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782A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782A
KR20040015782A KR1020040006372A KR20040006372A KR20040015782A KR 20040015782 A KR20040015782 A KR 20040015782A KR 1020040006372 A KR1020040006372 A KR 1020040006372A KR 20040006372 A KR20040006372 A KR 20040006372A KR 20040015782 A KR20040015782 A KR 2004001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oil
carbon black
wast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161B1 (ko
Inventor
김태진
양형호
김대종
Original Assignee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2004-000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161B1/ko
Priority to PCT/KR2004/000207 priority patent/WO2005073344A1/en
Publication of KR2004001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dry-heat treat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19/00Heating of coke ovens by electr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7/00Coke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for the raw material inside the oven
    • C10B7/14Coke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for the raw material inside the oven with trucks, containers, or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분해하여 환경을 보존하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와 자원인 오일, 카본블랙, 철와이어를 경제적이며, 간편하게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폐타이어는 대부분 시멘트 소성로에 투입되어 열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점차 축소되고 있다. 종전에는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열분해하여 에너지와 자원으로 회수하는 재활용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 많은 열분해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폐타이어를 단순 열분해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은 분해시간이 길고, 열효율이 10% 정도로 매우 낮아 고처리비용으로 인해 경제적 수익 창출이 힘들다. 이에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나 폐타이어 분해장치는 폐고무나 폐타이어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분해속도가 빠르며, 장치가 간단하며, 운전이 간편하며, 균일 가열할 수 있어 양질의 오일, 카본블랙, 철와이어를 회수할 수 있어 환경을 보존하고, 국가경제에 이바지하며, 경제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 장치{the waste rubber or waste tire resolution method and system by avail of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분해하여 오일, 카본블랙, 철와이어를 회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무류는 식물에서 얻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와 석유화학공장에서 합성하는 합성고무(cis-polyisoprene; IR, butadiene rubber; BR, styrene-butadiene rubber; SBR)을 총칭하며, 일상생활이나 산업체 전반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타이어는 대표적인 고무제품으로 차량대수의 증가로 인해 생산량과 폐타이어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 1(연도별 폐타이어 발생량및 재활용/단위:천개)과 같이 2002년도 발생량은 약 2,400 만개로 추정된다.
폐타이어 처리방법은 토목공사 등에 이용하는 원형이용, 재생고무 및 재생타이어 등을 재생하는 가공이용, 시멘트 소성로에 열원으로 이용하거나 건류소각하는 열이용 3가지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과거에는 원형, 가공이용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폐고무/폐타이어가 보유하고 있는 높은 에너지(8,000 kcal/kg)를 이용하는 열이용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폐고무/폐타이어를 원형, 가공이용방법을 이용하여 재활용하여도 최종적으로는 화학적으로 완전히 분해하여야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열이용방법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폐타이어를 시멘트 소성로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전체 처리량에 84%를 차지하고, 반면 건류소각은 불과 3%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멘트 소성로에서 폐타이어를 소각할 때 발생하는 분진과 전체 가동시간의 4.9%를 차지하는 소성로의 통제불능시간에 발생하는 유해한 다이옥신, 방향족탄화수소, 염소화합물 등이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점차적으로 사용을 제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폐고무를 무산소 조건에서 열분해하면 반응조건에 따른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카본블랙과 무기물이 약 60%, 가스와 재생오일이 약 40% 정도 얻어진다. 또한 폐타이어의 성분은 타이어 제조시 사용된 화합물에 기인하며, 용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성분비는 표 2와 같다.
표 2와 같이,천연고무 및 합성고무의 양은 각각 22%, 25% 정도이며, 카본블랙은 24% 정도이다. 타이어를 지지하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 철심 및 코드는 14% 정도이며, 그 밖에 가공을 위한 무기물 첨가제나 공정유도 약 15% 정도로 구성된다. 즉 열분해로 45∼50%의 재생유 수거가 가능하다.
현재 가장 이상적인 폐고무/폐타이어 처리방법인 건류소각, 즉 열분해방법은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다수의 특허가 출원, 등록되었다. 이런 많은 노력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상업화가 힘든 이유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폐고무/폐타이어를 무산소 조건에서 간접 가열해야 하므로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고 분해 종료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야 폭발,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
참고로 대한민국 특허 10-0335012의 실험결과에서는 폐타이어를 열분해 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167kcal/kg이고, 6,000 kg의 폐타이어를 1,800,000 kcal/h의 열량이 발생하는 반응기로 가열할 경우 분해는 2.5시간이 소요되며, 열효율은 11% 정도로 아주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종전의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폐고무/폐타이어 열분해 반응장치 개략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열분해시키는 원리는 질소분위기의 반응기 내부에 폐고무 조각을 채우고 내부 온도가 400∼500도를 유지하게 외부에서 간접 가열하면 반응기에는 카본블랙과 철심이 남고, 유분은 급냉조와 냉각조로 이동하여 오일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 폐고무를 대량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연속식 공정이 필수적이며, 카본블랙과 철심이 계속 적체되고, 반응기의 온도가 높을 때 폐고무 조각을 투입할 경우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
열분해반응기가 높은 온도로 운전 중이므로 폐타이어를 투입할 때 산소가 유입되어 폭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철와이어가 스크류 등 연속공정에 필요한 이송장치에 감기는 등의 문제로 연속공정이 어렵기 때문에 벳치(batch)식 열분해반응기를 주로 사용한다.
처리량을 늘이기 위해서는 반응기의 용량을 크게 해야 하고, 이에 따라 장치가 거대해질 수 밖에 없다. 이런 연유에서 폐타이어를 분해하기 위해 가열,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1일 2회 이상 운전이 힘들다. 또한 폐타이어를 절단하지 않을 경우 부피가 커서 반응기 내부의 용량에 비해 조금밖에 투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은 조각으로 절단해야 하므로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
폐고무나 폐타이어는 열전도도가 비교적 낮은데 반해, 간접가열 벳치식 열분해는 외부에서 간접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반응기 벽면 쪽 폐타이어 온도가 국부적으로 높아져 반응기 벽면에 코킹(coking)이 형성되고 열전도는 급격히 떨어진다.
또한 폐타이어가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고무원료의 크래킹(cracking)이 많이 진행되어 비응축 가스 성분의 수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일 회수량이 작아지게 되고, 카본블랙와 철와이어의 품질도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전의 벳치(batch)식 반응기처럼 연속으로 폐타이어나 폐고무의 투입이 불가능하므로 반응기의 용량을 크게 하여야 하고, 반응이 종결된 후 반응기 온도를 상온으로 식혀 주어야만 카본블랙과 철심의 회수가 가능하여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가 많다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열전도율이 낮은 폐타이어나 폐고무의 특성으로 인해 반응기 내부의 온도구배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폐고무를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국부 가열온도가 높으면, 크래킹(cracking)이 증가하여 비응축성 가스의 생성 비율이 증가하여 오일 회수량이 작아진다는 단점도 극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직접적인 열을 가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자 한다.
마이크로파는 라디오파와 적외선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말하며, 통신 주파수와 전자레인지, 산업용 가열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한국과 미국에서 산업용으로 허가된 주파수는 2.45 GHz(파장: 12 cm), 915 MHz(파장: 32 cm)로 본 발명에서는 이 주파수대를 사용하였으나, 참고적으로 각국에서 산업용으로 허가된 주파수대는 각기 상이하다.
마이크로파가 물질을 가열하는 방식은 물과 같은 극성분자이며, 유전체가 마이크로파장을 흡수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거나 이온성전도현상(ionic conduction)에 의해 가열된다. 대상물질의 유전특성에 의해 가열속도가 결정되는데, 유전특성 중에서 물질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ε')는 전기적 에너지의 저장능력을 나타내고, 손실계수(dielectric loss factor, ε")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전환, 소모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 이 값이 클수록 쉬게 가열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마이크로파는 에너지변환효율이 아주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폐고무나 폐타이어는 유전상수 및 손실계수가 모두 낮아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법은 효율적이지 못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고무 타이어를 제조할 때 접착성능을 증가시키거나 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 산화아연, 코발트, 황화합물이 등이 균일하게 첨가되어 있다. 금속성분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마이크로파가 금속표면으로부터 마이크로미터 깊이로 금속에 침투하여 흡수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금속성분이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존재하면 마이크로파를 흡수해 순식간에 가열될 수 있다. 폐고무/폐타이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금속성분, 특히 코발트염이 마이크로파를 흡수해 열점으로 작용하여 폐고무/폐타이어를 균일하고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915 MHz 마이크로파는 2.45 GHz 마이크로파 모두 내부로 침투하여 내부의 온도를 먼저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915 MHz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는 비교적 약해 내부까지 침투가 용이하지만,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고, 2.45 GHz 마이크로파는 915 MHz에 비해 내부까지 침투하는 비율은 낮지만, 두 가지 마이크로파를 적절히 조합시켜 더욱 효과적으로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분해시키고자 한다
마이크로파가 물질을 가열시키는 방식은 물분자와 같은 극성 유전체가 마이크로파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면서 내는 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살균, 염색, 조리, 가열, 목재가공 등 산업체 전반이나 일상생활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열 대상물질이 극성인 유전체라야만 한다. 그러나 표 3에서 보듯이 물이 2.45 GHz에서 유전상수가 78.54로 아주 큰 것과 대조해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의 경우는 비극성이고 유전상수가 아주 낮아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가열이 매우 어렵다.
또한 고무의 경우에도 1 GHz에서 Benzene의 2.45 GHz에서의 유전상수인 2.27과 비슷하여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폐고무나 폐타이어에는 철심과의 접착력을 높여 주거나,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소량 첨가되는 산화방지제, 산화아연, 코발트염, 황화합물 등 강자성체와 같은 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고, 이들이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균일한 열점으로 작용하여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균일하게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분해가 가능해진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분해시키면 열가열 분해 방식에 비해 아주 빠른 속도로 분해가 가능하며, 에너지의 낭비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고무나 폐타이어의 분해시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내부부터 가열시켜 폭발적으로 폐고무가 분해되도록 하여 장치가 가열식에 비해 아주 간단하며, 연소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종전의 간접가열방식에 의한 폐고무/폐타이어 열분해 반응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주요부인 분해장치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장치로의 단면구조와 부대설비장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반응기 200:마그네트론
300:오일응축조 400:보일러
500:오일저장탱크 600:제어판넬
700:질소공급관 800:카본블랙 철와이어배출수단
900:투입수단
10:탈황설비 20:증류설비
30:질소고압용기 40:유량계
50:밸브 60:진공회수기
70:분쇄기 80:선별포장
90:카본블랙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실시예1] 기본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인 도 2와 같이, 질소가스가 공급되는 반응기(100)내벽에 설치한 마그네트론(200)의 마이크로파로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가열해 열분해된 가스를 포집하는 오일응축조(300)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500)와 상기 오일응축조(300)에서 비응축된 가스는 보일러(400)로 완전연소시키는 타워형 반응기(100) 상부에 폐고무나 폐타이어 투입수단(900)를 하부에 카본블랙과 철와이어 배출수단(800)를 구축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기본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100)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만으로 구성이 가능하지만, 반응기 내부쪽은 폐타이어의 철와이어가 스테인레스 스틸과 접촉하면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야기될 수 있어, 마이크로파의 흡수량이 적은 세라믹재질로, 중간부는 마이크로파를 반사하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외부는 단열재로 구성됨이 경제적이며, 바람직하다.
반응기(100)형태는 원통형이나 직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가 가능하지만 마이크로파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원통형 모양이 바람직하다.
반응기(100) 벽에는 마이크로파 발생장치인 마그네트론(200)이 부착되어 있고 반응기의 크기나 폐고무나 폐타이어 처리량에 따라 500W에서 30 kW 출력의 마그네트론을 선택하여 한 개 또는 여러 개 사용할 수 있고, 2.45 GHz와 915 MHz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기(100) 상단에 폐고무나 폐타이어 투입구(900)를 형성하되, 하단부에는 분해후 생성된 카본블랙과 철와이어 배출수단(800)가 마이크로파와 오일증기가스가 새지 않은 구조의 개폐 시건장치와 함께, 반응기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고, 오일증기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반응기 내부에 질소를 흘릴 수 있는 질소공급관(700)과 오일증기를 반응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오일증기 배출관(300a)이 장착된다.
반응기(100)의 상태와 마그네트론(2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판넬(600)은 반응기의 온도, 마그네트론의 출력, 운전시간, 전원차단 안전장치 등을 통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오일증기 배출관(300a)에 연결된 오일응축조(300)는 냉각수의 온도를 -10 ℃에서 상온까지 조정이 가능하여, 회수 오일의 성분(끓는점에 따른 조성)을 조정할수 있으며, 수집된 오일은 오일저장탱크(500)에 저장되며, 이 온도에서도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가스 성분은 비응축가스배출관(300b)을 거쳐 보일러(400)로 이동하게 되어 열에너지로 바꾸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일러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연소한 가스는 연소가스 배출관(400a)을 거쳐 대기로 방출되게 구성된다.
이와같은 기본 시스템에 따라 보다 반응기(100)상세한 실시예로 첨부된 도 3 본 발명에 주요부인 분해장치로의 사시도와, 도 4 본 발명에 따른 분해장치로의 단면구조와 부대설비장치도에 의해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2]
내벽은 세라믹재로, 중간부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외부는 단열재로 형성한 타워형 반응기(100)의 내상층부는 중앙에 호퍼(100f)가 뚫린 오일받침대(100e)를 형성해 외측으로 오일배출관(500a)를 설치하며, 오일받침대(100e) 상부로는 일편에 냉각오일트랩(300a)이 설치된 오일증기배출관(300a)를 설치되며, 냉각수파이프 (100g)를 정착한 원뿔돔(130)으로 밀봉하되, 반응기(100)중간 일측벽에 설치한 도어(100a) 바닥높이에 정착한 작업대(100b)에 설치한 레일(100c)에는 얼망타입의 폐타이어적치대(110)하부에 슬라이더(110a)를 정착해 안치하고,반응기(100)중간내부로 질소공급관(700)을 도입하며, 반응기(100) 중간층 내벽에는 마그네트론(200)를 수개 설치하며,반응기(100)내부에는 상단에 2열의 카본블랙회수조상부레일(121)을 정착한 원통체 바닥에 철망(120a)이 바닥테에는 원형레일(120b)이 형성된 카본블랙회수조(120)는 최하층에 설치된 재받이(140) 상단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타(120e)와 모터(120c)에 설치된 플리(120d)에 거치되어 회전되며, 상기 재받이(140)에서 반응기(100)외측으로 카본블랙회수관(100d)을 인출해 진공회수기(60)를 통해 카본블랙 (90)을 분쇄기(70)로 배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반응조(100)로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기본시스템은 실시예1과 같이, 상기 원뿔돔(130)의 상층에 형성된 오일증기배출관(300a)로는 보일러(400)로 배관시키고, 오일받침대(100e)의 오일배출관(500a)로는 오일저장탱크(500)와 탈황설비(10),증류설비(20)를 장치하며,질소공급관(700)로에는 유량계(40)을 거쳐 질소고압용기(30)의 질소를 밸브(50)로 공급개폐하고,원뿔돔(130) 상단부의 냉각수파이프(100g)에는 -10 ℃에서 상온으로 조절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 폐고무나 폐타이어가 마이크로파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오일증기가 구배를 준 반응기 상단부에서 응축되어, 오일받침대 (100e)에 모이게 되고 이렇게 수집된 오일은 오일배출관(500a)을 통해 오일저장탱크(500)에 저장된후 공지의 탈황설비(10),증류설비(20)를 거쳐 재생오일을 생산하는 것이다.
한편, 원뿔돔(130)상층부에 형성된 오일증기배출관(300a)을 통해 냉각오일트랩(160)을 거치는 동안 응축되지 않은 오일증기를 회수하고, 비응축가스 성분은 보일러(400)로 보내 완전연소하여 대기로 방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00b)상에 설치된 레일(100c)에 의해 중량체 이동이 가능해진 폐타이어적치대(110)에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담아 반응기(100)내부로 이동시켜, 카본블랙회수조(120)상단에 형성된 카본블랙회수조상부레일(121)상에 옮겨진 폐타이어적치대(110)의 폐고무나 폐타이어에 마이크로파가 고루 조사되도록, 카본블랙회수조(120)는 반응기(100) 최하층에 설치된 재받이(140) 상단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타(120e)와 모터(120c)에 설치된 플리(120d)에 거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되도록 된 것이다.
이와같이 열분해된 카본블랙(90)은 철망(120a)사이로 잘 배출되도록 카본블랙회수조(120e)에 진동이 형성되게 재받이(140) 상단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타 (120e)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또, 재받이(140)에 낙하된 카본블랙(90)은 진공회수기(60)에 의해 반응기 (100)외부로 흡입배출된후, 분쇄기(70)을 거쳐 일정입자로 분쇄된후 선별포장 (80)을 거쳐 제품으로 출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파는 전기에서 열로 변환되는 효율이 약 80%로 아주 높고, 폐고무나 폐타이어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화석연료를 이용해 분해하는 방법에 비해 훨씬 경제적이다.
폐고무/폐타이어를 간접가열방식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방식으로 분해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상기 표 4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방법은 간접가열방식에 비해 폐고무/폐타이어 분해에 에너지 소비량은 2배이상,비용은 약3배정도, 분해시간은 6배정도 적었다.또한 오일회수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분해시간이 단축도는 등 작업이 간편해지고 경제적 효과가 크게 증대되였다.
그동안 가장 합리적이였던 폐고무나 폐타이어 열분해 재활용방법이 높은 처리비용과 작업의 불편함으로 산업화가 지연되었으나,본 발명에서처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나 폐타이어 분해기술 확보로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분해하면, 간접가열열분해방법에 비해 아주 분해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분해작업이 간편하며,반응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폐고무나 폐타이어만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없앨 수 있어 분해에 소요되는 에너지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비교적 저온에서 균일가열이 가능하여 오일 회수량이 많아지고, 양질의 카본블랙과 철와이어를 회수할 수 있고, 분해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청정에너지인 전기만을 사용하므로 연소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이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마이크로파의 출력과 조사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폐고무/폐타이어를 완전분해시키지 않고 고무분말 상태의 제품을 얻을수 있어 이 분야의 활용도 가능하다.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각 지방에서 배출되는 폐고무/폐타이어를 그 지역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및 지역 경제 발전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질소가스가 공급되는 반응기(100)내벽에 설치한 마그네트론(200)의 마이크로파로 폐고무나 폐타이어를 가열해 열분해된 가스를 포집하는 오일응축조(300)로 부터 추출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500)와 상기 오일응축조(300)에서 비응축된 가스는 보일러(400)로 완전연소시키는 타워형 반응기(100) 상부에 폐고무나 폐타이어 투입수단(900)를 하부에 카본블랙과 철와이어 배출수단(800)를 구축함을 특징으로하는 마이크로파를이용한폐고무또는폐타이어분해방법.
  2. 내벽은 세라믹재로, 중간부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외부는 단열재로 형성한 타워형 반응기(100)의 내상층부는 중앙에 호퍼(100f)가 뚫린 오일받침대(100e)를 형성해 외측으로 오일배출관(500a)를 설치하며, 오일받침대(100e) 상부로는 일편에 냉각오일트랩(300a)이 설치된 오일증기배출관(300a)를 설치되며, 냉각수파이프 (100g)를 정착한 원뿔돔(130)으로 밀봉하되, 반응기(100)중간 일측벽에 설치한 도어(100a) 바닥높이에 정착한 작업대(100b)에 설치한 레일(100c)에는 얼망타입의 폐타이어적치대(110)하부에 슬라이더(110a)를 정착해 안치하고,반응기(100)중간내부로 질소공급관(700)을 도입하며, 반응기(100) 중간층 내벽에는 마그네트론(200)를 수개 설치하며,반응기(100)내부에는 상단에 2열의 카본블랙회수조상부레일(121)을 정착한 원통체 바닥에 철망(120a)이 바닥테에는 원형레일(120b)이 형성된 카본블랙회수조(120)는 최하층에 설치된 재받이(140) 상단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타(120e)와모터(120c)에 설치된 플리(120d)에 거치되어 회전되며, 상기 재받이(140)에서 반응기(100)외측으로 카본블랙회수관(100d)을 인출해 진공회수기(60)를 통해 카본블랙 (90)을 분쇄기(70)로 배출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이용한폐고무또는폐타이어분해장치.
KR10-2004-0006372A 2004-01-31 2004-01-31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KR10046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372A KR100469161B1 (ko) 2004-01-31 2004-01-31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PCT/KR2004/000207 WO2005073344A1 (en) 2004-01-31 2004-02-04 The waste rubber or waste tire resolution method and system by avail of micro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372A KR100469161B1 (ko) 2004-01-31 2004-01-31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782A true KR20040015782A (ko) 2004-02-19
KR100469161B1 KR100469161B1 (ko) 2005-01-29

Family

ID=3482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372A KR100469161B1 (ko) 2004-01-31 2004-01-31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69161B1 (ko)
WO (1) WO200507334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474B1 (ko) * 2004-12-31 2006-12-01 한국전기연구원 폐타이어 재활용 장치 및 재활용 방법
KR101230332B1 (ko) * 2010-11-10 2013-02-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타이어의 자원화 장치
KR20160050130A (ko) * 2014-10-28 2016-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타이어 열분해 카본 블랙의 고품위화를 위한 정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502436L (sv) * 2005-11-02 2007-05-03 Stena Miljoeteknik Ab Satsvis depolymerisation av kolvätematerial
KR100830615B1 (ko) 2007-01-17 2008-05-21 (주)가리온 리소시즈 폐타이어 재생장치
US7767187B2 (en) * 2007-03-14 2010-08-03 Charlie Ho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arbon product from used tire with microwave
KR100853814B1 (ko) 2007-09-21 2008-08-22 에이치케이산업(주) 출력가변형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타이어의 오일회수장치및 방법
WO2009154485A1 (en) * 2008-06-20 2009-12-23 Turney Christian Stewart Macg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rganic material
EP2174977A1 (en) 2008-10-07 2010-04-14 Imperial Innovations Limited Process of recovering carbon black from vulcanised rubber
CZ20095A3 (cs) * 2009-01-09 2010-06-16 Ústav chemických procesu AV CR Zpusob rafinace kovového substrátu ze zpracování odpadních pneumatik a zarízení k jeho provádení
GB201103845D0 (en) * 2011-03-07 2011-04-20 Hutchon Bruc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97399B1 (ko) 2012-04-10 2012-11-05 정호성 폐타이어 열분해로
CN103333709B (zh) * 2013-06-28 2015-01-28 青岛东方循环能源有限公司 圆盘式微波连续裂解装置及裂解废旧橡胶的方法
CN105295452A (zh) * 2015-10-28 2016-02-03 贵州安泰再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轮胎制备低灰分炭黑的方法
CN105329875B (zh) * 2015-10-28 2018-02-06 贵州安泰再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氨法低温脱硫裂解废旧轮胎制备炭黑方法
CN105399075B (zh) * 2015-10-28 2018-07-17 贵州安泰再生资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氨法低温脱硫回收利用废旧轮胎的方法
IT201800003163A1 (it) * 2018-03-01 2019-09-01 Tyrebirth S R L Dispositivo di pirolis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7189A (en) * 1984-10-12 1991-10-15 Fred Apffel Recovery apparatus
US5387321A (en) * 1987-05-13 1995-02-07 Holland Kenneth Michael Apparatus for waste pyrolysis
US5330623A (en) * 1987-11-11 1994-07-19 Holland Kenneth M Proces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of organic materi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474B1 (ko) * 2004-12-31 2006-12-01 한국전기연구원 폐타이어 재활용 장치 및 재활용 방법
KR101230332B1 (ko) * 2010-11-10 2013-02-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타이어의 자원화 장치
KR20160050130A (ko) * 2014-10-28 2016-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타이어 열분해 카본 블랙의 고품위화를 위한 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161B1 (ko) 2005-01-29
WO2005073344A1 (en)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161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폐고무 또는 폐타이어 분해방법 및장치
Li et al. Biochar from microwave pyrolysis of biomass: A review
CN110451754B (zh) 一种油泥热解的无害化处理方法
AU2010310899B2 (en) Advanced coal upgrading process for a power station
CN201587926U (zh) 一种立式垃圾连续微波加热低温裂解炉
KR20160083842A (ko)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의한 열분해 오일
MX2011004135A (es) Aparato y proceso para descomposicion termica de cualquier tipo de material organico.
CN101811129B (zh) 一种立式垃圾连续微波加热低温裂解炉
US9540580B2 (en) Char made with a microwave-transparent reaction chamber for production of fuel from an organic-carbon-containing feedstock
CN105417918A (zh) 微波热解处理市政污泥的技术方法
CN109439354B (zh) 一种高粘度液体有机废弃物连续热解炭化系统
CN107200452B (zh) 微波热解污泥的装置及方法
CN107699294B (zh) 一种绿岛式城乡有机废物无害化资源化处理工艺
WO2019050431A1 (ru) Способ пиролизной утилизации твердых углерод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и мусороперерабатывающ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4987871A (zh) 生活垃圾小型化连续式自加热可移动卧式干馏机
US20080210536A1 (en) Process for Distilling Solid Organic Products
KR100903572B1 (ko) 폐열 회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장치
Chia Yang et al. CONTROLLED MICROWAVE-INDUCED PYROLYSIS OF WASTE RUBBER TIRES.
CN114309023B (zh) 一种低温度、低功率的含碳材料微波处理工艺
CN111377579B (zh) 一种油泥处理方法
RU2619688C2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деструкции отходов полиэтилена и полипропилена
CN111263669B (zh) 废弃物的再利用处理方法及其再利用处理系统
RU2251483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зношенных ши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Budianto et al. Study of thermal heating of waste engine oil in a microwave pyrolysis reactor
JPH08325576A (ja) 炭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