타원형 내경부의 단반경 부위확장작용에 의하여 형상불량코일(1)이 거의 완전한 구형으로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정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형상불량코일(1)을 상부면에서 외경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지지롤(34)이 이를 고정결합하는 지지롤 베이스(3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31)의 후면부에 축결합하는 압착실린더(36)의 확장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교정되는 형상불량코일(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구성으로 형상불량코일(1)의 교정작업이 완료되면, 먼저 코일내경 교정수단을 구성하는 제2구동실린더(4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 확장된 한 쌍의 수정롤(41,42)을 원래 위치로 회귀하도록 한다.
그 후, 제3구동실린더(49)를 후퇴시켜 이에 결합된 이동대차(48)를 후진시키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코일내경 교정수단은 후퇴하게 되며,
상기 코일(1)의 내경부로부터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완전히 이탈되면, 상하이동실린더(47)를 하향 작동시켜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하향으로 내려와 워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내경 교정수단이 원래 위치로 복귀 완료되면, 상기 코일(1)의 상부면에서 코일(1)을 압착 지지하는 코일외경 지지수단의 압착실린더(36)를 수축 작동시키면, 이의 축에 결합된 베이스 몸체(31)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31)가 압착실린더(36)의 수착작용으로 코일(1)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 몸체(31)의 후단부에 고정된 제1구동실린더(33)를 상향 작동시켜 상기 코일(1)의 상부면으로부터 코일외경 지지수단을 완전하게 이탈시켜 작동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관계에 의하여 형상불량코일(1)의 교정작업이 완료되면, 형상교정된 코일을 후공정인 정정압연설비로 이송시켜 권취 삽입 맨드릴(Mandrill; 3)에 삽입하여 정정압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발생되었던 내외경부의 형상이 불량한 코일을 완벽하게 교정한 다음, 정정 압연설비에 투입함으로써 종래의 형상불량코일의 납기지연으로 발생되는 공정상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종래의 내외경 형상불량코일을 정정 압연설비에 투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정정 압연설비의 설비트러블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설비트러블 발생시 이를 수리하기 위한 작업자의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롤 구동조인트(20)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블록(21a,21b,21c,21d))에 축고정되는 한 쌍의 구동롤(22,23)로 이루어져 형상불량코일(1)을 수용하여 회전키는 코일 회전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지지롤 베이스(30)에 배어링블록(35)으로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롤(34)과, 상기 지지롤 베이스(3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31)에 고정된 연결암(32)에 축결합하는 제1구동실린더(33)와, 상기 베이스 몸체(31)의 후면부에 축고정되는 압착실린더(36)로 이루어지는 외경 지지수단과;
    상기 코일 회전수단에서 장착된 형상불량코일(1)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정롤(41,42)과, 이의 양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0a)가 형성된 수정롤 라이너(40)와, 상기 수정롤(41,42)의 양축부에 삽입되는 베어링(45)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링크암(44a,44b,44c,44d)과, 이들의 단부를 유동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작동바(43)와, 이의 일측 단부에 축결합하는 제2구동실린더(46)로 이루어져 코일의 내경부에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내경 교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교정수단은 이를 구성하는 작동바(43)와 제2구동실린더(46)가 결합하는 부위에 축결합하는 상하이동실린더(47)와, 상기 상하이동실린더(47)가 장착되어 레일(50)을 활주하는 이동대차(48)와, 이와 축결합하는 제3구동실린더(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KR1020020051454A 2002-08-29 2002-08-29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KR10087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54A KR100870764B1 (ko) 2002-08-29 2002-08-29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54A KR100870764B1 (ko) 2002-08-29 2002-08-29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742A true KR20040019742A (ko) 2004-03-06
KR100870764B1 KR100870764B1 (ko) 2008-11-26

Family

ID=3732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54A KR100870764B1 (ko) 2002-08-29 2002-08-29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18B1 (ko) * 2008-12-24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CN116618473A (zh) * 2023-07-24 2023-08-22 敦化市拜特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带用的矫直设备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75B2 (ja) * 1992-01-10 1996-02-14 株式会社中山製鋼所 線材コイル角張り修正装置
KR19990040392U (ko) * 1998-04-30 1999-11-25 이구택 텐션릴에 권취된 코일 앤드부의 자동 제어장치
KR20020025429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냉연강판 불량부 자동 권취장치
KR20020032984A (ko) * 2000-10-28 2002-05-04 이구택 미니 밀 열연 권취 코일 위치조정 및 검사 진동방지기를탑재한 평량장치
KR20020040148A (ko) * 2000-11-23 2002-05-30 이구택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18B1 (ko) * 2008-12-24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CN116618473A (zh) * 2023-07-24 2023-08-22 敦化市拜特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带用的矫直设备和方法
CN116618473B (zh) * 2023-07-24 2023-09-26 敦化市拜特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带用的矫直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764B1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7195B1 (en) Method for bending metal material and bent product
US7640779B2 (en) Holder unit and hemming apparatus having the holder unit
US5450740A (en) Roll forming machine
KR100870764B1 (ko) 미니밀 형상불량코일 교정장치
JP2002346634A (ja) 形鋼矯正方法および形鋼矯正機ならびに形鋼矯正ユニット
US5823036A (en) Roll forming machine and method for changing rolls
US5720195A (en) Lower forming roll removal and replacement structure
CN113798323A (zh) 一种实施无间隙推钢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US5647241A (en) Rotary upper roll selector
KR100958986B1 (ko) 열연코일 교정장치
KR200216112Y1 (ko) 코일내경부의 처진강판 교정장치
CN103282136B (zh) 用于钢带卷绕设备的驱动器
CN110548809A (zh) 一种多类型金属型材的弯曲工装组件及弯曲加工方法
KR200185484Y1 (ko)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KR20000010113U (ko)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KR200218354Y1 (ko) 박판 코일의 에지 융착부 분리장치
KR19980010219U (ko) 코일 내, 외경의 권취 불량부 교정장치
KR20030021626A (ko) 강판코일의 내, 외부 권취불량부 교정장치
KR20040022845A (ko) 짱구 코일 방지장치
JPH0516952B2 (ko)
KR200203845Y1 (ko) 스트립 엘반곡 확인장치
KR20030023110A (ko)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JPS62166023A (ja) テンシヨンレベラのロ−ル組替装置
KR200181434Y1 (ko) 코일의 회전장치
JP2001137917A (ja) ストリップ調質圧延機の駆動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