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210A -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210A
KR20010036210A KR1019990043120A KR19990043120A KR20010036210A KR 20010036210 A KR20010036210 A KR 20010036210A KR 1019990043120 A KR1019990043120 A KR 1019990043120A KR 19990043120 A KR19990043120 A KR 19990043120A KR 20010036210 A KR20010036210 A KR 2001003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ambient noise
voice
mobile phone
sile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강현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6210A/ko
Publication of KR2001003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파악하여 대기상태시의 경보모드를 제어하고, 통화 상태시에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를 체크한 후,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환경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주변 환경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매너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상기 매너모드를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모드로 동작 중에 호출이 있을 경우 상기 매너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과, 통화성립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음성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음성 특징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과 비교하여 음성인식률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률에 의거 현재 잡음레벨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잡음레벨과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측정한 발화음성의 크기에 따라 송/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USING BACKGROUND NOISE}
본 발명은 휴대폰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파악하여 대기상태시의 경보모드를 제어하고, 통화 상태시에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휴대하기 편리하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소음으로 인하여 아무 장소에서나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주변에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휴대폰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주변에 피해를 야기시키는 현상을 보면, 극장이나 공연장 등의 공공장소에서 경보음이 울려 공연자나 주위 사람들에게 방해나 불쾌감을 주게 되고, 큰 소리로 통화하거나 수신음의 크기가 너무 커서 주위 사람에게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폰 사용문제는 이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휴대폰 사용을 특정 장소에서는 법규로서 제한하는 극단적인 처방을 하기에 이르렀고, 휴대폰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할 예절을 매스컴을 통해 계몽하고 있다. 더 극단적으로는 휴대폰 예절을 지키지 않는 휴대폰 사용자에게는 법규로 처벌하는 방법도 동원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 사용제한 방안은 휴대폰 사용자의 자각과 주의만 강요하는 소극적인 해결방안으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방안은 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람들이 휴대폰 사용제한을 사용자에 의해서가 아닌 자동 제어방안을 연구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연구 개발된 휴대폰 사용제한의 자동 제어방안은 극장이나 공연장의 공공장소에서 휴대폰 사용제한을 위한 방해전파를 발사하여 수신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으로, 이 방안을 이용하면 방해전파가 미치는 범위 내에서는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어 휴대폰 사용제한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해전파를 이용한 휴대폰 수신 원천 봉쇄 방안은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려는 장소마다 방해전파 발사를 위한 장치를 설치해야 함으로 써 많은 설비투자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하는데 있어, 대화 상대자끼리 말을 제대로 들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본의 아니게 큰 소리를 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하나는 전파 송수신 상태의 불량으로 인하여 상대방의 말을 인식하기 곤란한 경우와, 두 번째로 주변 소음이 너무 커서 통화자의 말을 상대방이 인식하기 곤란한 경우가 그러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큰 소리를 질러 통화하거나 통화를 절단하고 통화상태가 양호할 때까지 통화연결을 재차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 잡음을 파악하여 현재 주변상태에 대응되도록 휴대폰을 제어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휴대폰의 대기상태에서 주변잡음을 수시로 파악하여 주변상황에 맞는 경보모드를 설정하고, 수신호가 있을 때 주변상황에 맞게 설정된 경보모드를 동작시키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통화중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인식률을 판단하여 음성 인식률에 맞는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여 최적의 통화조건을 설정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통화중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파악하여 주변잡음에 맞는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여 최적의 통화조건을 설정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를 체크한 후,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환경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주변 환경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매너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상기 매너모드를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모드로 동작 중에 호출이 있을 경우 상기 매너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과, 통화성립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음성 특징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음성 특징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과 비교하여 음성인식률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률에 의거 현재 잡음레벨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잡음레벨과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측정한 발화음성의 크기에 따라 송/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경보모드와 송/수화음 크기 조절 가능한 휴대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분석에 따른 경보기능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음성인식률 판단에 따른 송/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경보모드와 송/수화음 크기 조절 가능한 휴대폰의 블록구성도로서,
주변잡음 분석기(30)는 대기상태에서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SPECTRUM)과 파워 크기(POWER LEVEL)를 체크한 후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에 따른 각종 환경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 위치한 주변의 환경을 판단한다. 상기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 분석으로써 구분되는 주변 환경은 예를 들어, 음악연주회와 같이 고주파의 신호가 발생되는 환경과, 차량의 엔진소리와 같이 저주파의 신호가 발생되는 환경, 그리고 사무실과 같이 조용한 실내환경 및 랜덤(random)한 잡음이 있는 환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대기상태에서 판단한 주변 환경을 제어부(10)로 인가한다.
또한,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통화상태에서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음성 특징 데이터(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음성 인식률을 판단한다. 상기 음성 특징 데이터 추출은 현재 사용되는 CDMA 휴대폰의 경우 MSM(Mobile Station Modem) 보코더(VOCODER)를 사용하고 있는데,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인코딩 방식을 통해 LPC, PITCH filter 계수 등을 추출한다.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의 음성 인식률 판단은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된 특정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과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 중 음성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여 확률값을 출력하여 판단하고, 이와 아울러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상기 확률값을 이용하여 현재 잡음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음성인식률 판단방법과 다르게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통화연결시에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용 주변잡음과 수신되는 수화잡음의 스펙트럼과 파워 크기를 이용하여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를 계산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1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대기상태에서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로부터 인가 받은 주변 환경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일 경우 수신호에 대한 경보모드를 매너모드로 전환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통화연결 상태에서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로부터 인가 받은 확률값에 따른 잡음 레벨을 검색하여 해당 잡음 레벨에 설정되어 있는 송/수화음 크기값이 되도록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송수신 음량 크기를 조절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10)는 통화연결 상태에서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로부터 인가 받은 주변잡음 및 수화잡음의 신호대 잡음비를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하여 둔 신호대잡음비에 대응하는 송/수화음 크기 조절값이 되도록 상기 송/수화음 크기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송/수신 음량크기를 조절한다.
메모리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각종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ROM)과, 각종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40)는 스펙트럼 및 파워크기에 의해 판단된 주변 환경에 대한 제한 환경 조건이 다수 저장되며, 음성 인식률의 확률값에 따른 송/수화음 크기 조절값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40)에는 특정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을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주변잡음 및 수화잡음에 대응하는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송/수신 음량 크기 조절값이 저장되어 있다.
음성처리부(50)는 RF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통해 스피커(110)로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20)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통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코드화하여 상기 RF부(120)로 출력한다.
상기 RF부(120)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를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상기 제어부(1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서 비트열로 만든다. 또한, 상기 RF부(12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신부와 송신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RF부(120)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상기 제어부(10)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부(120)의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한다.
경보모드 스위칭부(60)는 상기 제어부(10)의 경보모드 제어신호에 의거 특정 경보모드가 동작되도록 스위칭 시키는데, 상기 경보모드에는 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부(70)와 표시부(90)를 구동하는 일반 경보모드, 진동부(80)와 표시부(90)를 구동하는 매너 모드 등으로 구분된다. 각 경보모드에 따른 각 경보부의 구동제어는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너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90)만 구동하여 LED 또는 LCD 백라이트만 점멸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키입력부(11)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모드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파워크기 및 스펙트럼 분석에 따른 경보기능의 제어흐름도로서,
대기모드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과 파워크기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한 주변 환경이 제한 환경일 경우 매너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과정과,
매너모드에서 호출이 있을 경우 상기 매너모드에 설정된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환경을 체크하는 과정을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음성인식률 판단에 따른 송/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통화상태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되어 있는 특정 키워드의 음성패턴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한 결과를 확률값으로 출력하여 음성 인식률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률 판단에 따라 송/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상태에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경보모드를 제어하는 과정과, 통화상태시에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송/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상기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1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대기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대기모드이면 103단계로 진행하고, 통화모드인 경우에는 1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마이크(20)를 입력되는 주변잡음이 있으면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를 분석한다. 상기 주변잡음에 대한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 분석은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에 의해 수행되는데,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SPECTRUM)과 파워 크기(POWER LEVEL)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한 주변의 환경을 판단하게 된다. 주변잡음으로는 예를 들어, 음악연주회와 같이 고주파의 신호가 발생되는 잡음과, 차량의 엔진소리와 같이 저주파의 신호가 발생되는 잡음과, 그리고 사무실과 같이 조용한 실내환경에서의 파워 크기가 작은 잡음 및 랜덤한 잡음 등이 해당된다. 이때,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입력된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를 상기 메모리부(40)에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별로 미리 저장시켜 둔 다수의 환경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의 주변 환경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로부터 인가 받은 주변 환경을 통해 현재의 주변 환경이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제한 환경인가를 비교 체크하는 동작을 107단계에서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되는 제한 환경의 설정으로는 예를 들어, 음악 연주회 장소와 같이 일정 레벨값 이상의 고주파인 경우와 조용한 장소와 같이 파워 크기가 일정 레벨값 이하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1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를 통해 인가된 주변 환경이 비교 체크한 제한 환경일 경우에는 111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경보모드를 기 설정되어 있는 매너모드, 예를 들어 진동모드나 LED 및 LCD 백라이트만 점멸시키는 경보모드로 자동 전환한 후 113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를 통해 인가된 주변 환경이 비교 체크한 제한 환경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109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보모드로 설정한 후 1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미리 세팅한 주변잡음 체크주기, 예를 들어 5분 주기가 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주변잡음 체크주기일 경우에는 103단계로 리턴하여 이후 과정을 순차적으로 재수행하고, 주변잡음 체크주기가 아닌 경우에는 115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호출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는 1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경보모드를 검사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경보모드가 매너모드일 경우 1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경보모드 스위칭부(60)를 제어하여 상기 매너모드에 기 설정된 경보, 예를 들어 진동 또는 LED 및 LCD 백라이트 점멸시킨다.
그러나, 상기 117단계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경보모드가 사용자가 설정한 일반 경보모드일 경우 1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경보모드 스위칭부(6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1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통화가 성립됨을 감지하면 125단계로 진행하고, 통화가 성립되지 않으면 125단계에서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101단계로 리턴한다.
통화 성립후 상기 제어부(10)는 125단계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127단계에서 음성 인식률을 판단한다.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인식 및 음성 인식률 판단은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에서 수행되어 상기 제어부(10)로 그 결과값이 인가되는데,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통화상태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음성 특징 데이터(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음성 인식률을 판단하게 되고, 음성 인식률 판단은 상기 메모리부(40)에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된 특정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과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 중 음성 특징 벡터를 패턴 매칭 방식으로 비교하여 그 확률값을 출력함으로써 판단하고, 이와 아울러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는 상기 확률값을 이용하여 현재 잡음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이를 일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부(4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특징 키워드는 전화를 받을 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단어, 예를 들어, ″여보세요.″, ″네.″, ″안녕하세요.″, ″누구누구입니다.″ 등을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두고, 통화성립후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발화음성 중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특징 키워드를 추출하여 추출한 특징 키워드에 대한 음성 특징 벡터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특징 키워드의 벡터들간의 패턴 매칭을 통해 음성인식에 대한 판단값인 음성인식 확률값(음성인식률)을 출력한다.
즉, 통화성립시 사용자의 인사말 발화 음성을 인식하여 그 인식상태에 따라 주변 잡음의 정도가 어떠한가를 파악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주변의 잡음이 심할 경우에는 인식 상태는 매우 나쁠 것이고, 그 음성인식률은 매우 낮을 것이다. 또한, 주변의 잡음이 거의 없는 조용한 곳에서는 인식 상태가 매우 양호할 것이고 그 음성인식률은 매우 높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주변 잡음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준 임계치(THRESHOLD)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임계치는 잡음 정도에 따른 인식 결과값의 변화 정도를 실험적으로 결정한 값을 이용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음성인식률 판단에 의거 판단결과가 '음성인식 상태 양호'이면 130단계로 진행하고, '음성인식 상태 불량'이면 14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30단계의 음성인식 상태 양호이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에서 분석한 발화 음성신호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가를 검사하여 상기 발화 음성신호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13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발화 음성신호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이면 13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33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의 크기가 보통 크기인 상태에서 음성 인식상태가 양호한 경우로써,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수화음의 크기를 보통 레벨로 조절하여 스피커(110)를 통해 크기 조절한 상기 수화음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음의 크기를 보통레벨로 조절하여 상기 RF(120)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135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의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음성 인식상태가 양호한 경우로써,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수화음의 크기를 보통 레벨로 조절하여 스피커(110)를 통해 수화음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음의 크기를 일정 단계만큼 줄인 후 상기 RF(120)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127단계에서의 상기 음성인식률 판단에 의거 판단결과가 상기 140단계의 음성인식 상태 불량이면 상기 제어부(10)는 14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주변잡음 분석기(30)의 분석결과가 키워드를 감지한 것인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상기 141단계에서 상기 음성인식 상태 불량이 상기 키워드가 감지된 경우에서라면 14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키워드가 감지된 경우가 아니라면 14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43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시장이나 작업장 등과 같이 주변 환경의 소음이 매우 심하여 송/수화음 구별이 매우 곤란한 경우로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수화음의 크기를 상향 레벨로 조절하여 스피커(110)를 통해 크기 조절한 상기 수화음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음의 크기를 상향 레벨로 조절하여 상기 RF(120)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상기 145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통화시작시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사용자의 인사말 키워드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시켜둔 특정 키워드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경우로, 이때의 인식률은 당연히 매우 낮을 것이다. 이 경우 주변의 소음이 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송/수화음 크기를 상향 조절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송/수화음 크기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수화음의 크기를 보통 레벨로 조절하여 스피커(110)를 통해 수화음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음의 크기는 상향 조절하여 상기 RF(120)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통화를 수행하다가 1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통화 종료를 감지하면 151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101단계로 리턴하여 이후 과정을 순차적으로 재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대기상태에서 주변잡음 체크주기에 따라 주변환경을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경보모드를 자동 전환하도록 하였으나, 매너모드로 일단 전환되면 사용자가 경보모드를 변경할 때까지는 상기 매너모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음악연주회 장소에서 음악 연주가 잠깐 멈춘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이때 주변 잡음을 분석하여 주변 환경을 현재 상황과 다르게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대기상태에서 주변잡음을 체크하여 판단한 현재 주변 환경이 제한 환경일 경우 휴대폰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매너모드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는 현재 주변 환경이 제한 환경에 해당함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10)가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부를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률 판단은 동일한 소음 조건에서도 휴대폰의 화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특정 음성 키워드의 표본을 복수로 하여 저장하고, 음성패턴 비교시 수회에 걸친 반복 학습을 통해 통계적 방법을 사용한다.
통화시의 송/수화음 크기 조절하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10)는 통화연결시에 상기 주변잡음 분적기(30)에서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용 잡음과 수신되는 수화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에 의해 계산한 신호대 잡음비를 인가받아 이를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하여둔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송/수화음 크기조절값에 따라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통화연결시의 주변 및 수화잡음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라 잡음이 많은 경우와 잡음이 적은 경우를 판단하여 송화음과 수화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 잡음을 파악하여 현재 주변상태에 대응되도록 휴대폰을 제어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공공장소에서의 휴대폰 사용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주변 환경에 따라 휴대폰의 매너모드를 휴대폰 자체적으로 자동 설정 가능하고, 통화중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인식률을 판단하여 음성 인식률에 맞는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여 최적의 통화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주변 환경에 따라 휴대폰의 매너모드를 휴대폰 자체적으로 자동 설정 가능하고, 통화연결시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 및 수신되는 수화잡음에 따라 송/수화음 크기를 조절하여 최적의 통화조건을 설정할 수있다.

Claims (18)

  1.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를 측정하여 현재의 주변 환경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매너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상기 매너모드를 동작하는 과정과,
    통화연결시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음성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음성 특징 데이터를 미리 등록시켜 둔 특정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과 비교하여 음성인식률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인식률에 의거 현재 잡음레벨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잡음레벨과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측정한 발화음성의 크기에 따라 송/수화음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에 설정된 경보 발생은 진동이나 표시부를 점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변 환경 판단과정은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매너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수동조작으로 매너모드 해제가 선택될 때까지 상기 매너모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률 판단과정은 상기 추출한 음성 특징 데이터를 미리 등록시켜 둔 특정 음성 키워드에 대한 음성패턴과 패턴 매칭 방식으로 비교하여 확률값을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잡음레벨 판단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잡음 기준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기준 임계치는 잡음 정도에 따른 음성인식률의 변화정도를 실험적으로 결정한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잡음레벨 판단에 의해 음성인식 상태가 양호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측정한 발화음성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음과 수화음의 크기를 보통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잡음레벨 판단에 의해 음성인식 상태가 양호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로부터 측정한 발화음성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일 경우 상기 송신음 크기를 하향 조절하고, 상기 수화음의 크기를 보통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잡음레벨 판단에 의해 음성인식 상태가 불량이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 특징 데이터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음과 수화음의 크기를 상향 조절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잡음레벨 판단에 의해 음성인식 상태가 불량이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특정 음성 키워드에 해당하는 상기 음성 특징 데이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신음의 크기를 상향 조절하고, 상기 수화음의 크기를 보통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휴대폰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4.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의 스펙트럼 및 파워 크기를 측정하여 현재의 주변 환경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에 해당하는 경우 매너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상기 매너모드를 동작하는 과정과,
    통화연결시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용 주변잡음과 수신되는 수신잡음으로부터 신호대 잡음비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송화용 주변잡음과 수신잡음으로부터 추출한 신호대 잡음비를 미리 저장시켜 둔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송/수화음 크기조절값에 따라 송/수화음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에 설정된 경보 발생은 진동이나 표시부를 점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변 환경 판단과정은 대기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현재의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되어 있는 제한 환경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매너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수동조작으로 매너모드 해제가 선택될 때까지 상기 매너모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KR1019990043120A 1999-10-06 1999-10-06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KR2001003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120A KR20010036210A (ko) 1999-10-06 1999-10-06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120A KR20010036210A (ko) 1999-10-06 1999-10-06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210A true KR20010036210A (ko) 2001-05-07

Family

ID=1961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120A KR20010036210A (ko) 1999-10-06 1999-10-06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62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863A (ko) * 2002-08-22 2004-03-0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547900B1 (ko) * 2002-07-23 2006-01-3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입력 방법 및 데이터 입력 장치
KR100688178B1 (ko) *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인식 통화방법변경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통화방법 변경방법
KR101043422B1 (ko) * 2008-10-08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2637A (ko) * 2011-12-22 201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5762525A (zh) * 2022-11-18 2023-03-07 北京中科艺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方位语音获取的语音过滤收录方法及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00B1 (ko) * 2002-07-23 2006-01-3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입력 방법 및 데이터 입력 장치
KR20040017863A (ko) * 2002-08-22 2004-03-0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688178B1 (ko) *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인식 통화방법변경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통화방법 변경방법
KR101043422B1 (ko) * 2008-10-08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2637A (ko) * 2011-12-22 201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5762525A (zh) * 2022-11-18 2023-03-07 北京中科艺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方位语音获取的语音过滤收录方法及系统
CN115762525B (zh) * 2022-11-18 2024-05-07 北京中科艺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方位语音获取的语音过滤收录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102527A2 (en) A signal-to-noise mediated speech recognition method
US6463128B1 (en) Adjustable coding detection in a portable telephone
US20030013495A1 (en) Adaptive audible alert volume control
EP1632934B1 (en) Baseband modem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H0774709A (ja) 音声信号送受信装置
CN101437065A (zh) 音频信号处理装置、音频信号处理方法和通信终端
EP149323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90018843A1 (en) Speech processor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10062663A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及び、通信端末
CN202384000U (zh) 语音处理装置、车载终端设备
KR100703703B1 (ko) 음향 입출력 확장 방법 및 장치
KR10050622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노이즈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70281748A1 (en) Method &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phone keypad
JP3507686B2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10036210A (ko) 주변잡음을 이용한 휴대폰 제어방법
JP2005253097A (ja) 音声信号送受信装置
CN101188637A (zh) 一种将耳语转换为正常语音的装置和方法
KR100369804B1 (ko)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EP1159738B1 (en) Speech synthesizer based on variable rate speech coding
KR200100044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 및 라디오 신호 자동 조절장치 및방법
JP3201136B2 (ja) デジタル移動無線装置
KR20010061331A (ko) 배경음악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JP3838905B2 (ja) 携帯電話装置
JP4222742B2 (ja) 移動体無線端末
KR1008172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효과음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