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573A - 광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573A
KR20040014573A KR10-2003-7016757A KR20037016757A KR20040014573A KR 20040014573 A KR20040014573 A KR 20040014573A KR 20037016757 A KR20037016757 A KR 20037016757A KR 20040014573 A KR20040014573 A KR 2004001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recording
recording medium
idata
address
iem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274B1 (ko
Inventor
나카야마히로시
다케우치아츠시
아리마미츠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7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transducers for maintaining alignment or spacing relative to the carrier
    • G11B11/10578Servo format, e.g. prepits,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8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 G11B11/1058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comprising mechanical protection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9Zoned data area, e.g. having different data structures or formats for the user data within data layer, Zone Constant Linear Velocity [ZCLV], Zone Constant Angular Velocity [ZCAV], carriers with RAM and RO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26Bulk initialisation or erasing, e.g. at least one whole information track with a single a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1/10597Adaptations for transducing various formats on the same or different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03Shapes of record carriers other than disc shape
    • G11B7/24012Optical c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8Post-production operations, e.g. initialising phase-change recording layers, checking for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트랙을 갖고 광기록이 가능한 광 기록 매체로서,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존은,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피트를 포함하는 어드레스부와, 그루브만으로 구성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부를 갖는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각 존마다의 섹터수는 다른 섹터수로 구성된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 Iadd 와, 상기 데이터부의 평균반사율 Idata 이 0.7≤(Iadd/Idata)≤1.3의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0.8≤(Iadd/Idata)≤1.2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광디스크를 구성한다.

Description

광 기록 매체{Optical recording medium}
종래,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기록 에어리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기록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조닝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각속도가 일정하게 회전을 하고 있는 디스크에 있어서, 반경마다 기록·재생을 위한 기록 기준 주파수를 변환함으로써, 디스크 전면에 걸쳐 동일한 정도의 기록 밀도가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ISO 규격의 광자기 디스크인 ISO/IEC 14517 (130mm 4x), ISO/IEC 15286 (130mm 8x), ISO/IEC 15041 (90mm 5x) 등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크의 기록 용량을 높이고 있다.
즉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zone)으로 분할되고, 각 존에서는 기록 재생의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1원주 내의 섹터수가 변한다. 그 때문에 어드레스 영역은 도 1a와 같이, 반경마다 부분적인 방사선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더욱이, 광자기 기록형 디스크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기록막의 자화 방향을 일정하게 정돈하는 조작을 디스크에 실시하고 있다. 즉 기록층의 보자력(保磁力)보다 큰 정자계(靜磁界)를 디스크에 부여함으로써, 기록층의 자화 방향을 소거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향하게 하는, 소위 착자(着磁)라고 불리는 조작을 하고 있다.
통상, 착자시키고자 하는 기록층이 0.8×106A·m(A·m은 자계 강도의 SI 단위) 정도의 약한 보자력을 갖는 경우는 전자석과 같은 약한 자계로 착자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1.19×106내지 1.59×106A·m 이상의 커다란 보자력을 갖는 기록층을 착자시키는 경우, 기록층의 온도를 올리고, 보자력를 저하시켜, 0.8×106A·m 이하의 약한 정자계를 가함으로써, 착자를 하고 있다.
또한, 상(相)변화형의 디스크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기록막 전체면을 결정시키기 위한 조작을 디스크에 실시하고 있다. 즉, 기록막을 일정 이상으로 승온·제냉(除冷)시켜 성막 후의 결정·비결정이 혼재된 소위 Ad-depo 상태막으로부터 전면 결정 상태로 초기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초기화의 프로세스에서는 수백 트랙이라는 넓은 영역의 기록막을 한번에 승온시켜서 착자나 결정화를 행하고 있다. 이 방법을 벌크 이레이즈(bulkerase)라고 부른다. 벌크 이레이즈는 1 내지 2 와트의 반도체 레이저를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10 ㎛ 이상의 장축을 갖는 타원 빔 직경으로 좁히고, 기록막 상에 포커스만을 걸어, 회전하는 디스크에 조사하고, 기록막을 승온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레이저 빔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5)로부터의 출력 빔이 회전하는 디스크의 판독면(6)측으로부터 수지 기판(7)을 통과하여 기록막(8)에 초점을 맺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벌크 이레이즈는 기록층 초기화의 목적 뿐만 아니라, 매체의 반복 기록 시에 발생하는 기록 감도나 재생 감도를 미리 취해 두고, 사용자의 매체 사용 기간 중의 감도 변화를 억제하는(감도 시프트)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기록막에 열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비결정형의 기록층 내의 원자를 미리 완화시키고, 기록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라고 생각되고 있다.
벌크 이레이즈의 파라미터로서는 디스크의 회전수 또는 선속도, 레이저 스폿의 반경 방향 이송 피치, 레이저 파워, 레이저 빔 폭 등이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벌크 이레이즈 조건의 설정에 의해서, 안정하게 착자나 초기화, 감도 시프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단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원 발명자는 감도 시프트와 착자를 할 목적으로 광자기 기록 매체의 벌크 이레이즈의 테스트를 행한 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반경 방향으로 조닝되고, 각 존에서 반경 방향과 일치한 엠보스 피트에 의한 어드레스를 갖는 광디스크에, 소정의 감도 시프트를 발생하기에 충분한 벌크 이레이즈를 실시한 후, 존 경계의 트래킹 에러를 관측한 바, 도 3의 신호 파형도와 같이 트래킹 에러 증가 영역의 존재가 인정되었다.
도 3은 전면 벌크 이레이즈한 디스크의 존 경계로부터 10 트랙째의 위치에서의 어드레스 신호와 트래킹 에러 신호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a는 어드레스 신호, 도 3b는 트래킹 에러 신호, 도 3c는 어드레스 신호(도 3a)의 영역 F부 확대, 도 3d는 트래킹 에러 신호(도 3b)의 영역 F부 확대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E는 트랙 점프 신호이고, G는 영역 F 내의 확대 어드레스이며, H는 트래킹 에러 상승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의 측정 조건은 선속 7.5 m/s CLV이고, 레이저 파워: 1.5 mW이고, 디스크 직경 φ86, 측정 장소 R 40 mm, 랜드부에 트래킹을 거는 것이다.
도 3에서의 트래킹 에러 상승부(H)는 어드레스(G)의 영향에 있지 않고, 10 트랙 앞의 존에 존재하고 있는 어드레스와 동일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0 트랙이나 떨어진 어드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트래킹 에러에 미치고 있는 것이다.
트래킹 에러 상승부(H)의 트래킹 에러 상승량은 트랙 점프 신호(E)의 진폭에 대하여 17% 에나 달하고 있고, 더욱이, 이 현상은 존 경계에서 수백 트랙까지 달하고 있음이 관측되고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브(디스크 구동계)는 이들 트래킹 에러 증가 영역을 결함 영역으로 인식하고, 교대 처리를 하게 된다. 따라서, 대단히 많은 교대 섹터가 존재하는 디스크가 되어 버린다.
상기와 같은 트래킹 에러 증가 현상은 벌크 이레이즈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벌크 이레이즈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기록 감도가 변화되어 버려, 최적의 기록·재생을 할 수 없고 에러로 되어 버린다.
또한, 드라이브 등을 사용하여, 트랙 1개마다 기록 소거 등의 방법으로 감도시프트를 발생시키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동일한 트랙을 몇 번이나 기록 소거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대단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하는 광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드레스 영역을 반경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열하고, 소위 조닝(zoning:공간구분)이라고 불리는 방법으로 광 디스크의 기록 용량을 높인 광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디스크의 평면도.
도 2는 벌크 이레이즈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전면 벌크 이레이즈한 디스크의 존 경계에서 10 트랙째 위치에서의 어드레스 신호와 트래킹 에러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디스크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층의 자성막을 갖는 광디스크의 단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층의 자성막을 갖는 광디스크의 단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 변화막을 갖는 광디스크의 단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종 기판 샘플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
도 9는 각종 기판을 사용한 광디스크에서의 TES 노이즈의 어드레스 평균 반사율 의존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10은 광디스크에서의 어드레스와 데이터 영역의 반사율비에 대한 TES 노이즈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광디스크에서의 어드레스와 데이터 영역의 반사율비에 대한 TES 노이즈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12는 각종 광 디스크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도시하고, 도 12a는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도시하는 신호 파형도이고, 도 12b는 샘플 번호 4의 기판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도시하는 신호 파형도.
도 13은 각종 광 디스크에서의 트랙의 굴곡 상황을 도시하고, 도 13a는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샘플 번호 4인 기판의 평면도.
도 14는 광자기 디스크의 포맷을 도시하고, 도 14a는 종래의 포맷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을 적용한 포맷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의 TES 노이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벌크 이레이즈에 의한 착자 또는 결정화, 및 소정의 감도시프트를 하고, 더구나 존 경계 근방의 트래킹 에러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제조 비용을 억제하고 또한, 고품질화를 도모한 광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트랙을 갖고 광 기록이 가능한 광 기록 매체로서,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존은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피트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영역과, 그루브(groove)만으로 구성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갖는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각 존마다의 섹터수는 다른 섹터수로 구성된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가 0.7 ≤(Iemboss/Idata) ≤1.3의 관계를 만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트랙을 갖고 광기록이 가능한 광 기록 매체로서,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존은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피트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영역과, 그루브만으로 구성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갖는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각 존마다의 섹터수는 다른 섹터수로 구성된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가 0.8 ≤(Iemboss/Idata) ≤1.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랜드와 그루브의 양쪽에 기록 가능한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그루브 트랙의 어드레스 영역에 인접하는 랜드 트랙에 그루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트랙 피치보다 넓은 광속 직경을 갖는 빔을 조사하여 기록막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조 방법을 포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가 0.7≤(Iemboss/Idata) ≤ 1.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가 0.8≤(Iemboss/Idata)≤1.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광자기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상변화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외형이 비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카드 본체에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디스크의 디스크 포맷은 조닝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실시된 어드레스 배치를 가진 것이다. 즉 상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이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되어 있고, 1개의 존 내에는 섹터의 헤더로서 어드레스 정보를 가진 엠보스 피트열(어드레스 영역)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인접하는 존 사이에 어드레스 영역의 적어도 1세트 이상이 다르게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부(어드레스 영역)의 피트와 그루브의 배치를 제어하고,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Iadd)이 데이터부(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율(Idata)에 대하여 -40%, +13%, +30%가 되는 3종의 디스크를 제작하였다.
상기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피트의 깊이를 변경하는 방법, 인접 트랙의 피트와 피트의 사이에 그루브를 삽입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디스크의 단면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어드레스 배치를 가진 수지 기판(10a) 상에, 보호층(10b), 기록층(10c), 보호층(10d) 및 반사층(10e)이 순차 스퍼터링법에 의해서 적층 성막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록층(10c)은 광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자성막이어도, 결정-비결정 특성을 나타내는 상 변화막이어도 좋다. 또한, 기록층(10c)은 다층 구조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반사층(10e)을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 등의 막으로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지 기판(10a)을 투명의 보호막으로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록층이 자성막이고 단층인 광디스크의 단면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5의 표와 같다. 또한, 기록층이 자성막으로 다층인 광디스크의 단면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6의 표와 같다. 또한, 기록층이 상변화막인 광디스크의 단면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7의 표와 같다.
이들 샘플 디스크를, 광원 파장이 810 nm, 기록면 상의 빔 직경이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200 ㎛, 둘레 방향으로 1 ㎛가 되는 타원 빔으로, 파워 1000 mW, 선속도를 7.5 m/s, 1 바퀴의 회전으로 빔이 반경 방향으로 20 ㎛ 이동하도록 하여, 벌크 이레이즈를 하였다.
그 후, 파장 λ가 660 nm이고, 대물 렌즈의 개구수 NA 가 0.57인 디스크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존의 경계에서 외주 방향으로 10 트랙째의 위치에 트래킹을 걸고, 트래킹 에러, 즉 푸시풀 신호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40%인 샘플에서는 트래킹 에러가 트랙 점프 신호의 바닥으로부터 피크까지의 값에 대하여 20% 변동하고, 더구나트래킹 에러의 극성으로부터 판단하여, 트랙은 내주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30%인 샘플에서는 트래킹 에러의 잔여분은 15%이고, 더구나 트랙은 외주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13%인 샘플에서는 트래킹 에러의 잔여분이 7%이고, 더구나 트랙은 상기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30%인 샘플과동일하고, 외주 방향으로 사행(蛇行)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물론, 벌크 이레이즈전에 이들 위치에서의 트래킹 에러의 잔여분이 0 인것은 확인 완료 되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어드레스부의 반사율이 데이터부의 반사율보다 낮을 때에는, 그 어드레스보다 외주의 트랙은 내주로 굴곡되고, 높을 때에는 외주로 굴곡되고, 반사율이 같을 때에는 굴곡되지 않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벌크 이레이즈에 의한 트래킹 에러의 잔여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부와 그루브부(그루브만으로 구성된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이 근사한 쪽이 좋다고 하는 결과가 되었다.
다음에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각종 기판을 샘플로서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벌크 이레이즈를 실시한 후, 상기 동일하게 존의 경계에서 외주 방향으로 소정 트랙째의 위치에 트래킹을 걸었을 때의 트래킹 에러를 측정하였다.
그 때의 샘플의 내용은 도 8에 나타내는 표와 같다.
단, BulkErase
조건: 800 mW, CLV 7.5 m/s, 10 ㎛/rot, BE 4회이고,
Tester
λ= 640 nm, NA= 0.575, D/W= 0.677(⊥)·0.614(∥)이다.
이 도 8의 표의 샘플 및 측정 조건으로 측정한 결과의, 트래킹 에러 신호의 어드레스로부터의 노이즈(이하, TES 노이즈라고 약칭한다)의 양태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다. 도 9는 각 샘플 기판마다의, 각 트랙 위치에서의 TES 노이즈를 도시하고, 도 10은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Iadd)과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 (Idata)의 비(Iadd/Idata)에 대한 TES 노이즈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에서의 샘플 번호 1 내지 3 부분의 확대도이고, 즉 상기 도 8의 표의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에 대한, 상기 반사율비에 대한 TES 노이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는 TES 노이즈의 어드레스 평균 반사율 의존을 도시하고 있고, 횡축의 트랙수는 랜드, 그루브를 각각 1개로 세고 있다. 또한, 도 9중의 사각형 표시는 샘플 번호 1을 나타내고, 삼각형 표시는 샘플 번호 2를 나타내고, 원형 표시는 샘플 번호 3을 나타내고, 마름모형 표시는 샘플 번호 4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 중의 화살표 ○는 외주측 방향 어긋남을 나타내고, 화살표 I는 내주측 방향 어긋남을 나타내며, 원형 표시는 20 트랙째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사각형 표시는 40 트랙째의 데이터를 나타내며, SNO1 내지 3은 샘플 번호 1 내지 3을 나타내고, SNO4는 샘플 번호 4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의 도시한 SNO1 내지 3중, 좌측의 원형 표시 및 사각형 표시는 샘플 번호 1(즉,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에 대하여 +13%가 되는 디스크)을 나타내고, 중앙의 원형 표시 및 사각형 표시는 샘플 번호 2(즉,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에 대하여 +30%가 되는 디스크)를 나타내고, 우측의 원형 표시 및 사각형 표시는 샘플 번호 3(즉,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에 대하여 +30%가 되는 디스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선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상의 ×표시는 기록층을 상변화막으로 구성한 샘플 기판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중의 원형 표시는 20 트랙째를 나타내고, 사각형 표시는 40 트랙째를 도시하며,「40 nm」,「45 nm」은 각각 홈 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9 내지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TES 노이즈의 증가는 어드레스부 평균 반사율과 데이터부 평균 반사율의 차가 클 때 발생하고, 양 평균 반사율의 비가 1에 가까울 때, TES 노이즈는 작아진다. 또한, 홈 깊이와 TES 노이즈량은 직접 관계가 없다(간접적인 관계이다). 또한, TES 노이즈의 극성은 어드레스부와 데이터부의 반사율의 대소 관계에 의존한다(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에서는 어드레스부> 데이터부, 샘플 번호 4의 기판에서는 어드레스부<데이터부).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TES 노이즈 저감 효과가 보여지는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 Iadd 와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 Idata 의 관계가, 0.7≤(Iadd/Idata)≤1.3의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8≤(Iadd/Idata)≤1.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광디스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반사율비에 대한 TES 노이즈의 데이터는 도 5 내지 도 7의 각 표에 나타낸 구성의 각 디스크와도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상기 도 8의 표의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에서는 TES 노이즈가 이븐(even) 섹터(이하 E 섹터라고 부른다)의 어드레스부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명되었다.
도 12a는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에서의 평균 반사율(어드레스부의 평균반사율이 높은 경우)을 도시하고, 도 12b는 샘플 번호 4의 기판에서의 평균 반사율(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이 낮은 경우)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벌크 이레이저의 반사율 모니터 신호로 계측한 것이다.
또한, 도 13a는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기판에서 트랙이 외주로 굴곡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하고, 도 13b는 샘플 번호 4의 기판에서 트랙이 내주로 굴곡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E 섹터의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 Iadd(e)는 오드(odd) 섹터(이하 O 섹터라고 부른다)의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 Iadd(o)보다 높고,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 Idata 와의 차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이 TES 노이즈를 발생하고 있는 것은 높은 반사율을 갖는 이븐 섹터의 어드레스부이지만,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레지스터스트 두께를 얇게 하는 방법은 크로스토크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좋은 방법이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디스크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맷을 일부 변경하였다. 도 14a는 현재의 포맷을 도시하고, 도 14b는 TES 노이즈 대책을 실시한 본 실시예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즉, E 섹터 내의 어드레스부에서의, 2개의 그루브 트랙 사이의 랜드 트랙(미러부)에, 도 14b와 같이 얇은 그루브(얇은 홈)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단, TES의 극성이 역전하지 않는 것이나, E 섹터의 그루브 ID의 신호 특성이 O 섹터의 랜드 ID보다 열화하지 않는 것(동등 이상인 것)이 조건이다.
이와 같이 얇은 그루브를 형성한 경우의, 각 트랙 위치에서의 TES 노이즈를 상기와 같은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 15에 도시한다.
또한, 도 15에서, 사각형 표시는 얇은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는(Tp= 0.65) 디스크(G1-1104)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원형 표시는 얇은 그루브를 형성한 (Tp=0.65) 디스크(G1-1118)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삼각형 표시는 얇은 그루브를 형성한(Tp=0.67) 디스크(G1-1117)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의 각 디스크의 벌크 이레이즈 조건은 LD 파워: 650 mW, 램프 있음(100 V), 4회 시행으로 되어 있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얇은 그루브를 형성하는 편이 형성하지않은 경우보다 훨씬 TES 노이즈가 낮아지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 Iadd 와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 Idata의 관계가 0.7≤(Iadd/Idata)≤1.3의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8≤(Iadd/Idata)≤ 1.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광디스크를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가 O.7≤(Iemboss/Idata)≤1.3의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0.8≤(Iemboss/Idata)≤1.2의 관계를 만족하는 범위 이내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 기록 매체의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광량(즉 예를 들면 어드레스부의 평균 반사율)과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즉 예를 들면 데이터부의 평균 반사율)의 비를 제어함으로써, 트래킹 에러의 잔여분이 적은 광 기록 매체를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정리한 트랙에서의 일괄 착자, 일괄 감도 시프트, 일괄 결정화가 가능해지고, 이들의 초기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파워를 올린 벌크 이레이즈의 프로세스를 행할 수 있고, 벌크 이레이즈 시간을 한층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광자기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어도 좋고, 상변화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광디스크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형이 비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광디스크의 외주를 직선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절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광기록 재생 영역)(11)을 예를 들면 엽서 사이즈나 명함 사이즈의 카드 본체(12)에 장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4)

  1.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트랙을 갖고 광기록이 가능한 광 기록 매체로서,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존은,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피트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영역과, 그루브만으로 구성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갖는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각 존마다의 섹터수는 다른 섹터수로 구성된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평균반사 광량 Idata 이 0.7≤(Iemboss/Idata)≤1.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2.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트랙을 갖고 광기록이 가능한 광 기록 매체로서, 데이터 기록 재생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존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존은,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 피트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영역과, 그루브만으로 구성된 기록 재생 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갖는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각 존마다의 섹터수는 다른 섹터수로 구성된 광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평균반사 광량 Idata 이 0.8≤(Iemboss/Idata)≤1.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3. 랜드와 그루브의 양쪽에 기록 가능한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그루브 트랙의 어드레스 영역에 인접하는 랜드 트랙에 그루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트랙 피치보다 넓은 광속(光束) 직경을 갖는 빔을 조사하여 기록막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조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트랙 피치보다 넓은 광속 직경을 갖는 빔을 조사하여 기록막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조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트랙 피치보다 넓은 광속 직경을 갖는 빔을 조사하여 기록막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조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이 0.7≤(Iemboss/Idata)≤1.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emboss 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평균 반사 광량 Idata 이 0.8≤(Iemboss/Idata)≤1.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광자기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광자기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광자기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상변화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상변화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매체는 상변화 기록막을 사용하여 제작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
KR1020037016757A 2001-06-22 2002-06-12 광 기록 매체 KR101051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9087A JP2003006875A (ja) 2001-06-22 2001-06-22 光記録媒体
JPJP-P-2001-00189087 2001-06-22
PCT/JP2002/005837 WO2003001517A1 (fr) 2001-06-22 2002-06-12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573A true KR20040014573A (ko) 2004-02-14
KR101051274B1 KR101051274B1 (ko) 2011-07-22

Family

ID=1902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757A KR101051274B1 (ko) 2001-06-22 2002-06-12 광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02308B2 (ko)
EP (2) EP1398770B1 (ko)
JP (1) JP2003006875A (ko)
KR (1) KR101051274B1 (ko)
CN (2) CN101118754B (ko)
DE (1) DE60233135D1 (ko)
TW (1) TWI242201B (ko)
WO (1) WO2003001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77B1 (ko) * 2009-01-08 201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제거용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3173B2 (en) * 2006-02-09 2010-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vable disk media including holographic optical disk stacked in a tape cartridge shell
US7835232B2 (en) * 2006-06-27 2010-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erase data stored on blu-ray disc
JP4627327B2 (ja) 2008-05-23 2011-02-09 富士通株式会社 異常判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623A (en) * 1990-07-19 1993-12-28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high modulation degree
JP2892818B2 (ja) * 1990-11-21 1999-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媒体の初期化方法
US5293568A (en) * 1991-06-28 1994-03-08 Olympus Optical Co., Ltd. Track-address judging method
JPH0689473A (ja) * 1992-09-10 1994-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磁気記録媒体
JP3089280B2 (ja) 1995-10-09 2000-09-18 富士通株式会社 光記録媒体並びにプリフォーマット情報の再生方法及びその再生装置
JP3850060B2 (ja) * 1996-02-13 2006-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029400B2 (ja) * 1996-03-25 2000-04-04 株式会社東芝 交替処理方法
JPH09305977A (ja) 1996-05-10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091876B2 (ja) * 1996-08-30 2000-09-25 富士通株式会社 光記録媒体及びドライブ装置
JP3104222B2 (ja) * 1997-05-19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H1116216A (ja) * 1997-06-19 1999-01-22 Sony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143319A (ja) * 1999-11-16 2001-05-25 Nec Corp 光ディスク媒体
JP2002133714A (ja) * 2000-10-23 2002-05-10 Pioneer Electronic Corp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記録装置
US6767656B2 (en) * 2000-10-26 2004-07-27 Fujitsu Limited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reproduc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77B1 (ko) * 2009-01-08 201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제거용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8770B1 (en) 2009-07-29
US20040208088A1 (en) 2004-10-21
CN101118754B (zh) 2010-05-12
DE60233135D1 (de) 2009-09-10
CN101118754A (zh) 2008-02-06
EP1398770A1 (en) 2004-03-17
CN1518739A (zh) 2004-08-04
WO2003001517A1 (fr) 2003-01-03
US7502308B2 (en) 2009-03-10
JP2003006875A (ja) 2003-01-10
CN1310222C (zh) 2007-04-11
EP1398770A4 (en) 2007-04-25
KR101051274B1 (ko) 2011-07-22
TWI242201B (en) 2005-10-21
EP2051248A1 (en)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3155B2 (en) Optical disc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layers
US6821596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2002237096A (ja) 光記録媒体
KR20040062655A (ko) 광기록 매체 및 이 광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 및 기록방법
KR101115099B1 (ko)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 및 광학적정보 기록 매체
EP1341167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disk device
KR20000006510A (ko) 광기록매체및광기록재생장치
EP1058241A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repits deeper than grooves
KR101051274B1 (ko) 광 기록 매체
JP3512583B2 (ja) 光ディスク
JP2644840B2 (ja) 光ディスク
KR100467465B1 (ko) 광학식 기록 매체, 광학식 기록 매체용 기판 및 광 디스크장치
KR100613797B1 (ko) 광 기록 매체
EP1063642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JPH09204700A (ja) 光磁気記録媒体
EP1998326A1 (en) Optical disk, optical disk mastering method and optical disk playback apparatus
JP2003036563A (ja) 光記録媒体
JPH06176416A (ja) 光磁気記録媒体及び記録方法
KR20030080877A (ko) 글래스 디스크의 트랙형성방법 및 트랙킹 방법
JPH11154355A (ja) 光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