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491A -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어 및/또는조정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엔진 - Google Patents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어 및/또는조정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491A
KR20040014491A KR10-2003-7013270A KR20037013270A KR20040014491A KR 20040014491 A KR20040014491 A KR 20040014491A KR 20037013270 A KR20037013270 A KR 20037013270A KR 20040014491 A KR20040014491 A KR 2004001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time
maximum possible
engine
torqu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803B1 (ko
Inventor
벤츨러토마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1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97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0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combined with electronic control of other engine functions, e.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0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using at least a proportional, integral or derivativ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28Control for reducing torsional vibrations, e.g. at accel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연료는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를 통해 공급된다. 분사된 연료량은 분사 시간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 엔진이 최적의 안락성 및 배출로 작동될 수 있도록,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보다 큰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는 토크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Description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엔진{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AND/OR REGULATING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RRESPOND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상기 유형의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연료는 분사 밸브를 거쳐 흡입관으로 분사된다. 흡입관 내에는 분사된 연료가 분무되고, 엔진의 연소실로 운반된다. 연료는 대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연료 도관에 의해 분사 밸브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부하를 요구하는 경우, 분사 밸브는 비교적 오래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많은 연료량이 흡입관에 도달된다.
그러나, 분사 밸브의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은 제한된다. 흡입관 분사 시, 극단적인 경우 분사 밸브는 지속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개방된 흡입 밸브로는 가능한 한 분사되지 않아야 하므로, 개별 개방 과정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방된 흡입 밸브에서 분사 밸브는 가능한 한 폐쇄되어야 한다. 지속적으로 개방된 분사 밸브의 상태는 "연속파(continuous wave)"로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공지된 연료 직접 분사에서, 연료는 연소실에 직접 분사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압축 행정의 흡입에 가산된 시간과 동일하다.
엔진 사용자에 의해 높은 부하 즉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 높은 엔진 회전수의 높은 토크가 요구되면,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보다 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엔진 제한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높은 요구 분사 시간에도 불구하고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상응하는 양만을 분사한다. 그러나 동시에, 요구된 높은 토크에 상응하는 큰 공기 충전이 연소실에 공급되므로, 연소실에 도달하는 혼합기는 전체적으로 매우 희박하다. 이는 한편으로는, 최적이지 못한 배출 거동을 야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엔진 및 배기 가스의 온도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엔진 회전수가 상승될 때, 실제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통해 제한되는 경우, 토크가 갑작스럽게 감소하여 엔진 회전수 상승이 갑작스럽게 지연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차량 탑승자에게 가속 시 흔들림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엔진 사용 시 안락성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유형의 방법이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엔진의 사용 시 안락성이 가능한 한 적게 제한되고 동시에 엔진이 최적의 배출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상술된 유형의 방법에서 분사 밸브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보다 길어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길어질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소를 위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는 토크가 서서히 감소되도록 영향을 미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연료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를 거쳐 분사되고, 분사된 연료량은 분사 시간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엔진의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의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도2의 방법의 단계 흐름도이다.
도4는 도2에 따른 방법이 작동되는 경우, 도1의 엔진 회전수를 시간에 걸쳐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5는 요구 분사 시간 및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시간에 걸쳐 도시한 도4와 유사한 그래프이다.
도6은 공기 충전에 대한 목표값, 상응하는 토크 및 상응하는 가속력을 도시한 도4와 유사한 그래프이다.
도7은 시간 당 토크 변경(변경 속도) 및 시간 당 상응하는 가속력 변경을 시간에 걸쳐 도시한 도4와 유사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실제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통해 강제적으로 제한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와 같은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간섭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사 밸브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보다 길어지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는 지의 여부가 사전 보고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상응하는 대책없이 상기 유형의 상태가 실제로 곧 발생되는 것이 사전 보고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분사 밸브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초과할 수 없는 방법이 유도되도록 즉시 반응된다.
상기 방법은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즉, 엔진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서서히 감소된다. "서서히" 감소되는 것은 토크가 갑작스럽게 감소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고, 변경 속도가 매우 작으므로, 엔진 사용자, 예를 들어, 차량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이 때, 실제 분사 시간이 최대 분사 시간 이하로 유지되므로, 예를 들어 배출을 이유로 또는 배기 가스 온도를 낮추기 위해, 요구되는 연료-공기 혼합기의 그리스(grease)가 가능하도록 토크가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라 작동되는 엔진의 배출 및 안락성 거동은 추가 구성 요소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매우 저렴하고 간단하게 개선될 수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나타난다.
제1 실시예에는, 토크의 감소 속도가 한계값보다 작은 것이 나타난다. 따라서, 토크가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시간 당 감소될 수 있는 정도는 최대값으로 제한된다. 상기 토크 변경 속도의 제한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작동되는 엔진의 사용 시 최적의 안락성이 달성된다. 차량에 장착된 엔진에서의 토크 변경 속도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수행된 차량 가속 속도 변경 시,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는 토크의 시간 당 변경에 대한 한계값이 엔진 사용자의 최소 감지 임계값을 통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차량에서 가속 변경 시 탑승자가 소정의 강도로부터만 감지할 수 있는 것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계값의 선택이 고려된다. 극단적인 경우, 토크 감소가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의 영향을 기초로 하여 엔진 사용자가 전혀 감지할 수 없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최대 가능 분사 시간과 요구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와 한계값의 비교 및 상기 차이의 변경 속도와 한계값의 비교를 통해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분사 밸브의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초과될 수 있다는 상기 유형의 판단이 특히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판단은, 분사 밸브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의 소정의 값에 근접한 경우 그리고 소정의 최소 속도로 근접이 수행된 경우,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초과될 수 있다는 가정을 기초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최대 가능 분사 시간과 요구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의 변경 속도에 대한 한계값은 차이의 정도에 따른다. 이로써, 한편으로는 매우 큰 변경 속도와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비교적 큰 간격에서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초과될 수 있고, 그와는 반대로 다른 한편으로는 적은 변경 속도와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적은 간격에서도 상기 유형의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판단은 관찰 방법 특히, 루엔베르거(Luenberger) 관찰 방법 또는 칼만-부시-필터(Kalman-Bucy-Filter)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는 연소실의 공기 충전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초과될 수 있다는 판단이 제공되는 경우, 영향은 연소실의 공기 충전의 변경을 포함한다. 이는 특히 드로틀 밸브 각도의 조정을 통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영향은 과급압 및/또는 흡입관 압력의 감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는 압축 공기가 사전 압축된 상기 유형의 엔진에 해당된다. 과급압의 상기 유형의 감소는 예를 들어, 이른바 웨이스트 게이트(Waste-Gate)를 통해 특히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는 영향은 연료압의 상승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의 공기 충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대신에, 영향은 목표 토크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연료 공기 혼합기의 구성 요소는 정시에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현저하게 이른 시점에 제어 대상을 간섭한다. 이는 혼합기 조정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영향은 입력 변수가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인 특성 곡선을 통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향의 범위는 간단하게 엔진의 현재 작동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택적으로는 조정 장치 특히, PD 또는 PID 조정 장치에 의한 영향이 수행되고, 상기 조정 장치의 조정 변수는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이다. 상기 유형의 조장 장치를 통해 영향은 한편으로는 매우 정확하게,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서서히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 조정 변수로써 토크의 변경 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에 대한 영향에 상응하게, 변경 속도가 사용자에 의해 아주 적게만 또는 전혀 감지될 수 없는 영역에서 유지되도록 즉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작동에서의 안락성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면, 상술된 방법 실행하기 위해 적절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메모리, 특히 플래시 메모리 상에 기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 밸브의 분사 시간에 대한 목표값을 출력하는, 연료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를 장착한 엔진 작동을 위한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모든 작동 상태에서 최적의 배출 및 안락성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가 분사 밸브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가능 분사 시간보다 길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가 토크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에는 상술된 유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연료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를 장착한 엔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엔진에서 최적의 배출 및 안락성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엔진이 상술된 유형의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도1에는 엔진 전체가 도면 부호(10)로 도시된다. 엔진은 도시되지 않은 흡기 밸브를 통해 흡입관(14)과 연결되는 연소실(12)을 구비한다. 또한, 연소실(12)은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배기 밸브를 통해 배기관(16)과 연결된다.
배기관(16)에는 구동축(20)을 통해 압축기(22)를 작동시키는 터빈(18)이 위치해있다. 웨이스트-게이트(25)가 위치한 웨이스트-게이트 도관(23)이 터빈(18)을 우회한다. 상기 웨이스트-게이트는 흡입관(14) 내에 있는 압력을 통해 본원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방법으로 제어되고, 이는 도관(27)으로 도시된다. 압축기(22)는 흡입관(14)에 배치된다. 공기 순환 도관(24)은 압축기(22)의 흐름 방향 상부로 흡입관(14)으로부터 분기하고, 압축기(22)의 흐름 방향 하부로 흡입관(14)과 다시 연결된다. 공기 순환 도관(24)에는 공기 밸브(26)가 배치된다.
또한, 흡입관(14)에는 서보 모터(30)에 의해 각도가 설정되는 드로틀 밸브(28)가 있다. 드로틀 밸브(28)의 흐름 방향 상부에는 흡입관(14)을 통해 흐르는 공기 질량을 측정하는 고온 박막 공기 질량 센서(HFM-센서, 31)가 있다. 또한, 드로틀 밸브(28)와 연소실(12) 사이에는 흡입관(14) 내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밸브(32)가 배치된다. 분사 밸브(32)는 연료 탱크(38)로부터 연료 도관(34), 연료 펌프 및 압력 조정 유닛(36)을 통해 공급된다.
제어 및 조정 장치(40)의 입구 측에는 가속 페달(44)의 위치 센서(42) 및HFM 센서(31)가 연결된다. 또한, 제어 및 조정 장치(40)는 크랭크 축(48)의 회전수를 제공하는 회전수 센서(46)의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 및 조정 장치(40)의 출구 측에는 웨이스트-게이트 도관(23)의 웨이스트-게이트(25), 드로틀 밸브(28)의 서보 모터(30), 분사 밸브(32), 연료 펌프 및 압력 조정 유닛(36)이 연결된다.
도1에 도시된 엔진(1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을 작동시킨다.
정상 작동의 경우, 엔진(10)은 이하와 같이 작동된다.
공기는 흡기 행정 중 흡입관(14)을 통해 흡기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부하는 위치 센서(42)에 의해 결정된 가속 페달(44)의 위치에 따라 제어 및 조정 장치(40)에 의해 제한되고, 공기 공급 시스템에서 드로틀 밸브(28)의 서보 모터(30)는 상응하게 제어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웨이스트-게이트(25)의 제어에서 간섭되어 과급압이 설정될 수 있다.
분사 밸브(32)는 제어 및 조정 장치(40)에 의해, HFM 센서(31)에 의해 결정된 공기 질량에 따라 소정의 혼합기 조성에 도달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소정량의 연료가 흡입관(14) 내로 분사된다. 이 때, 연료량은 분사 밸브(32)의 개방 시간을 통해 결정된다. 연소실(12)로부터 발생된 배기 가스는 터빈(18)을 작동시키고, 상기 터빈은 엔진(10)의 소정의 작동 상태에서 구동축(20)을 통해 배기관(16)에서 공기를 사전 압축시키는 압축기(22)를 작동시킨다.
선택적으로는 공기 질량 흐름이 흡기관 내의 압력 센서를 통해 결정되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소정의 상태에서는, 흡입관(14) 내의 압력 감소가 요구될 수 있다. 이는 웨이스트-게이트(25)가 이를 개방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배기 가스는 터빈(18)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에, 터빈(18) 및 이로 인해 압축기(22)도 적은 강도로 작동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분사된 연료량은 분사 밸브(32)의 분사 시간을 통해 결정된다. 엔진(10) 회전수가 높을수록,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시간은 짧아진다. 특히, 높은 엔진 회전수와 큰 출력 요구(높은 운전자 요구 토크)에서는,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엔진(10) 사용자를 통해 출력 달성에 요구되는 연료량이 분사될 수 없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분사 밸브(32)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상태는 예를 들어, 엔진(10)이 이미 지속적으로 개방된 분사 밸브(32)에 의해 작동되었지만, 터빈(18)의 가열 방지를 위해, 배기관(16) 내의 배기 가스 온도 감소를 야기하는 혼합기의 그리즈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분사 밸브(32)의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초과하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서 엔진(10)은 최적의 배출 및 안락성으로 작동되도록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방법과 상응하게 수행된다(방법은 제어 및 조정 장치(40)에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기억된다).
우선, 시작 블록(50) 이후에 블록(52)에서는, 위치 센서(42)에 의해 결정된 가속 페달(44)의 위치(wfp, 블록 54)와 상응하는 출력이 달성되어야 하는 경우, 분사 시간(ti)의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결정은 HFM 센서(31)에 의해 결정된 공기 충전의 "우회"를 통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우선 가속 페달(44)의 위치로부터 목표 토크가 결정된다. 상기 토크로부터 필요한 공기 충전이 결정된다. 연료 질량 및 이에 의해 나타나는 분사 시간은 공기 충전 및 목표 혼합기 조성으로부터 유도되고, 목표 혼합기 조성을 통해 예를 들어, 배기 가스 온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시에 블록(56)에서는 인자(K, 블록 58)로부터의 비율(timxth) 및 회전수 센서(46)에 의해 결정된 크랭크축(48)의 엔진 회전수(nmot, 블록 60)가 형성된다. 인자(K)는 최대 회전수에서 최대 가능 분사 시간으로부터 제공되는 기계 특성적인 변수이다. 인자(K)는 분사 중 포함될 수 있는 최대 크랭크 각도에 상응한다. 상기 인자는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정 전환을 포함한다. 비율(timxth)은 현재 엔진 회전수(nmot)에서 분사 밸브(32)의 최대 가능 분사 시간에 상응한다. 블록(62)에는 요구 분사 시간(ti)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사이의 차이(dtimx)가 형성된다.
시간 센서(64)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블록(66)에서는 시간 당 요구 분사 시간과 시간 당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dtimx)의 변경, 즉, 변경 속도(ddtimx/dt)가 결정되고, 이로부터 차이(dtimx)에 대한 한계값(G1)이 형성된다. 또한,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dtimx)로부터 블록(68)에서는 변경 속도(ddtimx/dt)에 대한 제2 한계값(G2)이 형성된다. 상기 한계값 형성에 기초가 되는 고려는 이하에서 상세히 언급된다.
두 한계값은 두 조건을 검사하는 블록(70)에 공급되는데, 한편으로는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dtimx)가 정도에 따라 블록(66)에서 결정된 한계값(G1) 이상인 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블록(70)에서는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를 변경시키는 속도(ddtimx/dt)가 정도에 따라 블록(68)에서 결정된 한계값(G2) 이상인 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두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블록(70)에서는 "예"로 응답되고, 이는 요구 분사 시간(ti)을 통해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의 초과가 판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블록(70)에서는 상응하는 대책없이, 곧 요구된 연료량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을 통한 제한을 기초로 하여 더 이상 분사될 수 없는 상태가 발생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블록(70)에서 실행된 판단은 이하의 고려를 기초로 한다.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의 초과는 실제로 두 인자에 따른다. 즉, 한편으로는 현재 최대 가능 분사 시간과 현재 요구 분사 시간의 간격,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요구 분사 시간이 현재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에 따른다.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크면, 상응하게 가정될 필요 없이,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초과하지 않고, 비교적 큰 속도가 허용된다. 이에 반해,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적으면,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은 속도가 요구 분사 시간을 통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초과할 수 있다.
이는 가변적인 한계값(G1, G2)의 결정을 통해 블록(66, 68)에서 고려된다. 적은 변경 속도 시 블록(66)에는 큰, 즉 덜 "급격한" 한계값이 상응하는 변수에서 큰 속도로 결정된다. 블록(68)에는 큰 간격(dtimx)에서 상응하게 큰 즉, 마찬가지로 덜 "급격한" 한계값이 적은 간격으로 결정된다. 블록(66, 68)에서의 한계값(G1, G2)의 결정은 예를 들어 특성 곡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70)에서 요구 분사 시간을 통한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이 초과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아니오"로 응답되고, 블록(72)에서 연소실(12) 내의 공기 충전은 통상적으로 매개 변수(x, y 등)에 따라 결정된다. 매개 변수(x, y)는 예를 들어, 요구된 토크, 주변 압력 등 일 수 있다. 공기 충전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특성 영역을 통해 수행된다. 결정된 공기 충전(rls)으로부터 블록(74)에서는 드로틀 밸브(28) 각도(wdk)가 결정되고, 서보 모터(30)는 상응하게 제어된다. 상기 방법은 최종 블록(76)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블록(70)에서의 판단이 상응하는 대책없이 요구 분사 시간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을 초과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되면, 블록(70)에서는 "예"로 응답되고, 블록(78)에서 PID 조정 장치는 공기 충전(rls, 도3 비교)의 적응을 수행한다. PID-조정 장치는 조정 변수로써 요구 분사 시간(ti)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사이의 차이(dtimx)를 포함한다. 블록(80)에는 설정 변수로써 공기 충전(rls)이 제공된다(설정 변수는 목표 공기 충전을 산출하는 목표 토크일 수 있다). 공기 충전에 대한 목표값(rls)으로부터 상응하는 드로틀 밸브 각도(wdk)가블록(84)에서 결정되고, 서보 모터(30)는 상응하게 제어된다. 상응하는 실제 공기 충전은 HFM 센서(31)에 의해 검출되고, 블록(82)에는 예를 들어 특성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혼합기 조성에 상응하게 새로운 요구 분사 시간(ti)이 결정된다.
도2의 블록(80)에는 도시를 이유로 간소화 된 공기 충전(rls)과 분사 시간(dtimx)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난다. 그러나, 실제로 조정 장치는 dtimx에 대한 작동자이다. PID 조정 장치의 특수한 경우, 관계는
이다.
분사 밸브(32)는 블록(82) 내에서 결정된 요구 분사 시간(ti)에 상응하게 제어된다. 예를 들어 엔진(10)의 연소실(12) 및 크랭크 축(48)을 포함하는 제어 대상을 통해 드로틀 밸브 각도(wdk) 및 분사 시간(ti)으로부터 소정의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을 야기하는 소정의 엔진 회전수(nmot)가 제공된다. 이는 폐쇄된 제어 대상의 의미에서 조정 변수(dtimx) 형성에 기여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방법의 효과는 도4 내지 도7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엔진(10) 사용자가 가속 페달(44)을 일정하게 작동시키고, 엔진(10)에 의해 작동된 차량이 엔진(10)의 일정하게 상승하는 엔진 회전수(nmot)에서 가속한다고 가정한다. 우선 도4에 도시된 엔진 회전수(nmot)의 선형 상승이 나타나고, 이로써 도5에는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점으로 도시)에 대한 쌍곡선 진행이 나타난다. 이와 반대로, 요구 분사 시간(t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다. 대책이 유도되지 않으면, 요구 분사 시간(ti)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사이의 차이(dtimx)는 시점(t2)에서 0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된다.
분사 시간은 시점(t2)부터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을 통해 제한된다. 상응하게는 요구 분사 시간(ti)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을 따를 수 있으며, 이는 시점(t2)에서 선으로 도시된 곡선(ti)의 꺽임으로 나타난다. 소정의 혼합기 조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공기 충전에 대한 목표값(rls)은 최대 공기 충전값(rlsmxth)에 대해 제한되어야 한다(도6 참조). 이는 마찬가지로 도6의 시점(t2)에서 연소실(12)의 공기 충전에 대한 목표값(rls)에 대해 선으로 도시된 곡선의 꺽임으로 나타난다.
엔진(10)에 의해 출력된 토크(M) 및 통상적으로 차량 및 그 탑승자에 작용하는 가속력(F)은 공기 충전에 비례하여 제공될 수 있으므로, 토크(M) 및 그에 상응하는 가속력(F)은 시점(t2)에서 이와 같은 꺽임을 포함한다(각각 선으로 도시됨, 도시를 이유로 토크(M) 및 가속력(F)에 대해 도6에는 고유의 곡선이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곡선은 도6에 도시된 목표 공기 충전(rls)에 대한 곡선과 질적으로 상응한다).
시간에 걸친 토크(M)의 변경 즉, 변경 속도(dm/dt) 및 시간에 걸친 가속(F)의 변경 즉, 변경 속도(dF/dt)는 도7에 도시된다. 여기서, 요구 분사 시간(ti)이 돌발적으로 시점(t2)에서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및 공기 충전을 통해 제한될 때, 발생되는 경우가 선으로 도시된다.
이전의 일정한 가속력(F)은 감소되는 토크(M)를 기초로 하여 마찬가지로 감소되기 때문에, 도7에 WS로 도시된 감지 임계값을 초과하여 차량 탑승자가 분명히 감지할 수 있는 도7에 도시된 가속시 흔들림이 나타난다. 탑승자의 안락성을 개선해야 하는 경우, 가속(F)을 변경시키는 속도(dF/dt)는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더 이상 감지될 수 없는 방법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속도(dF/dt)는 감지 임계값(WS)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도2 및 도3에 설명된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시점(t1)에서는 상응하는 대책없이 시점(t2)에서 요구 분사 시간(ti)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따라서, 도2 및 도3의 블록(78)에서 PID 조정 장치를 통해 시점(t1)에서 엔진(10) 내의 토크(M)가 약간 감소함으로써 공기 충전에 대한 목표값(rls)은, 도2 및 도3의 블록(80)에서 감소되고, 이에 따라 분사 시간(ti)이 블록(82)에서 감소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D 조정 장치를 통해 상응하는 곡선에서의 급격한 꺽임이 회피되고, 그 대신에 서서히 전환된다. 상응하게는 토크(M) 및 가속력(F)에 대한 곡선이 급격한 꺽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도7에는 상응하는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가속 변경은 비교적 서서히 수행되고, 변경 속도(dM/dt, dF/dt)는, 감지 임계값(WS)을 초과하지 않고 이로써 차량의 탑승자기 전혀 감지할 수 없을 정도에 위치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는 블록(70)에서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초과의 판단이 관찰 방법 특히, 루엔베르거 관찰 방법 또는 칼만-부시-필터를 통해 수행된다. 또한, 엔진(10)의 연소실(12) 내의 공기 충전에 대한 목표값(rls)의 영향 대신에 흡입관(14) 내의 과급압이 웨이스트-게이트(25)의 상응하는 제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엔진(10)에 의해 유도된 토크(M)에 대한 목표값이 직접 감소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연소실(12)의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에 대한 모든 영향이 특성 곡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는 블록(78)에서 PID 조정 장치에 대한 조정 변수로써 요구 분사 시간(ti)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의 차이(dtimx)가 사용된다. 그러나, 추가 조정 변수로써 토크(M)의 변경 속도(dM/dt)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된 방법의 사용은 흡기관 분사 엔진에 제한되지 않고, 연료 직접 분사 엔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최대 가능 분사 시간은 특히 분사 밸브가 지속적으로 개방되는 "연속파"에 상응하지 않고, 엔진 행정을 통해 사전 설정된 분사창에 상응한다. 이는 상기 방법이 가솔린 및 디젤 엔진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디젤 엔진 및 (성층 작동의) 연료 직접 분사 엔진에서는 특히 설정 변수로써 공기 충전 대신에 연료 질량이 사용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연료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32)를 통해 분사되고, 분사된 연료량은 분사 시간을 통해 영향을 받는 엔진(10) 작동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분사 밸브(32)의 요구 분사 시간(ti)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보다 길어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되고(70),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70)되면,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rls)는 토크(M)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영향(70, 80, 84)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토크(M)의 변경 속도(dM/dt)는 한계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시간 당(dt) 토크(M)의 변경(dM)에 대한 한계값이 엔진(10) 사용자의 감지 임계값(WS)을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단(70)은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과 요구 분사 시간(ti) 사이의 차이(dtimx)의 비교 및 상기 차이의 변경 속도(ddtimx/dt)와 한계값(G2) 비교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과 요구 분사 시간(ti) 사이의차이(dtimx)의 변경 속도(ddtimx/dt)에 대한 한계값(G2)은 차이(dtimx)의 정도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단은 관찰 방법, 특히 루엔베르거 관찰 방법 또는 칼만-부시-필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향(78, 80, 84)은 연소실(12)의 공기 충전(rls)의 변경(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영향(70, 80, 84)은 드로틀 밸브(28)의 각도(wdk) 조정(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영향은 과급압 및/또는 흡기관 압력의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향은 연료압의 상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향은 목표 토크의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향은 입력 변수가 요구 분사 시간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 사이의 차이인 특성 곡선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향은 조정 장치, 특히 PD 또는 PID 조정 장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조정 장치의 조정 변수는 요구 분사 시간(timx)과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 사이의 차이(dtim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토크의 변경 속도가 추가 조정 변수로써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면,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적절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5항에 있어서, 메모리, 특히 플래시 메모리 상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분사 밸브의 분사 시간에 대한 목표값(ti)을 출력하고, 연료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32)를 포함하는 엔진(10) 작동을 위한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에 있어서,
    분사 밸브(32)의 요구 분사 시간(ti)이 최대 가능 분사 시간(timxth)보다 길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70)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70)되면, 연소를 위해 결정된 변수(rls)는 토크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영향(78, 80, 84)을 미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15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
  19. 연료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밸브를 장착한 엔진에 있어서,
    청구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제어 및/또는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KR1020037013270A 2001-04-12 2001-12-18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제어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내연기관 KR100840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8264A DE10118264A1 (de) 2001-04-12 2001-04-12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Brennkraftmaschine
DE10118264.3 2001-04-12
PCT/DE2001/004740 WO2002084096A1 (de) 2001-04-12 2001-12-18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491A true KR20040014491A (ko) 2004-02-14
KR100840803B1 KR100840803B1 (ko) 2008-06-23

Family

ID=768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270A KR100840803B1 (ko) 2001-04-12 2001-12-18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제어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내연기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1703B2 (ko)
EP (1) EP1379770B1 (ko)
JP (1) JP4178035B2 (ko)
KR (1) KR100840803B1 (ko)
DE (2) DE10118264A1 (ko)
WO (1) WO2002084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8721B4 (de) * 2003-02-28 2011-06-16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Kraftstoffeinspritzung bei einer Brennkraftmaschine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4013240B4 (de) * 2004-03-18 2018-12-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04880B4 (de) * 2005-02-03 2015-05-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gastemperaturregelung
DE102005060858A1 (de) * 2005-12-20 2007-06-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fahrzeugs
JP6071370B2 (ja) * 2012-09-21 2017-02-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150039208A1 (en) 2013-07-30 2015-02-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low through an engine based on a fuel injection duration limit
CN104018944B (zh) * 2014-04-23 2016-04-06 重庆邮电大学 基于龙伯格滑模观测器的电子节气门自适应反步控制方法
DE102017203849A1 (de) * 2017-03-08 2018-09-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einheit zur Anpassung der Emission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553A (en) * 1991-02-12 1994-03-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oftware air-flow me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630213C1 (de) * 1996-07-26 1997-07-31 Daimler Ben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tormomenteinstellung bei einem Verbrennungsmotor
SE522177C2 (sv) 1996-08-27 2004-01-20 Mitsubishi Motors Corp Styranordning för en förbränningsmotor med cylinderinsprutning och gnisttändning
JP2001055951A (ja) * 1999-08-18 2001-02-27 Mazda Motor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8035B2 (ja) 2008-11-12
WO2002084096A1 (de) 2002-10-24
DE10118264A1 (de) 2002-10-17
US20040112334A1 (en) 2004-06-17
KR100840803B1 (ko) 2008-06-23
US7051703B2 (en) 2006-05-30
EP1379770B1 (de) 2004-12-01
JP2004526096A (ja) 2004-08-26
EP1379770A1 (de) 2004-01-14
DE50104727D1 (de)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85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JP2680092B2 (ja) 過給される内燃機関の制御
EP0239095A2 (en)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50139193A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3899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fuel injection
KR101128653B1 (ko) 내연 기관 제어 방법
CN107002573B (zh) 用于内燃机的控制器
US5988141A (en) Engine torque control apparatus
KR20190002048A (ko) 쓰로틀 이원화 가속제어방법 및 차량
KR100616269B1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KR930006058B1 (ko) 내연기관의 흡입 공기량 제어방법
KR100317158B1 (ko) 내연기관의아이들링속도제어시스템
KR20040014491A (ko) 엔진 작동을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어 및/또는조정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엔진
JP3546703B2 (ja) 内燃機関の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US6263856B1 (en) Powertrain output monitor
US6295967B1 (en) Powertrain output monitor
US7954319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setting a turbine flow cross-section
EP0915245B1 (en) Idle speed control apparatus for engine
JP2006125352A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020045983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arrangement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12284B1 (en) Device and method for engine control
JP739959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60043723A (ko) 내연기관 작동 방법 및 장치
EP4191045B1 (en) Supercharging pressure control method and supercharging pressure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86115B2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