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658A -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658A
KR20040018658A KR1020020050566A KR20020050566A KR20040018658A KR 20040018658 A KR20040018658 A KR 20040018658A KR 1020020050566 A KR1020020050566 A KR 1020020050566A KR 20020050566 A KR20020050566 A KR 20020050566A KR 20040018658 A KR20040018658 A KR 2004001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lamp
signal
backligh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584B1 (ko
Inventor
강문식
유형석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애크론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애크론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584B1/ko
Priority to US10/525,463 priority patent/US7253565B2/en
Priority to CNA038241331A priority patent/CN1701645A/zh
Priority to AU2003251215A priority patent/AU2003251215A1/en
Priority to PCT/KR2003/001695 priority patent/WO2004019312A2/en
Priority to JP2004530650A priority patent/JP2005536846A/ja
Publication of KR2004001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single-switch converter or a parallel push-pull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control circuits for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 신호를 근거로 램프에 정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부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며, 전원출력부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압하여 램프에 제공하고, 감지부는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전류 레벨을 감지하며, 검출부는 감지된 전압/전류 레벨과 기준 레벨과의 비교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여 램프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셧다운 시키는 피드백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상용전원의 예기치 않은 변동으로 램프 양단에 비정상 전압이 인가되어 램프가 오동작하거나 다운되어 화상 디스플레이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외부로부터 광을 입사받아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표시 장치이므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에는 상기 광을 출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설치하여 광을 조사받는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반적인 요구사양은 고휘도, 고효율, 휘도의 균일도, 장수명, 박형, 저중량, 저가격 등이다. 예를들어, 노트북 컴퓨터용 LCD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소모전력을 낮게 하기 위하여 고효율의 장수명 램프가 요구되며, 모니터나 TV용 LCD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고휘도의 램프가 요구된다.
특히, TV용 LCD의 경우는 상기 모니터나 노트북 컴퓨터용 LCD보다도 더욱 엄격하게 높은 휘도와 긴 수명을 요구하는데, 기존의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로는 이를 만족시킬 수 없으므로 외부전극형광램프가 그 대체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전극형광램프는 램프의 양측에 관외전극을 갖는 형광램프를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이라 하고,램프의 일측에만 관외전극을 갖는 형광램프를 EIFL(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이라 한다.
또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인버터로 복수개의 램프를 구동하는 병렬 구동이 연구되어 지고 있다. 램프 병렬 구동시 램프에 이상이 생긴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화질 악화나 화재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피드백 수단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액정 표시 장치에 채용되는 각종 램프들에는 고품질의 신뢰성 있는 전원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정전류를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신뢰성있는 전원공급을 통해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전원공급장치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램프 구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램프 구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일반적인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특성 및 광효율을 각각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위칭부200 : 인버팅부
300 : 변압부400 : 감지부
500 : 검출부600 : 제어부
900 : 액정 표시 장치700 : 액정 표시 모듈
810 : 전면 케이스820 : 배면 케이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는 전원변환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에 의해 램프유니트로의 정전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램프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와 기준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램프구동부; 적어도 일단에 고전압의 교류전원이 요구되는 램프유니트로 이루어져, 상기 변압된 교류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 및 상기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를 근거로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램프유니트에 제공하는 전원출력부; 상기 램프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와 기준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램프구동부과, 적어도 일단에 고전압의 교류전원이 요구되는 관외전극을 갖는 복수개의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병렬 연결된 램프유니트로 이루어져, 상기 변압된 교류전원을 근거로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과,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조절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광조절부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광조절부를 통해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를 근거로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램프유니트에 제공하는 전원출력부; 상기 램프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와 기준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되어 램프가 오동작하거나 다운되어 화상 디스플레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램프 구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구동 장치(또는 전원공급장치)는 제1 스위치(SW1)를 갖는 스위칭부(100), 다이오드(D1), 인버팅부(200), 트랜스포머를 갖는 변압부(300), 감지부(400), 검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램프(LAMP)에 제공한다. 여기서, 인버팅부(200)는 인덕터(L), 캐패시터(C1),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 그리고 스위치 제어부(210)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스위치(SW1)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100)는 미도시된 파워 서플라이와 인덕터(L)사이에 연결되고, 인덕터(L)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중앙 탭에 연결되어, 제어부(600)의 스위칭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의 파워 서플라이(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DC 전원(VIN)을 단속하여 펄스 형태의 DC 전원을 인버팅부(20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DC 전원은 통상적으로 3V 내지 30V이다. 여기서, 스위치(SW1)는 아날로그 스위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등과 같은 사용 가능한 임의의 스위치일 수 있다.
다이오드(D1)는 스위치(SW1)와 인덕터(L)사이의 제1 노드 및 접지의 제2 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단이 스위칭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애노드단이 접지되어 인버팅부(200)에 의해 발생된 돌입 전류가 스위칭부(100)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 커패시터(C1)는 변압부(300)와 병렬로 연결되는데, 커패시터(C1)의 제1 노드는 스위치(SW2)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1)의 제2 노드는 스위치(SW3)에 연결된다. 스위치(SW2 및 SW2)는 접지에 연결된다.
감지부(400)는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 레벨을 검출부(500)에 제공한다. 물론, 상기한 감지부(400)는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고,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의 저항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는 하나 또는 복수의 냉음극선관형광램프(CCFL)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EIFL)일 수도 있다.
만일,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출력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400), 즉 센서를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근접하여 배치하면 상기한 센서와 상기 2차측 권선간에는 전계가 유기되어 상기 센서에는 전류가 흐른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센서는 변화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근접 배치되는 감지부(400)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적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노이즈 차단부재를 더 구비하거나 EMI 쉴딩 처리를 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램프를 병렬 구동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램프의 한쪽 단자 부근에 감지부(400)를 각각 배치하여 변화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물론 감지부의 수가 램프의 수와 비례할 때 검출부(500)의 수를 하나로 할 수도 있고, 복수개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류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램프의 발광에 비례하여 전류를 출력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회로적인 측면에서는 전압신호 쪽이 취급이 간단하기 때문에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한 전류-전압 변환에는 작은 저항치를 갖는 전류검출용 저항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증폭기의 피드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검출부(500)는 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전압 레벨과 기준 레벨과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램프유니트에 정전류 출력을 제어하도록 제어부(600)에 출력한다.
제어부(600)는 스위치(SW1)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신호(미도시)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 신호(미도시)를 근거로 상기 램프에 정전류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601)를 출력한다.
동작시, 스위치(SW1)가 폐쇄(온)되면, DC 파워가 인버팅부(200)에 인가되고, AC 전압, 예를 들어 정현파 전압이 부하 또는 램프에 걸쳐 나타난다. 전류는 파워 서플라이(+V)로부터 트랜스포머의 중앙탭으로 인덕터(L)를 통하여 흐른다. 스위치 제어부(210)는 스위치(SW2 및 SW3)의 두 상태(즉,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한다. 스위치(SW2 및 SW3)는 교대 방식으로 개방 폐쇄되어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걸쳐 AC 파형을 생성한다. 여기서, 스위치(SW2 및 SW2)의 동작 주파수는 고정될 수 있지만 정상적으로 회로의 리액티브 성분(즉, C1, 트랜스포머)의 공진 주파수와 동기이다.
스위치(SW2 및 SW3)가 회로의 리액티브 성분의 공진 주파수와 동기되면, 정현파가 출력된다. 스위치(SW2 및 SW3)의 소망 동작주파수는 수십 킬로헤르쯔이다.트랜스포머(300)의 1차 권선에 걸쳐 산출된 전압은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걸쳐 나타나는 증폭된 전압과 변압기의 권선비에 의해 증폭된다. 2차 권선(144)에 걸쳐 얻어진 2차전압은 램프의 스트라익 전압을 초과해야만 한다.
한편, 램프의 스트라익 전압은 길이, 직경 및 채움 압력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를 포함하는 여러 램프 파라미터에 좌우된다.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걸친 전압이 램프의 스트라익 전압을 초과하면, 전류는 램프를 턴온시키기 위해 램프를 통해 흐른다. 물론 램프에 흐르는 전류는 미도시한 밸라스트 인덕터에 의해 적절한 레벨로 제한될 수도 있다.
스위치(SW1)가 턴 오프되면, 파워는 램프를 턴오프시키기 위해 인버터 회로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전류는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가 없어질 때까지 파워 서플라이(+V)로부터 트랜스포머의 중앙탭으로 인덕터(L)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복귀된다. 스위치(SW1)가 제어부(600)의 출력에 의해 직류전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램프에 인가된 파워를 제어하며, 램프의 조도는 LCD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변동(흐려지거나 밝아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 양단에 연결된 트랜스포머의 출력권선에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일종의 센서로서 안테나를 설치하므로써, 상기 안테나에 의해 감지된 전압을 통해 상기 램프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공급되는지, 비정상적으로 전류가 공급되는지를 피드백받을 수 있다.
특히, 인버팅부가 트랜스포머의 입력권선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는데도 불구하고, 트랜스포머의 출력권선에 근접하는 안테나에 의해 전압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권선에는 부하가 없는 경우(또는 무부하 상태)이므로 램프가 파손(shut-down)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통해 더 이상의 전원이 램프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이 일정 임계치보다 낮은 전압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램프들중 임의의 램프가 파손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스위칭 단속을 통해 인버팅부에 인가되는 펄스 전원을 저감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램프를 초기 기동시킬 때에는 정상적인 구동시보다는 높은 전압이 필요하므로 상기 초기 기동시에는 보다 높은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정상 구동시에는 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500)는 제2 다이오드(D2), 제2 캐패시터(C2), 제1 및 제2 저항(R1, R2), 그리고 비교기(COM)를 포함한다.
동작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연결된 안테나로부터 감지된 신호(401)는 제2 다이오드(D2)와 상기 제2 다이오드(D2)에 병렬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 제1 및 제2 저항(R1, R2)에 의해 레벨 다운되며, 레벨 다운된 신호는 비교기의 제1 입력단에 인가되어 제2 입력단에 인가되는 기준 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501)가 출력되며, 출력된 검출신호(501)는 제어부(600)에 제공한다.
상기한 검출신호(501)를 제공받은 제어부(600)에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SW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램프 구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램프 구동 장치는 파워 트랜지스터(Q1), 다이오드(D1), 인버팅부(200), 트랜스포머로 이루어지는 변압부(300),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근접 배치된 감지부(400), 검출부(500), 그리고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램프 어레이, 즉 병렬 연결된 복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들에 각각 제공한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램프 튜브의 양측에 관외전극을 갖는 EEFL 타입의 램프를 예로 들었으나, 램프 튜브의 일측에 관외전극을 갖고 램프 튜브의 타측에 내부전극을 갖는 EIFL 타입의 램프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램프들의 일단이나 양단에 밸러스트 캐패시터(ballast capacitor)를 게재할 수도 있다.
파워 트랜지스터(Q1)는 게이트를 통해 제어부(60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60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소오스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원이 드레인을 통해 인버팅부(200)로 출력되는 것을 스위칭 제어한다.
다이오드(D1)는 캐소드가 파워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접지되어 인버팅부(200)로부터 역류하는 돌입 전류를 차단한다.
인버팅부(200)는 인덕터(L), 공진 캐패시터(C1), 제3 및 제4 저항(R3, R4),그리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2, Q3)로 이루어져, 일단이 파워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에 연결되어 파워 트랜지스터(Q1)로부터 출력되는 단속된 직류전원을 제1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 교류전원을 승압시킨 제2 교류전원이 복수의 램프들에 각각 제공하도록 변압부(3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버터를 공진형 로이어(Royer) 인버터 회로로 구현한 것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히는, 인덕터(L)는 일단이 파워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에 포함된 임펄스 성분을 제거하여 타단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인덕터(L)는 에너지를 충전하고 파워 트랜지스터(Q1)의 오프 기간에 역기전력을 다이오드(D1)로 회생시면서 평균화시키는 일종의 스위칭 레귤레이팅(switching regulating) 동작을 수행한다.
변압부(300)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는 1차 권선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권선(T1, T2)과, 2차 권선을 구성하는 제3 권선(T3)을 갖고서, 인버팅부(200)의 인덕터(L)를 통해 제1 권선(T1)에 입력된 교류전원을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2차측 권선인 제3 권선(T3)에 전달하여 고전압 변환하고, 변환된 고전압은 램프 어레이에 인가된다. 여기서, 제1 권선(T1)은 중간탭을 통해 인덕터(L)로부터 직류전원을 제공받는다.
또한, 제2 권선(T2)은 제1 권선(T1)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에 응답하여 제1 트랜지스터(Q2)와 제2 트랜지스터(Q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턴-온시킨다.
공진 캐패시터(C1)는 트랜스포머의 제1 권선(T1)의 양단간에 병렬 연결되어 제1 권선(T1)의 인덕턴스 성분과 함께 LC 공진 회로를 구성한다. 여기서, 트랜스포머의 입력단에 연결된 제2 권선(T2)은 제1 트랜지스터(Q2)와 제2 트랜지스터(Q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턴-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제3 저항(R3)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원에 연결되고, 콜렉터는 공진 캐패시터(C1)와 1차측 권선(T1)이 병렬 연결된 일단에 연결되어 변압부(300)를 구동하고, 제2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제4 저항(R4)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원에 연결되고, 콜렉터는 공진 캐패시터(C1)와 1차측 권선(T1)이 병렬 연결된 타단에 연결되어 트랜스포머를 구동하며, 에미터는 제1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공통 접지된다.
감지부(400)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 즉 제3 권선(T3)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램프에 공급되는 와이어에 근접 배치되는 안테나(410)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에 흐르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을 상기한 도 2에서 설명한 바 있는 검출부(500)에 제공한다. 즉, 안테나(410)가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근접하여 배치되면 안테나(410)와 2차측 권선의 출력단에 연결된 와이어간에는 전계가 유기되어 안테나(410)에는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안테나(410)는 변화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2차측 권선에 근접하여 코일형태의 안테나(410)를 배치하면, 2차측 권선과 안테나가 일종의 트랜스포머의 역할을 하여 안테나(410)에 유기된 전압에 비례한 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전류를 검출부(500)에 입력하므로써 인버터피드백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PWM 제어부(610) 및 MOSFET 구동부(620)로 이루어져, 온/오프신호(ON/OFF)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DIMM)와, 검출부(500)로부터 제공되는 검출신호(501)에 응답하여 교류전원 레벨의 조정을 위한 스위칭 신호를 파워 트랜지스터(Q1)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디밍신호(DIMM)는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로서, 일정 듀티(DUTY)를 값은 디지털 값이다. 또한 상기 검출신호는 램프에 승압된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일정 기준 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얻은 신호이다.
MOSFET 구동부(620)는 PWM 제어부(61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의 레벨 조정을 위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레벨 조정 신호를 파워 트랜지스터(Q1)에 제공한다. 즉, 일반적으로 PWM 제어부(6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저레벨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를 파워 트랜지스터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그 레벨이 작으므로 저레벨의 신호를 증폭할 목적으로 MOSFET 구동부(620)를 이용한다.
이하, 저레벨의 교류전원을 고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출력부, 즉 인버팅부(200)와 변압부(3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파워 트랜지스터(Q1)에 의해 변환된 DC 전원은 트랜지스터(Q1)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적용된 저항을 직렬로 거쳐서 인버팅부(200) 각각의 입력측인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300)의 중간탭을 갖는 1차 권선(T1)은 각각의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Q2, Q3)의 컬렉터들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고, 커패시터(C1)가 또한 병렬로 접속된다.
DC 전원은 또한 인버팅부(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정전류로 변환하기 위한쵸크 코일(choke coil)을 포함한 인덕터(L)를 직렬로 거쳐서 트랜스포머(300)의 1차 권선(T1)의 중간 탭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300)의 제3 권선(T3)은 1차 권선(T1) 보다도 훨씬 더 많은 감기로 형성되어 전압을 올리도록 하고 있다. 램프 어레이(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램프들은 트랜스포머(300)의 제3 권선(T3)과 병렬로 접속되어 각각의 형광램프들에 정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정전압은 승압된 교류전원의 정극성과 부극성 레벨이 동일한 전압일 수도 있고, 승압된 교류전원의 최고치 레벨과 최저치 레벨간의 간격이 동일한 레벨의 전압일 수도 있다.
변압부(300)의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제2 권선(T2)의 일단은 제1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연결되며, 제2 권선(T2)측에서 여기된 전압을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2, Q3)의 베이스에 각각 인가시킨다.
상기한 도면상에서는 감지부(400)가 하나의 안테나(410)로 이루어져,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복수개의 안테나를 병렬 연결된 복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들에 각각 연결시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검출부(500)의 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상기한 안테나의 수와 비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라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변환된 DC 전원이 인가되면 인덕터(L)를 통하여 트랜스포머(300)의 1차 권선(T1)으로 전류가 흐르고, 이와 동시에 펄스전원이 제1 저항(R3)을 경유하여 제1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제2 저항(R4)을 경유하여 제2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스포머(300)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 즉 제1 권선(T1)의 리액턴스와 공진 커패시터(C1)에 의해 공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랜스포머(300)의 2차측 권선, 즉 제3 권선(T3)의 양단자들간에는 트랜스포머(300)의 제1 권선(T1) 대 제3 권선(T3)의 권수비(TURN RATIO)만큼 승압된 전압이 발생된다. 동시에, 트랜스포머(300)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 즉 제2 권선(T2)에는 제1 권선(T1)의 전류 흐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후, 트랜스포머(300)의 제1 권선(T1) 대 제3 권선(T3)의 권수비만큼 전압이 높아져서 트랜스포머(300)의 제3 권선(T3)의 대향 단들로부터 주파수 및 위상이 동기되는 고압 파형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 결과 램프 어레이에서의 플리커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복수개의 EEFL을 병렬 연결하여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복수개의 EIFL로도 대체가 가능하고, 복수개의 EIFL과 복수개의 EEFL을 하나의 구동회로내에 혼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EIFL의 병렬 연결시 관외전극끼리 내부전극은 내부전극끼리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를 혼재하여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EEFL이나 EIFL를 병렬 연결하여 플로팅 방식으로 관외전극 형광램프들을 구동할 때,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에 응답하여 정전압의 교류전원을 형광램프의 양단간에 제공하므로써 형광램프의 휘도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병렬 연결된 복수의 형광램프들 중 어느 하나가 파괴되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전원을 소진하는 부하가 줄어들게 되므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연결된 안테나가 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를 피드백하여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단속하여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제공되어 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램프들중 어느 하나의 형광램프만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면 해당 램프를 통해 폐루프를 형성하면서 관전류가 흐르므로 화재의 위험 등은 제거된다.
이상에서는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 엄밀하게는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면,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채용하게 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특히 에지발광 방식을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900)는 화상신호가 인가되어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액정 표시 모듈(700)과 액정 표시 모듈(700)을 수납하기 위한 전면 케이스(810) 및 배면 케이스(820)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모듈(700)은 화면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7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710)는 액정 표시 패널(712), 데이터측인쇄회로기판(714),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719), 데이터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이하, TCP)(716) 및 게이트측 TCP(718)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71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과 컬러 필터 기판(712b) 및 액정(도시 안됨)을 포함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드레인 단자로는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에 대향하여 컬러 필터 기판(712b)이 구비되어 있다. 컬러필터 기판(712b)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컬러 필터 기판(712b)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상술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오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 필터 기판의 공통 전극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2a)과 컬러 필터 기판(714b)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액정 표시 패널(712)의 액정의 배열각과 액정이 배열되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인가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712)의 소오스측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의 인가 시기를 결정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일종인 데이터 TCP(716)가 부착되어 있고, 게이트측에는 게이트의 구동신호의 인가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연성 회로 기판의 일종인 게이트측 TCP(718)가 부착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712)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각각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714)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719)은 액정 표시 패널(712)의 데이터 라인측의 데이터 TCP(716) 및 게이트 라인측의 게이트 TCP(718)에 각각 접속된다.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714)에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도시 안됨)로부터 발생한 영상신호를 인가 받아 액정 표시 패널(712)에 데이터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오스부가 형성되고,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719)에는 액정 표시 패널(712)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714)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719)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게이트 구동신호, 데이터 신호 및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신호들을 발생시켜서, 게이트 구동신호는 게이트측 TCP(718)를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712)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TCP(716)를 통하여 액정 표시 패널(712)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디스플레이 유니트(710)의 아래에는 디스플레이 유니트(71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720)가 구비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720)는 액정 표시 모듈(700)의 양단에 구비되어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램프부(723, 72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램프부(723, 725)는 각각 제1 및 제2 램프(723a, 723b), 제3 및 제4 램프(725a, 725b)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램프 커버(722a, 722b)에 의해 각각 보호된다.
도광판(724)은 디스플레이 유니트(710)의 액정패널(71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액정패널(712)의 아래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램프부(723, 725)에서 발생된 광을 디스플레이 유니트(710)쪽으로 안내하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도 5에 있어서, 도광판(724)은 두께가 균일한 에지형이고, 제1 및 제2 램프부(723, 725)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광판(724)의 양단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램프부(723, 725)의 램프의 개수는 액정 표시 장치(900)의 전체적인 균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광판(724)의 위에는 도광판(724)으로부터 출사되어 액정 표시 패널(712)로 향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광학시트들(72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724)의 아래에는 도광판(724)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724)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728)이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니트(71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720)는 수납 용기인 몰드 프레임(73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몰드 프레임(730)은 직육면체의 박스상을 갖고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니트(710)의 데이터측 인쇄 회로 기판(714)과 게이트측 인쇄 회로 기판(719)을 몰드 프레임(730)의 외부로 절곡시키면서 몰드 프레임(730)의 저면부에 고정하면서 디스플레이 유니트(7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샤시(740)가 제공된다. 샤시(740)는 액정 표시 패널(710)을 노출시키기 위해 개구되어 있으며, 측벽부는 내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액정 표시 패널(710)의 상면 주변부를 커버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정 표시 장치(900)에는 제1 내지 제4 램프(723a, 723b, 725a, 725b)를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인버터(INV1)가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관외전극 형광램프용 램프 구동 장치를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일반적인 내부전극 형광램프용 램프 구동 장치를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의 비교를 통해 본 발명의 유효한 효과에 대해서 언급한다.
하기하는 표 1은 일반적인 CCFL 직하형 모듈과 본 발명에 따른 EEFL 직하형 모듈을 17인치 액정 표시 패널에 장착하여 제품 특성을 비교한 표이다.
CCFL 직하형 LCD EEFL LCD
휘도 450 [nits]
색좌표 [x,y] 0.268, 0.306 0.288,0.344
휘도 균일성 75 [%]
패널 투과율 3.74 [%]
콘트라스트 472.3 527.3
소비전력 31 [watt] 31 [watt]/색좌표 보정시 33 [watt]
구동 인버터 개별 구동 방식65kHz그라운드 방식 병렬 구동 방식65kHz플로팅 방식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EEFL을 병렬 연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 일반적인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색좌표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색좌표를 보정할 때 소비 전력이 2와트 증가하나 이는 유의차가 없는 수준이다.
상기한 표 1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EEFL을 적용한 모듈의 경우 CCFL 직하형 모듈에 비해 콘트라스트가 높고, 동일 광효율(즉, 휘도/소비전력)에서 30%의 절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일반적인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특성 및 광효율을 각각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2 내지 3분이 경과한 후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나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나 모두 정규화된 휘도(Normalized Luminance) 특성은 동일하나, 초기 기동시에는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특성이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특성보다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포화(saturation) 특성이 CCFL을 채용한 휘도 포화 특성보다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소비전력 대비 백라이트의 휘도 특성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일반적인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근사한 광효율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표 1이나 도 5a,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CFL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가인 EEFL을 채용하고, 별도의 피드백 기능을 부여하지 않은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일반적인 CCFL을 채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비해 휘도 동일성 특성이나, 광효율적인 측면, 휘도 포화 특성 등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해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구비된 안테나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근거로 램프에 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되는지 아니면 비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을 통해 임계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입력전원의 레벨을 다운시키고, 상기 임계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면 입력전원의 레벨을 업시킬 수 있으므로 램프에는 일정 레벨의 정전압만을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램프의 수명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가 파손되면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미감지되고, 이를 근거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공급장치 또는 인버터뿐만 아니라, 이를 채용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7)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는 전원변환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에 의해 램프유니트로의 정전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램프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와 기준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램프유니트의 양단간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코일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기 위해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램프구동부;
    적어도 일단에 고전압의 교류전원이 요구되는 램프유니트로 이루어져, 상기 변압된 교류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 및
    상기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를 근거로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램프유니트에 제공하는 전원출력부;
    상기 램프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와 기준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니트는 적어도 일단에 관외전극을 갖는 관외전극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니트는 복수의 상기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관외전극 형광램프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하나 또는 상기 감지부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부는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승압하기 위해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상기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코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2차측 권선을 통해 흐르는 전원에 응답하여 유기되는 전계를 근거로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부는 상기 램프유니트의 양단간에 상기 변압된 교류전원의 정극성과 부극성 레벨이 동일한 정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부는 상기 램프유니트의 양단간에 상기 변압된 교류전원의 최고치 레벨과 최저치 레벨간의 간격이 동일한 레벨의 정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구동부는 캐소드단이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애노드단이 접지되어 상기 전원출력부에 의해 발생된 돌입 전류가 상기 스위칭부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레벨의 조정을 위한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제공하는 스위칭 소자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7.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전원을 변압하여 출력하는 램프구동부과, 적어도 일단에 고전압의 교류전원이 요구되는 관외전극을 갖는 복수개의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병렬 연결된 램프유니트로 이루어져, 상기 변압된 교류전원을 근거로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과,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조절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광조절부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광조절부를 통해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기동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밍신호를 근거로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직류전원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전원을 정전압의 교류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램프유니트에 제공하는 전원출력부;
    상기 램프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램프유니트에 정전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와 기준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50566A 2002-08-26 2002-08-26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089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566A KR100892584B1 (ko) 2002-08-26 2002-08-26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US10/525,463 US7253565B2 (en) 2002-08-26 2003-08-2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038241331A CN1701645A (zh) 2002-08-26 2003-08-22 提供电源的装置、背光组件和有背光组件的液晶显示装置
AU2003251215A AU2003251215A1 (en) 2002-08-26 2003-08-2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03/001695 WO2004019312A2 (en) 2002-08-26 2003-08-2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4530650A JP2005536846A (ja) 2002-08-26 2003-08-22 電力供給装置並びに該装置を有するバ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566A KR100892584B1 (ko) 2002-08-26 2002-08-26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58A true KR20040018658A (ko) 2004-03-04
KR100892584B1 KR100892584B1 (ko) 2009-04-08

Family

ID=3194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566A KR100892584B1 (ko) 2002-08-26 2002-08-26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53565B2 (ko)
JP (1) JP2005536846A (ko)
KR (1) KR100892584B1 (ko)
CN (1) CN1701645A (ko)
AU (1) AU2003251215A1 (ko)
WO (1) WO2004019312A2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8320A1 (en) * 2003-06-04 2005-01-27 Seongju Lee Inverter for eefl and backligth
US7242155B2 (en) 2004-09-22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harge lamp driving circuit
KR100760943B1 (ko) * 2006-01-25 2007-09-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모바일용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7323935B2 (en) 2004-11-11 2008-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conductance amplifier having common mode feedback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conductance amplifier
KR100860465B1 (ko) * 2004-08-20 2008-09-25 오투 마이크로, 인코포레이티드 외부 전극 형광 램프 시스템을 위한 보호
KR100882124B1 (ko) * 2007-11-06 2009-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외부 전압을 이용한 램프 보호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US7504612B2 (en) 2006-08-30 2009-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mbient light processing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by sensing ambient light and method using the system
US7535023B2 (en) 2005-01-14 2009-05-19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s and power devices
US7554273B2 (en) 2006-09-05 2009-06-30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Protection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system
KR100911448B1 (ko) * 2007-12-18 2009-08-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부하의 오픈상태를 검출하기 위한전원공급장치
WO2009131325A3 (ko) * 2008-04-24 201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패널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101026396B1 (ko) * 2006-12-20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036342A1 (ko) * 2010-09-16 2012-03-22 엘지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39520B1 (ko) * 2004-05-31 2012-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KR101451573B1 (ko) * 2007-06-26 2014-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US9728997B2 (en) 2011-09-21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88B1 (ko) * 2001-03-12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램프 내부의 전자 흐름 제어 방법, 이를이용한 냉음극선관 방식 조명장치의 구동 방법, 이를구현하기 위한 냉음극선관 방식 조명장치 및 이를 적용한액정표시장치
US20070222400A1 (en) * 2003-11-06 2007-09-27 Jorge Sanchez-Olea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ing current in a fluorescent lamp array
DE602004030486D1 (de) * 2003-12-02 2011-01-20 Lu Chao Cheng Schutz- und messeinrichtung für mehrfach-kaltkathoden-fluoreszenzlampen
KR101046921B1 (ko) * 2003-12-04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광원의 구동 장치
KR101046924B1 (ko) * 2004-05-11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RE47993E1 (en) 2004-05-17 2020-05-12 Saturn Licensing Llc Power-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1128241B1 (ko) * 2004-05-31 2012-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구동장치
US7558080B2 (en) * 2004-08-20 2009-07-07 Analog Devices, Inc. Power converter system
US7489526B2 (en) * 2004-08-20 2009-02-10 Analog Devices, Inc. Power and information signal transfer using micro-transformers
KR101067041B1 (ko) * 2004-08-31 2011-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구동방법
JP4560680B2 (ja) * 2004-11-12 2010-10-13 ミネベア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インバ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WO2006090518A1 (ja) * 2005-02-22 2006-08-31 Sharp Kabushiki Kaisha 外部電極蛍光ランプ駆動電源用の遮断回路並びに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9505347A (ja) * 2005-08-10 2009-02-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スプレイ装置を照らすための照明システム、およびかかる照明システム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53384A (ja) * 2006-12-15 2008-07-03 Sony Corp トランス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並びに表示装置
CN101308630B (zh) * 2007-05-18 2011-12-1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
CN100592152C (zh) * 2007-05-25 2010-02-2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系统、采用该背光系统的液晶显示系统及其驱动方法
CN101399008B (zh) * 2007-09-29 2010-09-15 佳世达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重新启动功能的转换器电路及相关显示装置
US7554319B1 (en) * 2008-02-28 2009-06-30 Youling Li Circuits and methods for voltage sensing
CN101610619B (zh) * 2008-06-20 2012-12-05 国琏电子(上海)有限公司 背光模块
US8717782B2 (en) * 2009-01-07 2014-05-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eeping frequency LLC resonant power regulator
JP5488959B2 (ja) * 2009-03-06 2014-05-14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放電管点灯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00244569A1 (en) * 2009-03-31 2010-09-30 Innovative Engineering & Product Development, Inc. Fluorescent form factor lighting module with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detection system
US20100244568A1 (en) * 2009-03-31 2010-09-30 Innovative Engineering & Product Development, Inc. Lighting module with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detection system
CN101630489B (zh) * 2009-08-03 2012-02-0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屏供电电路
TWI398840B (zh) * 2009-10-12 2013-06-11 Au Optronics Corp 具省電機制之有機發光顯示裝置
KR101055092B1 (ko) * 2009-10-22 2011-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장치
CN103168268B (zh) * 2010-10-22 2016-03-02 Nec显示器解决方案株式会社 液晶监视器
US9220136B2 (en) * 2012-05-21 2015-12-22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WO2014111820A2 (en) * 2013-01-17 2014-07-24 Koninklijke Philips N.V. A controller for inserting signaling transitions onto a line voltage
US9293997B2 (en) 2013-03-14 2016-03-22 Analog Devices Global Isolated error amplifier for isolated power supplies
CN103906321B (zh) * 2014-03-26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 非快门式高速高稳定性led闪光光源
US10270630B2 (en) 2014-09-15 2019-04-23 Analog Devices, Inc. Demodulation of on-off-key modulated signals in signal isolator systems
US9660848B2 (en) 2014-09-15 2017-05-23 Analog Devices Global Methods and structures to generate on/off keyed carrier signals for signal isolators
US10536309B2 (en) 2014-09-15 2020-01-14 Analog Devices, Inc. Demodulation of on-off-key modulated signals in signal isolator systems
US9998301B2 (en) 2014-11-03 2018-06-12 Analog Devices, Inc. Signal isolator system with protection for common mode transients
CN109600039B (zh) * 2018-12-14 2021-05-18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电路及包含该电源电路的光伏发电系统
CN109742789B (zh) * 2018-12-19 2022-05-20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发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605A (en) 1987-06-12 1990-06-12 Etta Industries, Inc. Fluorescent dimming ballast utilizing a resonant sine wave power converter
JP3197169B2 (ja) * 1994-09-08 2001-08-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の点灯回路
JP3174993B2 (ja) * 1995-05-12 2001-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JPH0973989A (ja) 1995-09-01 1997-03-18 Murata Mfg Co Ltd 冷陰極管点灯装置
GB2316246A (en) * 1996-08-05 1998-02-18 Bf Goodrich Avionics Systemc I Intensity control for fluorescent lamps
US5939830A (en) * 1997-12-24 1999-08-17 Honeywel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mming a lamp in a backligh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US6051940A (en) * 1998-04-30 2000-04-18 Magnetek, Inc. Safety control circuit for detecting the removal of lamps from a ballast and reducing the through-lamp leakage currents
US6191539B1 (en) * 1999-03-26 2001-02-20 Korry Electronics Co Fluorescent lamp with integral conductive traces for extending low-end luminance and heating the lamp tube
US6307765B1 (en) * 2000-06-22 2001-10-23 Linfinity Micro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inimum brightness of a fluorescent lamp
KR100576692B1 (ko) 2000-07-06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램프 구동회로
JP2002203689A (ja) * 2000-12-28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トランスを用いた冷陰極蛍光管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222266B (en) * 2002-02-14 2004-10-11 Kazuo Kohno Self oscillation circuits
US6693396B1 (en) * 2002-07-29 2004-02-17 Benq Corporation Apparatus for driving a discharge lamp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8320A1 (en) * 2003-06-04 2005-01-27 Seongju Lee Inverter for eefl and backligth
KR101139520B1 (ko) * 2004-05-31 2012-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KR100860465B1 (ko) * 2004-08-20 2008-09-25 오투 마이크로, 인코포레이티드 외부 전극 형광 램프 시스템을 위한 보호
US7242155B2 (en) 2004-09-22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harge lamp driving circuit
US7388336B2 (en) 2004-09-22 2008-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harge lamp driving circuit having a signal detection circuit therein
US7414373B2 (en) 2004-09-22 2008-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harge lamp driving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a discharge lamp
US7323935B2 (en) 2004-11-11 2008-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conductance amplifier having common mode feedback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conductance amplifier
US7535023B2 (en) 2005-01-14 2009-05-19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s and power devices
KR100760943B1 (ko) * 2006-01-25 2007-09-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모바일용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7504612B2 (en) 2006-08-30 2009-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mbient light processing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by sensing ambient light and method using the system
US7554273B2 (en) 2006-09-05 2009-06-30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Protection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system
KR101026396B1 (ko) * 2006-12-20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1573B1 (ko) * 2007-06-26 2014-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KR100882124B1 (ko) * 2007-11-06 2009-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외부 전압을 이용한 램프 보호 기능을 갖는 전원 장치
KR100911448B1 (ko) * 2007-12-18 2009-08-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부하의 오픈상태를 검출하기 위한전원공급장치
US7709974B2 (en) 2007-12-18 2010-05-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WO2009131325A3 (ko) * 2008-04-24 201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패널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8674974B2 (en) 2008-04-24 2014-03-18 Lg Electronics Inc. Power supply device, panel driving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WO2012036342A1 (ko) * 2010-09-16 2012-03-22 엘지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28997B2 (en) 2011-09-21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1645A (zh) 2005-11-23
AU2003251215A1 (en) 2004-03-11
US20050242789A1 (en) 2005-11-03
AU2003251215A8 (en) 2004-03-11
WO2004019312A3 (en) 2004-09-23
KR100892584B1 (ko) 2009-04-08
WO2004019312A2 (en) 2004-03-04
JP2005536846A (ja) 2005-12-02
US7253565B2 (en)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584B1 (ko)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085784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의 구동 방법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73125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lamp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953429B1 (ko) 램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US7642726B2 (en) Power supply apparatus,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635955B2 (en) 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02957B2 (en) Inverter circuit,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backlight assembly
US20090179581A1 (en) Inverter circuit,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80042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KR100616090B1 (ko) 병렬구동 방식을 채용한 엘시디 백라이트의 램프오픈검출장치
US7719203B2 (en) Inverter,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01555A (ko) 램프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478412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용 인버터
KR101067041B1 (ko) 백라이트 구동방법
KR20050111008A (ko)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KR20060047027A (ko) 표시 장치용 광원의 구동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60016224A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용 인버터
KR20060000453A (ko)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