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155A -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155A
KR20040017155A KR1020020049293A KR20020049293A KR20040017155A KR 20040017155 A KR20040017155 A KR 20040017155A KR 1020020049293 A KR1020020049293 A KR 1020020049293A KR 20020049293 A KR20020049293 A KR 20020049293A KR 20040017155 A KR20040017155 A KR 2004001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gram
control signal
ca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
Original Assignee
(주)디지털국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털국영 filed Critical (주)디지털국영
Priority to KR102002004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155A/ko
Publication of KR2004001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경주장의 경주로에 대한 환경 및 조건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프로그램화 한 후 입력하여 새로운 경주환경에 맞추어 적응할 수 있는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경주용 자동차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동작되며, 자동차의 각 구동부와 회로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조향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후진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전후진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경주장 주행로의 가이드라인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경주용 자동차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를, 외부로부터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로딩부와, 상기 프로그램 로딩부에 의해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조향제어신호, 전후진 제어신호 및 센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Automobile for racing and a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경주장의 경주로에 대한 환경 및 조건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여 프로그램화한 후 이를 입력하여 새로운 경주장 환경에 맞추어 적응할 수 있는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수준의 급격한 향상에 따라 취미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아이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취미생활을 위한 것의 일례로 모형 경주장에서 자동차 경주를 하기 위한 모형 자동차가 있다.
모형 자동차 경주 게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형태로는 직선주행로와 곡선주행로 및 경사로를 반복적으로 배치한 경주장 트랙에 경주용 자동차를 올려놓고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원격 조정함으로써 경주를 실행하는 형태의 것이 있다.
또 다른 형태로는 경주용 자동차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곡선로와 직선로 및 경사로로 구성된 트랙과 트랙의 좌우측 벽에 보호벽이 있는 트랙 상의 정해진 코스를 따라 주행하게 하여 경주를 실행하는 형태의 것이 있다.
그러나 원격조정에 의한 자동차 경주의 경우, 사용자가 무선리모콘의 조작에 익숙하지 못하여 리모콘의 조작을 잘못하게 되면 경주용 자동차가 코스를 이탈하게 되고, 그럴 경우, 경주 자체가 중단되거나 코스를 이탈한 자동차가 충돌 등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해진 코스 주행식의 자동차 경주의 경우, 경주용 자동차를 구입했을때 경주용 자동차가 항상 정해진 코스를 주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금방 싫증을 내게 되고 더 좋은 성능을 얻으려고 해도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경주장의 경주로에 대한 환경 및 조건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여 프로그램화한 후 이를 경주용 자동차에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경주장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주용 자동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주용 자동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전원부20 : 제어부
22 : 프로그램 입력부24: 프로그램 로딩부
26 : 마이크로 콘트롤러30 : 조향구동부
32 : 조향모터 구동기34 : 조향모터
40 : 전후진 구동부42 : 전후진 모터 구동기
44 : 전후진 모터50 : 센서부
52 : 발광부54 : 수광부
60 : 컴퓨터70 : 전송장치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경주용 자동차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동작되며, 자동차의 각 구동부와 회로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조향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후진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전후진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경주장 주행로의 가이드라인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경주용 자동차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구성에서 제어부를 외부로부터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로딩부와; 상기 프로그램 로딩부에 의해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조향제어신호, 전후진 제어신호 및 센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의 입력부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단자 형태이거나, 또는 컴팩트디스크(CD), 컴팩트 플래시메모리, 스마트미디어, 메모리스틱 및 마이크로드라이버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기록매체를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은 자동차 경주가 실행될 자동차 경주장의 환경 및 조건을 시뮬레이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경주용 자동차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의 경주용 자동차와; 자동차 경주가 실행될 경주장의 환경 및 조건에 맞추어 시뮬레이션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서 작성된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경주용 자동차에 전송해주는 전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주용 자동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10은 경주용 자동차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나타낸다. 또한, 20은 경주용 자동차의 각 동작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나타내고, 30은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구동부를 나타내며, 40은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자동차의 전후방 진행을 실행하는 전후진 구동부를 나타내고, 50은 경주용 자동차의 진행시 경주로 상의 장애물이나 좌우측의 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나타낸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부(10)는 경주용 자동차의 각 구동부와회로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 공급원이 되는 배터리(12)와, 이 배터리(12)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경주용 자동차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레벨의 전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14)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외부로부터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입력부(22)와, 이 프로그램 입력부(22)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로딩부(24)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프로그램 로딩부(24)에 의해 로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경주용 자동차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예컨대, 조향 제어신호, 전후진 제어신호, 센서 제어신호 등)을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26)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입력부(22)는 컴퓨터로 작성된 경주장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통신단자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로딩부(24)에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그에 대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프로그램 입력부(22)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CD, 컴팩트플래시 메모리, 스마트미디어, 메모리스틱, 마이크로드라이버 등의 기록매체를 삽입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경주용 자동차가 경주장의 환경과 조건에 따라 가장 빨리 결승점에 도착할 수 있도록 컴퓨터로 시뮬레이션된 프로그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경주장의 형태를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다음, 표현된 경주장의 형태에 따라 곡선로, 직선로, 사선로, 장애물 등의 경주장 환경이나 정보에 대한 하나 하나의 팩터(factor)를 선택하고, 선택된 팩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상에서 시뮬레이션한다.
조향구동부(30)는 전원부(10)의 레귤레이터(1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원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20)의 마이크로콘트롤러(26)로부터 출력되는 조향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모터(34)를 구동하기 위한 조향모터 구동기(32)와, 이 조향모터 구동기(32)의 조향명령에 따라 경주용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동작되는 조향모터(34)를 포함한다.
전후진 구동부(40)는 전원부(10)의 레귤레이터(1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원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20)의 마이크로콘트롤러(26)로부터 출력되는 전후진 제어신호에 따라 전후진 모터(44)를 구동하기 위한 전후진 모터구동기(42)와, 이 전후진 모터구동기(42)의 전후진 명령에 따라 경주용 자동차의 전후진을 실행하는 전후진 모터(44)를 포함한다.
센서부(50)는 제어부(50)의 마이크로콘트롤러(26)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하는 발광부(52)와 상기 발광부(52)에서 발광된 빛이 바닥에 반사되어 복귀하는 광을 수집하는 수광부(54)를 포함한다. 이 수광된 광정보는 마이크로콘트롤러(26)로 공급되어 처리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주용 자동차가 실제의 경주장 환경에 적응하도록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개념을 나타낸 경주용 자동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60은 경주장의 환경조건을 시뮬레이션하여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기 위한 컴퓨터를 나타내고, 도 70은 컴퓨터로부터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경주용자동차의 프로그램 입력부(22)로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62 및 7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라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컴퓨터(60)가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전용선, LAN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컴퓨터(60)로부터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 구성요소와, 조합 및 배열에 대하여 변경이 행해진 것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표현된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프로그램에 의해 경주장의 모든 조건이나 환경이 시뮬레이션되어 있기 때문에 경주용 자동차가 실제의 경주장에서 그 적응도가 뛰어나게 되고 경주장의 환경이나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언제든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싫증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으로 흥미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전력공급을 위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동작되며, 자동차의 각 구동부와 회로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조향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후진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전후진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진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센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경주장 주행로의 가이드라인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경주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로딩부와;
    상기 프로그램 로딩부에 의해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조향제어신호, 전후진 제어신호 및 센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주용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입력부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단자 형태이거나, 또는 컴팩트디스크(CD), 컴팩트 플래시메모리, 스마트미디어, 메모리스틱 및 마이크로드라이버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기록매체를 판독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주용 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프로그램은 자동차 경주가 실행될 자동차 경주장의 환경 및 조건을 시뮬레이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주용 자동차.
  4. 제 1 항 기재의 경주용 자동차와;
    자동차 경주가 실행될 경주장의 환경 및 조건에 맞추어 시뮬레이션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서 작성된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경주용 자동차에 전송해주는 전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주용 자동차 시스템.
KR1020020049293A 2002-08-20 2002-08-20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KR20040017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293A KR20040017155A (ko) 2002-08-20 2002-08-20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293A KR20040017155A (ko) 2002-08-20 2002-08-20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155A true KR20040017155A (ko) 2004-02-26

Family

ID=3732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293A KR20040017155A (ko) 2002-08-20 2002-08-20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15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474A (ja) * 1996-01-31 1997-08-12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
JPH09266987A (ja) * 1996-04-03 1997-10-14 Japan Radio Co Ltd 移動模型の自律航法装置
JPH11244517A (ja) * 1998-03-03 1999-09-14 Seiko Precision Inc 競争ゲ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474A (ja) * 1996-01-31 1997-08-12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
JPH09266987A (ja) * 1996-04-03 1997-10-14 Japan Radio Co Ltd 移動模型の自律航法装置
JPH11244517A (ja) * 1998-03-03 1999-09-14 Seiko Precision Inc 競争ゲー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271B2 (en) Distributed system of autonomously controlled mobile agents
US20140229004A1 (en) Transferable intelligent control device
JP2002536089A (ja) 通信手段を備えるプログラム可能な玩具
WO2020001789A1 (en) Self-moving educational toy
KR100848729B1 (ko) 원격 조작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하는 송신기 및 주변기기
US8272919B2 (en) Interactive intelligent toy
JP4795328B2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玩具
KR20040017155A (ko) 경주용 자동차 및 그 시스템
Gopalakrishn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mobile smart vehicle: a mechatronics application
CN108079587B (zh) 一种互动卡片式编程系统及其编程方法
JP2000210476A (ja) 玩具、ゲ―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KR100364590B1 (ko)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
KR100416925B1 (ko) 완구용 동작제어장치
Birk Behavior-based robotics, its scope and its prospects
US20240024794A1 (en) Model vehicle turn signal method and system
CN116682306A (zh) 一种早教机器人
JP3946857B2 (ja) 競争ゲーム装置
Mohomed Self-driving Lego Mindstorms Robot.
GB2363896A (en) Dual mode disc drive and method
JP2009247577A (ja) 移動玩具、オートスタート装置、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装置
Zenk et al. Junkyard Battle Racers
TWM546839U (zh) 遙控模型外加裝置
Abdul-Sala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Line Follower of Mobile Robot
JPS6182777A (ja) ホビ−用走行ロボツト
JP2002126371A (ja) プログラムによって動作する可動玩具およびその進行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