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563A -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 Google Patents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563A
KR20040019563A KR1020020051148A KR20020051148A KR20040019563A KR 20040019563 A KR20040019563 A KR 20040019563A KR 1020020051148 A KR1020020051148 A KR 1020020051148A KR 20020051148 A KR20020051148 A KR 20020051148A KR 20040019563 A KR20040019563 A KR 20040019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discharge pipe
mold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갑성
Original Assignee
대한특수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특수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특수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9563A/ko
Publication of KR200400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dus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2D45/005Evacuation of fumes, dust or waste gases during manipulations in the fo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조작업시에 발생되는 분진과 이물질등을 통상의 작업장내에 마련되어 있는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주형내부의 분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분사 노즐의 방향을 배출관으로 배출되게 위치하여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흡입관으로 주형내부의 공기와 분진이 흡입되어 배출관을 통해 적재함에 모이게 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분진이 비산후 일부가 주형내부에 가라앉는 것을 제거함으로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장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치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워 손쉽게 이동을 편하게 하고 단가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형내부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수직방향의 흡입관(10)과 수평방향의 배출관(20)을 가변결속구(30)에 의해 직각으로 결속시켜 통하게 하고 상기 배출관(20)의 일단에는 탈착이 가능한 체결구(43)를 형성한 적재함(40)을 결합시키되 배출관(20)과 통하게 연결하고 상기 배출관(20)의 일측 상단부에는 투입공(21)이 형성된 고무링(22)을 결속하여 내부와 통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A dust collector make using air spray nozzle}
본 발명은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조작업시에 발생되는 분진과 이물질등(이하 "분진"이라 약칭함)을 통상의 작업장내에 마련되어 있는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주형내부의 분진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주조작업은 용융물을 틀에 부어서 식혀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상기 틀을 주형이라 부르고 주물사로 제작되어지며 만들어진 제품은 주물이라 칭한다.
상기 주조작업은 특성상 주형에서 주물을 분리시켜 완료되는 것으로, 분리작업은 대부분 도구를 이용한 수작업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주물사로 제작된 주형에서 주물을 분리할때 통상적으로 분진이 발생되며 주물을 분리한 후에 분진은 주형의 내부에 남게되어 차기 작업시 주물의 외형에 분진에 의해 불량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주형에서 반복적으로 주물을 생산할때는 초도품을 생산한 후에 차기 제품을 생산하기 전에 주형내부의 분진을 제거한 후 용융물을 부어 차기주물을 생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주형의 내부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용융물을 주형에 붓기 전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장내에 통상적으로 설치된 컴프레서와 연결된 에어분사 노즐을 주형의 바닥면에 여러번 분사하여 분진을 비산시킨 후 용융물을 부어 주물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주형의 내부에 가라앉은 분진을 공중에 흩어지게 할뿐 일부분은 다시 주형의 내부로 가라앉아 완전한 분진제거가 되지 않으므로 분진을 주형의 상부로 비산 시킨후 별도의 장치(선풍기)를 사용하여 비산된 분진을 날려보냈다.
이 또한, 별도의 장치에 의해 날려보낸 분진은 작업장내의 공중에 흩어지게 됨으로 작업자의 건강에 해를 끼쳤다.
따라서, 주형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진을 비산시키지 않고 제거가 가능케하여 작업장의 청결함을 유지하고 작업장내에서 이동이 쉬운 집진기를 찾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형내부의 분진을 제거함에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형의 내부와 분진을 포집하는 적재함 사이에 흡입관과 배출관을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으로 에어분사 노즐을 삽입하여 분사되는 공기압으로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주물의 외형불량을 방지하고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진기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흡인관과 에어분사 노즐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분진 제거방법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형2 : 에어분사 노즐
3 : 분사공4 : 분진
10 : 흡입관20 : 배출관
21 : 투입공22 : 고무링
30 : 가변결속구40 : 적재함
41 : 천42 : 지퍼
43 : 체결구
본 고안의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수직방향의 흡입관(10)과 수평방향의 배출관(20)을 가변결속구(30)에 의해 직각으로 결속시켜 통하게 하고 상기 배출관(20)의 일단에는 탈착이 가능한 체결구(43)를 형성한 적재함(40)을 결합시키되 배출관(20)과 통하게 연결한다.
상기 배출관(20)의 일측 상단부에는 에어분사 노즐(2)이 투입되는 투입공(21)이 형성된 고무링(22)을 결속하여 내부와 통하게 하고 상기 적재함(40)은 공기의 배출은 원활하면서 분진은 걸러지는 입자가 조밀한 천(41)으로 형성하여 무게를 감소시켜 이동이 용이하게 하고 일측에는 지퍼(42)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주형(1)에서 하나의 주물을 생산한 후에 차기 주물을생산하기 위해서 용융물을 붓기 전에 분진(4)을 제거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관(10)을 주형(1)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하고 배출관(20)은 주형(1)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외부로 연장시켜 적재함(40)이 주형(1)의 외부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통상의 컴프레서와 연결된 에어분사 노즐(2)의 분사공(3)을 배출관(20)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공(21)으로 삽입하면 고무링(22)에 의해 밀폐되고 분사공(3)이 적재함(40)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작업자가 배출관과 에어분사 노즐(2)을 잡고 에어를 분사하면서 주형(1)내부의 여러곳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공기의 분사압력으로 인해 배출관(20)에서 적재함(40) 방향으로 공기가 세차게 배출되면서 흡입관(10)의 저부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기류가 발생하여 주형(1)의 내부바닥에 가라앉은 분진(4)과 공기와 섞여 같이 흡입되어 배출관(20)을 통해 적재함(40)으로 포집되면서 주형(1)내의 분진이 제거된다.
이때, 적재함(40)에 포집되는 분진(4)은 상기 적재함(40)을 구성하는 입자가 조밀한 천(41)의 조직에 의하여 남게되고 공기는 외부로 배기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적재함(40)에 분진이 가득 차게 되면 적재함(40)의 일측에 마련된 지퍼(42)를 열어 분진을 휴지통으로 배출하거나, 배출관(20)과 적재함(40)에 형성된 체결구(43)를 분리하여 적재장소로 옮겨 분진을 제거한다.
또한, 여러형태의 주형(1)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흡입관(10)과 배출관(20)의 길이가 상이한 흡입관(10)과 배출관(20)을 확보하여 적재함(40)에 교체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함과 결합된 배출관에 구비된 에어분사 노즐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형내의 분진이 공기중에 비산됨이 없이 적재함에 포집되게 함으로써 분진으로 인한 조조불량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조시 발생되는 분진을 완전히 포집, 배출함으로써 작업장내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고 나아가 작업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직방향의 흡입관(10)과 수평방향의 배출관(20)을 가변결속구(30)에 의해 직각으로 결속시켜 통하게 하고 상기 배출관(20)의 일단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적재함(40)을 결합시키되 배출관(20)과 통하게 연결하고 상기 배출관(20)의 일측 상단부에는 투입공(21)이 형성된 고무링(22)을 결속하여 내부와 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적재함(40)은 공기의 배출은 원활하면서 분진은 걸러지는 입자가 조밀한 천(41)으로 형성하여 일측에는 지퍼(42)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KR1020020051148A 2002-08-28 2002-08-28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KR20040019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148A KR20040019563A (ko) 2002-08-28 2002-08-28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148A KR20040019563A (ko) 2002-08-28 2002-08-28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563A true KR20040019563A (ko) 2004-03-06

Family

ID=3732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148A KR20040019563A (ko) 2002-08-28 2002-08-28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956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5776A (en) * 1987-09-14 1989-03-22 Yutaka Kogyo Kk Repair pretreating method of external wall
US6145161A (en) * 1999-03-09 2000-11-14 Jou; Wuu-Cheau Multifunctional dust-abating gun
JP2002193442A (ja) * 2000-12-27 2002-07-10 Yoshitoshi Ito 吸引自動処理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5776A (en) * 1987-09-14 1989-03-22 Yutaka Kogyo Kk Repair pretreating method of external wall
US6145161A (en) * 1999-03-09 2000-11-14 Jou; Wuu-Cheau Multifunctional dust-abating gun
JP2002193442A (ja) * 2000-12-27 2002-07-10 Yoshitoshi Ito 吸引自動処理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0279B (zh) 粉末回收系統
CN209157070U (zh) 便于清理的消失模铸造专用砂箱
CN117161363A (zh) 一种阀门铸造用起模清砂设备
CN107716450B (zh) 一种模具的吹尘吸尘机构
CN105435553B (zh) 一种回旋式除尘过滤装置
KR20040019563A (ko) 에어분사 노즐을 이용한 집진기
KR20160100700A (ko) 다이캐스팅용 집진장치
CN206373696U (zh) 一种耐磨抗摔蓝牙音响模具加工中使用的排屑装置
JP6776877B2 (ja) 鍛造プレスのスケール回収装置
CN208177135U (zh) 一种可除尘的提料机
CN206781386U (zh) 一种雕刻义齿过程中废料收集利用系统
CN206883461U (zh) 一种无污染喷砂机
CN206484003U (zh) 一种带除尘功能的脱模壳装置
CN210587117U (zh) 一种降噪封闭式振壳机
CN214349444U (zh) 一种压缩机螺杆铸造模具
CN219723175U (zh) 一种破碎降尘组件
JPH063616U (ja) 合成樹脂用成形金型におけるクリーナ装置
CN215085687U (zh) 一种铸件加工用除尘箱
CN204263004U (zh) 一种钢丸收集装置
CN219338352U (zh) 一种注塑模具自动清理除尘装置
CN219357895U (zh) 一种防尘降噪的落砂平台
JPH1028830A (ja) フィルタバグのダスト除去装置
CN219541531U (zh) 废屑清理充分的排咪机
CN103042200A (zh) 一种振动落砂机防尘装置
CN216938399U (zh) 一种铸型清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