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863A -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863A
KR20040017863A KR1020020049784A KR20020049784A KR20040017863A KR 20040017863 A KR20040017863 A KR 20040017863A KR 1020020049784 A KR1020020049784 A KR 1020020049784A KR 20020049784 A KR20020049784 A KR 20020049784A KR 20040017863 A KR20040017863 A KR 2004001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ies
vibra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4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863A/ko
Publication of KR2004001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8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의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를 자동으로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는 일련의 출력게이트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일련의 통화진행과정을 총괄 ·제어하고,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측정된 파워레벨에 따라 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제어 모듈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단말 제어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임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일련의 링 신호가 착신되어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주변의 소음 정도를 측정한 결과, 해당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으면, 일련의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진동표시정보를 단말 제어부를 통해 진동모터로 출력하는 링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Ring Signal Out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의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를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출력부(2)와, 키 입력부(3)와, 음성 입력부(4)와, 음성 출력부(5)와, 소리 출력부(6)와, 진동부(7)와, 발광 다이오드부(8)와, 단말 제어부(1)로 이루어져 있다.
해당 화면 출력부(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표시하여 준다. 예컨대,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왔을 경우, 각각의 기능에 대한 동작 상태를 LCD에 표시하고, 키 입력부(3)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기능 설정을 변경하거나, 전화를 걸거나 받을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음성 입력부(40)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음성 출력부(5)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소리 출력부(6)는 전화벨이 울리거나 사용상의 경고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벨소리를 출력하고, 문자 메시지가 왔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소리를 출력하고, 해당 진동부(7)는 전화가 왔을 때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진동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진동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발광 다이오드부(8)는 전화가 왔을 때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램프로 설정되었을 경우,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단말 제어부(1)는 위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방법은 도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부(3)를 이용하여 화면 표시부(2)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벨소리/진동/램프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단계 S21).
이때,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아직 일련의 메뉴 선택을 진행하지 않아, 별도의 벨소리/진동/램프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는 플로우를 단계 21 이전의 단계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메뉴에서 벨소리/진동/램프 중 하나를선택하여 벨소리/진동/램프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는 그 즉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벨소리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전화가 왔을 때(단계 S22) 소리 출력부(6)를 제어하여 벨소리를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S23).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진동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전화가 왔을 때(단계 S22) 진동부(7)를 제어하여 진동을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S24).
다른 한편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램프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전화가 왔을 때(단계 S22) 발광 다이오드부(8)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 없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출력한다(단계 S25).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주변의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는 벨소리를 인지하지 못하므로, 진동 모드로 설정하여 진동이 인지되면 전화를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진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전화를 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시에 주변의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벨소리를 진동으로 전환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장치를 나타낸 도.
도2는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이동통신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장치를 나타낸 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 제어부 82 : 표시설정항목 저장부
20 : 데이터 메모리부 83 : 벨소리정보 저장부
30 : 신호 수신부 84 : 음성표시정보 저장부
40 : 주파수 합성부 85 : 진동표시정보 저장부
50 : 신호 송신부 86 : 램프표시정보 저장부
60 : 듀플렉서(Duplexer) 100 : 이동통신단말기
70 : 측정부 100a : 본체
80 : 링 신호 출력 모듈 100b : 단말 제어 모듈
81 : 링 신호 출력 제어부 104 : 화면 출력부
101 : 마이크 105 : 키 입력부
102 : 안테나 106 : 수신 스위치
103 : 스피커 107 : 진동 모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는 일련의 출력게이트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일련의 통화진행과정을 총괄 ·제어하고,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측정된 파워레벨에 따라 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제어 모듈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단말 제어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임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일련의 링 신호가 착신되어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주변의 소음 정도를 측정한 결과, 해당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으면, 일련의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진동표시정보를 단말 제어부를 통해 진동 모터로 출력하는 링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한 일련의 링 신호가 송출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가 송출되었을 경우, 주변의 소음 정도가 이동통신단말기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을 경우,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진동표시정보를 진동 모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 교환국(1)은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들(2)과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이 기지국 제어기들(2)은 다수의 무선 기지국들(3)과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이 경우, 앞의 기지국 제어기들(2)은 각각의 고유의 식별 아이디(System Identification)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무선 기지국들(3) 또한 각각 고유의 식별 아이디(Network Identification)를 보유하고 있다.
해당 이동단말 교환국(1)으로부터 일련의 링 신호가 전달되면, 기지국 제어기(2)는 그 즉시 해당 링 신호를 무선 기지국(3)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전달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무선 기지국(3)은 해당 링 신호를 본 발명이 구현된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달함으로써, 외부 발신자측 통신단말기(200, 201) 및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이에 본격적인 통화로가 형성될 수 있는 일련의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는 일련의 출력 게이트, 예컨대, 스피커(103), 표시 윈도우(108) 등이 구비된 본체(100a)와, 해당 본체(100a)에 내장된 단말 제어 모듈(100b)과, 링 신호 출력 모듈(80)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 단말 제어 모듈(100b)은 단말 제어부(10)와, 해당 단말 제어부(10)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듀플렉서(Duplexer)(60), 신호 송신부(50), 주파수 합성부(40), 신호 수신부(30), 측정부(7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듀플렉서(60)는 안테나(102)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수신부(30)로 출력하거나, 신호 송신부(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102)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신호 수신부(30)는 듀플렉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주파수 합성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합성한 후, 해당 합성신호를 스피커(103)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주파수 합성부(103)는 자신이 수신한 신호의 캐리어(carrier) 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주파수를 발생하여, 해당 주파수를 신호 수신부(30)로 출력하거나, 별도의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하여, 해당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신호 송신부(5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호 송신부(50)는 마이크(10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와 앞의 주파수 합성부(4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합성하여, 해당 합성신호를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측정부(70)는 마이크(10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변환된 전기신호의 파워레벨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0)는 측정부(70)에서 측정한 파워레벨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에 따라 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술한 신호 송신부(50), 주파수 합성부(40), 신호 수신부(30), 측정부(70) 등은 모두 앞서 언급한 단말 제어부(10)의 제어를 받게 되면, 결국, 단말제어부(10)는 해당 신호 송신부(50), 주파수 합성부(40), 신호 수신부(30), 주파수 측정부(70) 등의 동작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제어부(10)는 신호 송신부(50), 주파수 합성부(40), 신호 수신부(30), 측정부(70) 뿐만 아니라, 데이터 메모리부(20), 화면 출력부(104), 키 입력부(105), 수신 스위치(106) 등과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 경우, 데이터 메모리부(2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한꺼번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주변의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 이상일 경우, 벨소리를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동작이 설정되면 이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당 화면 출력부(104)는 상술한 표시 윈도우(108)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키 입력부(105)는 사용자의 키 입력 상황을 단말 제어부(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수신 스위치(106)는 사용자의 링 신호 수신상황을 단말 제어부(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링 신호 출력 모듈(80)은 크게, 표시설정항목 저장부(82), 벨소리정보 저장부(83), 음성표시정보 저장부(84),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 램프표시정보 저장부(86),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표시설정항목 저장부(8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항목, 예컨데,"링 신호를 벨소리로 출력할 것인가?, 링 신호를 진동으로 출력할 것인가?, 링 신호를 램프로 표시할 것인가?..."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벨소리정보 저장부(83)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일련의 벨소리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음성표시정보 저장부(84)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여러 유형의 음성표시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여러 유형의 진동표시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램프표시정보 저장부(86)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여러 유형의 램프표시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앞의 단말 제어부(10)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표시설정항목 저장부(82), 벨소리정보 저장부(83), 음성표시정보 저장부(84),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 램프표시정보 저장부(86) 등을 총괄·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반환경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링크가 형성된 임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일련의 호가 착신되어 앞의 단말 제어부(10)로 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단말 제어부(10)는 측정부(70)에서 측정한 파워레벨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 이상일 경우,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로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링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상태에서,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신호전달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단말 제어부(10)로부터 상술한 링 제어 신호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0)로부터 상술한 링 제어 신호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면,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표시설정항목 저장부(82)를 검색하여, 현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링 신호 출력 설정 내역"이 "벨소리 모드"일 경우 "진동 모드"로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가 진동표시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진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해당 단말 제어부(10)는 측정부(70)에서 측정한 파워레벨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 미만일 경우,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로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링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상태에서,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신호전달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단말 제어부(10)로부터 상술한 링 제어 신호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10)로부터 상술한 링 제어 신호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면,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표시설정항목 저장부(82)를 검색하여, 표시설정항목의 설정내역에 따라, 벨소리정보 저장부(83), 음성표시정보 저장부(84),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 램프표시정보 저장부(86)를 체크하는 플로우를 진행한다.
이때, 표시설정항목 저장부(82), 벨소리정보 저장부(83), 음성표시정보 저장부(84),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 램프표시정보 저장부(86)에 상술한 링 신호 출력 정보에 일대일 매칭되는 음성표시정보, 진동표시정보, 램프표시정보 등을 출력 게이트, 예컨대, 스피커(103), 표시 윈도우(108), 진동 모터(107) 등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방법은 도5의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말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05)를 수시로 체크하여, 전원이 온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이때, 가입자가 아직 전원 키를 누르지 않아, 전원이 온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5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가입자가 전원을 눌러 전원이 온 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안테나(102)를 매개로, 무선 기지국(3)이 송출한 동기 프레임을 포착한 후, 이 동기 프레임에 자신의 채널을 동기화시키고, 이러한 동기화 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자신의 데이터 메모리부(20)에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등록 메시지, 예컨대, "기지국 제어기 식별아이디, 무선 기지국 식별아이디"등이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신호 송신부(50)를 통해 해당 무선 기지국(3)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53).
이 경우, 무선 기지국(3)은 해당 가입자측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등록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2)를 통해, 이동단말 교환국(1)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동단말 교환국(1)은 이러한 등록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일련의 가입자 인증과정을 신속히 진행한다.
이와 같은 가입자 인증과정을 통해, 가입자의 가입여부가 확인되면, 이동단말 교환국(1)은 그 즉시, 일련의 등록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등록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2), 무선 기지국(3) 등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안테나(102)로 송출한다. 이 등록응답 메시지에는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링크가 형성될 기지국 제어기(2)의 식별 아이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링크가 형성될 무선 기지국(3)의 식별 아이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 제어부(10)는 신호 수신부(30)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등록응답 메시지가 착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
이때, 상술한 일련의 등록응답 메시지가 착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55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등록응답 메시지 송출과정이 정상적으로 마무리되어, 일련의 등록응답 메시지가 착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착신된 일련의 등록응답 메시지를 자신의 데이터 메모리부(20)에 신속히 저장하게 되며(단계 S56), 결국,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정상적인 통화진행이 가능한 안정적인 통화대기 상태를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반환경 하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입력부(105)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부(104)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7).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아직 일련의 메뉴 선택을 진행하지 않아, 별도의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8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입력부(105)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부(104)에 나타나는 메뉴에서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본 발명이 구현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호출하기 위한 일련의 링 신호가 송출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S59).
이때,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호출하기 위한 일련의 링 신호가 송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60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호출하기 위한 일련의 링 신호가 송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0)는 그 즉시 링 신호를 측정부(70)로 전송하여 주변의 소음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는지 측정한다(단계 S61). 만일, 측정부(70)에서 측정한 주변의 소음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을 경우,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그 즉시,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를 검색하여, 일련의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63), 추출이 완료된 진동표시정보를 단말 제어부(10)를 통해 진동 모터(107)로 출력(단계 S64)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앞의 진동표시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진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측정부(70)에서 측정한 주변의 소음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그 즉시, 벨소리정보 저장부(83)를 검색하여, 착신자가 선택한 일련의 벨소리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65), 추출이 완료된 벨소리정보를 단말 제어부(10)를 통해 스피커(103)로 출력(단계 S66)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외부로 일련의 벨소리가 발생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해당 측정부(70)에서 측정한 주변의 소음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을 경우, 링 신호 출력 제어부(81)는 벨소리정보 저장부(83)를 검색하여, 착신자가 선택한 일련의 벨소리정보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벨소리정보를 단말 제어부(10)를 통해 2~3번 스피커(103)로 출력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외부로 일련의 벨소리가 발생하도록 한 후, 그 즉시, 진동표시정보 저장부(85)를 검색하여, 일련의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진동표시정보를 단말 제어부(10)를 통해 진동 모터(107)로 출력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앞의 진동표시정보에 따라 진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시에 주변의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벨소리에서 진동으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소음이 있는 지역에서 전화가 왔을 경우, 전화가 왔다는 사실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고, 소음 지역을 이동할 때마다 진동으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련의 출력게이트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일련의 통화진행과정을 총괄 ·제어하고,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측정된 파워레벨에 따라 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제어 모듈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단말 제어부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며, 임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일련의 링 신호가 착신되어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주변의 소음 정도를 측정한 결과, 해당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으면, 일련의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진동표시정보를 단말 제어부를 통해 진동 모터로 출력하는 링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모듈은 주변의 소음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전기신호의 파워레벨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신호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일련의 표시설정항목을 저장하는 표시설정항목 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일련의 벨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벨소리정보 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일련의 음성표시정보를 저장하는 음성표시정보 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일련의 진동표시정보를 저장하는 진동표시정보 저장부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일련의 램프표시정보를 저장하는 램프표시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4.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벨소리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한 일련의 링 신호가 송출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링 신호가 송출되었을 경우, 주변의 소음 정도가 이동통신단말기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을 경우,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진동표시정보를 진동 모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벨소리정보를 추출하여, 추출이 완료된 벨소리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도가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을 경우, 진동표시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진동표시정보를 진동 모터로 소정 시간 출력한 후, 벨소리정보를 추출하여, 추출이 완료된 벨소리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소정 시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방법.
KR1020020049784A 2002-08-22 2002-08-22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4001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84A KR20040017863A (ko) 2002-08-22 2002-08-22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84A KR20040017863A (ko) 2002-08-22 2002-08-22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63A true KR20040017863A (ko) 2004-03-02

Family

ID=3732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784A KR20040017863A (ko) 2002-08-22 2002-08-22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8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7156A (zh) * 2013-06-25 2013-09-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语音文件输出方法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259A (ja) * 1995-03-15 1996-09-27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端末機
KR20000026419A (ko) * 1998-10-20 2000-05-15 전선규 휴대폰의 착신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0650A (ko) * 1999-03-18 2000-10-16 구계숙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호작용에 의한 착신모드 제어 방법
KR20010008937A (ko) * 1999-07-06 2001-02-05 윤종용 호출음 출력레벨 자동조절 및 호출방식 자동전환방법
KR20010011199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KR20010036210A (ko) * 1999-10-06 2001-05-07 윤종용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259A (ja) * 1995-03-15 1996-09-27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端末機
KR20000026419A (ko) * 1998-10-20 2000-05-15 전선규 휴대폰의 착신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0650A (ko) * 1999-03-18 2000-10-16 구계숙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호작용에 의한 착신모드 제어 방법
KR20010008937A (ko) * 1999-07-06 2001-02-05 윤종용 호출음 출력레벨 자동조절 및 호출방식 자동전환방법
KR20010011199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KR20010036210A (ko) * 1999-10-06 2001-05-07 윤종용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7156A (zh) * 2013-06-25 2013-09-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语音文件输出方法及装置
US9756439B2 (en) 2013-06-25 2017-09-0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s for outputting an audio f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251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GB2341514A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for a multimode radio device
KR1007134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US6477383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04001786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10057247A (ko) 휴대폰에서 메시지 수신음에 따른 발신자 구별방법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1005359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스엠에스 전송 방법
JP3245579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着信通報抑制方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100566986B1 (ko) 발신자별 벨소리 크기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JP3519969B2 (ja) 電話装置
KR101130007B1 (ko) 착신벨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착신벨 제어방법
JP2000244977A (ja) 無線通信機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20000044500A (ko) 휴대폰에서 통화가능한 시간 통보방법
JP3379423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26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모드 전환방법
JP2000295368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400164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모드 자동변환 설정방법
KR20000019618A (ko) 휴대폰에서 음성메세지에 의한 링착신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