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668A - 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668A
KR20040015668A KR1020027000880A KR20027000880A KR20040015668A KR 20040015668 A KR20040015668 A KR 20040015668A KR 1020027000880 A KR1020027000880 A KR 1020027000880A KR 20027000880 A KR20027000880 A KR 20027000880A KR 20040015668 A KR20040015668 A KR 2004001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pipe
washing water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츠히로 코스기
타이지 스지타
코우이치 오가와
히로유키 토쿠나가
타카유키 오타니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66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대변기의 로우 실루엣화의 추진이나 대변기의 설치의 범용성을 높인다.제1주류(S1)는 변기 후방측의 베이스부 제1토수공(41)와 베이스부 제2토수공 (42)로부터 토출된 세정수의 합류에서 형성된다. 제1주류(S1)는 합류에 의해 정확한 방향성과 강한 수세를 가진 흐름으로 되고, 유수(RS)에 대하여, 평면시에, 변기 좌방으로부터 경사져 우전방측으로 향해서 합류한다. 좌방중앙부토수공(43)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림 하단의 상연주벽을 따라 주회하지만 그 동안에 합류하는 림으로부터의 토출 세정수에 의해 토출 궤적이 교정되고 합류에 의해 정확한 방향성과 강한 수세를 가진 흐름의 제2주류(S2)로 된다. 제2주류(S2)는 유수(RS)에 대하여 평면시에 변기 우전방측으로부터 경사져 좌후방측으로 향해서 합류한다. 이 제1주류(S1)와 제2주류(S2)는 유수(RS)에 대하여 장변에 따라 거의 평행하고 동일 회전 방향으로 합류를 일으킨다. 이것에 의해 유수(RS)에는 선회류를 확실히 유기할 수 있어 그 선회를 촉진한다.Promote the low silhouette of the toilet and increase the versatility of installing the toilet. The first liquor S1 is flushed from the base portion first water discharge hole 41 and the base portion second water discharge hole 42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It is formed at the confluence of numbers. The first main stream S1 becomes a flow having accurate directionality and strong water washing due to the confluence, and the flowing water RS is inclined from the left side of the toilet bowl in a planar view and merges toward the right front sid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circulates along the upper circumferential wall at the bottom of the rim, but the discharge trajectory is corrected by the discharge washing water from the rim joining in the meantime, and the flow has the correct directionality and strong water washing by the confluence. It becomes the 2nd liquor of S2. The second liquor S2 is inclined from the right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in plan view with respect to the running water RS, and merges toward the left rear side. The first liquor S1 and the second liquor S2 are substantially parallel along the long sides with respect to the flowing water RS and merge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s a result, the swirl flow can be surely discharged to the flowing water RS, and the swing is promoted.

Description

대변기와 그 제조방법{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Toil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 각종의 대변기에 있어서는 오물을 변기 볼부의 유수 및 급수 세정수와 함께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성능과, 급수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가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여러가지의 수법이 제안되어 있고, 다음의 수법으로 대별된다. 제 1 수법은 유수에 급수 세정수를 합류시켜 선회를 일으키고 그 선회류 흐름으로 오물을 트랩에 밀어 넣는 수법이다. 제 2 수법은 사이폰 작용에 의해 오물을 유수, 세정수와 함께 흡인하는 수법이다.In these various types of toilets, the performance of efficiently discharging dirt together with the running water and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part, and reducing the total amount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is required.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which are roughly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echniques.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is joined to the flowing water to cause the turning, and the dirt flow is pushed into the trap by the turning flow.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sucking dirt together with running water and washing water by the siphon action.

이러한 수법을 채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변기 볼부의 상부 둘레 주위에 림프 통수로를 마련하고 이 통수로에 마련한 토출공에서 유수로 향하여 급수 세정수를 토출하는 것으로서 유수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이폰 작용의 발생에는 이와 같은 선회류에 의해 유수의 트랩으로 밀어 넣거나, 림 통수로에 마련한 복수의 토출공으로의 단순한 세정수차로 떨어 뜨려 넣는 것에 의해 유수의 밀어 넣기가 이용되고 있다.In employing such a method, it is common to provide a lymph channel through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bowl and discharge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from the discharge holes provided in the channel to the flowing water.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the siphon action is pushed into the trap of the flowing water by such a swirl flow, or pushing of the flowing water is carried out by dropping by the simple washing aberration to the some discharge hole provided in the rim channel.

그러나, 종래의 대변기에서 채용되고 있었던 수법에 있어서도 충분하지 않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However, the method employed in the conventional toilet is not enough, and problems as described below are pointed out.

최근에는 오물 세정에 이용하는 세정수 총량(급수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의 요청이 보다 높아져, 이 세정수 총량을 약 6 리터 정도인 소량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소량의 총유량으로 상기한 선회류의 생성·사이폰 작용의 발생을 일으키기 때문에 높은 수세로 즉 대유량으로 세정수를 급수하는 것이 정착되어 있고, 약 100∼150 리터 정도의 유량으로 세정수를 변기볼에 흘러 넣도록 하는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request for the reduction of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e total amount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used for the washing of the dirt is higher, and it is common to make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nto a small amount of about 6 liters. Since such a small amount of total flow causes the gen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swirl flow and the generation of siphon action, it is fix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with high water washing, that is, a large flow rate, and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t a flow rate of about 100 to 150 liters. It is widely used to flow into the toilet bowl.

이와 같이 높은 수세가 필요로 되는 것으로 급수 세정수를 세정수 탱크로부터 배출하는 대변기에 있어서는 높은 수세 확보를 위해 탱크내의 저류 세정수의 수면을 높게 하여 수두압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세정수 탱크를 높게 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탱크·변기의 일체형의 것에서는 디자인상의 제약을 받아 대변기의 로우 실루엣(silhouette)화가 손상되고 있다.As such, high water washing is required, and in a toi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water tank,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head pressure by increasing the water surface of the storage washing water in the tank to ensure high water washing. For this reason, since a washing water tank cannot be made high, the low silhouette of the toilet is damaged by the design restriction in the one-piece of a tank and a toilet.

또한, 수도관등의 일차측 배관의 세정수를 직접 변기에 급수하는 형식의 변기에서는 유수에 합류하는 세정수의 수세를 높이는 경우 높은 일차측 급수압에서 급수를 필요로 한다. 한편, 높은 수세로 세정수를 유수에 합류시켜 선회류를 생성하는 경우 높은 수세는 선회류의 생성에는 사정이 좋지만, 높은 수세대로 세정수 합류가 계속되기 때문에 선회류에 무용한 선회의 혼란을 일으키는 일도 있었다. 이렇게 되면 세정수의 에너지(수세)가 선회류의 연속 생성에는 필요 없는 것도 있어 선회류에 기초하는 트랩으로의 세정수의 밀어 넣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우려도있었다. 더구나, 일차측 급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급수에 의한 세정수 수세도 낮게 되어 선회류에 의해 밀어 넣는 효율도 낮게 된다. 이에 의해 선회류 방식의 대변기의 저급수 지역이나 국가로의 보급이 진행되지 않았다.In addition, in a toilet in which the washing water of a primary side pipe such as a water pipe is directly supplied to a toilet, water supply is required at a high primary water supply pressure when the water washing of the washing water joining the flowing water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ing water is combined with the flowing water with high water to generate the swirl flow, the high water washing is good for the generation of the swirl flow, but since the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 is continued at the high generation, the chaos of the turning useless for the swirl flow is created. There was something that caused it. As a result, the energy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water may not be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generation of the swirling flow,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fficiency of push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trap based on the swirling flow is reduced. In addition, in the region where the primary side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the washing water wash by the water supply is also low, and the efficiency of pushing by the swirl flow is also low. As a result, it did not proceed to the low water supply area or the country of the swivel-type toilet.

그런데 사이폰 작용을 이용한 대변기로에서는 사이폰 작용의 발생과 그 계속이 불가결하다. 이에 의해 유수로의 급수세정수의 유입에 대하여, 유입된 초기에 사이폰 트랩의 관로내의 공기를 전부 트랩 외부로 배출시켜 관로내의 만물화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변기 볼부로의 세정수 토출을 기술한 선회류 방식 또는 떨어뜨려 넣는 방식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유수로의 세정수 흐름을 고수세로 행하면 관로내 공기의 외부 배출과 만물화를 단기간에 적지 않은 세정수량으로 달성할수 있어 안성 맞춤이다. 그 반면 세정수의 흐름이 저수세로 되면 공기 배출 및 관로 만수에는 장기간의 세정수 공급이 필요하여 다량의 세정수를 사용할 필요가 있게 되어 저수세에서의 세정수 흐름에 대해서 그 채용조차 검토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 상태였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사이폰 트랩을 이용한 대변기에 있어서도 수두압 확보를 위한 세정수 탱크의 높이 증대에 의해 디자인상의 제약이나 일차적으로 급수압 제한(고급수압)을 받고 있었다.However, in the toilet using the siphon action, the occurrence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is indispensable.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by discharging all the air in the pipeline of the siphon trap to the outside of the trap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low. For this reason, in any case of the swirl flow method or the drop-in method describing the flushing water discharge to the toilet bowl part, if the flushing water flows into the flow channel with high water washing, the outside discharge of the air in the pipeline and all the waters are clea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can be achieved by quantity, so it is perfect for personaliz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of washing water is low, the air is discharged and the water in the pipe is required for a long tim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so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needs to be used. It was not. Against this background, even in a toilet using a siphon trap, the design water restriction and the water supply pressure restriction (advanced water pressure) were primarily restricted by the height of the washing water tank for securing the head pressure.

한편, 기존의 사이폰 트랩식의 대변기에서는 사이폰 작용의 조기 발생을 도모기 위해서 여러가지로 고안되고 있고 사이폰 트랩 관로를 빠른 시기에 만물화하는 수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변기 볼부에서는 높은 수세에서 약 90∼100 리터 정도, 경우에 따라서는 약 150 리터 라고 한 대유량으로 세정수를 변기 볼부로 흘려서 이 물의 힘으로 사이폰 트랩 관로내의 공기를 관로 밖으로 밀어 내고 관로의 전부를 세정수로 빠른 시기에 채우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isting siphon trap type toilet, various designs have been devised for the early generation of the siphon action, and many techniques are used to make the siphon trap line early. In other words, in the toilet bowl, the flushing water flows to the toilet bowl with a large flow rate of about 90 to 100 liters, and in some cases, about 150 liters at high water, and pushes the air in the siphon trap line out of the pipeline by the force of this water. Fill all of with washing water at an early time.

이러한 기존의 사이폰 트랩식의 대변기에서는 대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에 의한 관로 만물화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대유량에서의 세정수의 유입·통과에 대처해야 하고, 상승 관로에서 만곡관로를 거쳐서 하강 관로에 이르기까지의 사이폰 트랩 관로 궤적에 대해서는 여러가지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 기술로는 제조시의 사이폰 트랩 관로의 성형 정도의 향상이나 개개 부분의 관로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배려가 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는 오물 세정에 이용하는 세정수 총량(급수세정수 총량)의 소량화의 요청이 보다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사이폰 트랩 관로 개개의 형상이나 정밀도 향상에 대한 고안도 필요하지만 그 대처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현 상태이다.In the existing siphon trap type toilets, the premise of the duct flow by washing water supply at the high flow rate is required to cope with the inflow and passage of the washing water at the high flow rate.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siphon trap pipeline trajectory leading to the pipeline. These techniques do not give particular considera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shaping | molding degree of the siphon trap pipelin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the pipe shape of an individual part. 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the reduction of the total amount of washing water (water supply and washing water amount) used for washing of the dirt is higher, it is necessary to devise an individual shape or an improvement in the accuracy of the siphon trap pipe, but it is not sufficient. Current status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기술한 바와 같이 대유량으로 세정수를 변기 볼부에 흘림으로써 상승관로부 만수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만곡정상부, 하강관로부가 연속해서 사이폰 트랩 관로에 형성되어 있으면 사이폰 발생에 불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변기 제조에 대해서는 변기 볼부의 내주벽 형상에 적합한 철(凸)부 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슬립(slip)을 퇴적시켜, 이렇게 완성한 캐스팅의 금형 밀착측을 변기 볼부의 내벽으로 하고, 캐스팅의 반대측을 상승관로부의 내벽으로 하고 있다. 이 캐스팅의 반대측은 금형의 금형 면에 닿지 않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요철(凹凸)이 완성되기도 한 적도 있었다. 만곡정상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이 만곡정상부에서는 정상둑이 관로 내측에 있기 때문에 정상부는 관로의 반환에 의해 관로내에서 철로된 형상으로 할 수 밖에 없고 그 형상에 대한 고안은 할 수 없었다. 즉, 관로 내벽에 요철이 완성된다 해도 기존의 대변기에서는 대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요철이 세정수의 관로 통수에 지장을 초래하는 우려는 없고 문제시되는 적은 없었다. 또한 기존 변기에는 대유량에서의 세정수에 의해 관로내 공기를 일시에 배출하기 때문에 정상둑은 관로의 반환에 의해 철(凸) 형상이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이 문제시된 적도 없었다. 이른점에서 성형정밀도 향상이나 관로 각각의 형상등에 관한 배려에 부족하다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ushing water flows into the bowl bowl at a high flow rate, the curved top portion having the top bank and the downcoming pipe portion continuously forming the siphon trap pipe line, which defines the water level in the rising pipe portion, does not fail to generate the siphon. . For this reason, in the manufacture of toilet bowls, slips are deposited in a shape having an iron shape suitable for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hape of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mold close side of the completed casting is used as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bowl part. The inner wall of the ascending pipe portion. Since the opposite side of this casting was formed so that it might not contact the die surface of a metal mold | die, the unevenness | corrugation was completed in some cases. The same applies to the curved top part. Particularly, in this curved top part, since the top bank is inside the pipe, the top part has to be in the shape of steel in the pipe by returning the pipe, and the shape thereof cannot be devis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ncave-convex wall is completed, the existing toilet has a premise that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t a large flow rate is premised, and this unevenness does not cause a problem in the passage of the washing water to the pipeline. In addition, since the air in the duct is temporarily discharged from the existing toilet by the washing water at a large flow rate, the top bank is preferably iron-shaped by the return of the duct, and its shape has never been a problem. In the early stages, it is not enough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molding precision and the shape of each pipe line.

그런데, 이러한 사이폰 트랩식의 대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변기 외부의 배수구와 사이폰 트랩 관로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배수구의 방법은 일율적이지 않고 자치제나 정부 혹은 단체 등의 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변기 외부의 배수구와 사이폰 트랩 관로와의 접속에는 도기제 변기와는 다른 재료, 이른바 소켓(socket)으로 불려지는 다른 부품이 이용되고 있다.By the way, when providing such a siphon trap type | mold toile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drain port of the toilet exterior and a siphon trap line. Since the drainage method is not uniform and is regulated by the municipality, the government, or a group,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inage port outside the toilet and the siphon trap line is called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ceramic toilet, so-called socket. Other parts are used.

예를 들면, 변기 벽에서 배수구 센터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러프인(rough-in)은 나라마다 혹은 지역마다 여러가지 정해져 있다. 러프인이 다르면 변기 후단과 배수구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된다. 이것에 대한 변기에 있어서 사이폰 트랩 경로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변기 설치에 있어서는 러프인의 상위에 따라 굴곡이 같은 상기의 소켓을 선택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어 시공시에 번잡하였다. 이러한 번잡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기제 변기에 있어서의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 위치를 러프인에 따라 바꾸면 바람직하지만 그 부분만 변기 본체 제조를 때문에 금형(본체용 금형)의 종류가 증가해서 준비나 금형 선택을 필요로 하고, 금형 제조비용 증가나 금형 관리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상기의 소켓의 선택으로 대처하지 않을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For example, the rough-in, which means the distance from the toilet wall to the drainage center, is determined by country or region. Different rough ins result in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rear end of the toilet and the drain. Since the siphon trap paths are almost the same in the toilet bowl,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use the above-mentioned sockets with the same bend depending on the roughness difference in the toilet bowl installation.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end position of the siphon trap pipe line in the ceramic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rough in to eliminate such troubles, but only the part of the mold (body mold) increases because the toilet body is manufactured. This results in an increase in mold manufacturing cost or mold management cost. For this reason, the reality is that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above socket selec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변기의 로우 실루엣 (silhouette)화의 추진이나 대변기 설치의 범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versatility of the toilet and the promotion of the low silhouette (silhouette) of the toile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사이폰 트랩식의 대변기에 있어서 사이폰 트랩 관로 형상의 다양성을 도모하거나 배수구 사양으로의 적합성을 도기제 변기 자체로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iphon trap type toilet bow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the siphon trap pipe shape or increase the suitability of the drainage specification to the ceramic toilet bowl itself.

본 발명은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에 토출하여 변기 세정을 도모하는 대변기와, 이러한 대변기에 있어서,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는 대변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that discharges water supplied washing water to a toilet bowl part for cleaning the toil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ilet having a siphon trap pipe in such a toilet.

도 1은 실시예의 대변기(10)를 그 상면을 절단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1: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toilet 10 of an Example by cut | disconnecting the upper surface.

도 2는 도 1의 대변기(10)를 전후 방향의 중앙선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단면도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2: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toilet 10 of FIG. 1 in cross section in the left directio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front-back direction.

도 3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 단면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ross section on the right side similarly.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림의 좌방중앙부토수공(43) 부근을 일부 절단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4: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cut | disconnects and demonstrates the vicinity of central left side water hole 43 of the rim shown in FIG.

도 5는 베이스부 제1토수공(41)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으로부터 토출된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ase first water jetting hole 41 and the base second water jetting hole 42.

도 6은 좌방중앙부토수공(43)과 제1교정용토수공(45), 림전단측토수공(44), 제2교정용토수공(48) 및 우중앙부토수공(47)으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6(a)는 각 토수공으로부터 단독으로 세정수 토출을 행한다고 가정한 경우의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b)는 각 토수공으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일어나는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6 shows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the first orthodontic jetting hole 45, the rim shear side jetting hole 44, the second calibration jetting hole 48, and the right central jetting hole 47.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FIG.6 (a)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in the case of assuming that washing water discharge is performed independently from each water discharge hole, FIG. 6 (b) is washing | cleaning from each water discharge hole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washing | cleaning water which arises by water discharge.

도 7은 모든 토수공으로부터 세정수 토출에 의해 일어나는 세정수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7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caused by the washing water discharge from all the water discharge holes.

도 8은 이 세정수 동작을 일으키는 각 주류(S1, S2)가 유수(RS)에 개별적으로 합류하는 것을 가상했을 때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8: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demonstrates typically the shape at the time of simulating each mainstream S1, S2 which causes this washing | cleaning water operation | movement joining the flowing water RS separately.

도 9는 각 주류(S1, S2)가 함께 유수(RS)에 합류했을 때 유수에 있어서 선회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urning in running water when the respective mainstreams S1 and S2 join the running water RS together.

도 10도는 대변기(10)를 제2주류(S2)의 유수합류 부근 도 1의 10-10선으로 단면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10: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toilet 10 in cross section by 10-10 line | wire of FIG. 1 near the flowing water confluence of 2nd mainstream S2.

도 11은 사이폰 트랩(20)의 관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관로를 도 3의 11-11선에 따라 단면 시한 설명도이다.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in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3 to explain the constitution of the siphon trap 20.

도 12는 하강관로부(28)를 도 3 및 도 11의 12-12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이다.FIG. 12 is an explanatory view in cross section of the downcomer 28 along the lines 12-12 of FIGS. 3 and 11.

도 13은 하강관로부(28)를 도 3 및 도 11의 13-13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이다.FIG. 13 is an explanatory view in section of the downcomer 28 along the 13-13 line of FIGS. 3 and 11.

도 14는 하강관로부(28)를 도 3 및 도 11의 14-14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이다.FIG. 1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downcomer 28 along the lines 14-14 of FIGS. 3 and 11.

도 15는 세정 개시 초기에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operation | movement of washing water in the initial stage of washing | cleaning.

도 16은 세정수가 말단관로부(74)에 저장하여 놓여지는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tored and placed in the end pipe portion 74.

도 17은, 사이폰 작용의 발생 상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situation of the siphon action | action.

도 18은 공기 잔존 상황 아래에서 사이폰 작용의 발생·계속을 일으키는 모양을 확인하기 위한 U 자관의 설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ituation of the U-shaped pipe | tube for confirming the state which produces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under the air residual condition.

도 19는 U 자관의 액위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9 is a graph showing the liquid level of the U-tube.

도 20는 대변기(10)에 세정수 급수장치(100)를 내장한 상태를 일부 투시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lu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is incorporated in the toilet 10.

도 21는 이 세정수 급수장치(100)의 주변을 단면시하여 설명도이다.21 is an explanatory view in cross section of the periphery of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도 22는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와 대비하는 대변기에 대해서 변기 볼부의 급수, 볼부로의 유입, 트랩으로부터의 세정수 배출의 각 유량을 대비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2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toilet compared with the toilet 10 of this embodiment in comparison with each flow rate of water supply of the toilet bowl part, inflow into the bowl part, and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trap.

도 23은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와 비교예 변기에 대해서 행한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23: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test performed on the toilet 10 and the comparative toilet of this Example.

도 24는 사이폰 트랩이 없는 것으로 한 본 실시예의 변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2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oi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th no siphon traps.

도 25는 선회류의 밀어 넣는 효율에 대해서 실시예 변기와 비교예 변기와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comparison result of an Example toilet and a comparative example with respect to the pushing efficiency of swirl flow.

도 26은 세정수 저류 탱크를 내장한 변형예의 대변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FIG. 26: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toilet 10 of the modification which incorporates the wash water storage tank.

도 27은 대변기(10)를 제조할 때의 캐스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말단관로 캐스팅(M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8(a)는, 합친 모양 전의 여성 금형(200)과 남성 금형(210)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8 (b)는 이 두가지 타입을 형합한 경우의 캐비티(MKK)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8(c)는 도 28(b)을 x-x 선으로 단면시하여 캐비티(MKK)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2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asting state when manufacturing the toilet 10. 28: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shape of the metal mold | die shaping | molding of the terminal tube casting (MK), and FIG. 28 (a)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shape of the female metal mold 200 and the male metal mold 210 before the combined shape; FIG. 28 (b)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shape of the cavity MKK when these two types are combined; FIG. 28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8 (b) with the line xx, and the shape of the cavity MKK.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도 29는 말단관로부를 사이폰 트랩 관로를 포함하는 변기 캐스팅과 함께 성형한 경우의 성형 모양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9(a)는 말단관로부와 사이폰 트랩 관로의 캐스팅의 착육(着肉)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b)는 도 29(a)를 x-x 선으로 단면시하여 말단관로부의 캐스팅의 착육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2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molding shapes when the terminal pipe part is molded together with the toilet casting including the siphon trap pipe, and FIG. 29 (a) shows the landing of the casting of the terminal pipe part and the siphon trap pipe.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a shape, FIG. 29 (b)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landing shape of the casting of a terminal pipe part by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0은 정상관로부 캐스팅(T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form used for metal mold | die shaping | molding of normal pipe part casting (TK).

도 31은 이 정상관로부 캐스팅(T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shape of the metal mold | die of this stationary pipe casting (TK).

도 32는 림캐스팅(R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shape of the metal mold | die of rim casting RK.

도 33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form of the metal mold | die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도 34는이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저부 금형(250)의 개략사시도이다.3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mold 250 used for mold molding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도 35는 도 34에 있어서의 34-34선의 단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34-34 line in FIG.

도 36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볼 중앙금형(260)의 개략사시도이다.3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ll center mold 260 used for mold molding of a toilet body casting BK.

도 37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분리금형(270)의 개략사시도이다.3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ion mold 270 used for mold molding of a toilet body casting BK.

도 38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일방의 측부금형 (280)의 개략사시도이다.FIG. 3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mold 280 used for metal mold | die molding of toilet seat body casting BK.

도 39는 대변기(10)에 있어서의 기기수납부(11) 주변에서의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의 모양과 이것에 이용하는 인사이드 분리금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39: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hape of metal mold | die formation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around the apparatus storage part 11 in the toilet 10, and the inside separation mold used for this.

도 40는 다른 실시예의 대변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4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toilet 300 of another embodiment.

도 41은 여러가지의 러프인으로의 대응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1(a)는 러프인(200)으로의 대응하는 모양을, 도 41(b)은 러프인(305)으로의 대응하는 모양을, 도 41(c)은 러프인(405)으로의 대응하는 모양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4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various shapes of rough ins, FIG. 41 (a) shows a corresponding shape to rough ins 200, and FIG. 41 (b) to rough ins 305s. 41 (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rresponding shapes to the rough in 405, respectively.

도 42는 말단관로부(74)와 배수구와의 연결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2(a)는 배수 컨넥터(HSC)를 이용한 수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2(b)는 배수 플랜지(HSF)를 이용한 수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4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form between the end pipe portion 74 and the drain hole, FIG. 42 (a)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using the drain connector HSC, and FIG. 42 (b) is a drain flange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method using (HSF).

도 43은 정상관로부(26)를 상승관로부(24)와 같은 정도의 관노 면적으로 해서 정상관로부(30)의 공기가 그 이후의 관로에 유입되도록 한 대변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4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toilet in which the top pipe section 26 has the same pipe furnace area as that of the rising pipe section 24 so that air from the top pipe section 30 flows into the subsequent pipe line.

도 44는 제1주류(S1), 제2주류(S2)의 세정수를 변기 수평면시에서 유수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응 각의 위치로부터 유수로 토출하여 선회를 일으키도록 한 변형예의 대변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44 is a view showing a toilet of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washing water of the first liquor S1 and the second liquor S2 is discharged from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angle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running water to the running water in the toilet horizontal plane to cause the revolution. It is also.

이러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대변기는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의 상부로부터 토출하고 변기 볼부가 저장해 둔 유수에서 선회류를 일으켜 변기 세정을 도모하는 대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의 상부 주위로 인도하는 도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도수로는 급수 세정수를 2개의 주류를 합하여 흐르게 해서 상기 유수로 합류하도록 토출하는 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2개의 세정수 주류가 변기 수평면상에서 상기 유수를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상기 유수로 흐르게 하면서, 상기 유수에 동일한 회전 방향의 선회류를 일으키도록 상기 유수로 합류하는 유수 합류 관계를 채용해서 급수 세정수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se problems, the firs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part, and in the toilet which generates swirl flow in the flow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art, the toilet bowl is provided. A raceway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bowl portion; the raceway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to combine the two main streams and discharging the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by adopting a confluence of the flowing water to join the flowing water so that the flowing water flows into the flowing water almost in parallel with the flowing water on the toilet horizontal plane, while causing the swirling flow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to the flow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 1 대변기로에서는 2개의 세정수 주류를 유수로 합류시키는 것에 대하여 이들 주류의 합류가 변기 수평면시에 있어서 유수를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일어나 유수에 동일 회전 방향의 선회류가 일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유수 합류 관계를 가진 각 주류가 유수에 합류하기 때문에 서로의 주류가 선회류 생성의 혼란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유수에는 선회류를 확실하게 유기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의 주류로 일어난 선회류는 합류가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이라는 관계이므로 선회류의 선회 방향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그 선회를 촉진하기 때문에 토출 세정수의 에너지를 선회류 생성에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어 이것을 통해서 선회류에 의한 유수의 밀어 넣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상황은 2개의 세정수 주류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일어나기 때문에 2개의 세정수 주류의 생성을 위해 세정수가 적어도 선회에 의해 밀어 넣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토출을 도모할 수 있어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를 가져올 수 있다.In the firs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stitution, the confluence of the two main streams into the flowing water causes the confluence of these main streams to flow in parallel with the flowing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ilet, turning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to the flowing water. Let Ryu happen. Since each liquor having such a flow-join relationship joins the flow, the liquor of each other does not cause the disruption of the swirl flow gener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induce swirl flow in the running water. Since the swirl flow generated by the mainstream of each other is related to the confluence of the parallel and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the rotational flow of the swirl flow is promoted without disturbing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rl flow. Thi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ushing the flowing water due to the swirl flow. Moreover, since this situation occurs even when the flow rates of the two washing water liquors are low, the performance of at least the washing water being pushed in by rotation is maintained to generate the two washing water liquor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at a small flow rate and to bring about a reduction in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그리고, 이와 같은 소유량으로 세정수 토출과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를 양립할 수 있어서 주류 생성을 위해 급수하는 세정수를 세정수 탱크로부터의 것으로 한 경우에는 수두압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만 세정수 탱크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 탱크를 포함한 대변기 전체의 디자인성의 향상과 대변기의 로우 실루엣화를 도모할 수 있다.With such a small flow rat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 and the total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made compatible, and the head pressure can be reduced when the washing water supplied for the production of liquor is made from the washing water tank. The wash water tank can be lowered. Therefore, the design of the whole toilet including a washing water tank can be improved, and the low silhouette of the toilet can be aimed at.

또한, 주류 생성을 위해 급수하는 세정수에 일차측 배관으로부터의 세정수 급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는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세정에 필요한 선회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저급수압의 일차측 배관 지역에서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시설 상황등에 의해 일차측 급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도 본 발명의 대변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설치 장소에 대한 범용성이 높아지고, 본 발명과 같이 선회류 방식을 채용하는 대변기의 저급 수지역이나 나라로의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법 규제등으로 고급 수압이 요구되고 있는 나라나 지역에 있어서도 감압밸브등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대변기를 용이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sh water feed water from the primary side pipe is used for the washing water supplied for the mainstream generation, since the swirl flow required for the washing can be generated by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at a low flow rate, the primary side piping area of the low water supply pressure You can also respond. Therefore,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even in a region where the primary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due to the water supply situation. For this reason, the versatility to the installation place becomes high, and the spread of the toilet to the low water region and the country which employs the swirl flow system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moted. In addition,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and installed by providing a pressure reducing valve in a country or region where high water pressure is required due to legal regulations.

더구나, 대유량에 근거하는 높은 수세에서의 세정수 토출을 일으킬 필요가 없으므로 세정수 토출이나 유수로의 세정수 합류에 따라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변기 세정시의 정적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높은 수세에서의 세정수 토출에 의한 불용의한 물 튐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aus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at the high water washing based on the large flow rate, the generation of sound can be suppressed by the washing water discharge or the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ter flow path, so that the quietness in the toilet bowl cleaning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soluble water splashing due to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under high water washing can be suppressed.

상기한 유수를 사이로 두고 2개의 세정수 주류의 유수 합류는 유수의 유수면 윤곽의 긴 부분에서 각각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각 주류의 유수 합류의 경우 흐르는 방향으로 겨냥해야 부착하기 쉽고 바람직하다.The flowing water confluence of the two washing water liquors with the above flowing water may be caused to occur at the long portions of the flowing surface contours of the flowing water, respectively. In this case, in the case of flowing water of each liquor, it is easy to attach and preferable only when aiming in a flowing direction.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대변기는 이하의 여러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The 1st toilet bowl of this invention which has the said structure can employ | adopt the following various forms.

즉, 상기 도수로의 토출부는 상기 도수로로 흘려진 세정수를 변기 전방측으로 향해서 상기 유수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방으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두개의 세정수 주류의 일방향인 제 1 세정수 주류를 일으키는 제1토출부와,That is,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raceway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flowed into the raceway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owing water from above, and the first discharge portion for generating a first washing water liquor which is one direction of the two washing water liquor; ,

상기 도수로에 흘려진 세정수를 상기 제1토출부와 변기를 좌우로 이분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같은 측으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유수 수면보다 상부의 상기 변기 볼면에서 상기 볼면에 따라 주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세정수의 흐름을 생성하는 제2토출부와,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raceway is discharged from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viding the first discharge portion and the toilet left and right, and the washing water rotates periodically along the ball surface at the toilet bowl surface above the flowing water surface. A second discharge unit generating a flow of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에 합류하여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교정하고, 상기 교정한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상기 두개의 세정수 주류의 다른 방향인 제 2 세정수 주류로 하는 제3토출부를 갖는다.Join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and correct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and the second washing of the corrected second discharge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two washing water mainstream It has a 3rd discharge part made into several mainstream.

이렇게 하면, 제 2 세정수 주류를 세정수의 흐름(수류)의 합류를 지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수류 합류에 의해서 정확한 방향성과 강한 수세를 갖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세정수 주류를 그 흐름의 궤적이 안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류의 흐름을 확실하게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회전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제 2 세정수 주류 생성을 위한 세정수 토출시에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토출을 통과한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can be passed through the confluence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water flow), the confluence of the water streams can provide accurate directivity and strong water washing. Therefore, since the trajectory of the flow of the second washing water main stream can be stabilized, the flow of the main stream can be reliably almost parallel and can be led in the same rotation directi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mall amount of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at the small flow rate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for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water liquors.

또한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도수로에 형성한 복수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각각 토출하고 각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 수류를 합류시켜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를 일으킨다.The first discharging unit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delivered to the raceway from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raceway, and joins the washing water streams from the discharge holes to cause the first washing water mainstream.

이렇게 하면, 제 1 세정수 주류에 있더라도 그 흐름의 궤적을 안정할 수 있고, 더구나 합류 부분에 강한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 2 세정수 주류의 궤적 안정화와 더불어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토출 및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ilize the trajectory of the flow even in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and furthermore, since a strong flow occurs in the confluence,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at the small flow rate and the total amount of washing water in addition to stabilizing the trajectory of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mall amount.

또한, 상기 제3토출부는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변기볼 부의 전방측에서 상기 유수로 향하여 토출하고,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 흐름에 합류시켜, 상기 제2토출부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을 상기 유수 수면측으로 교정하는 제4토출부와,In addition, the third discharge portion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toward the flowing water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and joins the washing water flow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the flow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washing water A fourth discharge portion for correcting a direction to the flowing water surface side;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변기를 좌우로 이분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제1토출부와 반대측으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제4토출부로부터의 세정수에서 교정된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에 합류시켜 그 흐르는 방향을 상기 유수 수면측으로 교정함과 함께 교정후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로서,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에 대하여 상기 유수 합류 관계를 가져서 상기 유수에 합류시키는 제5토출부를 갖는다.Flow of washing water guided into the raceway is discharged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viding the toilet bowl left and right and corrected in the washing water from the fourth discharge portion. And the flow direction is corrected toward the flowing water surface, and after the correction,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is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nd has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And a fifth discharge portion joining the flowing water.

이 경우 제5토출부는 제2토출부로부터의 세정수의 흐름에 대응하도록 세정수를 토출하여, 상기 토출 세정수를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에 합류시켜 이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제 1 세정수 주류와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 유수에 합류시키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fth discharge unit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joins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with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unit, and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discharge unit. Can be brought into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 first rinse water liquor and joined to the running water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이와 같이 하면 제 2 세정수 주류의 교정을 변기 전방측으로부터 제 1 세정수 주류의 각 측으로부터 실행하기 때문에, 교정후의 제 2 세정수 주류의 궤적을 보다 안정화시켜 상호 주류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의 확실성 향상을 도모하여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alibration of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is performed from each side of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the trajectory of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fter the calibration is more stabilized, and is substantially parallel and the same rotation of the mutual liquors. The reliability of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can be further improve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joining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도수로는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 표면에 따르도록 토출하는 부토출부를 상기 제1∼제5토출부와는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부토출부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을 포함해서 상기 변기 볼부 표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 세정수를 흘린다.In addition, the raceway is provided with a sub-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along the surface of the toilet bowl part, separate from the first to fifth discharge unit, including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sub-discharge unit The washing water flows over almost the entire surface of the toilet bowl surface.

이렇게 하면, 변기 볼부의 표면의 거의 전역에 세정수가 널리 퍼질 수 있다. 따라서 볼부 표면에 부착되어 종이나 오물을 유수에 확실하게 넣은 수 있어 볼부표면의 청정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washing water can spread wide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toilet bowl. Therefore, it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ball part, so that paper or dirt can be reliably put in the running water, thereby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ball surface.

또한, 상기 변기 볼부는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어 선회의 안내를 함과 함께, 또한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가 상기 유수에 합류한 후 세정수의 선회상황을 규정하는 제1볼 주벽부와,Further, the toilet bowl part receives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and guides the turning, and further defines a turning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after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joins the running water. Wow,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어 선회의 안내를 함과 함께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를 상기 유수에 합류한 후 세정수의 선회 상황을 규정하는 제2볼 주벽부를 구비한다.A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for receiving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to guide the turning and joining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to the running water and defining the turning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이렇게 하면 제1, 제 2 세정수 주류를 그 흐름의 궤적을 보다 안정한 흐름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호 주류가 기술한 바와 같이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이라는 유수 합류 관계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의 신뢰성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water liquors to have a more stable flow trajectory, and as a result, the two main streams of water can be more reliably maintained in parallel and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reducing the total amount of water.

또한, 상기 제1, 제2볼 주벽부는 유수 합류후의 세정수 선회 상황에 차이를 갖게 하여 한쪽의 볼 주벽부는 유수 깊이 방향의 선회 리드를 크게 하고 다른 볼 주벽부는 상기 선회의 리드를 작게 한다. 이 경우 제2볼 주벽부는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의 상기 선회의 리드를 크게 하고, 상기 제l볼 주벽부는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의 상기 선회의 리드를 작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s have a difference in the washing water turning situation after water flow joining, so that one ball circumferential wall increases the turning lead in the flow depth direction, and the other ball circumferential wall makes the lead smaller in the turning. In this case,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can enlarge the lead of the turning of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nd the first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can reduce the lead of the turning of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이렇게 하면 리드가 큰 선회류에서 선회에 기초를 둔 유수의 밀어 넣는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리드가 작은 선회류에서 오물을 받아 정리하여 리드가 큰 선회류에 보내 오물의 배출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주류 생성이더라도 밀어 넣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소유량에서의 세정수를 토출하면서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를 도모하더라도 선회에 의한 밀어 넣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이 밀어 넣기에 의해 오물을 배출하는 능력(변기 세정 능력)을 확실히 발휘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ushing performance of the turn-based flowing water in the large swirl flow where the lead is large, and the lead can collect the dirt in the small swirl flow and send it to the large swirl flow to discharge the dirt. Do. Therefore, even if the washing water is produced at a low flow rate, the pushing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s reduced while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t the lower flow rate, the pushing performance by turning can be maintained, and the ability to discharge the dirt by the pushing (the toilet washing ability) can be reliably exhibited. have.

더하여 변기 볼부는 그 저부를 유발(鉢)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볼부 저부의 트랩 개구로로 향하는 선회류의 선회 반경은 서서히 작게 되고, 선회류의 기세는 증대해 나간다. 이것 때문에 상기한 선회류에 의해 밀어 넣는 성능은 또한 향상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oilet bowl has a bottom shape, the turning radius of the swirl flow toward the trap opening of the bowl bottom gradually decreases, and the momentum of the swirl flow increases. For this reason, the performance of pushing in by the swirl flow is also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에 차이를 갖게 하는 볼 주벽부로 하는 경우, 상기 제 1볼 주벽부를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에 개구한 트랩과 대향하는 측으로 상기 유수를 취하여 둘러싸도록 형성시켜,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는 안내선반부에 있어서, 상기 유수의 유수면과 대략 일치한 높이 위치에서 상기 선회 리드의 작은 선회 상황을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에 일으키는 상기 안내선반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which makes a difference in the lea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flowing water to the side facing the trap opened at the bottom of the toilet bowl portion, and to surround the first washing water. In the guide shelf part which catches this, it can be set as having the said guide shelf part which causes the small turn situation of the said turning lead to the said 1st wash water liquor in the height position which is substantially corresponded with the flow surface of the said flowing water.

또한 상기 제2볼 주벽부를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어 이것을 상기 유수에 합류시키는 개소에 있어서, 상기 선회 리드의 큰 선회 상황을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에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유수의 상하 방향에 걸치는 경사를 상기 안내선반부보다 크게 된 주벽면부를 갖게 할 수 있다.Further, in a location where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receives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nd joins it to the running water, a large turning situation of the turning lead is cau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unning water so as to cause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The inclined surface can have a main wall surface portion larger than the guide shelf portion.

이렇게 하면 제 1 세정수 주류는 안내선반부에 받아 내여져 유수면 부근에 있어서 거의 가로 방향의 선회로 안내되고 선회 리드의 작은 선회류를 보다 확실히 일으킬 수 있다. 제 2 세정수 주류는 경사의 큰 주벽면부에 받아 내여지고 그 경사에 의해 큰 선회 리드의 선회류를 확실하게 일으킬 수 있다. 이 결과 상기한 선회류에 의한 밀어 넣는 성능을 보다 확실히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리드가 작은 선회류에서 오물 정리 등을 확실히 일으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is taken out to the guide shelf portion, guided to a substantially transverse turning in the vicinity of the flow surface, and more reliably generates a small swirl flow of the turning lead.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is taken in by the large main wall surface part of the inclination, and the inclination can reliably cause the large flow of the turning lead. As a result, the pushing performance by the swirl flow can be more surely increased, and the dirt can be reliably caused in the swirl flow with a small lead.

이 경우 상기 제2볼 주벽부의 상기 주벽면부를, 상기 유수로의 세정수 유입에 의해서 일어나고 유수 수위 상승에 대한 유수면 넓이의 확장 비율이 본래의 넓이에 대하여 약 40% 이내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may be caused by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nd the expansion ratio of the flow surface area to the increase in the flow level may be within about 40% of the original width.

이렇게 하면, 제2볼 주벽부의 주벽면부에서 안내된 제 2 세정수 주류는 보다 확실히 큰 리드의 선회류를 유수에 일으키기 때문에 상기한 선회류에 의한 밀어 넣는 성능을 한층 확실히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2nd washing water liquor guide | induced by the main wall surface part of the 2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art raises the flow of a large lead more reliably to flowing water, the pushing performance by the above-mentioned turning flow can be improved more reliably.

또한 이 제2볼 주벽부의 주벽면부를 그 연직 방향의 단면 형상에서 유수수면과 주벽면부의 단면 주벽면으로 한 각도를 약 5∼25°로 하도록 급경사로 하면 주벽면부의 주벽면에서 안내한 제 2 세정수 주류를 큰 리드의 선회류로 하여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steeply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5 to 25 ° from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shape to the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flowing water surface and the main wall surface portion, the second guide guided from the main wall surface of the main wall surfac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washing water liquor as the swirl flow of the large lead.

또한, 상기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대변기는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의 상부로부터 토출하고,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선회류를 일으켜 변기 세정을 도모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at least a part of the above problems, the second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the supplied water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and causes the toilet bowl to rotate in the flow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to clean the toilet. In

상기 급수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의 상부 주변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비하고,A raceway leading the water supply cleaning water to the upper periphery of the toilet bowl part;

상기 도수로는 변기 수평면에서 상기 유수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각의 위치에 급수 세정수를 토출하는 2개의 토출부를 갖고, 각각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수에 동일 방향의 선회가 일어나도록 상기 급수 세정수를 상기 유수에 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ceway has two discharge portions for discharging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at a diag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lowing water in a horizontal plane of the toilet, and each of the discharge portions causes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to flow in the same direction to the flowing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joining.

이렇게 해도 각각의 토출부에서 토출부로부터 세정수 흐름의 유수로의 합류는 변기 수평면시에서 유수를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일어나고 유수에는 동일 회전 방향의 선회류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 대변기에 있어서도 기술한 제 1 대변기와 마찬가지로 유수에 선회류를 확실히 유기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제 1 대변기와 같은 이점이 있다.Even in this case, the confluence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discharge portion in each discharge portion occurs almost parallel to the flow water in the toilet horizontal plane, and causes the flow water to rotate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Therefore, also in this toilet, there is an advantag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toilet because it can reliably induce swirl flow in the running water as in the first toilet described above.

또한 이 제 2 대변기에 있어서도 제 1 대변기와 같은 모양의 각종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Moreover, also in this 2nd toilet bowl, the various forms of the same shape as a 1st toilet bowl can be employ | adopted.

또한, 상기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 대변기는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유입하고, 상기 유수와 같이 사이폰 트랩으로부터 배출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at least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third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in which the water supplied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art and discharged from the siphon trap like the flowing water,

상기 사이폰 트랩은 상기 변기 볼부 측면에 개구한 트랩 개구를 갖고, 상기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지게 상방으로 향한 관로를 형성하는 상승관로부와,The siphon trap has a trap opening open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has an upward conduit which forms a conduit upwardly inclined from the trap opening;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A normal pipe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portion and curved, and having a top bank defining the water level;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하여 하강한 하강관로부에 있어서, 상기 유수로의 상기 급수 세정수의 유입에 의해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의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상기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린 세정수를 받아 내어 세정수의 튀어 오름을 일으키는 관로선반부와, 상기 관로선반부와 튀어 오른 세정수를 하류측으로 이끄는하류측 관로부와, 상기 하류측 관로부의 말단에서 관노면적을 협소시켜 세정수를 변기 외부의 배수구로 이끄는 교축부를 갖는 상기 하강관로부를 구비하고,In the downcomer part connected to the top pipe part and descended,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upcoming part and the top part of the downcoming part by the inflow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 pipe line part which receives the water and causes splashing of the washing water, a downstream pipe line part which leads the pipe shelf part and the flushing water to the downstream side, and a narrow pipe furnace area at the end of the downstream pipe line part to clean the toilet water. And having said downcomer having a throttle leading to an external drain,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상승관로부로부터 운반되는 세정를 상기 배수구에 배출하는 경우에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관로선반부에서 의 받아 냄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을 상기 교축부측으로 전환하는 흐름 변경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교축부에서의 저장을 일으키게하여, 상기 교축부에 있어서 상류측 관로의 세정수에 의한 밀봉(seal)을 일으키게 하고, 상기 정상관로부에서 상기 관로선반부에 이르기까지의 관로 부분에 공기가 남겨진 채 있더라도 상기 교축부에 저장하여 둔 세정수를 상기 정상둑까지 도달하는 물기둥(水柱)을 형성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물기둥 형성후에 있어서는 상기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정상관로부에 밀봉 상태로서 상기 변기 볼부의 세정수를 흡인하는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켜 그 사이폰 작용을 연속 가능한 하강관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wncome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lowing over the top bank from the pipe shelf part when the washing carried from the rising pipe part is discharged to the drain port, and the flow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flow change to the throttling part side and the storage of the flowing washing water at the throttling part are caused to cause a seal by the rinsing water of the upstream pipe in the throttling part; Even if air remains in the pipe part from the pipe to the pipe shelf part, it is possible to form a water column that reaches the top bank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hrottle part, and after the water column is formed To sipho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part by sealing the air into the Generated by it has a continuously falling possible that the channel-shaped siphon action.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대변기에서는 유수로의 급수 세정수 유입을 일으켜 변기 세정이 개시되면 상승관로부로부터 정상관로부의 정상둑을 넘어서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린 세정수는 하강관로부의 관로선반부에 받아 내여져 튀어 오른다. 이렇게 해서 튀어 오른 세정수는 세정수의 흐름의 방향을 교축부측으로 전환하여 하류측에 흘러 내리고 그 때 하강관로부내의 공기의 말림에 따른 관로유하와, 흐르는 방향의 전환에 따른 세정수의 유하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하류측관로부 말단의 교축부에 도달한다. 교축부에 도달한 세정수는 공기의 말림을 일으킨채로 교축부를 통해서 배수구로부터 흘러 나오지만 이 교축부에서 관로 면적 협소에 근거하여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되어진 세정수는 그 일부가 교축부를 통해서 배출구로부터 흘러 나온다. 이 경우, 세정수의 저장시에 상기한 유하 속도의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부터 정상둑을 넘어서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유량은 교축부를 지나서 배출구에 흘러 나오는 세정수 유량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세정 개시 초에 교축부에서의 세정수의 저장과 배수구로의 배출을 병행해서 일으키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축부에서의 세정수의 저장 수량은 하강관로부로의 세정수의 흘러 내림이 계속됨에 따라 증가하므로 하류 관로부에서는 교축부에서 그 상류측 관로가 저장하여 둔 세정수에서 밀봉된다. 이렇게 해서 밀봉을 일으킨 뒤, 그 후의 세정수의 흘러 내림의 연속에 의해 교축부로부터 정상둑까지 도달하는 물기둥이 형성됨과 함께 이 세정수 물기둥에 의해 배출구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진입이 방지된다.In the third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flushing water starts to flow into the flow channel and the toilet is started, the flushing water flowing from the ascending pipe over the top bank of the top pipe is lowered into the down pipe line. It is taken in wealth and jumps up. The washing water splashed in this way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washing water to the throttle side and flows down the downstream side.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ue to the drying of the air in the downcoming pipe portion and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low direction It leads to a decrease in the axial section of the downstream side pipe end. The washing water reaching the throttle flows out of the drain through the throttle, causing the air to curl, but is stored in this throttle based on the narrow pipe area. The stored wash water flows out of the outlet part through the throttle. In this case, since the flow rate of the flushing water flowing down the top bank from the lowering of the flow rate decreases during the storage of the flushing water is superior to the flow rate of the flu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throttle to the outlet, the washing starts. Initially, the storage of the washing water at the throttle and the discharge to the drain can be caused in parallel.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water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hrottle increases as the washing water flows down into the downcomer, the downstream water is sealed in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upstream pipe in the throttling portion. In this way, after the sealing is performed, a subsequent column of washing water flows to reach the top bank from the throttle, and a water column prevents the inflow of air from the outside of the outlet.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수에 의한 밀봉과 물기둥이 형성된 후의 세정 단계에서는 하류 관로부에서 상기 형성된 물기둥을 배출구로 낙하할 때 물머리(水頭)에 의해 세정수 통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트랩내에서는 감압현상이 일어난다. 더구나 상승관로부를 통과하여 정상둑을 타고 넘어 하강관로부에 흘러 들어 오고자 하는 세정수의 유입은 이 감압 현상 사이에도 계속됨으로 상승관로부의 측으로부터 공기의 흡입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변기 볼부의 유수 수면과 교축부의 높이의 다름에 의해서 변기 볼부의 세정수를 흡인하는 이른바 사이폰 작용이 발생하고 공기흡입에 의한 사이폰 소멸이 일어날 때까지 이 사이폰 작용은 계속된다. 이 때문에변기 볼부의 오물은 유수 및 급수 세정수와 함께 강제적으로 사이폰 트랩에 흡인되어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leaning step after the sealing by the washing water and the formation of the water column, since the water is passed by the water head when the formed water column is dropped from the downstream conduit to the outlet, decompression occurs in the trap. . In addition,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which flows through the ascending pipe section through the summit bank and flows into the descending pipe section continues even during this decompression phenomenon, so that no air is inhaled from the ascending pipe section. Therefore, the so-called siphon action that sucks the flu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part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wing wat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height of the throttle part, and the siphon action continues until the siphon disappearance by air suction occurs. For this reason, the dirt of the toilet bowl part is forcibly attracted to the siphon trap and discharge | released with the flow water and the feed water washing | cleaning water.

상기한 세정수의 물기둥 형성을 일으키는 세정 개시 초의 상황에서는 기술한 바와 같이 하강관로부의 관로선반부에서의 세정수의 튀어 오름, 이 튀어 오른 세정수에 의해 공기가 말려듬과 관로 유하를 일으키고 관로선반부 이후의 공기 배출을 일으킨다. 이 경우, 관로선반부 이후에서 배출되지 않은 공기는 이미 밀봉제의 물기둥 형성후인 것으로부터 이 물기둥을 상승하여 정상관로부로부터 상기 관로선반부에 이르기까지의 관로 부분에 저장된다. 혹은, 상승 공기는 정상둑을 돌출시켜 갖는 안내편부에서 저장하여 놓여진다.In the situation of the beginning of the washing, which causes the formation of water column of the washing water, as described above, the spring of the washing water is splashed in the pipe shelf of the descending pipe part, and the air is curled and the pipe is lowered by the splashing water. Causes air emissions after wealth. In this case, the air which has not been discharged after the pipeline shelves is stored in the pipeline portion from the top pipeline section up to the pipeline shelf section since the water column has already risen after formation of the water column of the sealant. Alternatively, the rising air is stored and placed in the guide piece having the top bank protruding.

이러한 공기의 잔존은 적은 세정수에서 변기 세정된 경우에 현저히 일어나고 다량의 세정수에서 변기 세정을 행하여 트랩 관로내의 공기를 전부 배출시키는 기존의 변기에서는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상관로부로부터 관로선반부에 이르기까지의 관로 부분에 공기가 남겨진 채 있더라도 하강 관로 형상을 고안하는 것에서 이 잔존 공기를 밀봉한 뒤에, 물기둥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사이폰 작용의 발생을 계속 일어나도록 했다. 이 때문에, 비교적 소량의 세정수의 공급에 의해 사이폰 작용을 지속할 수 있다. 또 사이폰 작용이 발생하면 정상관로부에 밀봉되어 있던 잔존 공기는 흡인되는 세정수에 말려들게 되지만, 이미 정상둑에 도달할 때까지 물기둥은 형성될 것이므로 물기둥을 통과하여 배출구로부터 외부에 배출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잔존 공기의 배출에 따르는 물기둥의 파쇄도 일어나기 어렵게 되고 사이폰 작용의 지속에 바람직하다.The remaining of air is remarkable when the toilet is washed in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nd the toilet is washed in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so as not to occur in the existing toilet where all the air in the trap pipe is discharg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air remains in the pipe portion from the top pipe portion to the pipe shelf portion, after devising the shape of the down pipe, after sealing the remaining air, it is possible to form a water column so as to form a siphon. The occurrence of action continued to occur. For this reason, the siphon action can be continued by supply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If the siphon action occurs, the remaining air sealed in the top pipe is drawn into the suction water, but the water column will be formed until it reaches the top bank, so it is difficult to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through the water column. do. Therefore, fracture of the water column due to the discharge of the remaining air is less likely to occur, which is preferable for the sustaining of the siphon action.

이와 같이 사이폰 트랩의 일부 관로 부분에 세정 개시 초에서 공기가 남아 있더라도 사이폰 작용의 발생을 계속할 수 있는 것에서 다음의 이점이 있다.Thus, there are the following advantages in that the generation of the siphon action can be continued even though air remains in the beginning of the cleaning in some pipeline portions of the siphon trap.

기존의 사이폰 트랩을 갖는 대변기로에서는 기술한 바와 같이 유수로의 급수세정수의 유입에 대하여 세정 개시 초에 사이폰 트랩의 관로내의 공기를 전부 트랩 외부에 배출시키는 것이 중요시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대유량의 세정수를 초부터 변기 볼부에 계속적으로 유입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toilet having a siphon trap, it has been important to discharge all the air in the siphon trap conduit outside the trap at the beginning of the washing start with respect to the inflow of the feed water to the flow channel.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flow a large flow rate of wash water into the toilet bowl part from the beginning.

본 발명의 대변기로에서는 사이폰 트랩으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세정 개시 초에 있어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유수로의 급수 세정수의 유입을 소유량에서 초기부터 계속하여 실행하면 충분한다. 따라서 세정수 급수를 위해서 세정수 탱크를 이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탱크의 수두압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만 세정수 탱크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변기의 로우 실루엣화, 나아가서는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discharge from the siphon trap is not necessary in the beginning of washing, it is sufficient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inflow of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at an initial flow rate. Therefore, in using the washing water tank for washing water supply, the head pressure of the tank can be lowered, so that only the portion thereof can suppress the washing water tank height. As a result, row silhouette of a toilet bowl can be improved and design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수도관 등의 일차측 배관의 세정수를 직접 변기에 급수하는 것에 있어서는 일차측 급수압이 낮더라도 유수로의 급수 세정수의 유입을 소유량에서 초기부터 계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도 시설 상황이나 강수 상황, 혹은 기후적·지역적 특성으로부터 일차측 급수압이 낮은 지역이더라도 본 발명의 대변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범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법 규제등으로 고급 수압이 요구되어 있는 나라나 지역이더라도 감압 밸브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대변기를 용이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irect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primary pipe such as a water pipe to the toilet, the inflow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can be continued from the initial flow rate even if the primary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Therefore,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n a region where the primary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from the water supply situation, the precipitation situation, or the climatic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by increasing the versatility. In addition, even in a country or region where high water pressure is required due to legal regulations,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and installed by providing a pressure reducing valve.

또한 유수에서 선회류를 일으켜서 트랩으로의 세정수 밀어 넣기를 도모하는 것에 있어서는 선회류를 일으키기 위해서 유수에 합류시키는 세정수를 소유량에서 토출시키면 충분한다. 즉, 대유량에 근거한 높은 수세에서의 세정수 토출을 일으킬 필요가 없고, 소유량의 비교적 낮은 수세에서 세정수를 토출하여 유수에 합류시키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수로의 세정수 합류에 근거한 선회류 생성시 에는, 저수세(소유량)에서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선회류에 필요없는 선회의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토출된 세정수의 에너지(수세)를 선회류 생성에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어 선회류의 안정형성과 선회류에 근거한 트랩으로의 세정수 밀어 넣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the swirl flow in the flowing water and to push the washing water into the trap, it is sufficient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joining the flowing water at a small flow rate in order to cause the swirl flow.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caus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at the high water washing based on the large flow rate, and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t the relatively low washing water of the small flow rate and join the flowing water. Therefore, when generating the swirl flow based on the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s into the flow chann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urning confusion that is not necessary for the swirl flow by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t low water washing (oil flow rate). As a result, the energy (washing water) of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can be used without waste in generating the swirl flow, and the stability of the swirl flow can be formed and the efficiency of pushing the wash water into the trap based on the swirl flow can be improved.

첨가하여, 대유량에 근거한 높은 수세에서의 세정수 토출을 일으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정수 토출이나 유수로의 세정수 합류에 따르는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변기 세정시의 정적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높은 수세에서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준비되지 않은 물 튐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aus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at high water washing based on the large flow r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the sound due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and the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and to improve the staticness at the time of washing the toilet bowl. have. In addition, unprepared water splash can be suppressed by washing water discharge at high water washing.

상기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4 대변기는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유입하여 상기 유수와 함께 사이폰 트랩으로부터 배출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at least a part of the above problems, the fourt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in which the flushing water supplied to the flow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ortion is discharged from the siphon trap with the flow water,

상기 사이폰 트랩은 상기 변기 볼부 측면에 개구한 트랩 개구를 갖고, 상기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져 상방으로 향한 관로를 형성하는 상승관로부와,The siphon trap has a trap opening open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has an upward conduit which forms a conduit upwardly inclined from the trap opening;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A normal pipe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portion and curved, and having a top bank defining the water level;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하여 하강한 하강관로부에 있어서, 상기 유수로의 상기 급수 세정수의 유입에 의한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의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상기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린 세정수를 받아 내어 세정수의 튀어 오름을 일으키는 관로선반부와, 상기 관로선반부에서 튀어 오른 세정수를 하류측에 이끄는 하류측 관로부와, 상기 하류측 관로부의 말단에서 관노 면적을 협소시키고 세정수를 변기외부의 배수구에 이끄는 교축부를 갖는 상기 하강관로부를 구비하고,In the downcomer part connected to the top pipe part and descending, the downflow path part caused by the inflow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nd the washing flowed down to the downcomer part over the top bank of the top pipe part; Pipe line part which collects water and raises washing water, downstream pipe line part which leads the wash water which protruded from said pipe shelf to the downstream side, and narrows the pipe furnace area at the end of the said downstream pipe part, And the downcomer having a throttle leading to a drain hole outside the toilet bowl,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상승관로부로부터 운반되는 세정수를 상기 배수구에 배출하는데 대하여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관로선반부에서의 받아 내림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을 상기 교축부측에 전환하는 흐름 변경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교축부에서의 저장을 일으키게 하고, 상기 교축부에서 상류측관로의 세정수에 의한 밀봉을 일으키므로, 상기 정상관로부에 남겨진 공기가 상기 상승관로부를 상승하여 온 세정수에 눌려져 상기 정상관로부 이후의 관로에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정상관로부보다 하류에서 밀봉하여 상기 정상관로부측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교축부에 저장하여 둔 세정수가 상기 정상둑까지 도달하는 물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 볼부의 세정수를 흡인하는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켜 그 사이폰 작용을 연속 가능한 하강관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wncoming pipe por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upcoming pipe portion to the drainage outlet at the pipe ledg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top bank, and the flow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Air left in the top pipe line because the change of the flow switching to the side of the throttle and the storage of the flowing down washing water at the throttle, and the sealing by the washing water from the throttle to the upstream pipe The ascending portion is pressed by the washing water that has risen to the rising pipe portion and flows into the pipe after the top pipe portion and seals the introduced air downstream from the top pipe portion so as not to return to the top pipe portion side, the throttle portion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ank forms a water column reaching the summit, and the toilet bowl three By generating a siphon action to suction the number it has a continuously falling possible that the channel-shaped siphon action.

이 본 발명의 제 4 대변기는 세정수를 상승관로부로부터 정상관로부의 정상둑을 넘어서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리고자 할 때, 이 세정수에 의해 정상관로부의 공기가 누르러지고 정상관로부 이후의 관로에 유입되는 것을 상정한 점에서 상기의본 발명의 제 3 대변기와 다르다. 즉,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이더라도 상승관로 면적이나 정상관로 면적의 관계등으로부터 정상관로부의 공기가 눌려져서 정상관로부 이후의 관로에 유입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그 대처를 다음과 같이 도모했다.In the fourt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ushing water is to flow from the ascending pipe portion to the descending pipe portion beyond the top bank of the normal pipe portion, the air is pressed by the air in the normal pipe portion by the washing water. It differs from the said 3rd toilet of this invention in the point which is supposed to flow in a pipeline. That is, even in the case of water supply in the small flow rate, the air in the top duct is depressed and flows into the duct after the top duct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 duct area and the top duct area.

세정수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그 일부가 상기 제 3 대변기와 같이 교축부에 도달한 세정수에 말려 들게 되어 교축부로부터 배수구로 흘러 나오지만 배출되지 않은 공기는 관로를 상승한다. 이러한 공기의 상승이 정상관로부까지 일어나면 물기둥의 분단, 즉 사이폰 작용의 소실을 일으키고 얻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공기를 정상관로부보다 하류에서 밀봉하여 정상관로부 측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 본 발명의 제 4 대변기에서도 상기한 제 3 발명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Part of the air introduced by the washing water is rolled into the washing water reaching the throttling portion, such as the third toilet, and flows out of the throttling portion to the drain port, but the air not discharged rises the pipeline. When such air rises up to the normal pipe part, it causes breakage of water column, that is, loss of siphon a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s sealed downstream from the top pipe section so as not to return to the top pipe section.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third invention can also be obtained in the fourt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 제 4 대변기에 있어서도 이하의 여러가지의 형태를 채용 할 수 있다.Also in the 3rd and 4th toilets of this invention which have the said structure, the following various forms can be employ | adopted.

즉, 상기 하강관로부는 약 50∼100 리터의 유량에서 한 상기 유수로의 상기 급수세정수의 유입에 대하여 상기 사이폰 작용의 발생과 연속 가능한 하강관로 형상을 갖는다.That is, the downcomer part has a downcomer shap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of the feed water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t a flow rate of about 50 to 100 liters.

이렇게 하면 종래의 유량에 거의 근거한 유량에서는 물론, 이것보다 적은 유량이더라도 사이폰 작용에 의한 오물·유수·세정수의 강제 흡인을 달성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forced suction of dirt, running water, and washing water due to the siphon effect even at a flow rate smaller than this, as well as at a flow rate substantially based on a conventional flow rate.

또한, 상기 정상관로부는 상기 하강관로부에 연결되는 관로 부분이 상기 정상둑을 넘어 상기 하강관로부에 떨어져 들어오는 세정수의 흐름을 경계로 공기 잔존 영역으로서 구획되도록 관로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하면, 공기 잔존 영역을 정상인 관로 부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강관로부에 떨어져 들어오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효율적으로 공기를 말려 들게 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밀봉화와 물기둥 형성, 그것에 의한 사이폰 발생 및 변기 볼부의 유수와 오물의 효과적인 인입, 배출의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op conduit portion has a conduit shape so that the conduit portion connected to the downcomer portion is partitioned as an air remaining area on the boundary of the flow of washing water entering the downcoming portion over the top bank. In this case, since the air remaining region can be made into a normal pipe part, air can be efficiently dried out by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alling into the downcoming pipe par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sealing and forming a water column. There is an advantage of the effectiv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siphon generated and the flow of the toilet bowl and dirt.

또한, 상기 정상관로부는 상기 상승관로부의 관로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에서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하강관로부를 연결한다.In addition, the top pipe portion connects the rising pipe portion and the down pipe portion in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pip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sing pipe portion.

이렇게 하면, 잔존 공기의 밀봉 영역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강관로부로 떨어져 들어오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공기의 말려듬,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화와 물기둥 형성, 그것에 의한 사이폰 발생 및 변기 볼부의 유수와 오물을 효과적으로 끌어들이고, 배출상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정상관로부를 상승관로부의 관로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하면 바람직하지만 유수로의 급수세정수의 유입시 유량이나 교축부의 면적, 상황등에 의해는 정상관로부를 상승관로부의 관로 단면적과 거의 같게 하지만 그 이하의 단면적으로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하강관로부에서 세정수의 저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ealing area of the remaining air can be securely ensured, the air can be more effectively curled and discharged by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alling into the downcomer, so that the sealing and water column 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by, the siphon generation and the flow and dirt of the toilet bowl part are attracted effectively,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discharge.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op pipe section larger in cross section than the pipe cross section of the ascending pipe section, the normal pipe sec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rising pipe section due to the flow rate, the area of the throttling section, and the situation when the water flows into the flow channel. The following cross-sectional area may also be used. In this way, the washing water can be efficiently stored in the downcomer.

또한,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관로선반부로부터 상기 교축부에 걸쳐 관로 단면의 면적이 상기 상승관로부의 관로 단면적과 적어도 같은 정도의 면적으로 될 때까지 감소 서변하는 하강관로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downcomer has a downcomer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until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it from the conduit shelf part to the throttle part becomes an area of at least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of the upcoming part.

이와 같이 면적 서변을 도모하는 경우 상기 하강관로부의 상기 관로 단면은 변기 좌우 방향에서 관로 축심측으로 좁히는 단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when the area west side is planned, the end face of the downcomer can be formed into a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narrowed toward the conduit axis in the toilet left and right direction.

이렇게 하면, 정상둑을 넘어서 하강관로부의 관로선반부에서 튀어 오른 세정수가 빠른 시기에 하강관로의 일부를 밀봉하고, 또한 교축부에서 저장하여 두는 상황을 보다 확실히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공기 밀봉·배출 및 물기둥 형성에 의한 사이폰 작용의 발생·계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결국 사이폰 작용에 의해 오물 등의 강제 흡인을 확실하게 하여 오물 배출 성능을 높아지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air sealing and sealing can be more reliably generated because the washing water that has jumped from the pipeline shelf of the downcomer over the top bank can seal a portion of the downcoming line at an early time and can be stored in the thrott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generation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by the discharge and the formation of the water column. As a result, by the siphon action, forced suction of dirt and the like can be ensured to increase the dirt discharge performance.

그리고 하강관로부의 관로 단면을 변기 좌우 방향에서 관로 축심측에 집중된 단면 형상으로 함과 함께 다음과 같이 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downcomer of the downcomer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concentrated on the side of the conduit axis in the toilet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이러한 단면 형상에 첨가하여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하강관로를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떨어져 들어온 세정수가 상기 변기 볼부의 측으로 튀어 올라 상기 교축부에 인도되도록하여 구비하고, 상기 교축부는 상기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 측에서 받아 내는 선반부를 갖고 상기 선반부에서 세정수를 받아낸 후 상기 세정수를 상기 배수구에 인도한다.In addition to the cross-sectional shape, the downcomer is provided with the downcomer so that the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beyond the top bank springs up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so as to be led to the constrictor, and the constrictor has the guided wash water. The toilet bowl has a shelf portion to be picked up by the toilet bowl side and receiv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shelf portion, and then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drain.

변기 주위에는 예컨대 면봉이나 성냥(match)이라고 한 막대 형상물이 사용되기 일수이며, 이들 막대 형상물이 실수로 변기에 들어가 세정수에 혼합되어 트랩에 흘러 들어 오는 일이 있다. 이러한 막대 형상물은 세정수와 같이 하강관로부에 도달하고 정상둑을 넘어서 떨어져 들어온 세정수와 같이 변기 볼부의 측으로 튀어 올라 교축부로 흘러 내려, 그 후 교축부의 선반부로 받아 내여진 뒤 배수구에 이른다.For example, a rod-shaped material such as a cotton swab or a match may be used around the toilet bowl, and these rod-shaped articles may accidentally enter the toilet bowl, be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and flow into the trap. These rod-shaped objects reach the downcomer part like washing water, jump out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part like washing water falling over the top bank, and flow down to the throttling part. .

하강관로부의 관로 단면은 변기 좌우 방향에서 관로축심측으로 집중된 것이기 때문에 하강관로부를 통과중인 봉상물(棒狀物)은 해당 관로 단면에 의해 통과의 자세가 갖춰진다. 즉, 봉상물은 관로 단면의 긴 방향(변기 전후 방향)에 봉의 긴 방향을 거의 일치한 자세, 혹은 관로 단면의 긴 방향(변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봉의 긴방향을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낙하 방향)으로부터 교차하도록한 자세에서만 관로가 흘러 내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러한 자세로 흘러 떨어진 봉상물은 변기 볼부측으로의 뛰어 올라 날을 때에 교축부의 선반부 측으로 향하는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과 봉의 긴 방향이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교축부의 선반부로 향한다. 이 선반부에서도 봉상물의 튀어 오름이 일어나기 때문에 선반부 이후에서 봉상물은, 세정수가 그후에 향하는 배수구에 향한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에 봉의 긴 방향을 거의 일치시킨다. 이렇게 된 봉상물은 배수구로 향하여 긴 방향 단부로부터 해당 배수구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교축부에서 봉상물을 막혀 버리는 것 같은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Since the pipe cross section of the downcomer part is concentrated toward the conduit axis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toilet, the rod-like object passing through the down pipe part is prepared to pass by the cross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pipe line. In other words, the rod-like object is a posture in which the rod is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long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r the long direction of the rod with respect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toilet) in the direction of flowing water (dropping direction The pipeline does not flow only in a position where it is allowed to cross. For this reason, the rod-like object which has fallen in such a posture is directed to the shelf of the throttle part so that the flow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shelter side of the throttle part and the long direction of the rod almost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jumping up to the toilet bowl side. Since the sticking of the rod-like object occurs also in this shelf part, the rod-like thing after the shelf part almost coincides with the long direction of a rod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wash water toward the drainage port which the washing water goes to afterwards. The rod-like material thus entered enters the drain from the long end toward the dra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rod-shaped object is blocked at the throttle.

또한,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유입하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제 2 세정수 주류를 발생시켜서 유수에 선회류를 야기하도록 하거나, 이러한 선회류의 야기에 유효한 주벽 형상을 갖는 변기 볼부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troduce the supplied wash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ar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washing water mainstreams are generated to cause the swirling flow in the flowing water, or effective to cause such swirling flow. The toilet bowl having a circumferential wall shape can be provided.

이렇게 하면 상기한 선회류에 의한 밀어 넣는 효율의 향상과, 이것에 따르는 상기의 효과에 첨가하여 공기 잔존하에서의 사이폰 작용 발생과 그 계속을 도모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효과를 낼 수 있다.In this way,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pushing efficiency by the above-mentioned swirl flow, 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effect and the continuation of the siphon effect in the air remaining.

또한, 상기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5의 대변기는 유수를 저장하여 두는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볼부를 지탱하기 위한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키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고,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 측면에서 개구한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져 상측으로 향한 상승관로부와,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해서 하강한 하강관로부로서 형성한 대변기에 있어서,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at least a part of the above problems, the fift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ilet bowl for storing running water, a toilet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and a siphon action during discharge of dirt. A siphon trap pipe line, and the siphon trap pipe line is inclined from the trap opening opened at the bottom side of the toilet bowl part to the upper side, and is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section to form a curved pipe line; In the toilet which has the summit which defines the water level, and the toilet which is formed as the descending piping part which descended in connection with the said normal pipe part,

상기 정상관로부의 만곡관로중 상기 정상둑과 대향하는 관로 벽면으로 되는 벽면부위에서 상기 상승관로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강관로부와의 연결부까지 소정 범위의 상기 벽면 부위를 변기 소성전의 캐스팅의 상태에서 상기 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의 캐스팅과는 별체로 하고,The wall surface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scending pipe port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escending pipe portion in the curved wall portion of the curved conduit of the top conduit facing the top bank, in the state before casting the toilet bowl The siphon trap conduit except for the part and the casting of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벽면 부위의 캐스팅을, 상기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캐스팅에 접합하여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막아 소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ting of the wall portion is joined to the casting of the remaining siphon trap conduit to prevent the siphon trap conduit from firing.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5 대변기로에서는 소성전의 캐스팅의 상태에서는 사이폰 트랩 관로의 정상관로부의 만곡관로에는, 정상둑과 대향하는 관로 벽면으로 되는 소정범위의 벽면부위가 상승관로부의 연결부로부터 하강관로부와의 연결부까지의 사이에 걸쳐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벽면 부위에 대하여 개소가 없는 것으로서 상승관로부의 내벽이나 정상둑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型)을다른 금형으로 세트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금형의 금형면에 밀착 퇴적한 측의 캐스팅을 상승관로부의 내벽면이나 정상둑 벽면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위를 요철없이 내벽을 갖는 것으로 하거나 관로내에 돌출등한 부분을 갖도록 정상둑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벽면부위의 캐스팅은 사이폰 트랩 관로 캐스팅에 접합되고, 해당 관로는 막혀서 연속한 사이폰 트랩 관로로 되고, 그 후에 소성된다. 상기한 정상둑 등의 형성을 위한 금형은 다른 금형으로의 세트라는 제약을 받지만 금형 형상에 대해서는 자유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사이폰 트랩 관로 형상을 다양화 할 수 있다.In the fift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curved pipe section of the siphon trap pipe line in the state of casting before firing, a wall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pipe wall facing the top bank from the connection part of the rising pipe part is formed. It does not exist over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downcomer part. Therefore, since there is no location with respect to this wall surface part, the metal mold | die for forming the inner wall of a rising pipe part or a top bank can be set to another metal mold | die. For this reason, the casting of the side closely deposited on the mold surface of the mold can be used as the inner wall surface or the top bank wall surface of the ascending pipe section. Therefore, these parts can be either the inner wall without irregularities or the normal bank to have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pipeline. have. And the casting of the wall surface part is joined to the casting of the siphon trap pipe | tube, and this pipe | tube is blocked and becomes a continuous siphon trap pipe | tube, and it bakes after that. The mold for forming the summit bank is limited to a set of other molds, but since the degree of freedom i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mold shape, the shape of the siphon trap pipe can be diversified.

또한 상기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대변기를 제조함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유수를 저장하여 두는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볼부를 지탱하기 위한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키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고,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 측면에 개구한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져 상방으로 향한 상승관로부와,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하여 하강한 하강관로부로서 형성한 대변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duce a toilet for solving at least a part of the above problems, the toilet bowl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the toilet body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and generates a siphon action during discharge And a siphon trap conduit configured to connect the siphon trap conduit to an upward conduit inclined upwardly from a trap opening opened on the bottom side of the toilet bowl and to an upper end of the elevating conduit to form a curved conduit;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ilet formed of a top pipe section having a top bank to define the water level, and as a descending down pipe section connected to the top pipe section,

상기 정상관로부의 만곡관로중 상기 정상둑과 대향하는 관로 벽면으로 되는 벽면 부위에서, 상기 상승관로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강관로부와의 연결부까지의 소정범위의 상기 벽면부위로 된 벽면 부위 캐스팅을 금형 성형하는 공정(1)과,In the wall portion of the curved conduit of the top conduit portion, which is a conduit wall facing the top bank, a wall portion casting of the wall portion of the wall por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scending passage port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escending conduit portion is formed by mold molding. Process (1) to do,

상기 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가 일체로 된 변기 캐스팅을 금형 성형하는 공정(2)과, 상기 벽면부위 캐스팅을 상기 변기 캐스팅에 접합하여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막아,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와 상기 하강관로부가 연속한 것으로 한 상태에서 소성을 실행하는 공정(3)을 갖고,A step (2) of forming a toilet casting unit in which the siphon trap pipe and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toilet body are integrally formed except for the wall part; and the wall part casting is joined to the toilet casting to siphon the siphon. Blocking (3) the trap conduit and performing firing in a state in which the siphon trap conduit is formed such that the rising conduit section, the top conduit section, and the descending conduit section are continuous;

상기 공정(2)은,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벽 형상과 상기 변기 본체의 저부벽 형상과 상기 기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중 상기 하강관로부의 외곽벽 형상과 적합한 요부 형상을 갖는 저부 금형과, 상기 변기 본체의 측면벽 형상에 적합한 요부 형상을 갖는 측부 금형과, 상기 변기 볼부의 내주벽 형상에 적합한 철부 형상을 갖는 볼 중앙금형과,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상기 상승관로부의 관로 내벽 형상과 상기 정상관로부의 상기 정상둑 형상에 적합한 외곽 형상을 갖고, 상기 볼 중앙금형에 내장 가능한 분리금형이고, 상기 볼 중앙금형에 내장되면 상기 볼 중앙금형의 상기 철부 형상중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 내벽에 적합한 부분에 접합하여, 상기 접합 개소를 상기 트랩 개구의 개구 개소로 하는 상기 분리금형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준비한 각 금형을 형합하여 각 금형의 상기 요부 형상과 철부 형상에서 상기 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가 일체가 된 상기 변기 캐스팅의 형성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비티로의 슬립의 유입, 상기 각 금형으로의 슬립 퇴적, 배니(排泥), 건조, 형발(型拔)을 거쳐서 상기 변기 캐스팅을 취득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id process (2) has a bottom wall shape of the said toilet bowl part, the bottom wall shape of the said toilet main body, and the outer wall shape of the said downcoming pipe part among the remaining siphon trap pipe | tubes except the base wall surface part, and a suitable main part shape. A bottom mold, a side mold having a concave portion suitable for the side wall shape of the toilet body, a ball center mold having a convex shape suitable for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hape of the toilet bowl, and a pipe line of the ascending pipe portion of the siphon trap pipe. The inner wall shape and the outer shape suitable for the top bank shape of the top pipe portion, and is a separation mold that can be embedded in the ball center mold, and when embedded in the ball center mold, the bottom of the toilet bowl portion of the convex shape of the ball center mold A ball for joining to a portion suitable for an inner wall to prepare the separation mold whose joining point is an opening point of the trap opening. And forming the toilet casting in which the siphon trap conduits and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toilet body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except the wall portion in the recessed and concave shapes of each mold. And a step of forming the cavity, and a step of acquiring the toilet casting through slip flow into the cavity, slip deposition into the molds, varnish, drying, and mold molding. do.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대변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정상관로부의 만곡관로안에, 정상둑과 대향하는 관로 벽면으로 되는 벽면부위를 그 캐스팅의 상태에서 다른 변기 부위와는 별체의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변기 캐스팅 형성에 있어서는 이 벽면 부위에 대해서 개소가 없는 것으로서, 상승관로부의 내벽이나 정상둑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금형을 볼 중앙금형에 내장 할 수 있고 이 분리금형의 금형면에 밀착 퇴적한 측의 캐스팅면을 상승관로부의 내벽면이나 정상둑 벽면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이 분리금형의 금형 형상에 관해서는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사이폰 트랩 관로 형상을 다양화한 대변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금형과 볼 중앙금형과의 접합 개소를 트랩 개구의 개구 개소로 하기 때문에 트랩 개구를 높은 치수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ilet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which has the said structure, in the curved conduit of a top pipe part, the wall surface part used as the pipe wall surface facing a top bank shall be separate from other toilet parts in the state of the casting. Therefore, there is no point in this wall part in the toilet casting formation, so that the separation mold can be embedded in the ball center mold to form the inner wall or the top bank of the rising pipe part, and the side close to the mold surface of this separation mold is deposited. The casting surface of can b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scending pipe section or the top bank wall surface. For this reaso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degree of freedom becomes high regarding the mold shape of this separation mold, the toilet which diversified the siphon trap pipe shape can be manufactured easily. In this case, since the joining position between the separation mold and the ball center mold is used as the opening of the trap opening, the trap opening can be formed with high dimensional accuracy.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대변기와 그 제조 방법은 이하의 여러가지의 형태를 채용 할 수 있다.The toil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which have the said structure can employ | adopt the following various forms.

즉,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위치하여 변기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말단관로부를 그 캐스팅의 상태에서 대변기와 별체로 하고 이 말단관로부의 캐스팅을 캐스팅 상태의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접합하여 소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말단관로부를 그 캐스팅 형성시에 배수구와 변기 후단과의 사이의 거리 사이가 상위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 준비된 형상의 것에서 캐스팅 형성해 두고 그 안으로부터 이 거리에 적합해서 선택한 것으로 하고 이 캐스팅의 접합 위치를 상기의 거리에 따라 조정한다. 이렇게 하면,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는 변기 본체의 형은 공통으로 한 채로 말단관로부의 제조에 필요한 금형을 준비하면 바람직하기 때문에 금형 제조나 그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말단관로부의 캐스팅의 접합, 그 후 소성을 거쳐서 얻어진 변기는 배수구 수단의 하나인 상기 거리, 즉 변기 벽으로부터 배수구 센터까지의 러프인으로의 적합을 도기제 변기 자체로 도모할 수 있다.That is, the end pipe part located at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and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utside the toilet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in its casting state, and the casting of the end pipe part is joined to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in the casting state and fired. I shall do it. The terminal pipe part is cast from a plurality of prepared shapes so as to cope with a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drainage port and the rear end of the toilet is different at the time of casting formation. The joining posi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bove distan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mold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end pipe part while the mold of the toilet main body having the siphon trap pipe is common, so that the mold production and its management cost can be reduced. Furthermore, the toilet obtained through the joining of the end pipe casting, and then firing, can be adapted to the porcelain toilet itself to be suitable for the above distance, which is one of the drainage means, that is, rough in from the toilet wall to the drainage center.

이 경우 말단관로부를 배수구에 대향하고 이 배수구 주위에 배치된 환상(環狀) 밀봉 부재를 가압하여 배수구 주위를 밀봉하고, 배수구에 배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배수구로의 배수시에 배수의 누설을 말단관로부 자체에서 회피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굴곡등한 소켓등을 필요로 않아 간편하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ss the annular sealing member disposed around the drainage port with the end pipe portion facing the drainage port, to seal around the drainage port, and to drain the drainage port. This makes it possible to avoid the leakage of the drainage in the end pipe part itself during drainage to the drainage port, and in this case, it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ent socket or the like.

또한, 말단관로부를 배수구에 대향하고 배수구와 말단관로부와의 사이에 개재한다. 배수 컨넥터(connector)를 거쳐서 배수구에 연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배수구로의 배수시에 배수의 누설을 배수 컨넥터를 거쳐서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수 소켓은 대향 관계에 있는 말단관로부와 배수구를 접속하면 좋기 때문에 직관형으로 하면 충분하고 형상이 단순하기 때문에 취급도 용이한다.Further, the end pipe portion is opposed to the drain po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drain hole and the end pipe por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through the drain connector (connector). In this way, leakage of the drainage during drainage to the drain can be avoided via the drainage connector. And since this drain socket should just connect the end pipe part and a drain hole which have opposing relationship, it is sufficient to make it straight and it is easy to handle since it is simple in shape.

또한, 말단관로부가 배수구에 삽입 배치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렇게 하면 말단관로부를 포함하는 변기 전체가 도자기제이면서 이 대변기를 말단관로부가 배수구에 삽입시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등의 사전 설치나 소켓 제조를 위한 공정·설비 관리가 불필요하여지고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말단관로부가 배수구에 삽입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이 말단관로부를 갖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도자기채로 배수구 수단에 적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pipe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so that the entire toilet including the end pipe portion is made of porcelain, and the toilet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the end pipe portion into the drain.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sockets and the like and the process and facility management for the manufacture of sockets become unnecessary,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In addition, since the end pipe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the siphon trap pipe having the end pipe part can be suited to the drain port means while being porcelain.

상기한 바와 같이 말단관로부를 단독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그 캐스팅을 철(凸)금형과 요(凹)금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경 형상을 요금형에서 규정하고 내경 형상을 철(凸)금형에서 규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말단관로부를, 내외벽 형상을 다른 형상, 예를들면 외벽은 원통형이면서 내벽을 타원형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d pipe part can be formed alone, the casting is formed into an iron mold and a yaw mold, and the outer diameter shape is defined in a toll mold, and the inner diameter shape is formed from an iron mold. It becomes possible to define. Therefore, the end pipe portion can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and outer wall shapes have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outer wall is cylindrical and the inner wall is elliptical.

또한, 본 발명의 제5의 대변기는 유수를 저장하여 두는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볼부를 지탱하기 위한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키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는 대변기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위치하고, 변기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말단관로부에서, 상기 말단관로부를 거쳐서 상기 하강관로부를 상기 배수구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말단관로부를 갖고, 상기 말단관로부를 변기 소성전의 캐스팅 상태에서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 캐스팅과는 별체로 하고, 상기 말단관로부의 캐스팅을 캐스팅 상태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접합하여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ft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having a toilet bowl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a toilet body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and a siphon trap pipe for generating a siphon action when the waste discharge, Located in the end of the siphon trap conduit, the end conduit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utside the toilet, having the end conduit for connecting the down conduit to the drain via the end conduit, the end conduit before firing the toilet In the casting state, the siphon trap pipe,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body and the casting is separate, and the casting of the end pip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ing by joining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in the casting state.

이렇게 하면, 상승관로부의 내벽이나 정상둑에 형상적인 특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변기에 있어서도 말단관로부를 캐스팅 상태에서 별도로 준비한 것에서 도기제변기 자체에서의 배수구 적합이라고 하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n a toilet which does not require a feature on the inner wall or the top bank of the ascending pipe section, the terminal pipe section is separately prepared in the casting state, and thus the same effect as the drainage fitting in the ceramic toilet bowl itself can be achieved.

이후 본 발명에 관련된 대변기의 형태를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rm of the toile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an Example.

도 1은 실시예의 대변기(10)를 그 상면을 절단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도 1의 대변기(10)를 전후 방향의 중앙선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단면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같은 우측 방향에서 단면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림의 중앙부 부근을 일부 절단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 제1실시예의 대변기(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이폰 트랩 관로의 개개의 부위의 관로 형상에 특징이 있어서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에 의해서도 사이폰 작용의 발생·계속을 도모할 수 있도록 했다. 우선 변기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toilet 10 of the embodiment by cutting its upper surface,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toilet 10 in FIG.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same right direction, and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ar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im shown in Fig. 2 after being cut away. The toilet 10 of this firs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the pipe shape of each part of the siphon trap pipe as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iphon action can be generated and continued even by the supply of washing water at a low flow rate. . First, the whole toilet will be described.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변기(10)는 변기 볼부(12)를 갖춰 그 상부주위를 림(14)로 한다. 림(14)은 변기 볼부(1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내부에 중공의 림도수로(16)를 갖는다. 림도수로(16)는 변기 후방측에서 세정수 급수로(18)와 연결되고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oilet 10 is equipped with the toilet bowl part 12, and makes the rim 14 the upper periphery. The rim 14 is formed to surround the toilet bowl portion 12 and has a hollow rim raceway 16 therein. The rim raceway 16 is connected to the wash water feed passage 18 at the rear of the toilet.

변기 볼부(12)의 후방측은 후술하는 세정수 급수장치를 수납하는 기기수납부(11)로 되어 있고 세정수 급수로(18)는 이 기기수납부(11)에 수납된 세정수 급수장치로부터 연결공(19)을 거쳐서 세정수의 급수를 받는다. 세정수 급수로(18)에 급수된 세정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도수로(16)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들어가 변기 볼부(12)의 상연주(上緣周)에 인도된다.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part 12 is a device storing part 11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described later,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passage 18 is connect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stored in the device storage part 11. The ball 19 receives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feed passage 18 enters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im raceway 16 and is led to the upper periphery of the toilet bowl 12 as shown in FIG.

변기 볼부(12)는 그 볼저부(13)에서 사이폰 트랩(20)과 연결되어 있다. 사이폰 트랩(20)은 볼저부(13)로 향해서 개구한 트랩 입구(22)와, 이 트랩 입구(22)로부터 변기 후방측에 경사져 상측으로 향한 관로를 형성하는 상승관로부(24)와, 상승관로부(24)의 상단에 연결하여 하방으로 향해서 만곡한 정상관로부(26)와, 정상관로부(26)에 연결하여 하강하는 하강관로부(28)를 갖는다. 정상관로부(26)는 상승관로부(24)와 연결부에 하강관로부(28)측으로 굴곡한 정상둑(30)을 구비하고 이 정상둑(30)으로 변기 볼부(12)가 저장하여 둔 유수(RS)의 수위를 규정한다. 이 사이폰 트랩(20)의 관로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toilet bowl 12 is connected to the siphon trap 20 at its bottom 13. The siphon trap 20 includes a trap inlet 22 which is open toward the ball bottom 13, a rising conduit 24 which forms a conduit upward from the trap inlet 22 to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upwards;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ward conduit section 24 has a top conduit section 26 curved downward, and a descending conduit section 28 is connected to the top conduit section 26 to descend. The summit passage section 26 has a riser section 24 and a connection section having a summit bank 30 that is bent toward the descending route section 28. (RS) specifies the level of water. The pipe form of this siphon trap 20 is mentioned later.

림(14)은 그 림 도수로(16)에 도 1에 나타낸 변기 좌측으로 베이스부 제1토수공(41), 베이스부 제2토수공(42), 좌방(左方)중앙부토수공(43)를 구비하는 것 외에 좌방 중앙부토수공(43)과 림 전단측 토수공(44)과의 사이에 다공(多孔)의 제1교정용토수공(45)을, 좌방중앙부토수공(43)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과의 사이에는 다공의 보조토수공(46)을 갖는다. 또한, 림(14)은 변기 우측에 우(右)중앙부토수공(47)를 갖춰, 이 우중앙부토수공(47)과 림 전단측 토수공(44)과의 사이에는 다공의 제2교정용토수공(48), 제3교정용토수공(49)을, 우중앙부토수공(47)과 세정수 급수로(18)의 연결부와의 사이에는 다공의 제4교정용토수공(50)과 보조 토수공(51)를 갖는다.The rim 14 has a base portion first water discharge hole 41, a base portion second water discharge hole 42, and a left central water discharge hole 43 on the left side of the toilet shown in FIG. In addition, a first calibration water jetting hole 45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left water jetting hole 43 and the rim shear side water jetting hole 44, and the left central water jetting hole 43 and the base are provided. A secondary auxiliary water jetting hole 4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ary second water jetting holes 42. In addition, the rim 14 has a right central bubbling hole 47 on the right side of the toilet, and a porous second calibration soil between the right central bubbling hole 47 and the rim front side water jetting hole 44. The fourth water jetting hole 50 and the auxiliary water jetting hole between the water hole 48 and the third proofing water hole 49 between the right central water discharge hole 47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washing water supply passage 18 Has 51.

베이스부 제1토수공(41)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은 림 도수로(16)의 저부측에 형성되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 장공(長孔) 형상(본 실시예로서는 폭×길이가 베이스부 제1토수공(41)로 12×43㎜, 베이스부 제2토수공(42)로 13×35mm)으로 되어 있다. 보조토수공(46), 제1교정용토수공(45), 림 전단측 토수공(44), 제2교정용토수공(48), 제3교정용토수공(49), 우중앙부토수공(47), 제4교정용 토수공 (50) 및 보조토수공(51)은 각각 거의 원형의 구멍형상으로 림 도수로(16)의 저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수공의 구멍 직경은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토수공(46)과 보조토수공(51)이 약 4㎜, 제1교정용토수공(45)이 약 13㎜, 림전단측토수공(44)과 제2교정용토수공(48)이 약 10㎜, 제3교정용토수공(49)과 제4교정용토수공(50)이 약 5㎜, 우중앙부토수공(47)이 약 16㎜으로 되어 있다.The base first water jetting hole 41 and the base second water jetting hole 42 are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rim raceway 16, and as shown, a length-long hole shape (width × length in this embodiment is 12 x 43 mm in the base part 1 of the water jetting holes 41 and 13 x 35 mm in the base part of the second water jetting holes 42). Auxiliary Sewage Work (46), First Calibration Sewage Work (45), Rim Shear Sewage Work (44), Second Calibration Work Sewage Work (48), Third Calibration Work Sewage Work (49), Right Central Sewage Work (47) , The fourth calibration jetting hole 50 and the auxiliary jetting hole 51 are formed on the bottom side of the rim raceway 16 in a substantially circular hole shape. In this case, the hole diameter of the water jetting hole is about 4 mm in the auxiliary jetting hole 46 and the auxiliary jetting hole 51, about 13 mm in the first calibration jetting hole 45, and the rim shear side jetting hole ( 44) and the second calibration soil (48) is about 10 mm, the third calibration soil (49) and the fourth calibration soil (50) is about 5 mm, and the right central soil (47) is about 16 mm It is.

림 도수로(16)에 흘러 들어 온 세정수는 세정수 급수장치로 인가된 유량에 의존하는 속도(유속)로 림 도수로(16)를 도수로 경로에 따라 통과하고 각 토수공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림 도수로 주위의 토수공 위치에 따라서 방향성을 가진다.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rim raceway 16 passes through the rim raceway 16 along the raceway path at a speed (flow rate) depending on the flow rate applied to the rinse water supply system, and at the point of reaching each water hole, the rim raceway It has a directionalit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urrounding water jetting hole.

따라서 상기의 각 토수공은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가 갖는 방향성을 반영시키면서 세정수를 변기 볼부(12)의 표면에 따라 볼저부(13)의 측으로 토출한다.Therefore, each of the above water jetting holes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to the side of the bowl bottom portion 13 along the surface of the toilet bowl part 12 while reflecting the directionality of the washing water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1.

림 도수로(16)에 있어서의 변기 좌우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수로 저부로부터 융기한 좌방융기부(52)와 우방융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좌방융기부는 림 도수로(16)를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을, 도수로 단면적이 넓은 확장도수로(16a)와 하류측을 도수로 단면적이 좁은 협소도수로(16b)로 구별한다. 따라서 확장 도수로(16a)에서는 통수 세정 수량이 커게 되고 협소 도수로(16b)에서는 좌우의 융기부에서 정류를 받은 세정수가 흐르게 된다.The left ridge portion 52 and the right ridge portion 53 which are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raceway are formed at substantially center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ilet in the rim raceway 16. This left ridge portion divides the rim raceway 16 into an enlarged raceway 16a with a wide cross section of the raceway and a narrow raceway 16b with a narrow cross section of the raceway. Therefore, the water flow rate of water is increased in the expansion raceway 16a, and the washing water rectified by the left and right ridges flows in the narrow raceway 16b.

베이스부 제1토수공(41)등의 상기 각 토수공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시에 베이스부 제1토수공(41)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은 그 구멍 형상이 장공 형상임과 함께 확장도수로(16a)로부터의 토수공일 때 세정수 급수로(18)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다른 토수공에 비하여 대유량에서의 세정수 토출을 실행한다. 또한, 제1교정용토수공(45)와 우중앙부토수공(47), 림 전단측토수공(44) 및 제2교정용토수공 (48)은 협소 도수로(16b)에서의 정류에 의해 토출 세정수의 방향성이 안정한 상태로 세정수를 토출하고 그때의 토출량은 구멍 직경에 의존한다.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hole 41 and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hole 42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discharge holes such as the base portion 1 water discharge hole 41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water jetting hole from the expansion channel 16a is close to the washing water feed passage 18,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t a larger flow rate than the other water jetting holes. In addition, the first orthodontic water jet hole 45, the right central bubbling hole hole 47, the rim shear side water jet hole 44, and the second orthodontic jet hole 48 are formed by the rectification in the narrow raceway 16b.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in a stable direction, and the discharge amount at that time depends on the hole diameter.

좌방중앙부토수공(4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방 융기부(52)에 약 16㎜의 구멍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개구 방향은 확장도수로(16a)의 세정수 통수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좌방중앙부토수공(43)에서 토출된 세정수는 이 좌방중앙부토수공(43)으로부터 곧장 전진하여 림(14) 하단의 변기 볼부(12)의 상연주벽(55)에 안내되고 그 토출 궤적은 도 2 및 도 3중의 토출 궤적(TS)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 경우 림(14)는 협소도수로(16b)의 변기 볼부(12)측에 좌방융기부(52)로부터 변기전방측에 걸쳐서 수하판부(56)를 갖고, 좌방중앙부토수공(43)의 전방 영역을 수하판부(56)와 협소도수로(16b)의 저면부(57) 및 상연주벽(55)에서 둘러싼다. 따라서 좌방중앙부토수공(43)은 높은 방향성과 수속성을 가져 세정수를 상기의 토출 궤적(TS)으로 토출한다.As shown in FIG. 4,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is formed in the left ridge 52 with a hole diameter of about 16 mm, and the opening direction thereof coincides with the washing water passing direction of the expansion channel 16a. Therefor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is advanced straight from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and is guided to the upp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wall 55 of the toilet bowl 12 at the bottom of the rim 14 and its discharge trajectory. Is as shown in the discharge trajectory TS in FIGS. 2 and 3. In this case, the rim 14 has a dripping plate part 56 from the left bulge part 52 to the toilet bowl part 12 side of the narrow channel 16b from the left bulge part 52 to the toilet front side, and the front region of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This is enclosed by the lower plate portion 56 and the bottom portion 57 and the upper circumferential wall 55 of the narrow channel 16b. Therefore,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has high directionality and convergence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to the discharge trajectory TS.

이후 상기한 베이스부 제1토수공(41)등으로부터 세정수 토출을 행한 경우의 세정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in the case wher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base portion first water jetting hole 41 or the lik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베이스부 제1토수공(41)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으로부터 토출된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좌방중앙부토수공(43)과 제1교정용토수공(45), 림전단측토수공(44), 제2교정용토수공(48) 및 우중앙부토수공(47)으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6(a)는 각 토수공으로부터 단독으로 세정수 토출을 행했다고 가정한 경우의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b)는 각 토수공으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일어나는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모든 토수공으로부터 세정수 토출에 의해 일어나는 세정수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이 세정수 동작을 일으키는 각 주류가 유수 (RS)에 개별적으로 합류하는 것을 가상한 때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양 주류가 동시으로 유수(RS)에 합류한 때의 유수에서의 선회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base first jetting hole 41 and the base second jetting hole 42, and FIG. 6 is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and the first proofing soil.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 work 45, the rim shear side water discharge 44, the 2nd correction water discharge 48, and the right central water discharge 47, and FIG. Fig. 6 (b)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each water jetting ho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lone. .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all the water discharge holes. FIG. 8 shows that each of the liquors causing the washing water operation is individually joined to the running water RS.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urning at flowing water when both mainstreams simultaneously join the flowing water RS.

베이스부 제1토수공(41)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은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형성 위치가 변기 후방측이며 확장도수로(16a)의 저부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양 토수공은 세정수를 변기 전방측으로 향해서 유수(RS)에 대하여 경사져 상방으로부터 토출한다. 이 경우, 양 토수공은 각각 장공 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세정수를 폭넓고, 또한 장공 형상보다 넓어지도록 토출한다. 그리고 이 양 토수공은 인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후의 세정수의 흐름을 합류시키므로 이러한 합류에 의해 정확한 방향성과 강한 수세를 가진 흐름의 주류(제1주류 S1)를 형성하고, 이 제1주류(S1)를 유수(RS)에 합류시킨다. 이 제1주류(S1)는 상기 토수공 위치, 세정수 토출 방향으로부터 유수(RS)에 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변기 좌측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우전방으로 향해서 합류한다. 또한 이 제1주류(S1)는 양 토수공으로부터의 세정수류의 합류에 의한 것으로부터 안정한 궤적을 채용하여 유수(RS)에 합류한다. 상기 양 토수공으로부터 토출된 제1주류(S1)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세정수는 제1주류(S1) 양측으로 흘러서 유수(RS)에 합류하고 제1주류(S1)가 이르지 않는 변기 볼부(12)의 표면을 씻어 버린다. 보조토수공(46)으로부터의 토출 세정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base portion first water discharge hole 41 and the base portion second water discharge hole 42 ar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and open to the bottom of the expansion raceway 16a. Therefore, both jetting water inclines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toilet bowl front side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owing water RS to discharge therefrom. In this case, since both jetting holes have a long hole shape, the discharged water is discharged to be wider and wider than the long hole shape. Since both of the water jetting hol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flows of the washing water after discharge are merged to form a mainstream (first mainstream S1) of a flow having a precise directivity and strong water washing by this confluence, and the first mainstream (S1). ) Is joined to the running water (RS). This first liquor S1 merges from the water discharge hole position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 direction in a plan view, inclined from the left side of the toilet bowl, toward the right front side. In addition, the first main stream S1 joins the running water RS by adopting a stable trajectory from the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 streams from both water jetting holes. The flushing water which does not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first liquor S1 discharged from the water jetting holes flows to both sides of the first liquor S1 to join the flowing water RS, and the toilet bowl part in which the first liquor S1 does not reach 12) Wash the surface. The same applies to the discharge washing water from the auxiliary jetting hole 46.

좌방중앙부토수공(43)은 림도수로(16)에 인도된 세정수를 베이스부 제1토수공(41)과 베이스부 제2토수공(42)과 같은 측(자세하게는 변기좌방측)으로부터 토출한다. 이렇게 해서 토출된 세정수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연주벽(55)(도 4참조)을 따라서 주회하는 바와 같이 기술한 토출 궤적(TS)에서 흐른다. 그런데 이 좌방중앙부토수공(43)으로부터의 세정수 토출과 함께 제1교정용토수공(45)이나 림전단측토수공(44), 제2교정용토수공(48) 및 우중앙부토수공(47)으로부터의 세정수 토출도 일어나고 있다. 이들 각 토수공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은 좌방중앙부토수공(43)으로부터의 토출 세정수의 토출 궤적(TS)에 각각 교차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토출 궤적(TS)의 세정수의 흐름에는 변기 전방측에서 제1교정용토수공(45)로부터의 토출 세정수, 림 전단측토수공(44)로부터의 토출 세정수, 제2교정용토수공(48)로부터의 토출 세정수 및 제3교정용토수공(49)로부터의 토출 세정수가 순차적으로 합류한다. 또한, 좌방중앙부토수공(43)의 반응측인 변기 우방측에서는 토출 궤적(TS)의 세정수 흐름으로 우중앙부토수공(47)으로부터의 토출 세정수와 제4교정용토수공(50)로부터의 토출 세정수가 합류한다.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im raceway 16 from the same side as the base first water jetting hole 41 and the base second water jetting hole 42 (in detail, the toilet left side). do.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in this way flows in the discharge trajectory TS described as it circulates along the upper peripheral wall 55 (see FIG. 4) as shown in FIG. 6 (a). However, together with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the first orthogonal jetting hole 45, the rim shear side jetting hole 44, the second calibration jetting hole 48, and the right central jetting hole 47 ar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also occurs. The washing water discharge from each of the water discharge holes intersects the discharge trajectory TS of the discharg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left-center central water discharge hole 43,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flow of the cleaning water of the discharge trajectory TS, the discharge cleaning water from the first calibration water discharge hole 45, the discharge cleaning water from the rim front side discharge hole 44, and the second correction water discharge hole 48 at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 And the discharge cleaning water from the third calibration jetting hole 49 are sequentially joined. Further, on the right side of the toilet which is the reaction side of the left central bubbling hole 43, the discharge water from the right central bubbling hole 47 is discharged from the right central bubbling hole 47 by the washing water flow of the discharge trajectory TS. The wash water joins.

이러한 세정수의 합류는 토출 궤적(TS)의 세정수의 흐름을 합류를 거쳐서 교정함과 함께 토출궤적(TS)의 세정수의 흐름을 합류에 의해 정확한 방향성과 강한 수세를 가진 흐름의 주류(제2주류(S2))로 하고, 이 제2주류(S2)를 유수(RS)에 합류시킨다. 이 제2주류(S2)는 상연주벽(55) 주위의 토출궤적(TS)의 세정수 흐름을 변기 전방측, 변기 좌방측에서 합류, 교정한 것으로서 유수(RS)에 대하여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변기 우전방으로부터 경사져 좌후방측으로 향하여 합류한다. 이 제2주류(S2)에 있어서는 제1교정용토수공(45)등의 복수의 토수공으로부터의 토출 세정수의 합류, 교정을 거친 것으로부터, 안정한 궤적을 채용하여 유수(RS)에 합류하고 유수 합류시에는 도 6(b)이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주류(S1)와 변기 수평면시에서 유수(RS)를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한 관계를 채용하여 양 주류의 합류에 의해서 유수(RS)에 동일 회전 방향의 선회류가 발생한다. 또한, 보조토수공(51)나 해당 토수공측의 제4교정용토수공(50)에서는 제2주류(S2)가 이르지 않아 변기 볼부(12)의 표면(변기후방측표면)을 씻어 버린다.The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 corrects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discharge trajectory TS through consolidation, and the flow of the flow having the correct directionality and strong water washing by merg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discharge trajectory TS. Two main streams S2), and the second main stream S2 is joined to the flowing water RS. This second liquor S2 is a confluence of the washing water flow in the discharge trace TS around the upper periphery circumference wall 55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and the left side of the toilet. As shown in the figure, inclin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toilet bowl and joined toward the left rear side. In the second liquor S2, since the discharge cleaning water from a plurality of water jetting holes such as the first calibration jetting hole 45 has been merged and corrected, a stable trajectory is adopted to join the flowing water RS and flow out. At the time of confluence, as shown in Fig. 6 (b) or Fig. 7,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is employed between the first liquor S1 and the toil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ilet, and the flow of water by confluence of both liquors ( Swirl flow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occurs in RS). In addition, in the auxiliary jetting hole 51 or the fourth straightening jetting hole 50 on the side of the jetting hole, the second mainstream S2 does not reach and washes the surface of the toilet bowl part 12 (rear toilet side surface).

이와 같이 제1주류(S1)와 제2주류(S2)가 유수(RS)에 대하여 변기 수평면시에서 거의 평행하고, 유수(RS)에 동일 회전 방향의 선회류를 일으키도록 관계를 갖는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대변기(1O)에서는, 각각의 주류가 유수(RS)에 선회류를 일으킬 때 서로의 주류가 선회류의 선회 방향의 혼란을 미쳐서 합쳐진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선회류를 혼란시키는 일 없이 그 선회를 촉진하기 때문에 토출 세정수의 에너지(수세)를 선회류 생성에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고 이것을 통해서 선회류에 의해 유수의 밀어 넣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이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way, the first liquor S1 and the second liquor S2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lowing water 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ilet, and have a relationship such that the rotating flow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flowing water RS. In the toilet 10 of the embodiment, when each liquor causes a swirl flow in the flowing water RS, the liquor of each other does not merge with the confusion in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swirl flow. For this reason, since the turning is promoted without disturbing the turning flow, the energy (washing water) of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can be used without waste for generating the turning flow,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ushing the flowing water by the turning flow. In addition, such an effect is mentioned later.

이후, 이러한 주류의 합류를 야기하기 위한 볼부내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ll part inner wall structure for causing the confluence of the mainstream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대변기(10)를 제2주류(S2)의 유수 합류 부근인 도 1의 10-10선으로 단면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이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에서는 변기 볼부(12)의 변기 전방측 내벽을 림(14) 하방의 상연주벽(55)과, 이것에 계속되는 경사가 완만한 경사부(60)와 크게 경사진 경사부(61)와 경사를 억제한 하단선반부(62)로 하고, 이 하단선반부(62)를 유수(RS)중의 수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했다. 이 하단 선반부(62)는 제1주류(S1)를 받아 내어 선회의 안내를 함과 함께 유수(RS)에 이 제1주류(S1)가 합류해서 일어나는 세정수의 선회 상황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수(RS) 깊이 방향의 선회 리드(S1L)가 작게 되도록 한다.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toilet 10 in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1 which is near the flowing water confluence of the 2nd mainstream S2. As shown in Fig. 10 or Figs. 1 to 3, in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ilet front side inner wall of the toilet bowl 12 has an upper periphery circumferential wall 55 below the rim 14 and an inclination that follows. The gentle inclined portion 60, the inclined portion 61 inclined greatly, and the lower shelf portion 62 with reduced inclination were placed, and the lower shelf portion 62 was positioned near the water surface in the flowing water RS. The lower shelf part 62 receives the first liquor S1 to guide the turning and shows the turning state of the washing water caused by the first liquor S1 joining the flowing water RS. As described above, the turning lead S1L in the flow direction RS depth direction is made small.

또한 변기 볼부(12)의 변기 후방측 내벽은 림(14) 하방으로부터 거의 일률적으로 큰 경사로 경사한 후방경사부(63)로 되어 있다. 이 후방경사부(63)는 유수(RS) 수면 하방의 볼저부(13)의 트랩 입구(22)까지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변기 볼부(12)의 변기 측면측 내벽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14) 하방의 상연주벽(55)에 계속되는 경사가 완만한 좌우의 경사부(64R,64L)와 크게 경사한 좌우의 경사부(65R,65L)로 되어 있다. 경사부(64R,64L)은 변기 전방측의 경사부(60)와 연결되어 기술한 제2주류(S2)로 흐흠 교정시에 세정수를 받아 면으로 되고 변기 후방측의 후방경사부(63)와 연결되고 있다. 이 경사부(64L)는 제1주류(S1)를 유수(RS) 근처까지 안내하지만 제1주류(S1)는 경사져 후방으로부터 전방에 흐르기 때문에 제1주류(S1)의 유수 합류와 그후의 선회 부여 때문에 안내는 기술한 바와 같이 하단선반부(62)에서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rear side inner wall of the toilet bowl part 12 is the rear inclination part 63 which inclined at a substantially large inclination from below the rim 14.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reaches the trap inlet 22 of the ball bottom portion 13 below the water flow RS surface. In addition, the toilet lateral side inner wall of the toilet bowl 12 has a slanted right and left inclined portions 64R and 64L that are continuous to the upper circumferential wall 55 below the rim 14 as shown in FIG. Inclined portions 65R and 65L. The inclined portions 64R and 64L are second liquors S2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inclined portion 60 on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and are flushed with washing water at the time of correcting the flaw,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64L guides the first liquor S1 to near the running water RS, but since the first liquor S1 flows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slant, the flow of merging of the first liquor S1 and subsequent turning is given. The guidance can thus be at the lower shelf 62 as described.

경사부(65R,65L)는 변기 전방측에서 경사부(61)와, 변기 후방측에서 후방경사부(63)와 연결되고 있다. 경사부(65R)과 이것에 계속되는 후방경사부(63)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정된 제2주류(S2)를 받아 내어 유수(RS)에 합류 안내함과 함께 합류후의 제2주류(S2)가 유수(RS)에 합류하여 일어나는 세정수의 선회상황을 규정한다. 이 경우 경사부(65R)과 후방경사부(63)는 함께 크게 경사지고 이 경사진 모양은 유수(RS)로의 세정수 유입에 의해서 일어나는 도 1O중의 유수 수위 상승(△H)과 유수면 넓이의 확장(△S)과의 비교에서, 유수 수위 상승(△H)에 대해서 수면, 확장(△S)이 약 1/5∼2/5 정도로 되고 수위 상승에 대한 유수면 넓이의 확장 비율이 본래의 넓이에 대하여 약 40% 이내로 된다. 즉, 제2주류(S2)는 이러한 큰 경사를 가진 유수(RS)에 합류하여 유수 합류후에도 이들 경사부에서 선회 안내된다. 이에 따라 유수(RS)에 제2주류(S2)가 합류하여 일어나는 세정수의 선회 상황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수(RS)의 깊이 방향의 선회 리드(S2L)가 커지게 된다. 또한 경사부(65R)와 후방경사부(63) 및 경사부(65L)는 만곡면이기 때문에 그 경사 정도를 상기한 유수 수위 상승(△H)과 비교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을 그 연직 방향의 단면 형상에서, 유수 수위와 주벽면부의 단면주벽면과 이루는 각도를 약 5∼25°로되도록 급 각도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의 각 경사부에서 안내한 제2주류 (S2)를 큰 리드(S2L)의 선회류로 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s 65R and 65L are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61 at the toilet front side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at the toilet rear side. The inclined portion 65R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subsequent thereto receive the guided second liquor S2 corrected as described above, and guide the joining to the running water RS, and the second liquor S2 after joining is It defines the turning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that occurs when joining the running water (RS).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65R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are inclined greatly together, and the inclined shape of the inclined portion 65R is caused by the rising of the water level (ΔH) and the surface area in FIG. 10 caused by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RS. In comparison with the expansion (ΔS), the water surface expansion (ΔS) is about 1/5 to 2/5 with respect to the water level rise (ΔH), and the expansion ratio of the flow surface area to the water level rise is original. It is within about 40% of the area. That is, the second liquor S2 joins the flowing water RS having such a large inclination and is guided by turning at these inclined portions even after the flowing water merges. Accordingly, in the turning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caused by the joining of the second liquor S2 to the running water RS, as shown in FIG. 8, the turning lead S2L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running water RS becomes large.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portion 65R,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and the inclined portion 65L are curved surfaces, the degree of inclination is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the above-mentioned water level rise (ΔH).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unning water level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can be set at a sharp angle so as to be about 5 to 25 °. In this way, the 2nd mainstream S2 guided by each said inclination part can be made into the turning flow of large lead S2L.

그런데, 상기의 각 주류의 합류후에 일어나는 선회류는 독립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동시 진행적으로 유수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채용하면 추론된다.However, the swirl flow which occurs after the joining of the above mainstreams does not occur independently but occurs simultaneously in the flowing water. Therefore, it is inferred by adopting the following operation.

이와 같이 선회 리드가 커지도록 제2주류(S2)가 유수(RS)에 야기한 선회류는 선회에 근거한 유수(RS)의 밀어 넣기를 볼저부(13)측, 즉 트랩 입구(22)로 향하도록 한다. 더구나 밀어 넣기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류(S1)가 일으키는 선회 리드가 작은 선회류에도 미치게 하기 때문에 제1주류(S1)의 선회류에 탑승하여 선회하는 오물 및 선회 세정수 자체를 트랩 입구(22)로 향하도록 밀어 넣는다. 이 때문에 유수(RS)나 오물의 밀어 넣는 성능을 보다 높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밀어 넣기를 미치게 한 경우에 있어서도 선회류의 선회 방향의 혼란은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swirl flow caused by the second mainstream S2 to the flowing water RS so that the turning lead becomes large is such that the pushing of the flowing water RS based on the turning is directed toward the ball bottom 13 side, that is, the trap inlet 22. do. Furthermore, as shown in FIG. 9, the turning lead caused by the first liquor S1 extends even to a small turning flow, so that dirt and turning washing water that rides on the turning flow of the first liquor S1 are rotated. Push it toward the trap inlet (22). For this reason, the performance of pushing water (RS) or dirt can be made higher. In addition, even when such pushing is exerted, the turning direction of swirl flow does not arise.

첨가하여 변기 볼부(12)는 볼저부(13)를 유발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트랩 입구(22)로 향하는 상기의 양 선회류의 선회 반경은 서서히 작게 되고 선회류의 기세는 증대해 나간다. 이 때문에 상기한 선회류에 의한 밀어 넣기 성능은 또한 향상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하는 것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since the toilet bowl part 12 has the ball bottom part 13, the turning radius of the said turning flows toward the trap inlet 22 gradually becomes small, and the momentum of turning flow increases. For this reason, the pushing performance by the swirl flow is also improved. In addition, the effect obtained by doing this is mentioned later.

상기한 제1주류(S1)와 제2주류(S2)에 근거한 유수 선회가 일어나면 변기 볼부(12)내의 세정수와 오물은 트랩입구(22)로부터 사이폰 트랩(20)에 인입(압입), 다음과 같이 사이폰 트랩(20)으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오물 배출 모양의 설명에 앞서서 사이폰 트랩(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사이폰 트랩(20)의 관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관로를 도 3의 11-11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 도 12는 하강관로부(28)를 도 3 및 도 11의 12-12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 도 13은 하강관로부(28)를 도 3 및 도 11의 13-13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 도 14는 하강관로부(28)를 도 3 및 도 11의 14-14선에 따라 단면시한 설명도이다.When the flow of water flow based on the first liquor S1 and the second liquor S2 occurs, the washing water and the dirt in the toilet bowl 12 are introduced into the siphon trap 20 from the trap inlet 22. It is discharged from the siphon trap 20 as follows. Her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iphon trap 20 is demonstrated before description of a waste discharge pattern. 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ipe structure along the line 11-11 of FIG. 3 to explain the pipe structure of the siphon trap 20, and FIG. 12 shows the downcoming pipe part 28 in FIG. 3 and FIG. Explanatory drawing which sectional drawing along the -12 line, FIG. 13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13-13 of FIG. 3 and FIG. 11, FIG. 14 shows the downcoming pipe part 28, and FIG. It is explanatory drawing in cross section along the 14-14 line of FIG. 3 and FIG.

정상관로부(26)는 상승관로부(24)에 연속하여 변기 후방에 연장하여 정상둑(30)으로부터 세정수를 하강관로부(28)로 흘려 떨어뜨린다. 본 실시예로서는 이 정상관로부(26)는 그 관로 단면적이 상승관로부(24)보다 넓게 되도록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상관로부(26)의 내벽 최상위부(70)에 공기 밀봉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top pipe portion 26 extends in the rear of the toilet in succession to the up pipe portion 24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top bank 30 to the down pipe portion 28. In this embodiment, the top pipe section 26 has a wid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upward pipe section 24, and as described later, the air seal can be sealed to the uppermost part 70 of the inner wall of the top pipe section 26. It is.

정상관로부(26)는 정상둑(30)에 가하여 이 정상둑(30)으로부터 하강관로부 (28)측에 경사져 하방으로 향해서 돌출한 설부(71)를 갖는다. 정상둑(30)은 상승관로부(24)로부터 하강관로부(28)에 이르는 관로의 반환점으로 되어 기술한 바와 같이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데 대응하고 설부(71)는 관로 내측으로 경사져 하방으로 향해서 돌출한다고 하는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정상둑(30)을 세정수가 타고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내릴 때 안내로 된다. 따라서 정상둑(30)에 도달한 세정수는 설부(71)에서 안내를 받아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내리기 때문에하강관로부(28)가 갖는 후술의 상부관로선반부(75)나 하부관로선반부(77)에 확실히 도달하여 이들 선반부에서 받아 냄 ·튀어 오름을 일으켜 하류에 흘러 내린다. 설부(7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하방으로 만곡하여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그 하면 영역은 세정수 배출시에 있어서 공기가 괴게 된다.The top duct 26 has a tongue 71 which protrudes downward from the top ridge 30 toward the downward duct 28 in addition to the top bank 30. The summit bank 30 serves as a return point of the pipeline from the ascending pipe section 24 to the downcoming pipe section 28 to correspond to defining the water level as described above, and the tongue 71 is inclined inside the pipeline and protrudes downward. The shape of the shape is said to be guided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down the top bank 30 to the downcomer 28. Therefore, since the washing water reaching the summit bank 30 flows down to the descending pipe part 28 by being guided by the tongue 71, the upper pipe shelf 75 or the lower pipe part described below which the down pipe part 28 has. It reaches the shelf part 77 firmly, it takes out in these shelf parts, and it rises and flows downstream. Since the tongue portion 71 is inclined downwardly and protrudes as shown in the figure, air is clogged at the time of discharging washing water.

하강관로부(28)는 정상관로부(26)의 측으로부터 만곡관로부(72)와 중간관로부(73)와 말단관로부(74)를 구비한다. 하강관로부(28)는 도 11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만곡관로부(72)와 중간관로부(73)를 말단관로부(74)에 걸쳐서 관로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여 서서히 변하도록해서 구비한다. 즉, 만곡관로부(72)와 중간관로부(73)는 이들 관로부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통과 방향에 따라 그 단면적이 감소하여 서서히 변하도록 되어 있고, 그 서서히 변하는 모양은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좌우 방향에서 관로 축심측으로 집중된 것으로 되어 있다.The downcomer 28 has a curved conduit 72, an intermediate conduit 73, and a distal conduit 74 from the side of the top conduit 26. As shown in Figs. 11 to 14, the descending pipe section 28 has the curved pipe section 72 and the intermediate pipe section 73 over the terminal pipe section 74 so that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line decreases and gradually changes. Equipped. That is, the curved pipe part 72 and the intermediate pipe part 73 are gradually changed in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 to the pass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se pipe parts, and the gradually changing shapes are shown in FIGS. 12 and 13.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concentrated on the pipe shaft center side in the toilet left and right direction.

만곡관로부(72)는 중간관로부(73)의 연결부에 상부관로선반부(75)를 구비한다. 상부관로선반부(75)는 설부(71)에 안내되어 정상둑(30)으로부터 흘러 내린 세정수를 받아 내어 세정수의 튀어 오름을 일으키고 세정수를 하류의 중간관로부(73)에 떨어뜨린다.The curved conduit 72 has an upper conduit shelf 75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onduit 73. The upper pipe shelf 75 is guided to the tongue 71 to pick up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top bank 30, causing the washing water to spring up, and dropp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downstream intermediate pipe portion 73.

중간관로부(73)는 말단관로부(74)의 연결부에 하부관로선반부(77)를 구비한다. 이 하부관로선반부(77)는 설부(71)로부터 흘러 내려 세정수 및 상부관로선반부(75)로부터 중간관로부(73)의 외주벽부(76)를 전해서 떨어진 세정수를 받아 내어 이들 세정수이 튀어 오름을 일으키게 하고 세정수를 하류의 말단관로부(74)에 떨어뜨려 넣는다.The intermediate pipeline 73 has a lower pipeline shelf 77 at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pipeline 74. The lower pipe shelf 77 flows down from the tongue 71 and receives washing water separated from the upper pipe shelf 75 by passing the outer peripheral wall 76 of the intermediate pipe 73 from the upper pipe shelf 75. The water springs up, and the washing water is dropped into the downstream end pipe portion 74.

말단관로부(74)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외벽형상을 하고 그 내부를 단면 타원 형태의 관로부(79)로 한다. 그리고 이 말단관로부(74)는 도시하지 않는 배수 컨넥터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는 배수구에 소위 슬립핑(sliping)되어 하강관로부(28)와 이 배수구를 연결한다. 말단관로부(74)는 관로부(79)의 하단에 최하단선반부(80)를 남겨서 개구된 관통공(78)을 구비하고, 이 관통공(78)을 개구면적이 좁힘으로서 기능시킨다. 최하단선반부(80)는 상기의 상부관로선반부(75)와 하부관로선반부(77)로 변기 볼부(12)의 측에 튀어 오른 세정수를 받아 내어 세정수의 튀어 오름을 일으켜 세정수를 관통공(78)으로부터 배수구에 이끈다.As shown in Fig. 14, the end pipe portion 74 has a cylindrical outer wall shape, and the inside thereof is a pipe portion 79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this end pipe part 74 is so-called slipping to the drain port which is not shown through the drain connec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connects this down-pipe part 28 and this drain port. The terminal pipe part 74 has a through hole 78 opened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part 79 with the lower end shelf part 80 open, and the through hole 78 functions as the opening area is narrowed. The lowermost shelf portion 80 receives the washing water that has splash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part 12 by the upper pipeline shelf 75 and the lower pipeline shelf 77 and causes the washing water to spring up. It leads from the through-hole 78 to a drain.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관로부(28)는 상부관로선반부(75)와 하부관로선반부(77)를 갖기 때문에 정상둑(30)을 타고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유량이 적을 때는, 하부관로선반부(77)에서의 세정수의 받아 냄과 튀어 오름을 일으키고 흘러 내리는 유량이 많으면 상부관로선반부(75)와 하부관로선반부(77)의 양쪽에서 세정수의 받아 냄과 튀어 오름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떨어져 들어온 세정수 유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되지 않고 말단관로부(74)의 최하단선반부(80)에서 세정수의 받아 냄과 튀어 오름을 일으키게 한 후에 세정수를 배수구에 배출한다. 이 경우 중간관로부(73)의 외주벽부(76)와 정상둑(30)의 설부(71)와의 위치 관계는 세정수 급수장치로부터의 급수 유량(토출량)이 본 실시예에서 상정하고 있는 최저 유량(약 40리터)이더라도 정상둑(30)으로부터 흘러 내린 세정수가 확실히 하부관로선반부(77)에서 튀어 오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중간관로부(73)의 관노 면적이나 말단관로부(74)에서 관공통(78)의 개구 면적등은 세정수 급수장치로부터의 급수 유량이 상기의 최저 유량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의 저장이 일어나는 것으로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owncomer 28 has an upper pipe shelf 75 and a lower pipe shelf 77,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over the top bank 30 and down the downcomer 28 is reduced. When this amount is small, if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lower pipe shelf 77 and springing up and flowing down are large, the washing water is received from both the upper pipe shelf 75 and the lower pipe shelf 77. Provokes the smell and bouncing. Therefore, irrespective of whether the flow rate of the flushing water flows down is large or small, the lowermost shelf 80 of the end pipe portion 74 causes the flushing water to rise and spring up, and the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drain. In this cas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76 of the intermediate pipe portion 73 and the tongue portion 71 of the top bank 30 is the minimum flow rate that the water supply flow rate (discharge amount)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assumes in this embodiment. Even if it is (about 40 liters),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top bank 30 will surely spring from the lower pipe shelf 77. In addition, the pipe furnace area of the intermediate pipe portion 73 and the opening area of the pipe tube 78 in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may be used as the water supply flow rate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as described later even at the minimum flow rate described above. Storage is supposed to take place.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강관로부(28)에 의한 오물 배출 모양을 하강관로부(28)에서 세정수의 동작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세정 개시 초기에 있어서 세정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6은 세정수가 말단관로부(74)에서 저장하여 놓여지는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사이폰 작용의 발생 상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The waste discharge pattern by the downcomer 28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in the downcomer 28. FIG.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at the beginning of washing start, FIG.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end pipe portion 74, and FIG. 17 is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a situation.

도시하지 않는 세정 버튼이나 세정 레버(lever)가 조작되어 변기 세정이 시작되면 세정수 급수장치로부터 림 도수로(16)에 세정수가 흘러 들어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주류(S1), 제2주류(S2)에서 세정수가 유수(RS)에 흘러 들어 온다. 그렇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승관로부(24)에 들어가고 있던 세정수는 유수(RS)에 흘러 들어 온 세정수의 밀어 넣기 때문에 상승관로부(24)에서의 수위가 오른다. 이러한 세정수의 밀어 넣기는 기술한 제1주류(S1)와 제2주류(S2)의 유수(RS)로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에 근거한 선회류에 의해 일어난다.When the washing button or the cleaning lever (not shown) is operated to clean the toilet,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to the rim raceway 16,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quor S1 and the second liquor S2. ) Flows into the running water (RS). Then, as shown in FIG. 15, since the washing | cleaning water which entered the rising conduit part 24 pushes in the washing | cleaning water which flowed into the flowing water RS, the water level in the raising conduit part 24 rises. The pushing of such washing water is caused by the swirl flow based on the confluence of the first main stream S1 and the second main stream S2 into the flowing water RS in substantially parallel and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이렇게 해서 밀어 넣은 세정수는 상승관로부(24)로부터 정상관로부(26)의 정상둑(30)을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내린다. 이 세정수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관로부(28)의 상부관로선반부(75)나 하부관로선반부(77)에서 받아 내여지고 튀어 오른다. 이렇게 해서 튀어 오른 세정수는 세정수의 흐름의 방향을하류의 말단관로부(74)의 측으로 전환하고 또한 하류측에 흘러 내려, 그때 하강관로부내의 공기의 휩쓸림을 따르는 관로유하와, 흐르는 방향의 전환에 따르는 세정수의 유하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하류의 말단관로부(74)에 도달한다. 이러한 세정수 동작에 의해 상부관로선반부(75) 하류에서는 그 하류관로의 세정수에 의해 밀봉이 다음 것 같이 시작된다.The washing water pushed in this way flows down from the ascending pipe part 24 to the downcoming pipe part 28 beyond the top bank 30 of the top pipe part 26. As shown in FIG. 16, this washing water is taken out from the upper pipe shelf 75 or the lower pipe shelf 77 of the downcomer 28 and springs up. The washing water splashed in this way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downstream end pipe portion 74 and flows down to the downstream side, at which time the flow of the pipe flow along the swept of the air in the falling pipe portion and the flowing direction The lowering of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ue to the conversion of the water leads to the downstream end pipe portion 74. By this washing water operation, the sealing is started by the washing water to the downstream pipe line downstream of the upper pipe shelf 75 as follows.

말단관로부(74)는 최하단선반부(80)를 구비하므로 이 최하단선반부(80)에서 세정수를 또한 튀어 오르게 한 후에 관통공(78)으로부터 세정수를 배출한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78)은 그 개구면적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말단관로부(74)는 일부의 세정수를 관통공(78)으로부터 배출하지만 세정수를 관로부(79)에 저장하여 둔다.Since the terminal pipe part 74 is provided with the lowermost shelf part 80, the washing | cleaning water also jumps out from this lowermost shelf part 80, and discharges the washing | cleaning water from the through-hole 78. FIG. In this case, since the through-hole 78 has a narrow opening area as shown in FIG. 14,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discharges a part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through-hole 78, bu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ipe portion 79. Save i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최저 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를 일으키고 있는 상황하에 있더라도 세정수 저장시에 상기한 선반부에서의 튀어 오름에 근거한 유하속도의 저하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정상둑(30)을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유량은 말단관로부(74)를 지나서 배출구에 흘러 나오는 세정수 유량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세정 개시 초기에 있어서, 말단관로부(74)에서의 세정수의 저장과 배수구로의 배출을 병행해서 일으키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말단관로부(74)에서의 세정수의 저장량은 하강관로부(28)로의 세정수의 흘러 내림이 계속되므로 함께 증가한다. 이 세정수가 계속하여 떨어져 들어오는 정상둑(30)을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흐름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둑(30)의 설부(71) 선단으로부터 상부관로선반부(75) 혹은 하부관로선반부(77)에 걸치는 워터 커텐(water curtain)과 같은 활동을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s generated at the minimum flow rate described above, the dropping speed of the washing water is lowered based on the springs from the above-mentioned shelves during storage of the washing water.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portion 28 is superior to the washing water flow rate flowing through the end pipe portion 74 to the discharge port. Therefore, in the initial stage of washing start, the storag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end pipe portion 74 and the discharge to the drain can be caused in parallel. And the storage amount of the washing | cleaning water in the terminal pipe part 74 increases with the flow of the washing | cleaning water to the downcoming pipe part 28 continuously. As shown in FIG. 16,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over the top bank 30, which flows into the down bank 30, which continuously flows down from the tip of the tongue 71 of the top bank 30, is shown in FIG. 16. Activities such as a water curtain over the portion 75 or lower pipe shelf 77.

이러한 말단관로부(74)에서의 세정수의 저장과 배출이 일어나고 있는 세정개시초의 상황에서는 상부관로선반부(75)보다 하류에 잔류하고 있었던 공기는 상기한 선반부의 튀어 오른 세정수에 말려 들게 되고 말단관로부(74)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말단관로부(74)에서의 세정수 저장을 계속하기 때문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관로부(73) 및 말단관로부(74)는 세정수로 채워지고 밀봉된다. 이것에 의해 그 후의 세정수의 흘러 내리기의 계속에 의해 말단관로부(74)로부터 정상둑(30)까지 도달하는 물기둥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세정수 물기둥에 의해 관통공(78) 외부에서의 공기의 진입이 방지된다. 이 물기둥 형성후에도 계속해서 정상둑(30)으로부터 하강관로부(28)로의 세정수의 흘러 내리기는 계속되고, 말단관로부(74)에서의 세정수의 저장량이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하류관로부(28)에서의 상기 형성 완료된 물기둥이 관통공(78)으로 낙하하는 때의 물머리에 의해 세정수통이 일어나기 때문에 트랩내에서는 감압 현상이 일어난다. 더구나, 상승관로부(24)를 통과하여 정상둑(30)을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흘러 들어 오고자 하는 세정수의 유입은 이 감압 현상 사이에도 계속되는 것으로부터 상승관로부(24) 측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입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변기 볼부(12)의 유수 수면과 말단관로부(74)의 높이의 다름에 의해서 변기 볼부(12)의 세정수를 흡인하는 이른바, 사이폰 작용이 발생하고 공기 흡입에 의한 사이폰 소멸이 일어나기까지 이 사이폰 작용은 계속된다. 이 때문에 변기 볼부(12)의 오물은 유수 및 급수세정수와 함께 강제적으로 사이폰 트랩(20)에 흡인되어 배출된다.In the situ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washing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tored and discharged in the terminal pipe part 74, the air remaining downstream from the upper pipe shelf 75 is rolled up by the above-mentioned washing water of the shelf part. It is discharged from the end pipe portion 74. And since the washing water storage in the end pipe part 74 described above is continued, the intermediate pipe part 73 and the end pipe part 74 are filled with the washing water and sealed as shown in FIG. As a result, a column of water reaching the top bank 30 from the end pipe portion 74 is formed by continu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thereafter,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outside the through hole 78 is formed by the washing water column. Entry is prevented. Even after the formation of the water column,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top bank 30 to the downcoming pipe portion 28 continues to flow, and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increases so that the downstream pipe passage 28 is increased. In the trap, a decompression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washing water bottle is caused by the water head when the formed water column in the c) falls into the through hole 78. In addition,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intended to flow through the ascending pipe portion 24 and beyond the top bank 30 to the descending pipe portion 28 continues between these decompressions, so It also does not cause inhalation of air from the air. Therefore, the so-called siphon action that sucks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part 12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w of the wat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part 12 and the height of the terminal pipe part 74 occurs, and the siphon disappearance by air intake occurs. Until this siphoning continues. For this reason, the dirt of the toilet bowl part 12 is forcibly attracted to the siphon trap 20 and discharge | released with the flowing water and the water supply wash water.

그런데 초기부터 정상관로부(26)의 내벽 최상위부(70)에 잔존한 공기는 이 내벽 최상위부(70)에 밀봉된 채 있고, 상기한 세정수에 의한 휩쓸림에 의해서는 하강관로부(28)로부터 배출되지 않았던 공기는 하강관로부(28)에서는 이미 물기둥 형성이 완료된 것이므로 이 물기둥을 상승하여 내벽 최상위부(70)에 밀봉된다. 또한 설부(71)의 하면에서도 공기의 고임이 일어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말단관로부(74)에서는 세정수의 저장과 배출이 일어나서 밀봉 상태이므로 관통공(78)으로부터의 공기 침입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변기 볼부(12) 측에도 공기 흡입이 없기 때문에 상기 형성된 물기둥은 밀봉 공기 및 침입 공기에 의해 절단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발생한 사이폰 작용을 계속시킨다. 이 때문에 사이폰 작용에 의해 변기 볼부(12)의 오물은 유수(RS)와 함께 강제적으로 사이폰 트랩(20)에 흡인되어 배출된다. 즉 이 대변기(10)에서는 대유량의 세정수 급수에 의해 일시에 공기를 배출하여 관로의 만물화를 도모하는 기존 변기와는 다른 상황, 즉 정상관로부(26)의 내벽최상위부(70)에서의 공기 잔존이나 설부(71) 하면의 공기 고임을 일으키게 한 상황에서도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에 의해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을 도모하기 위해 사이폰 트랩(20)의 상승관로부(24), 정상관로부(26), 하강관로부(28) 및 말단관로부(74)에서 기술한 특이한 형상을 채용했다.By the way, the air remaining in the uppermost part 70 of the inner wall of the top duct 26 is sealed in this inner wall top part 70, and the downcoming part 28 is swept away by the above-mentioned washing water. Air that has not been discharged from) is already formed in the downcomer 28, and since the formation of the water column is completed, the water column is raised to seal the top wall 70 of the inner wall. In addition, air accumulation may occur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71. However, in the end pipe portion 74, since the storage and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occurs and is sealed, air intrusion from the through hole 78 does not occur.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air suction on the toilet bowl 12 side, the formed water column is not cut by the sealed air and the intrusion air, so that the siphon ac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continued. For this reason, the dirt of the toilet bowl part 12 is forcibly attracted to the siphon trap 20 with the flowing water RS, and is discharged | emitted by the siphon action. In other words, the toilet 10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oilet that discharges air at a time by a large flow rate of washing water supply, so that all the pipes are fully made, that is, in the inner wall uppermost part 70 of the top pipe part 26. Even in a situation where air remains in the air and the air pool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71 are caused, the siphon action is generated and continued by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t a small flow rate. In order to facilitate the occurrence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the rising line portion 24, the top line portion 26, the down line portion 28 and the end line portion 74 of the siphon trap 20 are described. Adopted an unusual shape.

이렇게 해서 사이폰 작용이 계속 발생하면 정상관로부(26)의 내벽 최상위부(70)에 밀봉되어 있던 잔존 공기는 흡인되는 세정수에 말려들게 되고 해당 세정수와 함께 계속하여 배출될 거라고 예상된다.In this way, if the siphon action continues to occur, the remaining air sealed to the uppermost part 70 of the inner wall of the top pipe portion 26 is entrained in the sucked washing water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be discharged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강관로부(28)를 도 11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강측으로 갈수록 관노 면적이 좁게 되도록 했다. 따라서, 정상둑(30)을 넘어서 하강관로부(28)에 떨어진 세정수의 말단관로부(74)에서의 저장이 촉진되기 때문에 세정수의 저장 상황을 보다 확실히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공기 배출, 밀봉에 의한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결국은 사이폰 작용에 의해 오물 등의 강제 흡인을 확실히 하여 오물 배출 성능을 높일 수 있다.By the way, in the present Example, as shown in FIGS. 11-14, the descending pipe part 28 was made so that the pipe furnace area narrows toward the downward side. Therefore, since the storage in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of the washing water dropped to the downcomer portion 28 beyond the top bank 30 is promoted, the storage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can be more surely generated. For this reason, the above-mentioned air discharge | emission,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siphon action by sealing, and reliability of continuation can be improved. In the end, the siphon action ensures forced suction of dirt and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dirt discharge performance.

본 실시예에서는 선회의 리드가 상위하는 제1주류(S1)와 제2주류(S2)로에서 선회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선회에 의한 밀어 넣는 효율은 후술의 효과 비교에서도 판단하는 바와 같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 잔존 상황하에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을 일으키는 모양은 U 자관을 사이폰 트랩(20)의 적당한 개소, 예를 들면 내벽 최상위부(70)의 부근에 접속하고 변기 세정 개시로부터의 U 시간자관의 액위추이를 관찰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공기 잔존 상황하에서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을 일으키는 모양을 확인하기 위해 U 자관의 설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U 자관의 액위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urning lead is turning in the first mainstream S1 and the second mainstream S2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ushing efficiency due to the turning is increased as judged by the effect comparison described late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under the air remaining situation can be achieved by connecting the U-shaped tube to a suitable location of the siphon trap 20,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wall uppermost part 70 and starting the toilet bowl cleaning. This can be seen by observing the liquid level of the U-time tube from. Fig.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U-tube in order to confirm the appearance of the occurrence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under the air remaining situation, and Fig. 19 is a graph showing the liquid level of the U-tube.

도시하는 바와 같이, U 자관(90)의 액위는 사이폰 발생초에 정압측으로 추이(推移)하여 그 후는 부압으로 되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 초기의 소량의 세정수에 의해 하강관로부의 일부를 밀봉하기 때문에 세정 개시초에 선회에 의한 밀어 넣기에 의해 세정수가 사이폰 트랩에 밀어 넣어지면 잔존 공기가 압축을 받아 관로내의 압력이 높아졌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정압 발생후에 부압이 관찰된 것은 사이폰 발생에 의해서 관로내 세정수의 강제 흡인이 일어났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U 자관이 액위추이를 일으키는 변기이면, 공기 잔존 상황하에서의 강한 밀어 넣기 힘에 의해 세정수 밀어 넣기와 그 후의 사이폰 작용의 발생 및 계속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iquid level of the U-shaped tube 90 shifted toward the positive pressure side at the beginning of the siphon generation, and then became a negative pressure. This can be thought of as follows. That is, in this embodiment, since a part of the downcomer part is sealed by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at the beginning of washing, when the washing water is pushed into the siphon trap by pushing by turning at the beginning of washing, the remaining air is compressed and th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The negative pressure observed after the generation of the positive pressure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orced suction of the washing water in the conduit occurred due to the siphon generation. Therefore, if such a U-tube is a toilet causing liquid 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ong pushing force in the air remaining situation causes the occurrence of water washing and subsequent siphon action and continuation.

또 변기 세정에 이용하는 세정수 유량을 절수변기로서의 실효성이 높은 총 유량(약 6리터)로 한 경우, 단순히 유수 선회를 일으키는 것에 불과한 기존 변기에서는 상기한 정압, 부압의 추이 상황은 발현되지 않고 세정 개시초부터 일관하여 부압 현상이 일어났을 뿐였다.In addition, when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used to clean the toilet is set to a total flow rate (approximately 6 liters) as a high efficiency water saving toilet, the above-described changes in the positive pressure and the negative pressure are not started in the existing toilet, which merely causes water flow. Negative pressure only occurred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이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물 배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세정수 급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정수 급수에 관해서 구조적인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트펌프(제트펌프)을 이용한 급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세정수 탱크의 저장된 세정수의 수두압으로써 급수를 도모하는 것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도 20는 대변기(10)에 세정수 급수장치(100)의 내장 상태를 일부 투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이 세정수 급수 장치(100)의 주변을 단면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The dirt discharge effect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First,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ubject to structural constraints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a jet pump (jet pump) will be described. Of course, this can also be applie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illustrating the built-in state of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in the toilet 10, and 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eriphery of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in cross section.

세정수 급수장치(100)는 변기 후방의 기기수납부(11)에 수납 배치되어 림(14)의 림 도수로(16)에 세정수를 급수한다. 이 세정수 급수장치(100)는 도 21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수 탱크(108)를 갖고 있다. 또한 세정수 급수장치(100)는 지수밸브(109)를 거쳐서 수도배관과 접속된배관(110)를 구비하고, 해당 배관이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분기관(11Oa,11Ob)을 탱크측벽을 관통해서 세정수 탱크(108)내로 이끌어 넣고 있다. 또한 세정수 탱크(108)는 그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탱크내의 후술의 볼탭(115)이나 제트 펌프(113)등의 내장·보수의 간편화를 가져오고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is housed in the appliance storage unit 11 behind the toilet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rim raceway 16 of the rim 14. This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has a washing water tank 108 that stores washing water, as shown in detail in FIG. 21.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pipe 11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via the water valve 109, and the branch pipes 110Oa and 110Ob of which the pipe is branched into a bifurcated shape pass through the tank side wall. The water is drawn into the washing water tank 108. Moreover, the upper end of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open, and the interna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 ball tap 115, the jet pump 113, and the like in the tank are simplified.

분기관(11Oa)은 탱크내 관로에 플러쉬 밸브(flush valve)(111)를 구비하고 제트펌프(113)로의 세정수(작동용수) 통수 관로로 되어 있다. 플러쉬밸브(111)는 변기세정시에 조작되는 핸들(11la)를 구비하고, 해당 핸들의 조작에 의해 관로를 사이로 세정수를 그 하류로 통수한다.The branch pipe 110a is provided with a flush valve 111 in the pipeline in the tank and serves as a washing water (operating water) water supply pipe to the jet pump 113. The flush valve 111 has a handle 11la which is operated at the time of flushing the toilet, and passes the washing water downstream through the pipeline by operating the handle.

플러쉬밸브(111)의 하류에는 그 이후의 세정수관로로서 배관(112)과 배관(114)이 제트펌프(113)를 사이에 두고 배관되어 있다. 배관(112)은 세정수탱크(108)의 저부근처까지 하강하고, 하강단에서 탱크 저부를 따라 측방으로 굴곡한 경로를 채용해서 배관되어 있고, 경로 말단에서 제트펌프(113)와 접속되어 있다. 제트펌프(113)보다 하류의 배관(114)은 제트펌프 분출 세정수를 세정수 급수로(18)를 지나서 림 도수로(16)까지 이끈다.Downstream of the flush valve 111, a pipe 112 and a pipe 114 are piped through the jet pump 113 as a subsequent washing water pipe. The pipe 112 descends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piped by adopting a path bent laterally along the tank bottom at the lower end, and is connected to the jet pump 113 at the end of the path. A pipe 114 downstream of the jet pump 113 leads the jet pump jet cleaning water past the cleaning water feed channel 18 to the rim raceway 16.

이 배관(114)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채용하여 배관되어 있고 제트펌프(113)으로부터 탱크 상단 근처까지 상방으로 연장한 상승관로부(114a)와, 측방에 굴곡해서 탱크측벽으로부터 세정수 탱크(108)밖으로 연장한 수평관로부(114b)와, 탱크 외벽에 따라 굴곡 하강한 하강관로부(114c)와, 그 하류단에서 세정수 급수로(18)에 연통하는 연통관로부(114d)를 갖는다. 이 경우, 수평관로부(114b)는 세정수 탱크(108)가 변기 세정전을 위해서 세정수(W2)에서 만수로되어 있는 경우의 만수 수위(WS)보다 높은 위치를 채용하도록 배관되어 있고, 관로 도중에 배큠브레이커(114e)를 갖는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으로 대변기(10)측으로부터 세정수가 역류하려고 해도 배큠브레이커(114e)에 의한 관로의 대기 해방에 의해 세정수 탱크(108)로의 세정수 역류를 용이하게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114)의 관로 말단의 연통관로부(114d)는 만수 수위(WS)보다 높은 위치에서 세정수 급수로(18)의 연결공(19)에 수밀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pipe 114 is piped by adopting a path as shown in Fig. 20, and is upwardly raised from the jet pump 113 to the vicinity of the tank top, and is raised to the side to be washed from the tank side wall. A horizontal pipe portion 114b extending out of the water tank 108, a downcoming pipe portion 114c which is bent and lowered along the tank outer wall, and a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4d communicating with the washing water supply passage 18 at a downstream end thereof. Has In this case, the horizontal pipeline 114b is piped so that the washing water tank 108 adopts a position higher than the full water level WS when the washing water tank 108 becomes full water in the washing water W2 to clean the toilet bowl. It has a backbreaker 114e. Therefore, even if the washing water is going to flow back from the toilet 10 side for some reason, the backwashing of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tank 108 can be easily and surely prevented by releasing the atmosphere of the pipe by the vacuum breaker 114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ipe passage 114d at the end of the pipe 114 of the pipe 114 is tight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19 of the washing water feed passage 18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ull water level WS.

분기관(110b)은 탱크내에서 볼탭(115)에 접속되어 있고 볼탭(115)의 개폐에 따라 세정수 탱크(108)에 세정수를 급수 보급한다. 볼탭(115)은 부옥지지부(116)의 일단과 접속되고 지지봉 타단은 부옥(117)에 접속되어 있다. 부옥(117)은 세정수 탱크(108)의 상부에 부착된 소탱크(118)내에 배치되어 있다. 소탱크(118)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소탱크(118)의 저벽에 소경의 관통공(11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탱크(118)에서의 세정수량(수위)에 의해 부옥(117)이 상하하고 부옥상하에 연동하여 볼탭(115)이 개폐되기 때문에 이 개폐에 의해 세정수탱크(108)는 소정의 만수 수위(WS)로 유지된다.The branch pipe 110b is connected to the ball tap 115 in the tank, and supplies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tank 108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all tab 115. The ball tab 11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ertilizer support 116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is connected to the fertilizer 117. The fertilizer 117 is disposed in the small tank 118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tank 108. The top of the small tank 118 is open. A small diameter through hole 118a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small tank 118. Therefore, because the jade 117 is moved up and down by the amount of water (water level) in the small tank 118, and the ball tab 115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up and down of the jade, the washing water tank 108 has a predetermined high water level. Is maintained at (WS).

제트펌프(113)는 배관(112)으로부터 급수된 세정수(수도물)를 대향 배치하는 배관(114)을 향해서 분출한다. 이렇게 해서 분사된 세정수는 배관(114) 하단의 스로트(throat)로 들어가 그 때에 세정수탱크(108)내의 탱크 세정수를 이 스로트에 휩쓸리게 하여 유입시킨다. 이렇게 해서, 배관(114)으로부터는 유속증속을 받은 분류수가 세정수 급수로(18)를 지나서 림도수로(16)에 급수된다. 그 후는 림도수로(16)의 상기 각 토수공으로부터 세정수가 기술한 바와 같이 토출된다.The jet pump 113 blows toward the piping 114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washing water (tap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112 opposingly. The washing water sprayed in this way enters a throat of the lower end of the pipe 114, and at that time, the tank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swept into the throat. In this way, from the pipe 114, the fractionated water subjected to the speed increase is supplied to the rim raceway 16 after passing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passage 18. Thereafter,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water jetting holes in the rim raceway 16 as described.

또한, 상기한 세정수 급수를 할 때의 수도물 압력(일차측 압력)은 변기 세정에 이용하는 세정수 총량(약 4.5∼6 리터), 제트펌프에 공급되는 세정수 유량(약 18∼25 리터)를 고려하여 정해지고 약 0.098 MPa (약1kgf/㎠)정도라는 낮은 일차측 급수 압력으로 끝난다.In addition, the tap water pressure (primary side pressure)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washing water is the total amount of washing water (about 4.5 to 6 liters) used for flushing the toilet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jet pump (about 18 to 25 liters). It is set in consideration and ends with a low primary feed water pressure of about 0.098 MPa (about 1 kgf / cm 2).

급수 정지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다. 변기 볼부(12)내의 유수(RS)가 흡인되어 변기 볼부(12)가 비게 되어서 사이폰 작용이 정지하는 경우에 세정수 탱크(108)내의 세정수(W2)의 수위가 제트펌프(113)의 레벨 이하 되고, 공기의 흡입에 의해 제트펌프(113)의 유량 증대 작용이 정지한다. 이후는 분사노즐(131)로부터 토출한 수도물이 배관(114)을 통해서 림(14)에 도달하고 변기 볼부(12)로 급수된다. 이 결과 비게 된 변기 볼부(12)에 수도물이 유입하고 유수(RS)가 정상둑(30)으로 정해지는 수위까지 고인다.The water supply stop is as follows. When the running water RS in the toilet bowl 12 is sucked and the toilet bowl 12 is empty and the siphon stop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2 in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increased by the jet pump 113. It becomes below the level and the flow increase action of the jet pump 113 stops by suction of air. Thereafter,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nozzle 131 reaches the rim 14 through the pipe 114 and is supplied to the toilet bowl 12. As a result, tap water flows into the empty toilet bowl part 12 and the running water RS accumulates to the water level determined as the top bank 30.

플러쉬밸브(111)는 소정량의 수도물을 흘리면 자동적으로 닫힌다. 이것에 의해 제트펌프(113)로의 수도물의 공급이 정지하고 제트펌프(113)의 작동이 정지한다. 이 플러쉬밸브(111)의 정지 타이밍, 즉 수도물 급수 정지의 타이밍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변기 볼부(12)에 있어서 유수(RS)가 상기의 수위로 될 때를 가늠할 수 있게 조정되어 있다. 이 타이밍 조정에는 만수 수량이나 제트펌프(113)에 의한 유량 증대 정도, 변기 세정에 이용하는 총 세정 수량 등이 고려되어 이들에 기초를 둔 타이밍으로 정지하도록 플러쉬밸브(111)가 설계, 제조된다.The flush valve 111 automatically closes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tap water flows. As a result, the supply of tap water to the jet pump 113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jet pump 113 is stopped. As described above, the stop timing of the flush valve 111, that is, the timing of stopping the tap water supply, is adjusted so as to estimate when the flushing water RS reaches the above water level in the toilet bowl 12. In this timing adjustment, the flush valve 111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so as to stop at a timing based on the water volume, the flow rate increase by the jet pump 113, the total amount of water used for cleaning the toilet, and the like.

제트펌프(113)의 작동에 의해 세정수(W2)가 세정수탱크(108)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세정수탱크(108)내의 세정수(W2)의 수위는 저하한다. 세정수 탱크(108)내의 세정수(W2)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소탱크(118)내의 세정수(W2)의 수위도 저하한다. 이 경우 소탱크(118)내의 세정수(W2)는 저벽에 형성된 소직경의 관통공(118a)를 통해서 서서히 세정수 탱크(108)로 유입하기 때문에 소탱크(118)내의 세정수(W2)의 수위의 저하속도는 세정수 탱크(108)내의 세정수(W2)의 수위의 저하속도에 비해서 작다. 따라서, 부옥(117)은 작은 하강 속도에서 하강하기 때문에 볼탭(15)은 제트펌프(113)로의 세정수 공급에 늦어져 개변한다. 부옥(117)의 하강 속도는 관통공(118a)의 세정수 통과속도, 즉 관통공 직경에 의존하는 것으로 관통공 직경을 조정하는 것에서 볼탭(115)의 개변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다. 즉, 플러쉬밸브(111)의 폐변을 지나 제트펌프(113)의 작동이 정지하고 대변기(10)의 세정이 종료한 때에 부옥(117)이 소정 레벨까지 하강하도록 관통공(118a)의 구멍 직경을 조정했다. 따라서 변기 세정의 종료와 거의 같은 시기에 볼탭(115)이 개변하고 세정수탱크(108)로의 세정수의 급수·보급을 개시하여 그 후에 세정수 탱크(108)를 만수수위(WS)의 세정수(W2)의 저류 상태로 한다.Since the washing water W2 is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tank 108 by the operation of the jet pump 113,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2 in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lowered. A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2 in the washing water tank 108 decrease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W2 in the small tank 118 also decreases. In this case, since the washing water W2 in the small tank 118 gradually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tank 108 through the small diameter through hole 118a formed in the bottom wall, the washing water W2 in the small tank 118 The rate of decrease of the water level is smaller than the rate of decrease of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W2 in the washing water tank 108. Therefore, since the jade 117 descends at a small descending speed, the ball tap 15 is delayed in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jet pump 113 and is modified. The dropping speed of the jade 117 depends on the washing water passing speed of the through hole 118a, that is,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opening timing of the ball tab 115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hrough hole diame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on of the jet pump 113 stops after closing the flush valve 111 and the cleaning of the toilet 10 is finished, the diameter of the hole of the through hole 118a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level. Adjusted. Therefore, at approximately the same time as the completion of the toilet bowl cleaning, the ball tap 115 is changed and water supply and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started. After that, the washing water tank 108 is washed with water at the full water level WS. It is set as the storage state of (W2).

이후, 상기의 세정수 급수장치(100)를 내장한 대변기(10)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하는 대변기는 기존의 탱크식의 사이폰 트랩 변기이며 관노면적이 거의 균일로 된 사이폰 트랩을 갖고, 변기 볼부로의 세정수의 토출에 의해 유수의 선회를 일으키는 것이다. 비교 시험에서는 오물 배출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미립 잔수 시험과 PP(폴리프로필렌) 볼 잔수 시험을 했다. 이 경우 미립 잔수 시험은 입경, 약 4.5mm의 미립자를 약 2500개 유수에 띄워 이상태에서 변기 세정을 했다. 이 시험에서는 미립 잔수가 125개 이내이면 오물의 배출 능력이 있다고 한다. PP 볼 잔수 시험은 입경, 약 19mm의 PP 볼을 100개 유수에 띄워 이 상태에서 변기세정을 했다. 이 시험에서는 PP 볼 잔수가 25개 이내이면 오물의 배출 능력이 있다고 한다.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와 상기의 비교예 변기에 대하여 세정수 총량(목표값)을 바꿔 상기 시험을 했다. 도 22는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와 비교하는 대변기에 대하여 변기 볼부로의 급수, 볼부로의 유입, 트랩으로부터의 세정수 배출의 각 유량을 비교하고 설명하는 설명도, 도 23은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와 상기의 비교예 변기에 대하여 행한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Next, the effect obtained by the toilet 10 in which the said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was built | coated is demonstrated. The toilet to be compared is a conventional tank type siphon trap toilet, which has a siphon trap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pipe furnace area, and causes water flow to turn by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to the toilet bowl. In the comparative test, the general particulate residue test and the PP (polypropylene) ball residue test were performed to show the dirt discharge capacity. In this case, in the particulate residual test, about 2500 pieces of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and about 4.5 mm were floated in the running water to wash the toilet in this state. In this test, it is said to be capable of discharging wastes if there are less than 125 particulate residues. In the PP ball residual test, 100 bowls of PP balls having a particle diameter and approximately 19 mm were floated to wash the toilet in this state. In this test, if the PP ball residue is less than 25, it is said to be capable of discharging dirt. The test was performed by changing the total amount of water (target value) of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xample and the comparative toilet. Fig. 22 is an explanatory view for comparing and explaining each flow rate of water supply to the toilet bowl part, inflow to the bowl part, and flushing water discharge from the trap with respect to the toilet to be compared with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test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toilet 10 and the said comparative example toilet.

이 도 22, 도 23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대변기(10)는 변기 볼 부로의 급수유량, 볼부로의 유입 유량 및 트랩으로부터의 세정수 배출 유량이 비교 대변기 비해서 소유량임에도 불구하고 평가 시험의 결과가 각별히 높아졌다. 즉, 대변기(10)에 의하면 절수의 실효성 효과가 높다고 하는 현 상태 세정수 총량(약 6 리터)에서 세정 능력을 각별히 높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사이폰 작용이 확실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강한 오물, 유수 흡인력이 일어나고 있는 동시에, 제1주류(S1)와 제2주류(S2)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에 근거한 선회류의 밀어 넣기가 높은 효율로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변기에 의하면 높은 오물 배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비교예 변기에서도 사이폰 작용의 발생은 관찰되었지만 미립잔수 시험에서의 결과의 상위로부터 사이폰 작용의 흡인력과 선회류에 의한 밀어 넣기 효율은 본 실시예 변기보다 우수한 것이 아니었다. 또 PP 볼 잔수 시험에 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오물 배출 능력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실시를 생략했다.As is clear from Figs. 22 and 23,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est despite the fact that the water supply flow rate to the toilet bowl part, the inflow flow rate to the bowl part, and the flushing water discharge flow rate from the trap are small flow rate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toil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t is, according to the toilet 10, the washing | cleaning ability can be improved especially by the total amount (about 6 liters) of washing | cleaning state that the effectiveness effect of water saving is high.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bove-mentioned siphon action is reliably occurring, strong dirt and flowing water are generated, and the first mainstream S1 and the second mainstream S2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This can be said to be because the pushing of the swirl flow based on the high efficiency takes pla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toi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xhibit a high dirt discharge capacity. Although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was observed in the comparative toilet, the suction force of the siphon action and the pushing efficiency due to the swirl flow were not superior to the toi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in the particulate residue test. In addition, regarding the PP ball residual test, since it was confirmed that high dirt discharge | emission capability was obtained as mentioned above, implementation was abbreviate | omitted.

이후, 현 상태 세정수 총량보다도 적은 수량(5리터)에 대하여, 미립 잔수 시험과 PP 볼 잔수시험을 한 경우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에 의하면, 모두 비교예 변기보다 높은 세정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 결과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서는 상기한 사이폰 작용이 확실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강한 오물, 유수 흡인력이 활동하고 있음과 함께 제1주류(S1)와 제2주류(S2)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에 근거한 선회류의 밀어 넣기가 높은 효율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5 리터(실질적으로는 약 4 리터)라는 소량의 세정수 급수이면서 유수중에 잔존 PP 볼수를 낮게 줄일 수 있었다. 이것은 제1주류(S1)와 제2주류(S2)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에 근거한 선회류의 밀어 넣기가 높은 효율로 활동하고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fine water residual test and the PP ball residual water test were carried out for a quantity (5 liters) less than the total amount of the current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l of the washing 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toilet. . This result also shows tha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above-mentioned siphon action is reliably occurring, strong dirt and water suction force are active, and the first mainstream S1 and the second mainstream S2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and rotate in the same manner. It can be said that the pushing of the swirl flow based on the confluence in the direction acts with high efficiency.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remaining PP ball count in the flowing water while being a smal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supply of 5 liters (substantially about 4 liters).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pushing of the swirl flow based on the confluence of the 1st mainstream S1 and the 2nd mainstream S2 in substantially parallel and confluence in the same rotation direction, and is working with high efficiency.

이후, 선회류의 밀어 넣기 효율에 대하여 비교했다. 즉, 실시예 변기, 비교예 변기를 변기 볼부나 유수로의 세정수 급수 특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사이폰 트랩이 없는 상태로 하고 선회류의 밀어 넣기 효율에 대하여 비교했다. 또한 사이폰 트랩으로 바꿔 벽 배수 구성의 P 배관을 상승관로부(24)의 상단에 접속했다. 도 24는 사이폰 트랩이 없는 것으로 한 본 실시예의 변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는 선회류의 밀어 넣기 효율에 대해서의 실시예 변기와 비교예 변기와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교 시험은 PP 볼 잔수 시험에 대하여 행했다.Then, the pushing efficiency of the swirl flow was compared. That is, the Example toilet and the comparative toilet were compared without the siphon trap without changing the flushing water supply characteristics of the toilet bowl and the flow channel, and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pushing efficiency of the swirl flow. Moreover, the P pipe of the wall drainage structure wa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iser part 24 by switching to the siphon trap. 2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oi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thout a siphon trap, and FIG. 2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n exemplary toilet and a comparative toilet with respect to the pushing efficiency of swirl flow. The comparative test was done with respect to the PP ball residual test.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류 밀어 넣기 효율을 확인하기 위한 대변기는 상기한 실시예의 대변기(10)에서, 정상둑(30) 이후의 관로를 제거하고, 사이폰 트랩에 바꿔서 벽 배수용의 배수 소켓(170)을 수밀하게 장착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사이폰 작용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하는 대변기(10)에서는 선회류의 밀어 넣기 효율에 의해서만 오물 반송 능력이 정해진다.As shown in FIG. 24, the toilet for confirming the swirl flow pushing efficiency is removed from the toilet 1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removing the pipeline after the top bank 30 and replacing the siphon trap with drainage for wall drainage. The socket 170 is mounted tightly. Since the siphon action does not occur in this way, in the toilet 10 shown in figure, the dirt conveyance capability is determined only by the pushing efficiency of a swirl flow.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에 의하면, 비교예 변기보다 높은 세정 능력(PP 볼의 압입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이 결과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제1주류(S1)와 제2주류(S2)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에 근거한 선회류의 밀어 넣기가 높은 효율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라고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5, according to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xample, the washing | cleaning ability (PP ball injection efficiency) higher than a comparative toilet can be exhibited. This result also can be said in the present embodiment because the pushing of the swirl flow based on the confluence of the first main stream S1 and the second main stream S2 is substantially parallel and joined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have.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류를 생기게 하는 대변기(10)에서는 선회류에 의해 높은 밀어 넣기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수 소켓을 이용한 벽 배수 수단의 대변기와 같은 사이폰 작용을 이용하지 않는 구조의 변기에서 본 실시예의 선회류를 적용하는 것으로 높은 세정 능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벽배수 수단에 한정하지 않고 만곡한 배수 소켓을 이용하여 상배수용 배관에 접속된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선회류를 적용하는 것으로 높은 세정 능력을 얻을 수 있다.This uses the same siphoning action as the toilet of the wall drainage means using the drainage socket as shown in FIG. 24, because in the toilet 10 producing the swirl flow, a high pushing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the swirl flow. By applying the swirl flow of this embodiment in the toilet of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mean that high washing | cleaning ability is obtained. Moreover, even if it is not limited to the wall drainage means as shown in FIG. 24, even if it is connected to the pipe for upper drainage using the curved drainage socket, applying the swirl flow of a present Example can obtain high washing | cleaning ability.

본 실시예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높은 세정 능력을 소유량의 세정수 공급에 의해 발휘할 수 있다. 변기로의 세정수의 공급 수량을 확인한 바,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에서는 세정수의 공급수량은 약 70리터, 비교예 변기에서는 약 150리터라는 결과였다. 이러한 소유량에서는 세정 개시초에 있어서 사이폰 트랩의 잔존 공기를 트랩 관로로부터 추출할 수 없는 것으로서 기존 변기로에서는 소유량화가 채용되는 적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잔존 공기의 전부를 세정 개시초에 배출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신규한 착상에 근거하여 소유량 급수에서의 고능력화를 현실의 것으로 완성했다.In this embodiment, the high washing ability as described above can be exhibited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with a small flow rate. When the quantity of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was check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10 of this example was about 70 liters and about 150 liters on the comparative toilet. In such a low flow rate, the remaining air of the siphon trap cannot be extracted from the trap conduit at the beginning of washing, and the low flow rate has not been adopted in the existing toile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novel idea of not discharging all of the remaining air at the beginning of cleaning, high-capacity in low-water supply is completed.

기존의 변기(비교예 변기)에서는 세정 개시초의 잔존 공기의 전부 배출을 도모하기 위해서 유수에는 높은 수세, 즉 대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를 행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세정수 급수에 따르는 소리나 잔존 공기의 배출에 따르는 소리도 컸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로 끝나기 때문에 그 부분, 상기의 소리가 작게 되어 정적성을 높일 수 있었다. 집음측정기의 결과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대변기(10)에서는 약 5∼10%의 소리 크기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었다. 또한 세정수 총량을 약 4 리터로 한 경우 비교예 변기에서는 약 66db에 대하여 본 실시예로서는 약 59db로 할 수 있었다. 세정수 총량을 약 5 리터로 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약 67db를 약63db로 할 수 있었다.In conventional toilets (comparative toilets), in order to discharge all remaining air at the beginning of cleaning, the flushed water is subjected to high water washing, that is, to supply washing water at a large flow rate. For this reason, the sound by washing water supply and the sound of discharge of residual air were also lou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it ends with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t the small flow rate, the portion and the above sound ar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static.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ound collector, the toile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as able to reduce the loudness of about 5 to 10%. In the case where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was about 4 liters, about 59db was obtain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toilet compared to about 66db. In the case where the total amount of the washing water was set to about 5 liters, about 67 db could be set to about 63 d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는 전술한 세정수 급수장치(100)로 바꿔 수두압을 이용한 세정수 급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은 세정수 저류 탱크를 내장한 변형예의 대변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Moreover,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wash water water supply using the head pressure, changing to the above-mentioned washing water supply device 100. FIG. 26: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toilet 10 of the modification which incorporates the wash water storage tank.

도시한 바와 같이,이 대변기(10)에서는 기기수납부(11)에 세정수의 저류탱크 장치(150)를 수납하여 탱크 하면으로부터 급수관(151)을 거쳐서 세정수 급수로(18)에 탱크내의 세정수를 급수한다. 세정수 급수로(18)에 급수된 세정수는 기술한 바와 같이 림도수로(16)에 유입되어 베이스부 제1토수공(41)등의 각 토수공로부터 변기 볼부(12)로 토출된다. 그 후는, 제1주류(S1), 제2주류(S2)의 거의 평행하고 또한 동일 회전 방향으로의 합류에 의해 선회류에서의 세정수 밀어 넣기 및 사이폰 트랩(20)에 의해 사이폰 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저류 탱크장치(150)를 이용한 대변기(10)에 있어서도 상기한 세정수 총량의 소량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toilet 10, the storage tank device 150 for the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appliance storage unit 11, and the washing in the tank is carried out in the washing water feed passage 18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Water the water.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feed passage 18 flows into the rim raceway 16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holes such as the base first water discharge hole 41 to the toilet bowl 12. Thereafter, washing water is pushed in the swirl flow by the confluence of the first main stream S1 and the second main stream S2 in substantially parallel and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siphon action is performed by the siphon trap 20. Causes Therefore, also in the toilet 10 using the storage tank apparatus 150, the effect of a small amount of the said washing water total amount can be acquired.

이 대변기(10)에서는 유수(RS)에 유입된 세정수 유량은 저류 탱크장치(150)가 저류하는 탱크 세정수의 만수 수위면에서 얻어지는 수두압(h)으로 정해진다. 이 대변기(10)에서도 세정 개시초에 있어서 트랩내의 전 공기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로 끝난다. 따라서 저류 탱크장치(150)는 기술한 약 70리터/min의 소유량 급수를 도모할 수 있는 만큼 수두압(h)을 확보할 수 있으면 충분한다. 이 때문에 저류 탱크장치(150)의 높이를 기존의 세정 탱크식의 절수변기(절수목표 약 6리터)에 비하여 약 1/2∼2/3 정도로 하면 바람직하므로 세정수 탱크식이면서 로우 실루엣화나 의장성의 향상, 디자인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this toilet 10, the washing | cleaning water flow volume which flowed into the flowing water RS is set to the head pressure h obtained by the full water level surface of the tank washing water which the storage tank apparatus 150 stores. Also in this toilet 10, since the discharge of all the air in a trap is not needed in the beginning of washing | cleaning, it ends with washing water feed water in a small flow rate. Therefore, the storage tank device 150 is sufficient to ensure the head pressure (h) as much as possible to achieve a water supply of about 70 liters / m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height of the storage tank device 150 to about 1/2 to 2/3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ashing tank water-saving toilet (about 6 liters of water-saving target). Improvement and freedom of design can be aimed at.

이후, 상기한 바와 같이 정상관로부(26)의 내벽 최상위부(70)에서의 공기 잔존이나 설부(71) 하면의 공기 고임을 일으킨 상황에 있어서도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에 의해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을 일으키는 대변기(10)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대변기(10)를 제조할 때의 캐스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even in a situation where air remains in the uppermost part 70 of the inner wall of the top duct 26 or air swells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71, the siphon action is caused by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t a small flow r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ilet 10 which produces continuation is demonstrated. FIG. 2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asting state when manufacturing the toilet 10.

도시한 바와 같이, 대변기(10)는 그 소성전의 캐스팅 상태에서는 변기볼부(12)나 볼저부(13)와 이들을 지지하는 변기 본체(BH)와 기기수납부(11)를 포함하는 변기 본체 캐스팅(BK)과, 정상관로부(26)의 상반 부분의 정상관로부 캐스팅(TK)와, 림(14)과 이것에 계속되는 변기수납부(11)의 전방측 벽면을 포함하는 림 캐스팅(RK)과, 말단관로부(74)로 되는 말단관로캐스팅(MK)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정상관로부캐스팅(TK)는 도2, 도3등에 나타내는 정상관로부(26)의 만곡관로중, 정상둑(30)과 대향하는 관로벽면로 된 벽면 부위에 있어서 상승관로부(24)의 연결부, 즉, 상승관로부(24)와 변기 볼부(12)를 구획하는 후방경사부(63)와의 접합 개소로부터 하강관로부(28)와 연결부까지 소정범위의 벽면 부위의 캐스팅로 되어 있다. 그리고 대변기(10)는 이들 각 캐스팅을 각각 미리 금형 성형하여 두고 각 캐스팅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합하여 소성하여 제조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oilet 10 is a toilet body casting including a toilet bowl part 12 or a ball bottom part 13, a toilet body BH for supporting them, and an apparatus storing part 11 in a casting state before the firing. BK), a rim casting (RK) comprising a top duct casting (TK) of the upper half of the top duct 26, a front wall of the rim 14 and the toilet seat 11 subsequent thereto, It is a terminal pipe casting (MK) which becomes the terminal pipe part 74.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op duct casting part TK is a rising duct part 24 in a wall surface portion of the curved duct of the top duct part 26 shown in Figs. ), That is, the casting of the wall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joining position of the rising pipe portion 24 and the rear inclination portion 63 partitioning the toilet bowl portion 12 to the descending pipe portion 28 and the connecting portion. . The toilet 10 is manufactured by molding each of these castings in advance, and bonding and firing each casting as described below.

도 28은 말단관로캐스팅(M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9는 말단관로부를 사이폰 트랩 관로를 포함하는 변기캐스팅과 같이 성형한 경우의 성형의 모양을 대비를 위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28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mold molding of end pipe casting (MK), and FIG. 29 is an explanation of the shape of molding when the end pipe is molded together with a toilet cast pipe including a siphon trap pipe. It is also.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성 금형(200)과 남성 금형(2110)을 이용한다. 이 두가지 형은 다공질부재로부터 형성된 흡인 금형이며, 각각의 금형면에 슬립을 퇴적시킨다. 여성 금형(200)은 통상의 유저요부(201)를 중앙에 갖고, 형합(型合)시켜 이용하는 이형요소(202)를 상면연부에 갖는다. 남성 금형(210)은 상면에서 거의 타원 형태의 형상으로 돌출한 철부(211)와, 이 철부의 한쪽의 단측에서 원형 형상으로 돌출한 선단철부(212)를 갖고, 상면 연부에는 여성 금형(200)의 이형요소(202)에 감합(嵌合)하는 이형철부(213)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8, a female mold 200 and a male mold 2110 are used. These two molds are suction molds formed from porous members, and deposit slip on each mold surface. The female mold 200 has a normal user recess portion 201 in the center, and has a release element 202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mold. The male mold 210 has a convex portion 211 protruding in an elliptic shape from the upper surface, and a tip convex portion 212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from one end side of the convex portion, and a female mold 200 at the upper edge thereof. Has a release convex portion 213 fitting to the release element 202.

이 양 금형을 유저요부(201)에 선단철부(212)가 유입되도록 형합시키면 도 28(b)와 그 x-x선 단면의 도 2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요부(201)와 철부(211)의 형면의 사이에 캐비티(MKK)가 형성된다.When both molds are molded so that the tip convex portion 212 flows into the user concave portion 201, the user concave portion 201 and the convex portion 211 as shown in Fig. 28 (b) and Fig. 28 (c) of the cross section along the line xx. Cavity (MKK) is formed between the mold surfaces.

이어서, 캐비티(MKK)에 도시하지 않는 주입구로부터 슬립을 유입시켜 각 금형의 흡인(吸引)을 지나서, 각 금형의 금형면에 슬립을 퇴적하여 이것을 착육(着肉)시킨다. 이때 캐비티(MKK)는 각 금형의 금형면에 접한 부분은 약 1Omm 정도의 두께의 착육 슬립으로 메워지고, 나머지의 부분에는 유동형상의 슬립이 남는다. 이 유동 형상의 슬립을 도시하지 않고 배니공보다 외부로 배출한 후 건조를 행하여 캐비티의 착육 슬립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이것에 의해, 소위 흙 죄임이 완료하기 때문에, 상기의 두가지 금형을 형발한다. 그렇다면, 소성전의 말단관로부(74)에 상당하는 원통컵 형상의 말단관로캐스팅(MK)이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의 캐비티에서 선단철부(212)의 선단면은 유저요부(201)의 저면에 접합하고 있는 것으로서 말단관로캐스팅(MK)은 그 저면에 선단철부(212)의 외경 형상을 모방한 원형의 관통공(74mk)을 갖는다. 이 말단관로캐스팅(MK)에서는 그 외벽형상은 유저요부(201)의 내벽 형상을 모방한 원통형 형상으로 되고 내벽 형상은 철부(211)의 외벽 형상을 모방한 타원 형태의 형상으로 된다. 즉, 내외벽 형상을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말단관로캐스팅(MK)에서의 관통공(78mk)은 소성전에 있어서 관통공(78)으로 되고 이 관통공(78mk)을 제외하는 최하단선반부(80)로 된다.Subsequently, slip is introduced from an injection port not shown in the cavity MKK, passes through suction of each mold, and slip is deposited on the mold surface of each mold, whereby it is ground.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cavity (MKK) in contact with the mold surface of each mold is filled with a landing slip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mm, and the remaining portion has a fluid slip. This flow-shaped sli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acancy hole and not dried, and then dri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avities slip of the cavity. As a result, since the so-called soil clamping is completed, the above two molds are formed. Then, the end cup casting MK of the cylindrical cup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pipe part 74 before baking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end face of the tip convex portion 212 is joined to the bottom of the user recess 201 in the above cavity, and the end pipe casting (MK) has a circular shape that mimics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convex portion 212 on the bottom thereof. It has a through hole 74mk. In the end pipe casting (MK), the outer wall shape is a cylindrical shape that mimics the inner wall shape of the user recess 201, and the inner wall shape is an elliptic shape that mimics the outer wal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211. That is, the inner and outer wall shapes can be made different. Further, the through hole 78mk in the end pipe casting MK becomes the through hole 78 before firing, and becomes the lowermost shelf portion 80 excluding the through hole 78mk.

그런데, 말단관로부를 사이폰 트랩 관로를 포함하는 변기 캐스팅과 같이 성형하는 경우는, 도 2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캐스팅 성형용의 좌우의측형(215,216)이 이용된다. 그렇다면 말단관로부에 해당하는 캐스팅 부분에서는 슬립의 퇴적 착육이 소위 한겹으로 되기 때문에, 해당 캐스팅 부분의 내벽 형상은 금형 형상이 반영한 외벽 형상을 모방한 형상(원형 형상)으로 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내외벽 형상을 다른 것으로는 할 수 없다.By the way, when forming the end pipe part like a toilet casting containing a siphon trap pipe | tube, the left and right side mold | types 215 and 216 for toilet casting molding are used, as shown to FIG. 29 (a). Then, in the cas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end pipe part, the deposition deposition of the slip becomes one layer, so that the inner wall shape of the casting part does not become a shape (circular shape) that mimics the outer wall shape reflected by the mold shape. The inner and outer wall shapes cannot be different.

도 30은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은 이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금형 성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3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mold used for mold molding of the top conduit portion casting (TK), and FIG.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mold molding of the top conduit portion casting (TK).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성형에는 상부금형(220)과 하부금형(230)을 이용한다. 이 상하의 양 금형에 있어서도 다공질부재로 된 흡인형이며, 각각의 형면에 슬립을 퇴적시킨다. 상부 금형(220)은 정상관로부(26)에 있어서 상기한 벽면 부위에 상당하는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외벽 형상을 규정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요부(221)를 갖고, 그 좌우 연부에 형합하여 이용하는 이형요소(222)를 갖는다. 하부금형(230)은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내벽 형상을 규정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철부(231)를 갖고, 그 좌우 연부에는 상부금형(220)의 이형요소(222)에 감압하는 이형철부(223)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0, the upper mold 220 and the lower mold 230 are used for molding the top pipe casting (TK). Also in the upper and lower molds, it is a suction type made of a porous member, and slip is deposited on each mold surface. The upper mold 220 has a recessed portion 221 recessed in a shape that defines the outer wall shape of the top pipe part casting TK corresponding to the wall portion in the top pipe part 26. It has a release element 222 used in combination. The lower mold 230 has a convex portion 231 protruding in a shape that defines the inner wall shape of the top pipe casting (TK), and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lower mold 230 depressurizes to the release element 222 of the upper mold 220. Has 223.

이 양 금형을 요부(221)에 철부(231)가 대향하도록 형합하면,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부(221)와 철부(231)와의 형면의 사이에 캐비티(TKK)가 형성된다.When these molds are joined so that the convex part 231 opposes the recessed part 221, as shown in FIG. 31, the cavity TKK is formed between the mold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221 and the convex part 231. As shown in FIG.

이어서, 캐비티(TKK)에 도시하지 않는 주입구로부터 슬립을 유입시켜 각 금형의 흡인을 거친 형면으로 슬립의 퇴적 착육, 배니, 건조를 한다. 이 건조에 의해 캐비티에서는 소위 흙 죄임이 완료하기 때문에 그 후에 상기의 두가지 금형을형발한다. 그렇다면, 소성전의 상기의 벽면 부위에 상당하는 정상관로부캐스팅(TK)이 완성한다. 이렇게 하여 성형되는 정상관로부캐스팅(TK)은 상기 상하의 금형에 있어서의 요부, 철부의 금형면 형상에 의해 그 내외벽 형상이 규정되기 때문에 내외벽 형상을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내외 벽면은 금형면에 밀착하여 퇴적 착육한 측의 캐스팅면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불용의한 요철이 없이 벽면으로 된다.Subsequently, slip is introduced from an injection port (not shown) to the cavity TKK, and the slip surface is deposited, grounded, dried, and dried on a mold surface subjected to suction of each mold. Because of this drying, the so-called soil clamping is completed in the cavity, and the above two molds are subsequently formed. Then, the normal channel part casting (TK) equivalent to the said wall surface part before baking is completed. Since the inner and outer wall shapes of the top pipe casting part TK formed in this way are defined by the shape of the mol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convex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the inner and outer wall shapes can be vari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inner and outer wall surfaces of the top duct casting part (TK) can be made into the casting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d surface and deposited and deposited, the wall surface becomes unusable unevenness.

도 32는 림 캐스팅(R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shape of the metal mold | die of rim casting RK.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 캐스팅(RK)의 성형에는 상부 금형(240)과 하부 금형(242)을 이용한다. 이 상하의 두가지 금형에 있어서도 다공질부재로 이루어지는 흡인 금형이며, 각각의 금형면에 슬립을 퇴적시킨다. 상부 금형(240)은 림(14)의 상반 부분과 림(14)에 계속되는 기기수납부(1l)의 전방측 벽면 및 림 개구부 주벽을 포함하는 부위의 외벽 형상을 규정하는 형상의 형면을 갖는다. 하부 금형(242)은 림(14)의 하반 부분과 상기의 전방측 벽면 및 림 개구부 저면 주벽을 포함하는 부위의 외벽 형상을 규정하는 형상의 금형면을 갖는다. 그리고, 양 금형이 형합되어 지면 양금형의 금형면 사이에 캐비티(RKK)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캐비티(RKK)에 도시하지 않는 주입구로부터 슬립을 유입, 각 금형의 흡인을 거친 형면으로의 슬립이 퇴적 착육하여 배니, 건조를 한다. 이 경우 상기의 캐비티(RKK)에서는 상하의 금형의 금형면에 한겹으로 슬립이 퇴적 착육(着肉)하여 이 상태에서의 건조에 의해 캐비티에서는 흙 죄임이 완료한다. 따라서 그 후에 상기의 두가지 금형을 형발함과 함께 형발후의 캐스팅에 기술한 베이스부 제1토수공(41)이나 좌방중앙부토수공(43)등의 각 토수공외, 연결공(19)등을 천공 형성한다. 그렇다면 소성전의 림(14)에 해당하는 림 캐스팅(RK)이 완성된다.As illustrated, the upper mold 240 and the lower mold 242 are used for molding the rim casting RK. Also in these two upper and lower molds, it is a suction mold which consists of a porous member, and slip is deposited on each mold surface. The upper mold 240 has a shaped surface that defines the outer wall shape of the portion including the upper half of the rim 14 and the front wall surface of the appliance storage portion 1l following the rim 14 and the rim opening main wall. The lower mold 242 has a mold surface having a shape defining a lower wall portion of the rim 14 and an outer wall shape of a portion including the front side wall surface and the rim opening bottom main wall. Then, when both molds are joined together, a cavity RKK is formed between the mold surfaces of the die mold, so slip is introduced from the injection port not shown in the cavity RKK and the slip to the mold surface which has been sucked by each mold is deposited. It is fleshed and banished and dried. In this case, in the above-mentioned cavity (RKK), slip is deposited on the mol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in one layer, and soil clamping is completed in the cavity by drying in this state. Therefore, thereafter, the above two molds are molded, and each of the water jetting holes such as the base first water jetting hole 41 and the left central water jetting hole 43, etc. described in the post-molding casting are drilled. Form. If so, the rim casting RK corresponding to the rim 14 before firing is completed.

도 33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4는 이 변기 본체 캐스팅(BK)금형의 성형에 이용하는 저부 금형(250)의 개략사시도, 도 35는 도 34에 있어서의 34-34선의 단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6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분리금형(260)의 개략사시도, 도 37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분리금형(270)의 개략사시도, 도 38은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에 이용하는 한쪽 방향의 측부 금형(280)의 개략사시도, 도 39는 대변기(10)에 있어서의 기기수납부(11) 주변으로의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금형 성형의 모양과 이것에 이용하는 인사이더(inside) 분리금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3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mold forming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FIG. 3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mold 250 used for forming the toilet body casting BK mold, and FIG.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34-34 line | wire in FIG. 3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mold 260 used for metal mold | die of toilet bowl casting (BK), and FIG. 37 is a metal mold | die molding of toilet bowl casting (BK). 3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mold 270 used, FIG. 3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mold 280 in one direction used for mold molding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and FIG. 39 is an apparatus storing part of the toilet 10. 11)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metal mold | die shaping | molding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casting (BK) to the periphery, and the insider separation mold used for this.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성형에 대해서는 우선, 금형 성형 대상(도시생략)에 후술하는 볼 중앙금형(260)을 볼 철부(263)가 상향가 되도록 도립하여 탑재한다. 이어서 이 볼 중앙금형(260)을 둘러싸도록 변기 좌우의 측부 금형(280)을 형합한다. 이때 볼 중앙금형(260)에는 분리금형(270)이 다음과 같이 내장되고 있다. 그후 저부 금형(250)을 측부 금형(280)의 금형 상연에 실리도록 형합한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각 금형의 형면에서 도 33에 나타내는 캐비티(BKK)가 도립(倒立)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각 금형은 다공질재로부터 형성된 흡인 금형이며, 흡인에 의해 슬립을 금형면에 밀착 퇴적시켜, 슬립의 착육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금형에는 형합에 이용하는 이형 요부나 철부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3, about the shaping | molding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first, the ball center mold 260 mentioned later is mounted and mounted so that the ball convex part 263 may go up to a metal mold | die formation object (not shown). Next, the side molds 280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toilet are joined together to surround the ball center mold 260. At this time, the separation mold 270 is embedded in the central ball mold 260 as follows. Thereafter, the bottom mold 250 is molded to be mounted on the mold upper edge of the side mold 280. By doing in this way, the cavity BKK shown in FIG. 33 is formed in the inverted state from the mold surface of each metal mold | die. Moreover, each metal mold | die is a suction metal mold | die formed from the porous material, and a suction | gripping is made to adhere | attach a slip close to a metal mold | die surface by suction, and a slipping of a slip is caused. In addition, mold release recesses and convex portions used for molding are formed in each mold.

이 캐비티(BKK)는 변기 볼부(12)나 볼저부(13)와 이들을 지지하는 변기 본체 (BH)와 기기수납부(11)를 포함하고 정상관로부캐스팅(TK)를 제외한 사이폰 트랩(20)의 관로를 포함하는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형성을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즉, 캐비티(BKK)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전방과 변기 좌우에서는 볼 중앙금형(260)과 저부 금형(250)의 금형면에서 둘러싸인 캐비티 부위(BKK2)와, 분리금형(270)과 저부 금형(250)의 금형면에서 둘러싸인 캐비티 부위(BKK3)와, 저부 금형(250)과 측 금형(280) 및 볼 중앙금형(260)의 금형면에 둘러싸인 캐비티 부위(BKK4)와, 볼 중앙금형(260)과 분리금형(270)의 형면에 둘러싸인 캐비티 부위(BKK5)로 나누어진다. 또한 캐비티 부위(BKK5)는 도 33의 지면에서 표리 방향까지 연장하고 있고, 캐비티 부위(BKK2)와 연속한다. 캐비티 부위(BKK4)에서도 지면 표리 방향으로 연장하여 캐비티 부위(BKK2)와 연속한다.The cavity BKK comprises a toilet bowl part 12 or a ball bottom part 13, a toilet main body BH supporting them, and an apparatus storage part 11, and a siphon trap 20 except for the normal pipe part casting TK. For the formation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including the pipeline of the) is divided as follows. That is, the cavity BKK is a cavity portion BKK2 surrounded by the mold surface of the ball center mold 260 and the bottom mold 250, the separation mold 270 and the bottom mold ( Cavity part BKK3 enclosed by the mold surface of 250, Cavity part BKK4 enclosed by the mold surface of the bottom mold 250, the side mold 280, and the ball center mold 260, and the ball center mold 260 And the cavity portion BKK5 surrounded by the mold surface of the separation mold 270. In addition, the cavity part BKK5 extends to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FIG. 33, and is continuous with the cavity part BKK2. The cavity portion BKK4 also extends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of the surface and is continuous with the cavity portion BKK2.

이러한 캐비티(BKK)를 형성하기 위해 저부 금형(250)은 도 34,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합 부분으로 되는 저면부(251)를 갖고, 그 상면에 철부(252)를 갖는다. 이 철부(252)는 사이폰 트랩(20)의 관로 외벽 형성용의 철부위(253)와 기기수납부(11)의 하부벽 형성용의 철부위(254)를 갖고, 철부위(253)에는 트랩 요부(255)를 갖는다. 트랩요부(255)는 사이폰 트랩(20)안의 하강관로부(28)의 외곽벽 형상에 적합하는 외에, 변기 볼부(12)에 있어서 볼저부(13)의 하면측 외곽 형상과, 변기 볼부(12)의 하방 부위의 하면측 외곽 형상과, 변기 본체(BH)에서 하면측 각부(BHK)(도 27참조)의 하면측이나 저부측의 외벽 형상과 적합하여, 이들 형상을 규정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강관로부(28)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 만큼 좁게 되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트랩 요부(255)에 있더라도, 하강관로부(28)에 해당하는 개소에서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된다.In order to form such a cavity BKK, the bottom metal mold | die 250 has the bottom part 251 used as a part as shown to FIG. 34, FIG. 35, and has the convex part 252 on the upper surface. The convex portion 252 has the convex portion 253 for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siphon trap 20 and the convex portion 254 for forming the lower wall of the device storage portion 11. Has a trap recess 255. The trap recess 255 is not only suitable for the outer wall shape of the downcomer 28 in the siphon trap 20, but also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ll bottom 13 in the toilet bowl 12 and the toilet bowl ( 12) and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lower body side BHK (see FIG. 27) of the lower body side BHK (refer to FIG. 27) of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body BH, and formed recessed so that these shapes may be defined. have. In this case, since the downcomer 28 is tapered as narrowed downward as shown in FIG. 11, even if the trap concave portion 255 is present, the downcomer 28 has a tape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 taper shape is obtained.

철부위(254)에 있어서는 상기한 캐비티 부위(BKK4)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그 상면 형상이 기기수납부(11)의 하부벽의 하면측 외곽 형상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기수납부(11)의 하부벽에 대한 캐스팅는 철부위(254)와 후술의 측부 금형(280) 및 볼 중앙금형(260)에 의해서 그 전역이 형성된다.In the convex part 254, the upper surface shape is formed so that it may be suitable for the outer side shape of the lower wall of the lower wall of the apparatus storage part 11 so that a part of above-mentioned cavity part BKK4 may be formed. Also, the casting of the lower wall of the device storage unit 11 is formed by the iron portion 254, the side mold 280 and the ball center mold 260 to be described later.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중앙금형(260)은 그 상단으로 다음의 좌우의 측부 금형(280)의 상연과 형합 부분으로 되는 상부상연부(261)와, 기술한 림 캐스팅(RK)과의 이음 부위를 성형하기 위한 하부상연부(26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볼 중앙금형(260)은 하부상연부 상면에 볼 철부(263)와 후부철부(264)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6, the ball center mold 260 has an upper upper edge portion 261, which is the upper edge of the next left and right side molds 280 and a joining portion, and the rim casting RK described above. A lower upper edge portion 262 for molding the joint portion is provided. The central ball mold 260 has a ball convex portion 263 and a rear convex portion 264 on the upper upper edge portion.

볼 철부(263)는 그 하단에 볼 저부(13)의 내주벽 형상을 규정하도록 철 형상에 형성된 하단철부(265)를 갖춘다. 이 하단철부(265)는 상승관로부(24)의 트랩 입구(22)(도 2,도 3참조)의 개구 형상에 적합하여 형성된 단부절차부(266)를 갖는다.The ball convex portion 263 has a lower convex portion 265 formed in the concave shape to define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hape of the ball bottom portion 13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lower convex portion 265 has an end procedure portion 266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 opening shape of the trap inlet 22 (see Figs. 2 and 3) of the upward conduit portion 24.

이 하단철부(265)를 제외하는 볼 철부(263)의 철형상은 변기 볼부(12)의 내주벽형상 전역, 자세하게는 도 2나 도 3등에 나타내는 상연주벽(55)이나 경사부(60),경사부(61), 하단선반부(62) 및 후방경사부(63)의 내주벽 형상에 적합하여 이들 형상을 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onvex shape of the ball convex portion 263 excluding the lower convex portion 265 is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hape of the toilet bowl portion 12, the upper circumferential wall 55 or the inclined portion 60 shown in Figs. The inclined portion 61, the lower shelf portion 62,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63 are formed so as to define the shap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후부 철부(264)는 볼철부(263)와 대향하는 측에 후술하는 분리금형(270)을 삽입, 붙이게 하기 위해 삽입요소(268)를 갖는다. 그리고 이 후부 철부(264)는 상기한 캐비티 부위(BKK4)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그 하단면과 후부 단면(도면에 있어서 좌방 단면)을 기기수납부(11)의 하부벽 및 후부벽의 내면측 외곽 형상에 적합시키고 있다.The rear convex portion 264 has an insertion element 268 to insert and paste the separation mold 270 described later on the side opposite the ball convex portion 263. In addition, the rear convex portion 264 has a lower end surface and a rear end surface (left side cross section in the drawing) so as to form part of the cavity portion BKK4 described above, and an inner surface side outer edge of the lower wall and the rear wall of the device storage portion 11. We are adapted to shape.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금형(270)은 상기한 볼 중앙금형(260)에 있어서 삽입요소(268)에 들어가는 삽입부위(271)와, 관로 형성용 철부(272)를 두 갈래 형상으로 접합하여 구비한다. 이 경우 삽입부위(271)와 삽입요소(268)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삽입부위(271)를 삽입요소(268)에 삽입시켜 분리금형(270)을 도립한 볼 중앙금형(260)에 내장한 상태에서 덜컹거리지 않게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형발 작업시에 볼 중앙금형(260)과 분리금형(270)이 독립해서 형발하도록 삽입부위(271)와 삽입요소(268)는 그 치수, 형상의 조정을 받고 있다.As shown in FIG. 37, the separation mold 270 joins the insertion part 271 that enters the insertion element 268 and the conduit forming convex part 272 in a bifurcated shape in the above-described ball center mold 260. It is provided by.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ertion part 271 and the insertion element 268 is as follows. That is,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271 in the insertion element 268, the cavity can be formed so as not to rattle in the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mold 270 is embedded in the inverted ball center mold 260, and a molding operation described later. The insertion part 271 and the insertion element 268 are adjusted in the dimension and shape so that the ball center mold 260 and the separation mold 27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또한, 분리금형(270)에는 트랩 개구 성형용의 부속 금형(273)이 부속하고 있고, 쌍방의 형에 매설된 도시없는 마그네트(Magnet)에 의해 관로 형성용 철부(272)의 하단측 측면에 부속 금형(273)이 자력 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분리금형(270)에 자력 밀착된 부속 금형(273)은 형합 완성 상태에서 볼 중앙금형(260)인 하단철부(265)의 단부 저결부(266)에 스키(ski)없게 접합한다. 또한 분리금형(270)은 이 상태에서 관로 형성용철부(272)와 이것에 대향하는 볼철부(263)와의 사이에 스키(ski)를 남겨 이 스키를 상기한 캐비티 부위(BKK5)로 한다.In addition, an accessory mold 273 for forming trap openings is attached to the separation mold 270,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side surface of the conduit-forming convex portion 272 by magnets (not shown) embedded in both molds. The mold 273 is in close magnetic contact. In this way, the accessory mold 273 magne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eparation mold 270 is bonded without skiing to the end bottom part 266 of the lower convex portion 265 that is the ball center mold 260 in the mold completion state. In addition, in this state, the separation mold 270 leaves ski between the conduit forming convex portion 272 and the ball convex portion 263 opposite to this to form the ski as the cavity portion BKK5.

관로 형성용 철부(272)은 사이폰 트랩(20)에서 상승관로부(24)의 관로내벽형상에 적합하여 해당 내벽 형상을 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로 형성용 철부(272)와 삽입 부위(271)의 또한 상연결부(274)는 정상관로부(26)가 갖는 정상둑(30)과 설부(71)의 관로측 벽면 형상에 적합하여 이들 형상을 규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삽입 부위(271)의 도면에서 하단면 부위(275)는 수지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해당 영역에 슬립이 착육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하단면 부위(275)를 수지 피복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부위에 착육한 슬립을 형발 후에 절차도록 하면 좋다.The conduit forming portion 272 is formed so as to conform to the conduit inner wall shape of the ascending conduit 24 in the siphon trap 20 to define the inner wal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274 of the conduit forming portion 272 and the insertion portion 271 is suitable for the pipe side wall shape of the top bank 30 and the tongue 71 of the top pipe portion 26, It is formed to define the shape. In the drawing of the insertion part 271, the lower end part 275 is covered with resin etc., and slip is not worn in the said area | region. In the case where the lower surface portion 275 is not covered with resin, the slip that has been landed on the portion may be performed after molding.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 금형(280)은 좌우의 측부 금형 끼리의 형합 부분으로 되는 변기 전방측 연부(281)와, 변기 후방측 연부(282)와, 저부 금형(250)과의 형합 부분으로 되는 저연부(283)와, 저부 금형(250)의 요부위(254)의 측면과의 형합 부분으로 되는 하단측 연부(284)를 갖는다. 그리고 측형(280)은 이들 연부에서 둘러싸인 부위를 외주 요부(285)로 한다. 이밖에 외주 요부(285)는 기기수납부(11)를 포함하는 변기 본체(BH)의 외벽 형상에 적합하여 해당 형상을 규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8, the side metal mold | die 280 joins the toilet front side edge part 281 which becomes the mating part of right and left side mold parts, the toilet rear side edge part 282, and the bottom metal mold 250. As shown in FIG. The lower edge part 283 used as the lower edge part 284 used as a matching par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254 of the bottom metal mold 250 is provided. And the side shape 280 makes the part enclosed by these edges the outer peripheral recessed part 285.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recess 285 is formed so as to conform to the outer wall shape of the toilet body BH including the device storage unit 11 so as to define the shape.

이들 저부 금형(250)내지 측부 금형(280)을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합하면 기술한 캐비티(BKK)가 각 금형면에서 형성된다. 이 경우 기기수납부(11)를 형성하기 위한 변기 후부 부위에서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 금형(280)과 볼 중앙금형(260)의 후부 철부(264)와의 사이에 적정한 캐비티 부위(BKK4)를 기기수납부(11)의 주벽 형상에 모방해서 형성해야 하는 인사이드(inside) 분리금형(290∼293)이 내장된다.When these bottom molds 250 to side molds 280 are joined as shown in Fig. 33, the above described cavity BKK is formed on each mold surface. In this case, at the rear part of the toilet for forming the apparatus storing part 11, as shown in FIG. 39, a cavity portion BKK4 suitable between the side mold 280 and the rear convex portion 264 of the ball center mold 260. The inside separation molds 290 to 293 which have to imitate the shape of the main wall of the device storage unit 11 are formed.

이렇게 해서 상기의 각 금형과 그 형합에 의해 변기 본체캐스팅(BK) 형성용의 캐비티(BKK)가 형성되면 이 캐비티(BKK)에 도시하지 않는 주입구로부터 슬립을 유입시켜 각 금형의 흡인을 거친 금형면으로의 슬립의 퇴적 착육, 배니, 건조를 한다. 이 경우 상기의 캐비티(BKK)에 있어서 캐비티 부위(BKK1)와 캐비티 부위(BKK3)에서는 각각의 금형의 금형면에 한겹으로 슬립이 퇴적 착육하고 그외 캡(cab) 부위에서는 대향하는 금형면 사이가 슬립으로 메워진 상태의 이른바 두겹의 착육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의 건조에 의해 캐비티에서는 흙 죄임이 완료하여 캐비티(BKK)에서 변기 본체 캐스팅(BK)이 완성된다.In this way, when the cavity BKK for forming the toilet body casting BK is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olds and their mating, slip surface is introduced into the cavity BKK from the injection port not shown, and the mold surface undergoes suction of each mold. We deposit, slip, dry, and dry of slip to. In this case, in the above-mentioned cavity (BKK), slip is deposited and deposited on the mold surface of each mold in the cavity area (BKK1) and cavity area (BKK3) in one layer, and slip between the opposing mold surfaces in the other cab area. It becomes so-called double layering of the state filled with. And by the above-mentioned drying, the earthen clamping is completed in the cavity, the toilet body casting (BK) is completed in the cavity (BKK).

여기서 각 캐비티부위와 캐스팅와의 대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avity parts and the casting will be described.

캐비티 부위(BKK1)에서는 변기 볼부(12)의 내주벽 영역중, 변기 볼부(12) 상연의 상연주벽(55)과 경사부(60)의 전역 및 경사부(61)의 거의 전역의 캐스팅외, 변기 본체(BH)에 있어서 하면측 각부(BHK)나 변기 본체 전방으로부터 그 좌우 측벽에 걸치는 부위의 캐스팅이 형성된다. 캐비티 부위(BKK2)에서는 경사부(61)와 하단 선반부(62)의 이음 부분이나 하단 선반부(62)와 볼 저부(13)의 전 영역의 캐스팅이 형성된다. 캐비티 부위(BKK3)에서는 사이폰 트랩(20)에 있어서 상승관로부(24)의 하단측관로벽(하강관로부(28)와의 구획벽)과 이것에 연속하는 정상둑(30)과 설부(71)외, 하강관로부(28)의 만곡관로부(72), 중간관로부(73)의 관로와, 이 관로에서의 상부관로선반부(75)나 하부관로선반부(77) 및 외주벽부(76)를포함하는 캐스팅이 형성된다. 캐비티부위(BKK4)에서는 기기수납부(11)를 둘러싸는 변기 벽면에 걸친 캐스팅이, 캐비티 부위(BKK5)에서는 변기 볼부(12)와 상승관로부(24)를 구획하는 후방경사부(63)의 전역과 상기의 변기 볼부 내주벽에 연결되는 부위의 캐스팅이 각각 형성된다.In the cavity part BKK1, besides the casting of the periphery circumference wall 55 and the inclination part 60 of the inner periphery wall area | region of the toilet bowl part 12, and the substantially whole area of the inclination part 61, In the toilet main body BH, casting of the site | part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side angle | angular part BHK or the toilet main body front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s formed. In the cavity part BKK2, casting of the joint part of the inclination part 61 and the lower shelf part 62, or the whole area | region of the lower shelf part 62 and the ball bottom part 13 is formed. In the cavity part BKK3, in the siphon trap 20, the lower side side wall (the partition wall with the down side pipe part 28) of the rising line part 24, and the summit bank 30 and the tongue 71 which are continuous to this In addition, the curved pipeline 72, the intermediate pipeline 73 of the descending pipeline 28, the upper pipeline shelf 75 or lower pipeline shelf 77 and the outer wall portion ( A casting comprising 76) is formed. In the cavity part BKK4, the casting over the toilet wall surface surrounding the apparatus storage part 11 is carried out, and in the cavity part BKK5, the casting of the rear inclination part 63 which separates the toilet bowl part 12 and the rising conduit part 24 is carried out. Casting of the site | part connected to the whole area and the said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toilet bowl part is formed, respectively.

이렇게 해서 건조를 거쳐 흙 죄임 완료후는 상기의 각 금형을 형발한다. 우선 최상부에 세트된 저부 금형(250)을 일으켜 탈형하고, 탈형 후의 캐스팅에 있어서 하강관로부(28)의 하단에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공(77mk)을 연다. 또한 이 관통공(77mk) 주위 하단벽 부위가 도 2등에 나타내는 하부 관로선반부(77)로 된다. 이후 탈형된 부분의 캐스팅을 지지하기 위해 받은 판을 저부 금형(250)을 교대로 세트(set)하고 금형 전체를 회전하여 성형된 변기 본체 캐스팅(BK)를 정규의 방향에 되돌린다. 이후, 회전에 의해 상부에 위치하는 볼 중앙금형(260)을 들어 올린다. 이 경우, 분리금형(270)은 캐비티 부위(BKK5)에서 흙 죄임한 캐스팅에서 상방향으로 대해서는 약간의 구속력을 받는 것으로 기술한 삽입 부위(271)와 삽입 요소(268)의 관계(치수,형상 조정)에 의해 볼 중앙금형(260)은 단독적으로 일어난다.In this way, after completion of the earthen clamping, the molds described above are formed. First, the bottom die 250 set at the top is raised and demolded, and a through hole 77mk is opened at the lower end of the downcomer 28 in the casting after demolding,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lower end wall part periphery of this through hole 77mk becomes the lower pipe shelf part 77 shown in FIG. Thereafter, the plate received in order to support the casting of the demolded portion is alternately set the bottom mold 250, and the entire mold is rotated to return the molded toilet body casting BK to the normal direction. Thereafter, the ball center mold 26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is lifted by the rotation. In this case, the separation mold 270 has a relation (dimension, shape adjustment) between the insertion site 271 and the insertion element 268, which is described as being slightly constrained upward in the soil-cast casting in the cavity region BKK5. By means of the center ball mold 260 occurs alone.

볼 중앙금형(260)의 탈형후 분리금형(270)을 도 33의 도시 형상을 반전시킨 자세에 있어서 경사지게 상부 후방으로 향해서 들어 올려 이것을 형발한다. 이때에 분리금형(270)에 자력 밀착하고 있는 부속금형(273)은 캐비티 부위(BKK5)에서 흙 죄임한 캐스팅에서 경사져 상부 방향에 대해 더욱더 또한 약간의 구속력을 받는 것으로부터 분리금형(270)은 자력 밀착력에 저항하여 부속금형(273)을 따르지 않고탈형되고, 그 후에 부속 금형(273)을 탈형하면 트랩 개구가 정밀하게 형성된다. 그후는 인사이더 분리금형(290)∼293)의 형발을 행한 단계에서 소성전의 변기 본체(BH)에 해당하는 변기 본체캐스팅(BK)이 완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먼저 형성된 대변기(1O)의 제조에 필요한 총 캐스팅, 즉, 정상관로부캐스팅(TK), 림캐스팅(RK), 말단관로캐스팅(MK), 변기 본체캐스팅(BK)을 다음과 같이 하여 일체화한다.After demolding the ball center mold 260, the separation mold 270 is lifted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upper rear in the inverted posture of FIG. 33 to form this. At this time, the accessory mold 273,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paration mold 270, is inclined in the soil-tight casting in the cavity portion BKK5, and thus the separation mold 270 is magnetically forced from being slightly restrained in the upper direction. Resisting without sticking to the accessory mold 273 in response to the adhesion force, and after the mold die 273 is demolded, the trap opening is precisely formed. Thereafter, the toilet body casting BK corresponding to the toilet body BH before firing is completed at the stage in which the insider separation molds 290 to 293 are formed, and thus, the gun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toilet 10 formed here. Casting, ie, normal conduit casting (TK), rim casting (RK), end conduit casting (MK), and toilet body casting (BK) are integrated as follows.

우선, 변기 본체캐스팅(BK)에 정상관로부캐스팅(TK)과 말단관로캐스팅(MK)을 접합한다. 정상관로부캐스팅(TK)의 접합에 있어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본체캐스팅(BK)중의 상승관로부(24)와 하강관로부(28)를 연결시켜 사이폰 트랩(20)의 관로를 막도록 한다. 또한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접합에 있어서는 대변기(1O)의 출하하는 곳의 배수구 상황이나 러프인의 상황에 더불어 하강관로부(28)와 위치 정렬을 실행한다. 예컨대, 소성전의 말단관로부(74)가 변기 설치에 따라 배수구에 삽입할 수 있는 것 같은 위치로 하기도 한다. 또,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접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변기 본체 캐스팅(BK)의 상연에 림캐스팅(RK)를 접합시켜 그후 변기 본체 캐스팅(BK)를 지지하고 있었던 좌우의 측부 금형(280)을 제거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대변기(10)의 캐스팅은 건조를 거친 뒤 소정의 소성 조건에서 소성을 실행하여 대변기(10)를 완성시킨다. 또한 소성후에는 세정수 급수장치(100)의 내장을 실행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탱크식에서 급수관(151)이나 저류 탱크 장치(150)를 내장한다.First, the main line casting (TK) and the end pipe casting (MK) are joined to the toilet body casting (BK). In the joining of the top pipe portion casting (TK), as shown in FIG. 27, the pipe line of the siphon trap 20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up pipe portion 24 and the down pipe portion 28 in the toilet body casting BK. Stop it. In addition, in the joining of the end pipe casting MK, position alignment with the downcoming pipe part 28 is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situation of the drain port at the place where the toilet 10 is shipped or the rough in. For example,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before firing may be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ccording to the toilet seat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joining of end pipe channel casting (MK) is mentioned later. Subsequently, the rim cast RK is joined to the upper edge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 and then the left and right side molds 280 that are supporting the toilet body casting BK are removed. The casting of the toilet 10 thus obtained is dried and then fired under a predetermined firing condition to complete the toilet 10. After firing, the washing water feeder 100 is built. In the tank type shown in FIG. 26, the water supply pipe 151 and the storage tank apparatus 150 are buil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폰 작용의 발생, 계속을 종래에는 없는 소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에서 일으키는 특징이 있는 대변기(10)의 제조에 대해서 소성전의 캐스팅 상태에서는, 사이폰 트랩(20)의 정상관로부(26)의 만곡관로에서는, 정상둑(30)과 대향하는 관로벽면으로 되는 벽면 부위의 정상관로부캐스팅(TK)이, 상승관로부(24)의 연결부로부터 하강관로부(28)와의 연결부까지의 사이에 걸쳐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따라서 상승관로부(24)의 내벽이나 정상둑(30) 및 설부(71)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금형(270)을 볼 중앙금형(260)에 내장함으로써 변기 본체 캐스팅(BK)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분리금형(270)의 금형면에 밀착 퇴적한 측의 캐스팅을 상승관로부(24)의 내벽면이나 정상둑(30) 및 설부(71)의 벽면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 부위를 요철이 없는 내벽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는 외에, 기존의 금형 성형에서는 형성 불가능한 관로내 돌출 부위(설부(71))를 갖는 것 같은 정상둑(30)으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of the toilet 10 characterized by the occurrence and continuation of the siphon action in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t a low flow rate, which is not conventionally performed, in the casting state before firing, the top pipe portion of the siphon trap 20 In the curved line of (26), the top line part casting (TK) of the wall surface part which becomes the pipe wall surface facing the top bank 30 is 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part of the ascent line part 24 to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descending line part 28. It does not exist in between. Accordingly, the toilet body casting BK may be formed by embedding the separation mold 270 for forming the inner wall, the top bank 30, and the tongue 71 of the upward conduit 24 in the ball center mold 260. . For this reason, the casting on the side closely deposited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paration mold 270 can be used a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scending pipe section 24 or the wall surface of the top bank 30 and the tongue 71. In addition to having no inner wall, it is possible to have a top bank 30 that has a protruding portion (sulting portion 71) in the conduit that cannot be formed in conventional mold molding.

이러한 상승관로부(24)나 정상둑(30) 형성을 위한 분리금형(270)에 대해서는 볼 중앙금형(260)의 삽입요소(268)로의 내장이 필요하다고 하는 제약을 받지만, 금형 형상에 관해서는 자유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사이폰 트랩 관로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사이폰 트랩 관로 형상이 다양화한 대변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구나, 분리금형(270)의 부속금형(273)과 볼 중앙금형(260)의 하단철부(265)를 접합시켜 해당 장소를 트랩 입구(22)의 개구 장소로 하여 트랩 입구(22)를 높은 치수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The separation mold 270 for the formation of the upward conduit 24 or the top bank 30 is subject to the restriction that the ball center mold 260 need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element 268. Since the degree of freedom increases, the siphon trap line shape can be diversifi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a toilet with a diversified siphon trap pipe shape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trap inlet 22 has a high dimension by joining the accessory mold 273 of the separation mold 270 and the lower convex portion 265 of the ball center mold 260 as the opening of the trap inlet 22. It can be formed with precision.

또한, 분리금형(270) 및 부속금형(273)에 의해 정상둑(30)과 트랩 입구(22)의 형상을 규정하기 때문에 이들의 형상에 의존한다. 볼부 유수의 봉수 높이(정상둑(30)과 트랩 입구(22) 상단과의 높고 낮은 차이와 같다)를 정밀하게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top bank 30 and the trap inlet 22 is defined by the separation mold 270 and the accessory mold 273, it depends on these shape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obtain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ball portion flowing water (equivalent to the high and low difference between the top bank 30 and the upper end of the trap inlet 22).

덧붙여서 말하자면 봉수 높이는 배수관으로부터의 소동물이나 오물을 역류하기 위한 트랩 성능을 규정하는 것이어서 일정 이상의 높이가 필요한다. 그러나 이것이 그다지 지나치게 크면, 볼부 유수에 부유하는 오물이 트랩 입구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거리가 커져 오물의 배출성능이 저하한다. 따라서 이들 기능 확보를 위해 봉수 높이를 적절한 범위의 값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봉수 높이를 고정밀도로 할 수 있는 점에서도 본 발명의 대변기 및 그 제조 방법은 그 외에 없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Incidentally, the height of the seal defines the trap performance for backflowing small animals or dirt from the drain pipe, and therefore, a certain height is required. However, if this is too large, the moving distance of the dirt floating in the ball flowing water to reach the trap inlet becomes large and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the dirt de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se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set the height of the seal in an appropriate range, so that the toil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that the toil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 other advantage.

또한, 배수구에 삽입되는 말단관로부(74)를 캐스팅 상태에서 별체로 한 것이어서 소성후의 말단관로부(74)를 포함하는 변기 전체가 도기제이면서 이 대변기(10)의 설치시에 말단관로부(74)를 배수구에 삽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등의 사전설치나 소켓 제조를 위한 공정, 설비 관리가 불필요하여지고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말단관로부(74)가 배수구에 삽입 배치 가능한 것으로부터 이 말단관로부(74)를 갖는 사이폰 트랩(20)을 도기채로 배수구 수단에 적합할 수 있다. 첨가하여 말단관로부(74)를 여성 금형(200)과 남성 금형(210)으로 형성하고 그 외벽 형상을 배수구 삽입 형편이 좋은 원통형으로 하면서 내벽 형상을 기술한 바와 같이 면봉 등의 바람직한 배출이나 사이폰 작용 발생을 위한 세정수 저장에 적합한 타원 형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변기(10) 자체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in a separate state in the casting state, so that the entire toilet including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after firing is a ceramic material and the terminal pipe por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toilet 10) 74)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pre-installation of the socket,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ocket, and facility management, and the cost is advantageous. Further, since the end pipe portion 74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the siphon trap 20 having the end pipe portion 74 can be fitted to the drain hole means. The end pipe portion 74 is formed into the female mold 200 and the male mold 210 by adding the outer wall shape 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good drainage insertion shape, and the inner wall shape is describ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liptic shape suitable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for generating the action. Therefore, the added value of the toilet 10 itself can be increased.

이후,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로서는 대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에 의한 사이폰 작용 발생을 행한 것으로서 사이폰 트랩의 관로 형상은 기존의 것과 거의 같다. 도 40은 다른 실시예의 대변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siphon action is generated by washing water supply at a large flow rate, and the pipe shape of the siphon trap is almost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40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toilet 300 of another embodiment.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대변기(300)는 단순히 만곡한 사이폰 트랩(20A)을 갖고, 그 상승관로부(24A)을 트랩 입구(22A)를 거쳐서 변기 볼부(12A)에 임하게 하고 있다. 또한 림(14)에 관해서는 기술한 대변기(10)와 그 형상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했지만 림으로부터의 세정수 급수는 약 100∼150리터 정도라고 한 대유량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is toilet 300 has 20 A of siphon traps simply curved, and makes the up-coming part 24A face the toilet bowl part 12A via the trap inlet 22A. The rim 14 is similarly described for the toilet 10 described above and its shape, but it is assumed that the flushing water supply from the rim is about 100 to 150 liters.

이 대변기(300)의 사이폰 트랩(20A)은 대변기(10)와 같이 트랩 입구(22A)에서 변기후방측으로 경사져 상방으로 향한 관로를 형성하는 상승관로부(24A)와, 상승관로부(24A)의 상단에 연결하여 하방으로 향해서 만곡한 정상관로부(26A)와, 정상관로부(26A)에 연결하여 하강하는 하강관로부(28A)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의 대유량에서의 세정수 급수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정상관로부(26A)에는 변기 볼부(12A)의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만곡 볼록 형상의 정상둑(30A)를 갖는 것에 지나지 않고, 상기 각 관로는 거의 동일의 관로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변기(300)에 있더라도 하강관로부(28A)의 말단 부분은 캐스팅의 상태에서는 림(14)과 변기 본체(BH) 및 사이폰 트랩(20A)를 포함하는 변기 본체캐스팅(BKA)과는 다른 몸의 말단관로캐스팅(MK)으로 되어 있다. 이 말단관로캐스팅(MK)은 대변기(1O)의 경우와 같이 캐스팅 소성에 앞서 변기 본체캐스팅(BKA)의하강관로부(28A) 말단에 접합된다. 또한 본체 캐스팅(BKA1), 저부 금형, 좌우의 측부 금형, 볼 중앙금형으로 사이폰 트랩(20A) 부분을 일체로 캐스팅 성형되고 림(14)의 림캐스팅(RK)는 변기 본체 캐스팅(BK)과 별체로 된다.The siphon trap 20A of the toilet 300 is inclined to the rear of the toilet from the trap inlet 22A, like the toilet 10, and the ascending pipe portion 24A and the ascending pipe portion 24A which form a conduit upward. It has a top conduit part 26A cur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connecting to the upper end, and a descending conduit part 28A descending by connecting to the top conduit part 26A. However, since the premise of washing water supply at the above-mentioned large flow rate is assumed, the top pipe portion 26A has only a curved convex top bank 30A that defines the flow level of the toilet bowl 12A. Each pipe | tube has the substantially same pipe cross-sectional shape. And even in the toilet 300,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downcomer 28A is different from the toilet body caster BKA including the rim 14 and the toilet body BH and the siphon trap 20A in the casting state. The other body is endotracheal casting (MK). This end pipe casting (MK) is joined to the end of the downcomer part 28A of the toilet body casting (BKA) prior to casting firing, as in the case of the toilet 10. In addition, the siphon trap 20A is integrally cast and formed by the main body casting (BKA1), the bottom mold, the left and right side molds, and the ball center mold, and the rim casting (RK) of the rim 14 is combined with the toilet body casting (BK). It becomes a separate body.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배수구에 삽입되는 말단관로부(74)를 캐스팅 상태로 별체로 했기 때문에 기술한 말단관로부(74)에 대한 상기 효과를 연주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nd pipe portion 74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is separately formed in the casting state, the above-described effect on the end pipe portion 74 described above can be played.

이후,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접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말단관로부(74)를 캐스팅 상태에서 별체로 두고 일어난 소성전의 말단관로부(74)가 배수구에 삽입 가능하게 했다. 이 경우, 말단관로부(74)의 하단을 변기 저면보다 좀 적게 한 높이로 하는 때에는 배수구를 화장실 상면에서 일으키면 좋다. 그리고 상면에서 상승한 배수구와 이것에 삽입된 말단관로부(74)의 사이에 적절한 밀봉 부재(packing등)을 배치하면 배수누설을 보다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것외에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도 41은 여러가지의 러프인으로의 대응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2는 말단관로부(74)와 배수구와의 이음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Next, the conjugation of the end pipe casting (MK)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nd pipe portion 74 before firing, which has been made separately from the end pipe portion 74 in the casting state,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In this case, when making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pipe part 74 a height less than the bottom of a toilet bowl, a drainage outlet may be raised in the toilet upper surface. If a suitable sealing member (packing, etc.) is disposed between the drainage port rais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inserted therein, drainage leakage can be more reliably avoided. In addition to these, the following can be done. FIG. 41: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corresponding shape to various rough ins, and FIG. 42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joint shape of the terminal pipe part 74 and a drain.

러프인은 일본에서는 그 대부분이 약 200mm 정도라고 되고 있고, 미국에서는 약 305mm, 중국에서는 약 305mm 내지 405mm, 타이완에서는 약 405mm라는 것과 같이 나라나 지역에 따라서 다르다. 상기의 실시예로서는 러프인이 약 20Omm의 일본의 경우를 상정하고 설명했지만, 다른 러프인의 대응에는 다음과 같다. 도 41(a)는 러프인 200 대응하는 모양을, 도 41(b)은 러프인 305 대응하는 모양을 도 41(c)은 러프인 405 대응하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러프인(Rf)이 상위하면, 변기 후단으로부터 말단관로부(74)(상세하게는 그 통수공 센터위치)까지 사이의 거리(Brf)도 다르게 되고 이 거리(Brf)는 러프인(Rf)에 따라 정해진다.Rough people are said to be about 200mm in Japan, about 305mm in the US, about 305mm to 405mm in China, and about 405mm in Taiwa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ough in is assumed and described in the case of Japan of about 20 mm, but the other rough in correspondence is as follows. FIG. 41A shows the rough 200 corresponding shape, FIG. 41B shows the rough 305 corresponding shape, and FIG. 41C shows the rough 405 corresponding shape. As shown in these figures, when the rough in Rf is different, the distance Brf between the rear end of the toilet and the end pipe portion 74 (in detail, the center of the water supply hole) is also different, and this distance Brf.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ugh in Rf.

이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러프인(Rf)이 좁으면 말단관로캐스팅(MK)은 변기 후단측에 의한 위치에 접합되어 변기 본체 캐스팅(BK)과 함께 소성된다. 그리고 러프 인(rough-in)(Rf)이 넓게 됨에 따라서 말단관로캐스팅(MK)을 변기 볼측에 어긋난 위치에 접합시켜 변기 본체캐스팅(BK)과 함께 소성한다. 즉, 러프인에 따라서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접합 위치를 조정한다. 이 조정은 러프인(Rf)에 따라 정해지는 상기의 거리(Brf)를 도모하면서 실행한다. 또한 러프인(Rf)(405)의 경우와 같이 변기 볼측으로의 어긋난 량이 큰 경우는 하강관로부(28) 하단의 통수공을 피복하게 할 수 있도록 말단관로캐스팅(MK)(말단관로부(74))에 대해서도 그 형상을 큰 것으로 한다. 즉, 러프인(Rf)에 따라 말단관로캐스팅(MK)(말단관로부(74))의 형상이 다른 것을 복수 준비해서 변기 설치지역의 러프인 실상에 따라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접합 위치를 변기 제조의 단계에서 실행하는 것이다. 이렇게하면, 변기 본체 캐스팅(BK)을 공통화해 두는 것, 즉 형 사이즈가 크고 그 제조나 보관 등의 관리가 번잡한 변기 본체캐스팅(BK)의 금형 성형용의 형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은 캐스팅 부품에서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제조에 필요한 금형(도 28참조)을 준비하면 바람직하므로 금형 제조나 그 관리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말단관로캐스팅(MK)의 접합, 그 후의 소성을 거쳐서 얻어진 변기는 배수구 수단의 하나인 러프 인(rough-in)으로의 적합을 도기제 변기 자체로 도모할수 있다.As shown in Fig. 41, when the rough in Rf is narrow, the end pipe casting MK is joined to the position by the toilet rear end side and fired together with the toilet body casting BK. As the rough in (Rf) becomes wider, the end tube casting (MK) is joined to a position shifted to the toilet bowl side and fired together with the toilet body casting (BK). That is, the joint position of the end pipe casting (MK)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ugh in. This adjustment is performed while the above-mentioned distance Brf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ugh-in Rf. In addition, when the displacement amount toward the toilet bowl side is large as in the case of the rough in (Rf) 405, the end pipe line casting (MK) (terminal pipe section 74) to cover the water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wncoming pipe section 28 The shape is also large for)). That is, a plurality of shapes of the end pipe casting (MK) (the end pipe passage 74) differ depending on the rough in (Rf) are prepared, and the joint position of the end pipe casting (MK)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ugh condition of the toilet seat installation area. This is done at the stage of toilet manufactur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commonize the toilet body casting BK, that is, the mold for molding the toilet body casting BK, which has a large mold size and complicated management of manufacture and storage.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mold (see Fig. 28)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end pipe casting (MK) from a small casting part, so that the mold production and its management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toilet obtained through the joining of end pipe casting (MK) and subsequent firing can be adapted to the ceramic toilet itself to be suitable for rough-in, which is one of drainage means.

또한 도 41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말단관로캐스팅(MK)(말단관로부(74))이 큰 것으로 한 경우에는 이 관로부는 배수구에 삽입할 수 없지만 다음과 같이 하면 바람직하다. 즉, 말단관로부(74)의 하면에서 배수구를 둘러싸는 환상 밀봉 부재를 가압하도록 하여 배수구 주위를 밀봉(seal)하도록 하면 배수 누설을 일으키는 일 없이 배수구에 세정수를 배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1 (c), when the end pipe casting (MK) (the end pipe part 74) is made large, the pipe part cannot be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bu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s follows. In other words, when the annular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drain port is pressuriz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pipe portion 74 to seal around the drain port, the washing water can be drained to the drain port without causing drainage leakage.

이후 말단관로부(74)를 상으로부터 상승한 배수구에 삽입하는 것은 아니고, 거의 상면까지 된 배수구와 말단관로부(74)와의 이음의 모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수법은 상면까지의 배수구(HS)에 배수 컨넥터(HSC)을 배치한다. 이 배수 컨넥터(HSC)는 관 형상을 하여, 그 상반분의 파지부(UP)에서 말단관로부(74)를 파지하면서 밀봉(seal)을 도모한다. 또한 이 배수 컨넥터(HSC)는 그 하반분의 삽입부(DP)를 배수구(HS)에 유입시켜서 배수 밀봉(seal)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배수구(HS)에 대향한 말단관로부(74)를 배수 컨넥터(HSC)를 거쳐서 배수구(HS)에 연결될 수가 있어 배수 밀봉(seal)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이 배수 소켓(HSC)은 파지부(UP)와 삽입부(DP)를 단순히 연결시킨 직관형상이며 그 형상은 통일되는 것으로 변기설치시 착오없이 그 취급이 간편하여 진다.After that, the end pipe portion 74 is not inserted into the drain opening raised from the top, but the shape of the joint between the drain hole extending up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end pipe portion 74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42A, the first method arranges the drain connector HSC at the drain port HS up to the upper surface. The drain connector HSC has a tubular shape, and seals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at the upper half of the grip portion UP. In addition, the drain connector HSC introduces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DP into the drain port HS to achieve a drain seal. In this way,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facing the drain port HS can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HS via the drain connector HSC, thereby ensuring a drain seal. And, this drain socket (HSC) is a straight pipe shape that simply connected the holding portion (UP) and the insertion portion (DP) and its shape is unified, the handling is easy without error when installing the toilet bowl.

제2수법은 도 4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말단관로부(74)를 하단근방주벽에 원반형상의 플랜지(74f)를 갖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형상의 말단관로부(74)의 제조에는 도 28에 나타낸 여성 금형(200)을 상하 분할 가능한 것으로서 그 분할 형면에 플랜지(74f) 형성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변기 설치에 앞서서 배수구(HS)의 상단에 플랜지를 갖는 배수 플랜지(HSF)를 삽입시켜 말단관로부(74)의 플랜지(74f)와 배수 플랜지(HSF)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환상 밀봉부재(이른바 P 밀봉(seal))을 배치한다. 그리고 말단관로부(74)의 플랜지(74f)에서 P 밀봉(seal)을 압압하여 배수구(HS)의 주위를 밀봉(seal)하여 배수 누설을 회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배수구(HS)와의 이음이나 배수편 회벽을 말단관로부 (74) 자체로 실행하는 수 있어 굴곡등한 소켓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as shown in Fig. 42 (b), the end pipe portion 74 has a disk-shaped flange 74f on the lower end peripheral wall. In the manufacture of the terminal pipe portion 74 having such a shape, the female mold 200 shown in FIG. 28 may be divided up and down, and a cavity for forming the flange 74f may be formed on the divided mold surface. Then, prior to installing the toilet, the annular sealing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flange 74f of the end pipe portion 74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drain flange HSF by inserting a drain flange HSF having a flange at the top of the drain hole HS. (So-called P seal) is placed. The P seal may be pressed at the flange 74f of the end pipe portion 74 to seal the periphery of the drain port HS so as to avoid drainage of the drain. In this way, the joint with the drain port HS and the drain piece circuit wall can be performed by the end pipe part 74 itself,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bent socket etc., it is convenient.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xample or embodiment at all,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주류(S1)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베이스부 제1토수공(41)로부터의 토출 세정수와 베이스부 제2토수공(42)로부터의 토출 세정수를 합류시켰지만 장공 형상의 단일 토수공로부터의 토출 세정수를 제1주류(S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charge washing water from the base portion first water discharge hole 41 and the discharge washing water from the base portion second water discharge hole 42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first mainstream S1.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discharge washing | cleaning water from a single water jetting hole of the long hole shape as the 1st liquor S1.

또한, 도 2 나 도 26등으로 나타내는 대변기(10)에 있어서,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관로부(26)를 상승관로부(24)와 같은 정도의 관노면적으로 하고, 상승관로부(24)를 상승하는 세정수에 의해 정상관로부(30)의 공기가 눌려져 정상관로부 이후의 관로에 유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도 상기한 하강관로부(28)의 관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설부(71) 하방에서의 공기 밀봉을 거쳐서, 상승 공기에 의한 물기둥의 분단, 당기는 사이폰 작용의 소실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연주할 수 있다.Also, in the toilet 10 shown in FIG. 2 or FIG. 26, as shown in FIG. 43, the top pipe portion 26 has the same pipe road area as that of the rising pipe portion 24, and the rising pipe portion ( It is also possible to press the air of the top duct 30 by the washing water rising 24) to flow into the duct after the top duct. Even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above-mentioned conduit structure of the downcomer part 28, through air sealing below tongue part 71, the division | segmentation of the water column by rising air, and the loss of the siphon action to pull are not produced. Therefore,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can be played.

또한,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림(14)에 변기좌측후방의 제1토수공(41a)과 변기우측전방의 제2토수공(43a)를 마련하여 이 양 토수공를 변기 수평면시에서 유수(RS)의 중앙을 중심으로 쌍각의 위치로 한다. 그리고 이 양 토수공로부터 세정수를 토출하면 제1주류(S1)와 제2주류(S2)는 도시하는 바와 유수(RS)를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한 관계를 채용하여 유수(RS)에 합류하고 양 주류의 합류에 의해서 유수(RS)에 동일 회전 방향의 선회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도 기술한 대변기(10)와 같은 이점이 있다. 또, 제2토수공(43a)에는 림도수로(16)를 이용하여 세정수를 이끌도록 하거나 호스(hose)(43b)를 이용하여 세정수를 이끌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제2토수공(43a)에서의 제2주류(S2)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해당 토수공에서 노즐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4, the first water jetting hole 41a in the rear of the toilet seat and the second water jetting hole 43a in the front of the toilet right side are provided in the rim 14, so that both water jetting holes flow in the toilet horizontal plane. The position of the bilateral angle is centered on the center of RS). Whe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jetting holes, the first liquor S1 and the second liquor S2 join the flowing water RS by adopting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bar and the flowing water RS shown in the drawing. By joining the two main streams, the swirl flow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occurs in the flowing water RS. Therefore, this modification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toilet 10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water discharge hole 43a, the rinse water channel 16 may be used to lead the washing water or the hose 43b may be used to lead the washing water. Moreover, in order to stabilize the 2nd mainstream S2 in this 2nd water discharge hole 43a, you may make it install the nozzle in the said water discharge hole.

본 발명은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에 토출하여 변기 세정을 도모하는 대변기와 사이폰 트랩을 갖는 이러한 대변기의 제조 방법에 이용 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toilet having a toilet and a siphon trap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bowl.

Claims (30)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의 상부로부터 토출하고, 변기 볼부가 저장해 둔 유수에서 선회류를 일으켜 변기 세정을 도모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 toilet that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part, and generates a swirl flow in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toilet is cleaned. 상기 급수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의 상부 주위로 인도하는 도수로를 구비하고,A raceway for guiding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to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bowl part, 상기 도수로는 급수 세정수를 2개의 주류를 합하여 흐르도록 해서 상기 유수로로 합류하도록 토출하는 토출부를 갖고,The said raceway has a discharge part which discharges water supply washing | cleaning water so that two main streams may flow and merge into the said flow channel, 상기 토출부는, 상기 2개의 세정수 주류가 변기 수평면상에서 상기 유수를 사이에 두고 거의 평행하게 상기 유수로 흐르게 하면서, 상기 유수에 동일한 회전 방향의 선회류를 일으키도록 상기 유수로 합류하는 유수 합류 관계를 채용해서 급수 세정수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discharge portion has a flow-water confluence relationship in which the two washing water liquors flow into the flowing wate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lowing water with the flowing water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toilet horizontal plane, causing the flowing water to flow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 toilet for employing the product, wherein the toilet water is discharg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수로의 토출부는,The discharge portion of the raceway, 상기 도수로로 인도된 세정수를 변기 전방측으로 향해서 상기 유수에 대해서 경사지게 상방으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2개의 세정수 주류의 일방향인 제1세정수 주류를 일으키는 제1토출부와,A first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owing water from above and causing a first washing water liquor which is one direction of the two washing water liquors;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제1토출부와 변기를 좌우로 이분하는 중심측에 대하여 동일측으로 토출하고, 상기 유수 수면보다 상부의 상기 변기 볼면에서 그 볼면에 따라 주회하도록 세정수의 흐름을 생성하는 제2토출부와,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side dividing the first discharge portion and the toilet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washing water flows around the bowl surface on the toilet bowl surface above the flowing water surface along the ball surface. A second discharge unit generating a;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 흐름에 합류하여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교정하고, 상기 교정한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상기 2개의 세정수 주류의다른 방향인 제2세정수 주류로 하는 제3토출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second washing water is joined to the washing water flow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to correct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and the flow of washing water of the corrected second discharge portion is the second washing water which is a different direction of the two washing water liquors. A toilet comprising a third discharge portion that is used as the mainstrea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토출부와,The first discharge portion,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도수로에 형성한 복수의 토출공으로부터 각각 토출하고, 각 토출공으로부터의 세정수 수류를 합류시켜 상기 제1세정수 주류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oilet bow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is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raceway, and the washing water streams from the discharge holes are joined to cause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제3토출부는,The third discharge portion,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의 전방측에서 상기 유수에로 향해서 토출하고,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에 합류시켜,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을 상기 유수 수면측으로 교정하는 제4토출부와,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is discharg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part toward the flowing water, joined with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is changed to the flowing water surface. 4th discharge part corrected to the side,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변기를 좌우로 이분하는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제1토출부와 반대측으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제4토출부로부터의 세정수에서 교정된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에 합류시켜 그 흐르는 방향을 상기 유수 수면측으로 또한 교정함과 함께, 상기 제2토출부의 세정수의 흐름을 상기 제2세정수 주류로서, 상기 제1세정수 주류에 대하여 상기 유수 합류 관계를 가져서 상기 유수에 합류시키는 제5토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is discharged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dischar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viding the toilet bowl left and right, so that the washing water from the fourth discharge portion is calibrated by the washing water from the fourth discharge portion. And joining the flow to correct the flow direction to the flowing water surface side, and having the flow of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as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with the flowing water joining relationship with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A toilet comprising: a fifth discharge unit for joining the flowing wat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도수로는,The said raceway, 상기 도수로에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 표면에 따르도록 토출하는 부토출부를 상기 제1∼제5토출부와는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부토출부로부터의 서의 세정수 토출을 포함해서 상기 변기 볼부 표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 세정수를 흘리는 대변기.The toilet bowl includes a sub-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raceway along the surface of the toilet bowl part from the first to fifth discharging units,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sub-discharge unit. Toilet bowl with flushing water flowing almost all over the bowl surfac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변기 볼부는,The toilet bowl portion, 상기 제1의 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어 선회의 안내를 함과 함께, 상기 제 1 세정수 주류를 상기 유수에 합류한 후의 세정수의 선회 상황을 규정하는 제1볼 주벽부와,A first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that receives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and guides the turning, and defines a turning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after joining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to the running water;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어 선회의 안내를 함과 함께, 상기 제 2 세정수 주류를 상기 유수에 합류한 후 세정수의 선회 상황을 규정하는 제2볼 주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 toilet comprising a second ball main wall portion for receiving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nd guiding the turning, and defining the turning situation of the washing water after joining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to the running water. .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제 2 볼 주벽부는, 유수 합류후의 세정수 선회 상황에 차이를 갖게 하여, 한쪽의 볼 주벽부는 유수 깊이 방향의 선회 리드를 크게 하고, 다른 볼 주벽부는 상기 선회의 리드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first and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s have a difference in the situation of washing water turning after water flow confluence, so that one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enlarges the turning lead in the flow depth direction and the other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makes the lead of the turning small. Toilet seats characteriz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볼 주벽부는 상기 제2세정수 주류의 상기 선회의 리드를 크게 하고, 상기 제l볼 주벽부는 상기 제1세정수 주류의 상기 선회의 리드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ncreases the lead of the turning of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nd the first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makes the lead of the turning of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smal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볼 주벽부는,The first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에 개구한 트랩과 대향하는 측으로 상기 유수를 취하여 둘러싸도록 형성시켜, 상기 제1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는 안내선반부에 있어서, 상기 유수의 유수면과 거의 일치한 높이 위치에서 상기 선회 리드의 작은 선회 상황을 상기 제1세정수 주류에 일으키는 상기 안내선반부를 갖고,In the guide shelf part which takes the said flowing water to the side which opposes the trap open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toilet bowl part, and receives it, the said 1st washing water mainstream is received, At the height position substantially corresponded with the flowing surface of the said flowing water, Having the guide shelf which causes a small turning situation of the turning lead to the first washing water liquor, 상기 제2볼 주벽부는,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상기 제2세정수 주류를 받아 내어 이것을 상기 유수에 합류시키는 개소에 있어서, 상기 선회 리드의 큰 선회 상황을 상기 제2세정수 주류에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유수의 상하 방향에 걸치는 경사가 상기 안내선반부보다 크게 된 주벽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In a position for receiving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nd joining it to the flowing water, the inclination ove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lowing water is such that the large turning situation of the turning lead is caused in the second washing water liquor. A toilet having a larger main wall surfac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볼 주벽부의 상기 주벽면부는 상기 유수로의 세정수 유입에 의해서 일어나고 유수 수위 상승에 있어서 유수면 넓이의 확장 비율이 본래의 넓이에 대하여 약 4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second ball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caused by the inflow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nd the expansion ratio of the flow surface area is within about 40% of the original width in the increase of the water level.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의 상부로부터 토출하고,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선회류를 일으켜 변기 세정을 도모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 toilet that discharges the supplied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part and causes the toilet to be cleaned by causing a swirl flow in the flow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art, 상기 급수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의 상부 주변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비하고,A raceway leading the water supply cleaning water to the upper periphery of the toilet bowl part; 상기 도수로는 변기 수평면시에서 상기 유수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각의 위치로 급수 세정수를 토출하는 2개의 토출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수에 동일 방향의 선회가 일어나도록 상기 급수 세정수를 상기 유수에 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raceway includes two discharge parts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at a diagonal position about the center of the running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ilet, and each of the discharge parts washes the water supply so that the water flows in the same direction.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joined to the flowing water.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유입하고 상기 유수와 함께 사이폰 트랩으로부터 배출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 toilet for introducing the supplied water into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portion and discharged from the siphon trap with the running water, 상기 사이폰 트랩은 상기 변기 볼부 측면에 개구한 트랩 개구를 갖고, 상기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지게 상방으로 향한 관로를 형성하는 상승관로부와,The siphon trap has a trap opening open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has an upward conduit which forms a conduit upwardly inclined from the trap opening;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A normal pipe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portion and curved and having a normal bank defining the water level;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하여 하강한 하강관로부에서, 상기 유수로의 상기 급수 세정수의 유입에 의해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의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상기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린 세정수를 받아 내어 세정수의 튀어 오름을 일으키는 관로선반부와, 상기 관로선반부와 튀어 오른 세정수를 하류측으로 이끄는 하류측 관로부와, 상기 하류측 관로부의 말단에서 관노면적을 협소시켜 세정수를 변기 외부의 배수구로 이끄는 교축부를 갖는 상기 하강관로부를 구비하고,In the downcoming pipe part connected to the top pipe part and descen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rising pipe part and the top pipe part by the inflow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nd flowing down into the down pipe part Narrow pipe line area at the distal end of the pipe line to draw the washing water and cause the spring to rise, the downstream pipe line to lead the pipe and the flushing water to the downstream side, and to clean the water outside the toilet. And the downcomer having a throttle leading to the drain of the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상승관로부터 운반되는 세정를 상기 배수구에 배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관로선반부에서의 받아 냄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을 상기 교축부측으로 전환하는 흐름 변경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교축부에서의 저장을 일으키게 하고, 상기 교축부에서 상류측 관로의 세정수에 의한 밀봉을 일으킴과 함께, 상기 정상관로부로부터 상기 관로선반부에 이르기까지의 관로 부분에 공기를 남겨진 채로 있더라도 상기 교축부에 저장하여 둔 세정수가 상기 정상둑까지 도달하는 물기둥을 형성 가능하게 하고, 상기 물기둥 형성후에는 상기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정상관로부에 밀봉상태로 해서 상기 변기 볼부의 세정수를 흡인하는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켜 그 사이폰 작용을 연속 가능한 하강관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downcoming pipe section receives the cleaning water flowing over the top bank from the pipe shelf part and discharges the cleaning conveyed from the rising pipe to the drain port. Causing the flow change to the shaft side and the storage of the flowing down washing water at the throttle, causing sealing by the rinsing water of the upstream pipe at the throttle, and the pipe rack from the top duct. Even if air is left in the pipe part leading up to the par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hrottle part can form a water column reaching the top bank, and after the water column is formed, the remaining air is transferred to the top pipe part. In the sealed state, the siphon action of suck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is generated. A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of a downcomer that can continuously perform the I-pon action.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유입하여 상기 유수와 함께 사이폰 트랩으로부터 배출하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 toilet for introducing the supplied water into the running water stored in the toilet bowl ball portion and discharged from the siphon trap with the running water, 상기 사이폰 트랩은 상기 변기 볼부 측면에 개구한 트랩 개구를 갖고, 상기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지게 상방으로 향한 관로를 형성하는 상승관로부와,The siphon trap has a trap opening open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has an upward conduit which forms a conduit upwardly inclined from the trap opening;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구비하는 정상관로부와,A normal pipe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portion and curved, and having a top bank defining the water level;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하여 하강한 하강관로부에서, 상기 유수로의 상기 급수 세정수의 유입에 의해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의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상기 하강관로부에 흘러 내린 세정수를 받아 내어 세정수의 튀오 오름을 일으키는 관로선반부와, 상기 관로선반부로 튀어 오른 세정수를 하류측으로 이끄는 하류측 관로부와, 상기 하류측 관로부의 말단에서 관노 면적을 협소시키고 세정수를 변기 외부의 배수구에 이끄는 교축부를 갖는 상기 하강관로부를 구비하고,In the downcoming pipe part connected to the top pipe part and descen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rising pipe part and the top pipe part by the inflow of the water supply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nd flowing down into the down pipe part The pipe line part which takes out and raises wash water, the downstream pipe part which leads the wash water which protruded to the said pipe shelf to the downstream side, and narrows the pipe furnace area at the end of the said downstream pipe part, and washes water outside a toilet. And having said downcomer having a throttle leading to the drain, 상기 하강관로부는,The lower pipe part, 상기 상승관로부로부터 운반된 세정수를 상기 배수구로 배출하는데 대하여, 상기 정상둑을 넘어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관로선반부에서의 받아 내림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흐르는 방향을 상기 교축부측으로 전환하는 흐름 변경과, 상기 흘러 내리는 세정수의 상기 교축부에서의 저장을 일으키게 해서, 상기 교축부에서 상류측 관로의 세정수에 의한 밀봉을 일으키는 것과, 상기 정상관로부에 남겨진 공기가 상기 상승관로부를 상승하여 온 세정수에 눌려져 상기 정상관로부 이후의 관로에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정상관로부보다 하류에서 밀봉하여 상기 정상관로부측에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교축부에 저장하여 둔 세정수가 상기 정상둑까지 도달하는 물기둥을 형성하여, 상기 변기 볼부의 세정수를 흡인하는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켜 그 사이폰 작용을 연속 가능한 하강관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With regard to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conveyed from the ascending pipe portion to the drain, the take-up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over the top bank at the pipe shelf part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o the throttle part side. Causing a change in the flow to be switched, and storage of the flowing washing water in the throttle, causing sealing by the rinsing water of the upstream pipe in the throttle, and the air left in the top pipe; When the portion is pushed up by the washing water that has risen and is introduced into the pipeline after the normal pipeline, the introduced air is sealed downstream from the normal pipeline so as not to return to the normal pipeline. The washing water forms a column of water reaching the summit and sucks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with the siphon available for successive lowering pipe-like action to generate the siphon action.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정상둑은, 상기 관로선반부로 향해서 세정수가 흘러 내리도록 세정수를 안내하는 안내편을 갖고, 상기 안내편이 상기 관로선반부 이하의 관로로부터 상승한 공기의 공기가 괴도록 상기 안내편을 돌출하여 갖는 것을 특징으로 대변기.The summit bank has a guide piec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toward the pipe shelf portion, and the guide piece protrudes the guide piece so that the air of air raised from the pipe below the pipe shelf portion is stuck.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상기 하강관로부는 약 50∼100 리터의 유량에서 한 상기 유수로의 상기 급수 세정수의 유입에 대하여 상기 사이폰 작용의 발생과 연속 가능한 하강관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downcomer part has a downcomer shap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of the feedwater washing water into the flow channel at a flow rate of about 50 to 100 liters.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5, 상기 정상관로부는 상기 하강관로부에 연결되는 관로 부분이 상기 정상둑을 넘어 상기 하강관로부로 떨어져 들어오는 세정수의 흐름을 경계로 공기 잔존 영역으로서 구획되도록 관로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summit passage portion has a conduit shape such that a portion of the conduit connected to the descending conduit portion is partitioned as an air remaining area on the boundary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alling over the summit bank into the descending conduit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정상관로부는 상기 상승관로부의 관로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에서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하강관로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oil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pipe portion connecting the ascending pipe portion and the lower pipe in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pip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ising pipe portion. 상기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관로선반부로부터 상기 교축부에 걸쳐 관로 단면의 면적이 상기 상승관로부의 관로 단면적과 적어도 같은 정도의 면적으로 될 때까지 감소 서변하는 하강관로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downcomer part has a downcomer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until the area of the conduit cross section from the conduit shelf part to the throttle part becomes an area of at least about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part of the upcoming conduit part.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하강관로부의 상기 관로 단면은 변기 좌우 방향에서 관로 축심측으로 좁힌 단면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oilet section of the downcomer of the downcom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has a cross-sectional shape narrowed to the pipe axi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oilet.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하강관로부는 상기 하강관로를 상기 정상둑을 넘어 떨어져 들어온 세정수가 상기 변기 볼부의 측으로 튀어 올라 상기 교축부에 인도되도록 하여 구비하고,The downcomer is provided with the downcomer so that the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beyond the top bank springs up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guided to the throttle part, 상기 교축부는 상기 인도된 세정수를 상기 변기 볼부 측에서 받아 내는 선반부를 갖고 상기 선반부에서 세정수를 받아낸 후 상기 세정수를 상기 배수구에 인도하는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throttle part has a shelf part for receiving the guided washing water from the toilet bowl part, and receiv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shelf part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drain.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20, 급수된 세정수를 변기 볼부가 저장하여 둔 유수에 유입하기 위해서, 제1항 또는 제5항의 어느 항의 상기 도수로와,The said raceway of any one of Claim 1 or 5, in order to introduce the water supplied washing water into the flowing water which the toilet bowl part stored, 제6항 또는 제9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변기 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oilet bowl which has the said toilet bowl part of any one of Claims 6-9. 유수를 저장하여 두는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볼부를 지탱하기 위한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키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고,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 측면에서 개구한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져 상측으로 향한 상승관로부와,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해서 하강한 하강관로부로서 형성한 대변기에 있어서,A toilet bowl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a toilet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and a siphon trap line for generating a siphon action when the waste is discharged, and the siphon trap line at the bottom side of the toilet bowl part. A rising pipe portion inclined upwardly from the opened trap opening,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portion to form a curved pipe line, and connected to the top pipe portion having a top bank defining a water level; In the toilet formed as a descending downcomer, 상기 정상관로부의 만곡관로중 상기 정상둑과 대향하는 관로 벽면으로 되는 벽면 부위에서 상기 상승관로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강관로부와의 연결부까지 소정 범위의 상기 벽면 부위를 변기 소성전의 캐스팅 상태에서 상기 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의 캐스팅와는 별체로 하고,The wall surface por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ising conduit port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escending conduit portion from the wall surface portion that becomes the conduit wall surface facing the top bank of the curved conduit portion in the casting state before firing the toilet bowl. The siphon trap pipe except for the remaining and the casting of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body, and separately 상기 벽면 부위의 캐스팅을 상기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캐스팅에 접합하여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막아 소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oilet of the wall portion is joined to the casting of the remaining siphon trap conduit to block the firing siphon 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위치하여 변기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말단관로부에서 상기 말단관로부를 거쳐서 상기 하강관로부를 상기 배수구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말단관로부를 갖고,The terminal pipe portion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iphon trap conduit and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utside the toilet via the end pipe portion through the end pipe portion for connecting the down pipe portion to the drain port, 상기 말단관로부를 변기 소성전의 캐스팅의 상태에서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 캐스팅과는 별체로 하고,The terminal pipe part is separated from the siphon trap pipe, the toilet bowl part, the toilet body, and the casting in a state of casting before firing the toilet, 상기 말단관로부의 캐스팅을 캐스팅 상태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접합해서 소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a casting of the end pipe portion joined to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in a casting state and fired. 유수를 저장하여 두는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볼부를 지탱하기 위한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키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는 대변기에 있어서,In a toilet having a toilet bowl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a toilet body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and a siphon trap pipe for generating a siphon action when the waste is discharged,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위치하여 변기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말단관로부에서, 상기 말단관로부를 거쳐서 상기 하강관로부를 상기 배수구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말단관로부를 갖고,A terminal pipe part located at an end of the siphon trap pipe line and connected to a drain hole outside the toilet, the terminal pipe part for connecting the down pipe part to the drain port via the terminal pipe part; 상기 말단관로부를 변기 소성전의 캐스팅 상태에서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와 캐스팅과는 별체로 하고,The terminal pipe portion in the casting state before firing the toilet bowl, the siphon trap pipe and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body and the cast body, 상기 말단관로부의 캐스팅을 캐스팅 상태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접합하여 소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a casting of the end pipe part is joined to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in a casting state and fired.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or 24, 상기 말단관로부는 상기 배수구와 변기 후단과의 사이 거리가 상위하는 경우에 대응할수 있도록 복수 용의한 형상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함께 그 캐스팅의 상태에서의 접합 위치가 상기 거리에 따라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erminal pipe portion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intended shape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rain and the rear end of the toilet is different, and the joining position in the state of the cast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oilet.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말단관로부는 상기 배수구에 대향하고 상기 배수구 주위에 배치된 환상 밀봉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배수구 주위를 밀봉하고, 상기 배수구에 배수하는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terminal pipe portion is configured to pressurize an annular sealing member facing the drain port and disposed around the drain port, to seal around the drain port, and to drain the drain port.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말단관로부는 상기 배수구에 대향하고 상기 배수구와 상기 말단관로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배수 컨넥터를 거쳐서 상기 배수구에 이어져 상기 배수구로 배수하는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And the terminal pipe portion is opposed to the drai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through a drain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the drain hole and the terminal pipe part.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말단관로부는 상기 배수구에 삽입 배치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The terminal pip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can be inserted into the drain. 유수를 저장하여 두는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볼부를 지탱하기 위한 변기본체와, 오물 배출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키는 사이폰 트랩 관로를 갖고,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 측면에 개구한 트랩 개구로부터 경사져 상측으로 향한 상승관로부와, 상기 상승관로부의 상단에 연결하여 만곡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수 수위를 규정하는 정상둑을 갖는 정상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에 연결하여 하강한 하강관로부에서 형성한 대변기에 있어서,A toilet bowl for storing the running water, a toilet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toilet bowl, and a siphon trap conduit for generating a siphon action when the waste is discharged, and the siphon trap conduit on the bottom side of the toilet bowl. A rising pipe portion inclined upwardly from an opened trap opening,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ising pipe portion to form a curved pipe line, and a top pipe portion having a top bank defining the water level, and connected to the top pipe portion. In the toilet formed in the descending downcomer, 상기 정상관로부의 만곡관로중 상기 정상둑과 대향하는 관로 벽면으로 되는 벽면 부위에서 상기 상승관로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강관로부와의 연결부까지 소정 범위의 상기 벽면 부위로 된 벽면 부위 캐스팅을 금형 성형하는 공정(1)과,A step of forming a wall portion casting of the wall por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scending pipe port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descending pipe portion in a wall portion of the curved pipe portion of the curved pipe portion that faces the top bank; (1) and, 상기 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가 일체로 된 변기 캐스팅을 금형 성형하는 공정(2)과,A step (2) of molding a toilet cast in which the siphon trap pipe,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toilet body are integrally formed except the wall portion; 상기 벽면 부위를 상기 변기 캐스팅에 접합하여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막고,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를 상기 상승관로부와 상기 정상관로부와 상기 하강관로부가 연속한 것으로 한 상태에서 소성을 행하는 공정(3)을 갖고,Joining the wall portion to the toilet casting to block the siphon trap conduit, and firing the siphon trap conduit in a state in which the rising conduit section, the top conduit section, and the descending conduit section are continuous (3). ), 상기 공정(2)은,The step (2),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벽 형상과 상기 변기 본체의 저부벽 형상과 상기 기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중 상기 하강관로부의 외곽벽 형상과 적합한 요부 형상을 갖는 저부 금형과,A bottom mold having a bottom wall shape of the toilet bowl part, a bottom wall shape of the toilet body, and an outer wall shape of the descending pipe part of the siphon trap pipe except the base wall surface portion and a suitable recessed shape; 상기 변기 본체의 측면벽 형상에 적합한 요부 형상을 갖는 측부 금형과,A side mold having a recess shape suitable for the side wall shape of the toilet body; 상기 변기 볼부의 내주벽 형상에 적합한 철부 형상을 갖는 볼 중앙금형과,A ball center mold having a convex shape suitable for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hape of the toilet bowl;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상기 상승관로부의 관로 내벽 형상과 상기 정상관로부의 상기 정상둑 형상에 적합한 외곽 형상을 갖고, 상기 볼 중앙금형에 내장 가능한 분리금형에서, 상기 볼 중앙금형에 내장되면 상기 볼 중앙금형의 상기 철부 형상중 상기 변기 볼부의 저부 내벽에 적합한 부분에 접합하여, 상기 접합 개소를 상기 트랩 개구의 개구 개소로 하는 상기 분리금형을 준비하는 공정과,In the separation mold which has a conduit inner wall shape of the ascending pipe portion of the siphon trap conduit and the top bank shape of the top conduit, and can be embedded in the ball center mold, when the ball center mold is embedded in the ball center A step of preparing the separation mold in which the convex portion of the die is joined to a portion suitable for the inner wall of the bottom of the toilet bowl, and the joining point is an opening point of the trap opening; 상기 준비한 각 금형을 형합하여 각 금형의 상기 요부 형상과 철부 형상에서 상기 벽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와 상기 변기 볼부와 상기 변기 본체가 일체로 된 상기 변기 캐스팅의 형성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과,The prepared molds are combined to form a cavity for forming the toilet casting unit in which the siphon trap line and the toilet bowl part and the toilet body are integrally formed except the wall portion in the recessed and concave parts of each mold. Forming process, 상기 캐비티로의 슬립의 유입, 상기 각 금형으로의 슬립 퇴적, 배니, 건조, 형발을 지나서 상기 변기 캐스팅을 취득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으로 하는 대변기의 제조방법.And a step of acquiring the toilet cast through the slip flow into the cavity, slip deposition into the respective molds, varnish, drying, and molding.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위치하고, 변기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말단관로부에서, 상기 말단관로부를 지나서 상기 하강관로부를 상기 배수구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말단관로부로 된 말단관로부 캐스팅을 금형 성형하는 공정과,A process of forming a die-casting end pipe casting part of the end pipe part in order to connect the down pipe part to the drain port through the end pipe part at the end pipe part located at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line and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utside the toilet bowl; and, 상기 공정(3)에 앞서서, 상기 말단관로부 캐스팅을 캐스팅 형태의 상기 사이폰 트랩 관로의 말단에 접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의 제조방법.Prior to the step (3),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joining the end pipe casting portion to the end of the siphon trap pipe of the casting form.
KR1020027000880A 2001-08-13 2001-12-20 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1566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5633 2001-08-13
JPJP-P-2001-00245633 2001-08-13
JPJP-P-2001-00270718 2001-09-06
JP2001270718 200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668A true KR20040015668A (en) 2004-02-19

Family

ID=2662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880A KR20040015668A (en) 2001-08-13 2001-12-20 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15664A1 (en)
JP (1) JP3760916B2 (en)
KR (1) KR20040015668A (en)
CN (1) CN1246546C (en)
AU (2) AU1951002A (en)
TW (1) TW508398B (en)
WO (1) WO200301664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86B1 (en) * 2008-05-14 2009-06-04 이수인 (주) A toilet stool having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ing between bowl and water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36133A (en) * 2005-02-10 2006-10-16 Toto Ltd Flushing type toilet
TWM288640U (en) * 2005-09-29 2006-03-11 Globe Union Ind Corp Toilet structure
US8151379B2 (en) * 2007-05-07 2012-04-10 Kohler Co. Toilet with reduced water usage
US20120284911A1 (en) * 2010-02-01 2012-11-15 Lixil Corporation Drainage channel of flush toilet
CA2789807C (en) 2010-07-20 2018-05-01 As Ip Holdco, Llc High performance toilets capable of operation at reduced flush volumes
ITBO20110201A1 (en) 2011-04-15 2012-10-16 Ativa SANITARY VASE IN CERAMIC MATERIAL.
US10738454B2 (en) * 2013-03-14 2020-08-11 Kohler Co. Wall-hung toilet
AU2013201917B1 (en) * 2013-03-25 2013-11-14 Azzurra Imports Pty Ltd Low flush toilet system
CN103770202A (en) * 2013-12-16 2014-05-07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Pedestal pan mold, and mold splitting technology and pedestal pan thereof
US9719239B2 (en) 2014-03-18 2017-08-01 Kohler India Corporation Private Limited Dual-jet toilet
WO2015143391A1 (en) 2014-03-21 2015-09-24 Kohler Co. Toilet comprising a jet hole
JP6573066B2 (en) * 2015-02-04 2019-09-11 Toto株式会社 Flush toilet
EP3394356B1 (en) * 2015-12-25 2019-10-30 Somchai Wongaroon 2.5 litres water saver p-trap water closet (w.c.)
CN107201775B (en) * 2016-03-17 2023-06-02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Toilet bowl,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781402B2 (en) * 2016-12-16 2020-11-04 Toto株式会社 Toilet bowl manufacturing method
US11965322B2 (en) 2018-09-28 2024-04-23 Kohler Co. Flush toilet
DE102019105730A1 (en) * 2019-03-07 2020-09-10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ary article in the form of a toilet
DE102019105732A1 (en) * 2019-03-07 2020-09-10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ary article in the form of a toilet
CN110053132B (en) * 2019-03-26 2024-01-30 佛山市顺德区乐华陶瓷洁具有限公司 Toilet bow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000894B (en) * 2019-03-26 2024-01-30 佛山市顺德区乐华陶瓷洁具有限公司 High-strength closestoo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2942520A (en) * 2021-02-02 2021-06-11 厦门佳普乐电子科技有限公司 Toilet flushing water flow control system
CN114150741B (en) * 2021-12-29 2023-11-21 厦门倍杰特科技有限公司 Toilet flushing pressurizing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397A (en) * 1896-07-07 Water-closet
US705319A (en) * 1899-10-12 1902-07-22 Hiram T Bush Water-closet bowl.
US4197599A (en) * 1978-12-05 1980-04-15 Tsai Kuo L Water-saving toilet bowl
JP2725122B2 (en) * 1992-09-11 1998-03-09 株式会社イナックス Flush toilet
JPH06287989A (en) * 1993-04-06 1994-10-11 Toto Ltd Flush toilet bowl
JP2952645B2 (en) * 1994-10-19 1999-09-27 株式会社イナックス Toilet bowl with flush water distributor
CN1090270C (en) * 1994-12-28 2002-09-04 东陶机器株式会社 Water flushing closet
US5651148A (en) * 1995-06-07 1997-07-29 American Standard Toilet with vortex flushing action
JP2001152534A (en) * 1999-11-25 2001-06-05 Toto Ltd Flush toilet stool and drain s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86B1 (en) * 2008-05-14 2009-06-04 이수인 (주) A toilet stool having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ing between bowl and water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8055A1 (en) 2003-03-03
JPWO2003016643A1 (en) 2004-12-02
US20030115664A1 (en) 2003-06-26
AU1951002A (en) 2003-03-03
CN1246546C (en) 2006-03-22
TW508398B (en) 2002-11-01
JP3760916B2 (en) 2006-03-29
WO2003016643A1 (en) 2003-02-27
CN1454276A (en)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5668A (en) Toil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51005B2 (en) Flush toilet
CN106801461A (en) Non-flanged type toilet
CN100482904C (en) Flush toilet bowl
CN100449065C (en) Jet pump and toilet stool having rim side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782225A (en) Flush tank device and flush toilet bowl
WO2001023678A1 (en) Water closet and flushing water feed device
JP2001279791A (en) Flush toilet
JP6987826B2 (en) Primed squirt toilet
CN203947551U (en) Closet flushing structure
CN106865233A (en) The separating and feeding device of compression helical spring
CN105888022B (en) Flush toilet device
CN103140637A (en) Flush toilet device
US6546568B1 (en) Toilet tank with sediment removal assembly
JP3952883B2 (en) Toilet bowl
CN114232745A (en) General squatting pan
CN107849841A (en) Water closet
CN202324137U (en) Siphon type pedestal pan without water ring
CN202324136U (en) Water ring-free toilet
CN102400493B (en) Siphon pedestal pan without water ring
JP2003129550A (en) Water closet
CN107816097A (en) It is a kind of can low pressure bath toilet seat
JP2001279788A (en) Flush toilet
JP2001279789A (en) Flush toilet stoo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726566B2 (en) Flush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