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381A -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381A
KR20040019381A KR10-2004-7001768A KR20047001768A KR20040019381A KR 20040019381 A KR20040019381 A KR 20040019381A KR 20047001768 A KR20047001768 A KR 20047001768A KR 20040019381 A KR20040019381 A KR 2004001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vator
display device
operation panel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696B1 (ko
Inventor
오하시노부카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카의 가동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12)의 표면 측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투과부(13a)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12)의 표시를 투과하는 망 형상체(13)를 배치한다. 상기 망 형상체(13)의 표면부는 다수의 투과부(13a)가 각각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라이터 불이 닿았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팽창하고, 외측을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불꽃이 직접 상기 표시부(12)의 표면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DISPLAY DEVICE OF ELEVATOR}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와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가 있다. 또한, 조작반(操作盤)은 표시 장치에 누름 버튼을 구비한 것이나, 표시 장치를 누름 버튼과 독립시킨 것이 있다.
여기서, 조작반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조작반(8)은, 이용자가 조작반(8)의 누름 버튼(6A, 6B)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카가 이용자가 있는 위치(층(floor))까지 동작을 개시한다. 표시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등(位置燈)(4A)과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등(方向燈)(4B, 4C)을 구비하고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가 위치등(4A)에 표시된다.
이용자가 조작반(8)의 누름 버튼(6A, 6B)을 누름으로써, 그 때의 위치로부터 이용자가 있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카가 동작함에 따라, 위치등(4A)의 표시가 변화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동작 방향이 방향등(4B, 4C)에 표시되고, 이용자가있는 위치까지 오면 방향등(4B, 4C)의 표시가 없어진다. 그 후, 이용자가 향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 방향에 의해, 다시 방향등(4B, 4C)이 점등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1층에 있어 UP(업) 호출의 누름 버튼(6A)을 누른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가 3층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누름 버튼(6A)이 눌림으로써, 위치등(4A)의 표시 내용은 3 → 2 → 1로 차례로 변화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 방향은, 3층으로부터 1층으로 이동하는 동안은 DN(다운) 방향의 방향등(4B)이 표시되고 있다. 그 후, 1층에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하면, DN 방향의 방향등(4B)이 꺼져, UP 방향의 방향등(4C)이 표시된다.
또한, 조작반(8)에는 만원(滿員)(도면 중에 MN이라고 도시된 부분에 「만원(滿員)」이라고 표시됨)이나 긴급(緊急)(도면 중에 IJ라고 도시된 부분에 「긴급(緊急)」이라고 표시됨) 등의 엘리베이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表示燈)(4D)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표시등(4D)은 통상은 표시되지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가 만원일 때 등, 이용자에게 엘리베이터의 가동 상태의 정보를 알릴 때에 표시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조작하는 관계상, 다양한 외적(外的) 손상을 받을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승강기 카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반은, 승강기 카 내부가 일시적으로 밀폐 공간으로 되기 때문에 무분별한 사람에 의해 장난쳐질 가능성이 비교적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라이터 등의 화기(火器)를 이용하여, 조작반 표면을 녹이는(태우는) 것과 같은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에 대하여, 조작반의 특히 누름 버튼에 대해서는 금속 커버로 덮거나, 또한,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유리재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난연성(難燃性) 플라스틱시트로 이루어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덮었다.
상기와 같은 대책 중에서 금속 커버로 덮는 방법은, 누름 버튼과 같이 표시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는, 주위를 발광시키도록 하여 누른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면 되지만, 표시가 전체에 걸쳐 변화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는, 금속 커버로 덮으면, 표시 장치의 표시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적절하지 않다.
또한, 난연성 플라스틱 시트로 덮는 방법은, 표시 장치의 표면에 불꽃이 장시간 닿으면, 그 열에 의해 난연성 플라스틱이 녹기 시작하여 배후(背後)에 있는 표시 장치의 표시가 보이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유리재는 불에 강하고 광을 투과하지만, 일반적으로 유리재는 충격에 약하여 어느 정도 강성(剛性)을 부여하기 위해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나빠진다. 또한, 유리재에 강화 유리를 사용했다고 하여도, 예리한 것에 의해 충격을 받으면 크랙(crack)이 생기고, 내구성이 약해져 거기서부터 깨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표시에 대한 시인성(視認性) 및 장치로서의 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내화성(耐火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car) 내부 또는 엘리베이터 홀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의 가동(稼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반의 정면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2의 (b)의 요부(要部)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측면단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부분 확대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가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 표시부의 표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천설부(穿設部)를 가지며, 상기 천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를 시인(視認) 가능한 표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부는, 예를 들어, 망 형상체(격자 형상체를 포함함)이고, 다수의 투과부가 각각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라이터 불이 닿았을 때에, 다수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팽창하고, 외측을 향하여 방출(放出)되기 때문에, 불꽃이 직접 표시부의 표면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부에 금속 도금을 실시하여 망 형상체의 외측 표면을 흑색으로 함으로써, 다수의 투과부를 투과하여 표시부의 표시를 보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부의 표면 측(표시부의 반대측)에 난연성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라이터 불이 계속하여 닿았을 때에, 우선, 보호 커버가 녹기 시작함으로써, 장난을 도중에서 멈추게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표면부와 표시부 사이에 틈을 마련할 수도 있고, 이렇게 하면, 표면부의 열이 직접 표시부의 표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 카 내부에는, 카의 이동처 및 정지한 층을 표시하는 제 1 층 표시부와, 승강 카의 이동처를 의사적(擬似的)으로 표시하는 제 2 층 표시부를 갖는 조작반이 있으며, 이 조작반의 표면 측에는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천설부를 갖고, 적어도 이 천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를 시인 가능한 표면부가 배치된다.
또한, 표면부를 난연성 플라스틱 또는 유리 섬유로 형성하고, 이 망 형상체를 표시부의 표면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누름 버튼과 함께 조작반에 설치되고, 이 조작반의 표시부 및 누름 버튼의 표면 측을 덮도록 표면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표면부에 의해 누름 버튼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을 플라스틱재(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누름 버튼과 함께 조작반에 설치되고, 이 조작반의 누름 버튼 부분의 표면 측을 제외한 조작반의 대략 전면(全面)에 표면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누름 버튼의 조작 스트로크(stroke)가 긴 경우에도 지장 없이 표면부를 설치할 수 있다.
표면부를 표시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면,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교환 등의 보수(保守)를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에 대한 시인성 및 장치의 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 도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10)는 프레임 형상의 표면판(11)과, 이 표면판(11)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의 가동 상태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12)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 EL(Electro Luminescence) 등의 면발광 소자나 액정 패널로 구성한 것, 또는 표시판을 광원으로 조사(照射)함으로써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 등이 있으며, 제어 장치(도시 생략)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멸(點滅)하여 엘리베이터의 가동 상태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
이 표시부(12)로서,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등(12A),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등(12B, 12C), 및 엘리베이터의 가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12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부(12)의 표면 측에, 표시부(12)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천설부를 갖는 표면부로서, 예를 들어, 망 형상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망(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금속망(13)은, 예를 들어, 20∼100 메시(mesh)/인치의 미세한 그물코를 갖고,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표면판(11)에 고정된다. 또한, 금속망(13)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또는 티타늄 중 어느 1 종류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이다.
표면판(11)의 이면(裏面)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stud bolt)(14)가 부착되는 반면, 금속망(13)에는 이 스터드 볼트(14)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구멍을 표면판(11)의 스터드 볼트(14)에 통과시켜 표면판(11)과 금속망(13)은 중첩되어 부착된다.
표시부(12)를 구성하는 기판 유닛(12a)에도 금속망(13)과 동일한 스터드 볼트(14)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그 구멍을 표면판(11)의 스터드 볼트(14)에 통과시켜 기판 유닛(12a)이 부착된다. 금속망(13) 및 기판 유닛(12a)은, 그 후에 스터드 볼트(14)에 너트(15)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시킨다.
이렇게 구성한 표시 장치(10)는, 표시부(12)의 표면이 금속망(13)으로 덮이게 된다. 이 금속망(13)은 미세한 그물코에 의해 다수의 투과부(13a)가 분산 배치되어 있고, 그 다수의 투과부(13a)가 각각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난을 치기 위해 라이터 불이 표시부(12)의 표면을 향하여 닿으면, 금속망(13)에 형성된 다수의 투과부(13a)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각각 가열되어 팽창하고, 그 팽창된 공기가 외측을 향하여 방출되어, 불꽃이 금속망(13)의 이면 측 및 표시부(12)의 표면에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12)의 표면이 녹기 시작하는 현상에 이르지 않아,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망(13)은 그 그물코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투과부(13a)를 통하여, 표시부(12)의 표시 내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표시의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 금속망(13)에 니켈 크롬 도금 등의 금속 도금을 실시하여 금속망(13)의 외측 표면을 흑색으로 함으로써, 광 반사를 억제하고, 다수의 투과부(13a)를 통하여 표시부(12)의 표시를 보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표시부(12)의 표면 측에 금속망(13)을 설치함으로써, 라이터 등에 의한 불이 닿는 장난이 있더라도, 금속망(13)의 표면 측에 불꽃이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12)를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부(12)의 표시 내용을 그물코의 투과부(13a)를 통하여 볼 수 있어,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금속망(13)의표면 측(표시부(12) 반대측)에 난연성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16)를 더 설치하여, 이것을 표면부로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보호 커버(16)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1 종류를 포함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라이터 불이 표시 장치(10)를 향하여 계속하여 닿으면, 그 불꽃의 열에 의해 보호 커버(16)가 녹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 보호 커버(16)가 먼저 녹기 시작함으로써, 장난을 치고 있는 사람이 장난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의식하여 도중에서 멈추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대에 반하여 다시 표시부(12)를 향하여 불꽃이 닿게 되어도, 금속망(13)의 그물코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투과부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각각 가열되어 팽창하고, 그 팽창된 공기가 외측을 향하여 방출됨으로써, 불꽃이 금속망(13)의 이면 측 및 표시부(12)의 표면 측에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장난쳐지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어, 표시 장치(10)가 장시간 불꽃에 노출될 위험성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금속망(13)에 의한 표시부(12)의 표면 보호도 행할 수 있다. 또한, 녹은 보호 커버(16)는 교체함으로써, 표시 장치(10)를 용이하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 도 6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부인 금속망(17)을 표면판과 겸용(兼用)시키는 구성으로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표시부(12)를 구성하고 있는기판 유닛(12a)은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판 유닛(12a)의 표면 측에 금속망(17)을 배치하고, 금속망(17)의 표면 측으로부터 기판 유닛(12a)의 구멍에 나사(18)를 삽입하여 너트(19)를 나사 결합하여, 금속망(17)과 기판 유닛(12a)을 체결한다. 금속망(17)과 기판 유닛(12a) 사이에는 와셔(washer)(20)를 개재시켜 금속망(17)과 표시부(12)의 표면 사이에 틈(21)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금속망(17)을 표면판과 겸용시킴으로써, 표면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망(17)의 그물코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투과부(17a)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불꽃에 의해 각각 가열되어 팽창하고, 그 팽창된 공기가 외측을 향하여 방출되어, 불꽃이 금속망(17)의 이면 측 및 표시부(12)의 표면 측에 진입할 수 없게 되는 작용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금속망(17)과 표시부(12)의 표면 사이에 틈(21)을 마련함으로써, 금속망(17)이 가열되었을 때에, 그 열이 표시부(12)의 표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망(17)은 표시부(12)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0)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부를 금속망 대신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난연성 플라스틱이나 유리 섬유에 의해 네트(net) 형상으로 형성한 망 형상체, 또는 시트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산부(山部)(22a)를 형성하여, 각산부(22a)로 둘러싸인 다수의 오목부를 투과부(22b)로 하는 시트 형상 망 형상체(22)를 사용하고, 이 망 형상체(22)를 표시부(12)의 표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표시 장치(10)에 라이터 등에 의한 불이 닿는 장난이 있더라도, 망 형상체(22)에 형성된 다수의 투과부(22b)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각각 가열되어 팽창하고, 그 팽창된 공기가 외측을 향하여 방출됨으로써, 불꽃이 망 형상체(22)의 이면 측 및 표시부(12)의 표면 측에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표시부(12)의 표면이 녹기 시작하는 현상에 이르지 않아,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망 형상체(2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12)의 표시에 대한 시인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망 형상체(22)는 표시부(12)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정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2)는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누름 버튼(26A, 26B)과 함께 조작반(23)에 설치되고, 표면부로서, 이 조작반(23)의 표시부(12) 및 누름 버튼(26A, 26B)의 표면 측을 덮도록 금속망 등의 망 형상체(24)를 배치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렇게 구성하면, 누름 버튼(26A, 26B)은 망 형상체(24)의 휨을 이용하여 망 형상체(24)의 외측으로부터 누름 버튼(26A, 26B)을 누름으로써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망 형상체(24)에 의해 표시부(12)뿐만 아니라, 누름 버튼(26A, 26B)도 장난에 의한 라이터 불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26A, 26B)을 플라스틱재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의 정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5 실시예와 동일하게, 조작반(23)의 대략 전면에 설치되는 표면부인 망 형상체(24)에 누름 버튼(26A, 26B)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를 설치하고, 그 개구부로부터 누름 버튼(26A, 26B)을 돌출시킨 점에 특징을 갖는다. 또한, 누름 버튼(26A, 26B)은 표면을 불연재(不燃材)의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덮고 있다.
이와 같이 누름 버튼(26A, 26B) 부분의 표면 측을 제외한 조작반(23)의 대략 전면에 망 형상체(24)를 배치함으로써, 누름 버튼(26A, 26B)을 단체(單體)로 망 형상체(24)의 개구부를 통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누름 버튼(26A, 26B)의 스트로크가 긴 경우에도, 누름 버튼(26A, 26B)의 조작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망 형상체(24)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어, 조작반(23)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조작반의 정면도이다. 도 10의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조작반(23)에는 표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확대하여 도시한 상기 표시부(12)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조작반(23)에 있어서, 승강 카의 이동처 및 정지한 층을 표시하는 제 1 층 표시부(12A)와, 승강기 카의 이동처를 의사적으로 표시하는 제 2 층 표시부(12C, 12B)를 갖고 있다. 상기 표시부(12)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이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보안 상황을 표시하는 관제(管制) 표시등(12E)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 관제 표시등(12E)은 지진(도면 중에 부호 「AB」라고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지진」이라고 표시됨), 화재(도면 중에 부호 「GH」라고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화재」라고 표시됨), 정전(도면 중에 부호 「CD」라고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정전」이라고 표시됨), 긴급(도면 중에 부호 「IJ」라고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긴급」이라고 표시됨), 선발(先發)(도면 중에 부호 「EF」라고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선발」이라고 표시됨), 출발(도면 중에 부호 「KL」이라고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출발」이라고 표시됨) 등의 표시가 실행된다. 이 표시부(12)의 표면은 상기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망 형상체(24)로 덮여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관제 표시등(12E)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카 내부의 조작반(23)에는 전층의 행선지 누름 버튼(27), 비상용 전화, 도어(door) 개폐 누름 버튼(28)이 있다. 상기 제 2 층 표시부(12B, 12C)가 누름 버튼(27)을 선택했을 때에 점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누름 버튼에 망 형상체(24)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홀의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반을 예로 들어 설명한 각 실시예를,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2-142552호(2002년 5월 17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1)

  1. 엘리베이터 카(car)의 가동(稼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표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천설부(穿設部); 및
    상기 천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를 시인(視認) 가능한 표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에 금속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는 망 형상체인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와 상기 표시부 사이에 틈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와 상기 표시부 사이에 틈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와 상기 표시부 사이에 틈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7. 엘리베이터의 승강 카의 이동처 및 정지한 층(floor)을 표시하는 제 1 층 표시부와, 상기 승강 카의 이동처를 의사적(擬似的)으로 표시하는 제 2 층 표시부를 갖는 조작반;
    상기 조작반의 표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천설부; 및
    적어도 상기 천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를 시인 가능한 표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누름 버튼과 함께 상기 조작반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반의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누름 버튼의 표면 측을 덮도록 상기 표면부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누름 버튼과 함께 상기 조작반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반의 누름 버튼 부분의 표면 측을 제외한 상기 조작반의 대략 전면(全面)에 상기 표면부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가 상기 표시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가 상기 표시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KR1020047001768A 2002-05-17 2003-05-16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KR100691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2552A JP2003335469A (ja) 2002-05-17 2002-05-17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JP-P-2002-00142552 2002-05-17
PCT/JP2003/006156 WO2003097505A1 (fr) 2002-05-17 2003-05-16 Dispositif d'affichage pour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381A true KR20040019381A (ko) 2004-03-05
KR100691696B1 KR100691696B1 (ko) 2007-03-09

Family

ID=2954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768A KR100691696B1 (ko) 2002-05-17 2003-05-16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3335469A (ko)
KR (1) KR100691696B1 (ko)
CN (1) CN1317175C (ko)
MY (1) MY146341A (ko)
TW (1) TWI221146B (ko)
WO (1) WO2003097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87B1 (ko) * 2019-11-08 2019-12-27 장승재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된 스피커 그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7237B2 (ja) * 2005-08-30 2012-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装置
JPWO2010001466A1 (ja) * 2008-07-02 2011-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行先階表示装置
JP5609400B2 (ja) * 2010-08-06 2014-10-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CN103601048A (zh) * 2013-11-07 2014-02-26 南通中尧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带自动消防感应的电梯操纵箱
WO2019239492A1 (ja) * 2018-06-12 2019-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操作表示器具
JP6710787B2 (ja) * 2019-01-09 2020-06-17 能美防災株式会社 表示灯及びその取付方法
WO2022002703A1 (de) * 2020-06-30 2022-01-06 Inventio Ag Aufzug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466U (ko) * 1978-03-13 1979-09-20
US4630026A (en) * 1983-03-29 1986-12-1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Elevator position indicating system
JPH0338225Y2 (ko) * 1985-05-08 1991-08-13
AU5702290A (en) * 1989-06-12 1990-12-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system
JPH05165415A (ja) * 1991-12-11 1993-07-02 Sony Corp 表示装置
JP2878218B2 (ja) * 1996-12-10 1999-04-0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H11231793A (ja) * 1997-12-11 1999-08-27 Sumitomo Denko Hightecs Kk 電光表示装置
US6227335B1 (en) * 1999-12-10 2001-05-08 Invento Ag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87B1 (ko) * 2019-11-08 2019-12-27 장승재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된 스피커 그릴
WO2021091128A1 (ko) * 2019-11-08 2021-05-14 장승재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된 스피커 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45478A (zh) 2004-11-10
CN1317175C (zh) 2007-05-23
MY146341A (en) 2012-07-31
TW200307642A (en) 2003-12-16
TWI221146B (en) 2004-09-21
JP2003335469A (ja) 2003-11-25
KR100691696B1 (ko) 2007-03-09
WO2003097505A1 (fr)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9863A (en) Fire safety window and interior door marker
US7398865B2 (en) Elevator car operating panel
KR100691696B1 (ko) 엘리베이터의 표시 장치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JPS6260786A (ja) エレベ−タの操作盤
JP2009511773A (ja) 経路標識、特に、床または壁内の非常経路標識
WO2007085981A2 (en)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GB2562171A (en) An emergency exit sign
WO2011029999A1 (en) Illuminated sign and illuminated sign system
JP2920757B2 (ja) 警戒地図表示式制御機器
JP2000029410A (ja) El照明表示装置
FI124569B (fi) Sähköinen opastelaatta ja järjestelmä poistumistien opastamiseksi
JP2521576B2 (ja) エレベ―タの乗場ドア―
JP2021146041A (ja) 消火用装置
JP6657300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装置
JP7487373B2 (ja) 防災装置
EP0915444B1 (fr) Module de signalisation et/ou de commande du fonctionnement d'un système
JP2012032497A (ja) 表示装置
JP7432314B2 (ja) 受信機
EP3879515A1 (en) Signaling apparatus
JP7020551B2 (ja) エレベーターの操作表示器具
KR200382338Y1 (ko) 비상구 유도등
CN1243992A (zh) 火灾警报及安全疏散指示装置
EP1298616A2 (en) Fire receiver
JP2000039858A (ja) 照明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