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292A -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3292A KR20040013292A KR1020020046150A KR20020046150A KR20040013292A KR 20040013292 A KR20040013292 A KR 20040013292A KR 1020020046150 A KR1020020046150 A KR 1020020046150A KR 20020046150 A KR20020046150 A KR 20020046150A KR 20040013292 A KR20040013292 A KR 200400132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colored ink
- panes
- glass assembly
- closed sp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1—Coloured fluid flow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는 대략적인 직사각형을 이루는 상부, 하부 및 측부 프레임(12), 프레임 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둘 이상의 판유리(30), 하부 프레임(12b)에 설치되고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며 내부에 유색잉크를 수용하는 신축 가능한 액체 수용부(30), 액체 수용부(30)를 압축 및 팽창시켜 내부에 수용된 유색잉크를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 및 흡수하는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 및 상부 프레임(12a)에 설치되고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며 액체 수용부가 압축되어 유색잉크가 밀폐공간으로 유입될 때 밀폐공간 내의 기체를 흡입하고 액체 수용부가 압축해제되어 유색잉크가 액체 수용부 내로 흡수될 때 흡입된 기체를 밀폐공간으로 방출하는 신축 가능한 기체 수용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층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두 장 또는 그 이상의 판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프레임에 고정한 후 프레임과의 연결부위를 밀봉한 제품으로서, 뛰어난 방음, 방열 기능에 의해 최근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는 일반적인 형태에서 다양한 변형물이 나오고 있는데, 한 예로서 1994년 5월 13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996-14348호는 적층된 유리에 일정한 패턴의 페인트를 피복하여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로 만든 "적층된 장식유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따른 적층 유리는 유리를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제작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는 최조 제작시에 설정된 상태만으로 사용될 뿐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될 수 없다.
다른 예로서, 1999년 11월 22일에 "액체 비중차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복층유리 칸막이"라는 제목하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79217호는 2장의 복층 유리 사이에 비중이 높은 투명한 수성 액체를 채우고, 복층 유리의 하단부 공간으로 비중이 낮은 짙은 색상의 액체를 펌프로 분출시켜 액체 방울이 비중에 의해 상승함으로서 장식효과를 발생하는 복층 유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복층 유리 내의 밀폐된 공간에 액체를 채워 특유의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독창적이기는 하지만, 유리판 사이에 항상 액체가 채워져 있으므로 유리판에 걸리는 부하가 크고, 실질적으로 장식효과 외에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리를 이용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한 예로서 1997년 8월 29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9-10521호의 "자동차의 햇빛 차단용 글라스"가 있다. 이 글라스는 복층 유리의 하부에 챔버를 형성하고 그 챔버 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알코올을 주입함으로써, 고온에 의해 팽창하는 알코올이 복층 유리 사이에 채워지게 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알코올이 팽창하여 복층 유리 내의 밀폐공간을 완전히 채우기 위해서는 챔버 내에 상당량의 알코올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또한 유리 내의 밀폐공간에는 이미 다른 기체가 채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압력 증가로 인해 알코올의 팽창이 매우 어려워 실질적으로 상용화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2000년 8월 14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14033호는 "복층유리 사이에서 햇빛을 차단하는 차단장치"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 기술은 복층유리 사이에 금속판이나 직물지를 개재하여 감거나 푸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그러나, 이 기술은 금속판이나 직물지를 감거나 풀기 위한 설비들에 의해 복층유리의 밀봉이 불가능하여, 복층유리의 고유한 방음 및 방열효과를 잃게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리판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필요에 따라 유색잉크를 주입하거나 방출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햇빛 차단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복층유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층유리 조립체를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의 유색잉크 공급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복층유리 조립체에 사용되는 액체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복층유리 12..프레임 12a..상부 프레임
12b..하부 프레임 20..판유리 22..밀봉재
30,70..액체 수용부 32..주입구 40..기체 수용부
42..흡입구 50..조절 레버 52..가이드 홈
54..걸림홈 72..액체수용 실린더 76..피스톤
78..래크 80..피니언 84..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는 대략적인 직사각형을 이루는 상부, 하부 및 측부 프레임, 프레임 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둘 이상의 판유리,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며 내부에 유색잉크를 수용하는 신축 가능한 액체 수용부, 액체 수용부를 압축 및 팽창시켜 내부에 수용된 유색잉크를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 및 흡수하는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 및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며 액체 수용부가 압축되어 유색잉크가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유입될 때 밀폐공간 내의 기체를 흡입하고 액체 수용부가 압축해제되어 유색잉크가 액체 수용부 내로 흡수될 때 흡입된 기체를 밀폐공간으로 방출하는 신축 가능한 기체 수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액체 수용부의 유색잉크 수용량은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의 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설계된다.
이때,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은 액체 수용부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 레버이고, 하부 프레임에는 조절 레버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가이드 홈의 일단부에는 조절 레버가 액체 수용부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액체 수용부는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고 유색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 실린더 및 액체 수용 실린더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은 피스톤에 결합된 래크,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유리는 적어도 내측면이 트라이에폭시 실레인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 하부에는 액체 수용부의 주입구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하부 프레임의 상면이 액체 수용부의 주입구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층유리 조립체(10)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는 프레임(12)을 구비하며, 프레임(12)은 상부 프레임(12a), 하부 프레임(12b) 및 측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프레임(12a)과 하부 프레임(12b)에는 공지된 슬라이드 가이드(16)가 창문틀 또는 문틀의 가이드 레일에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이 프레임(12) 내에는 두 장 이상의 판유리(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복층유리는 석 장 이상의 판유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인 두 장의 판유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프레임(12)은 복층유리 조립체의 용도 및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한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소정 형상의 두 쌍의 돌출부(14)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형성하고, 돌출부(14) 사이에 유리판(20)을 세워 놓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유리판(20)은 돌출부(14) 사이에서 밀봉재(22)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층유리 조립체(10)는 한 쌍의 유리판(20) 사이에 일정한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의 하부 프레임(12b)에는 액체 수용부(30)가 설치된다. 액체 수용부(30)는 내부에 유색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공간을 보유하며,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액체 수용부(30)는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서 액체 수용부(30)의 일단부는 주입구(32)를 통해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 하단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부(30)는 수축될 때 내부에 저장된 유색잉크가 주입구(32)를 통해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되게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액체 수용부(30)는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울퉁불퉁한 형상, 특히 자바라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형상은 액체 수용부(30)의 팽창과 수축에 매우 용이하다.
또한, 하부 프레임(12b) 내에 액체 수용부(30)를 설치하기 위해서, 하부 프레임(12b)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절한 적재공간(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적재공간(18) 내에서 액체 수용부(30)는 형상의 비틀림 없이 팽창과 수축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유색잉크는 판유리(20)의 표면에 흡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는점이 낮고 비중과 응집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색잉크는 상술한 기능을 갖는 것이면 유성이나 수성 모두 가능하며, 유색잉크의 색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유색잉크가 판유리(20)의 표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판유리(20)의 내측 표면은 특수한 물질로 코팅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유리(20)의 표면코팅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물이 잘 묻지 않는 재료인 트라이에폭시 실레인 또는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에 불활성기체를 넣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12b)에는 또한 상술한 액체 수용부(30)를 수축 및 팽창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절 레버(50)가 설치된다. 조절 레버(50)는 액체 수용부(30)의 타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소정 형상의 가이드 홈(5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 홈(52)은 액체 수용부(30)의 팽창위치 및 축소위치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액체 수용부(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액체 수용부(30)의 축소위치에서는 조절 레버(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홈(5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홈(54)은 가이드 홈(52)의 일단부를 하부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조절 레버(50)는 걸림홈(54)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액체 수용부(30)의 유색잉크 수용량은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의 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체 수용부(30) 내에 저장된 유색잉크는 액체 수용부(30)를 최대 한도로 압축시켰을 때 밀폐공간을 완전히 채울 정도가 되어야 한다.
복층유리 조립체(10)의 상부 프레임(12a)에는 또한 기체 수용부(40)가 설치된다. 기체 수용부(40)는 액체 수용부(30)가 수축되어 유색잉크가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될 때, 그 밀폐공간에 잔존하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영역이다. 이 기체 수용부(40)는 상술한 액체 수용부(3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다만 액체 수용부(30)가 팽창된 상태에서는 기체 수용부(40)가 수축되어 있고, 액체 수용부(30)가 수축될 때 기체 수용부(40)가 팽창되어 밀폐공간의 기체를 받아들이게 된다.
실질적으로, 기체 수용부(40)가 없다면, 액체 수용부(30)의 유색잉크를 밀폐공간으로 주입할 때 밀폐공간 내의 내부압력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유색잉크의 주입에 매우 많은 힘을 요구할 뿐 아니라 유색잉크를 밀폐공간 전체에 채우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기체 수용부(40)가 설치되면, 유색잉크 주입시 밀폐공간의 내부압 증가에 따라 기체 수용부(40)가 팽창하면서 자동으로 밀폐공간의 내부기체를 흡입하게 되므로, 유색잉크를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 전체에 채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체 수용부(40)로 흡입된 기체는 조절 레버(50)를 조작하여 액체 수용부(30)를 다시 팽창시킬 때 액체 수용부(30)로 유입되는 유색잉크의 양만큼 기체 수용부(40)로부터 밀폐공간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동시에 기체 수용부(40)는 자동적으로 축소되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복층유리 조립체에서 햇빛 차단을 위해 유색잉크를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프레임(12) 및 조절 레버(50)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판유리(20)로 도시된 부분은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도 3a는 밀폐공간 내에 유색잉크를 전혀 주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액체 주입부(30)는 최대 한도로 팽창된 상태이며 유색잉크는 모두 액체 주입부(3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반면, 이때 기체 주입부(40)는 최대 한도로 축소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액체 주입부(30)를 축소시키면, 액체 주입부(3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유색잉크는 주입구(32)를 통해서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되어 채워지게 된다. 이때, 밀폐공간에 잔존하던 기체는 유색잉크에 의해 점차 증가된 압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증가된 내부압에 의해 기체는 흡입구(42)를 통해 기체 수용부(40) 내로 유입되고, 따라서 기체 수용부(40)는 점차 팽창하게 된다.
도 3c는 유색잉크가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에 완전히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액체 수용부(30)는 최대 한도로 축소되어 보유하고 있던 대부분의 유색잉크가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되며, 기존에 밀폐공간에 잔존하던 기체는 전부 또는 대부분이 기체 수용부(40) 내로 유입된다. 또한, 이 때에 기체 수용부(40)는 최대 한도로 팽창된 상태가 된다.
이후,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에 채워진 유색잉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조절 레버(50)를 조작하여 액체 수용부(30)를 팽창 가능한 상태로 만들면 된다. 그러면, 유색잉크의 하중에 의해서 밀폐공간 내에 있는 유색잉크는 아래로 흘러내려 점차 액체 수용부(30) 내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이때 액체 수용부(30)는 점차 팽창되고 기체 수용부(40)는 보유하고 있던 기체가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점차 수축된다. 이와 같이, 유색잉크를 회수하는 과정은 상술한 유색잉크 주입과정과 반대로 진행이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조립체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한 쌍의 유리판(20) 사이의 밀폐공간 하부에 액체 수용부(30)의 주입구(32)를 중심으로 상부로 경사진 경사판(60)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판(60)은 특히 유색잉크를 액체 수용부(30) 내로 회수할 때, 밀폐공간 내에 있는 유색잉크가 액체 수용부(30)의 주입구(32)로 원활하게 모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b에는 다른 변형예로서, 하부 프레임(12b)의 상면(60')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2b)의 상면(60')은 액체 수용부(30)의 주입구(32)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경사면은 도 4a에 도시된 경사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에 사용되는 액체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 수용부(70)는 하부 프레임(12b)에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수용 실린더(72)를 구비하며, 이 액체 수용 실린더(72)는 유색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액체 수용 실린더(72)의 단부에는 주입구(32)로 통하는 주입부(74)가 형성된다.
액체 수용 실린더(72)의 타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된 영역으로 피스톤(76)이 삽입된다. 피스톤(76)은 액체 수용 실린더(72)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미끄럼 이동으로 인해 실린더(72) 내의 유색잉크를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하거나 회수하게 된다.
피스톤(76)의 후방에는 래크(78)가 결합되며, 래크(78)에는 피니언(80)이 맞물리도록 기어결합된다. 또한, 피니언(80)의 축은 별도의 모터(84)에 연결되어 모터(8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모터(84)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84) 구동을 위한 조작부가 하부 프레임(12b)의 외측에 구비된다. 조작부는 버튼 형태나 레버 형태가 모두 가능하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액체 수용부(70)는 사용자가 모터(84)를 조작하여 피니언(80)을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래크(78)가 피스톤(76)을 액체 수용 실린더(72) 내로 밀도록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실린더(72) 내에 수용된 유색잉크는 주입구(32)를 통해 판유리(20)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12a)에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체 수용부(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색잉크가 밀폐공간으로 유입되고 밀폐공간 내의 기체가 밀려 기체 수용부(40)로 유입되는 과정이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밀폐공간에 채워진 유색잉크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모터(84)를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조작하여, 피니언(80) 및 래크(78)가 잉크 공급과정과 반대로 이동하면서 피스톤(76)을 실린더(72)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 경우는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 유색잉크의 회수공정이 모터(84)에 의해 강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유색잉크의 회수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는 저장된 유색잉크를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햇빛 차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상기 복층유리 조립체는 기체 수용부를 구비하여 유색잉크를 밀폐공간으로 주입할 때 발생하는 내부압 증가를 상쇄하도록 하였으며, 유색잉크의 주입 및 회수를 조절 레버를 이용한 수동방식 및 모터를 이용한 전기방식 모두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의 내면을 코팅처리하여 유색잉크가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 하부를 경사지게 변형함으로써 유색잉크가 보다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 대략적인 직사각형을 이루는 상부, 하부 및 측부 프레임(12);상기 프레임 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둘 이상의 판유리(30);상기 하부 프레임(12b)에 설치되고 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며 내부에 유색잉크를 수용하는 신축 가능한 액체 수용부(30);상기 액체 수용부(30)를 압축 및 팽창시켜 내부에 수용된 유색잉크를 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주입 및 흡수하는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 및상기 상부 프레임(12a)에 설치되고, 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액체 수용부가 압축되어 유색잉크가 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으로 유입될 때 상기 밀폐공간 내의 기체를 흡입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가 압축해제되어 유색잉크가 상기 액체 수용부 내로 흡수될 때 흡입된 기체를 상기 밀폐공간으로 방출하는 신축 가능한 기체 수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액체 수용부의 유색잉크 수용량은 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의 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은 상기 액체 수용부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 레버이고,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조절 레버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홈(5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52)의 일단부에는 상기 조절 레버가 상기 액체 수용부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액체 수용부는 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과 연통되고 유색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 실린더(72) 및 상기 액체 수용 실린더(72)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피스톤(74)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액체 수용부 조절수단은 상기 피스톤(74)에 결합된 래크(78), 상기 래크(74)와 맞물리는 피니언(80) 및 상기 피니언(80)을 회전시키는 모터(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판유리는 적어도 내측면이 트라이에폭시 실레인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판유리는 적어도 내측면이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판유리 사이의 밀폐공간 하부에는 상기 액체 수용부의 주입구(32)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판(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주입구(32)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6150A KR20040013292A (ko) | 2002-08-05 | 2002-08-05 |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6150A KR20040013292A (ko) | 2002-08-05 | 2002-08-05 |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3292A true KR20040013292A (ko) | 2004-02-14 |
Family
ID=3732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6150A KR20040013292A (ko) | 2002-08-05 | 2002-08-05 |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13292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563B1 (ko) * | 2011-05-17 | 2012-05-08 | 박일흥 | 유,무색 유체 순환구조의 복층유리판넬을 이용한 창문 및 도어 |
CN111472660A (zh) * | 2020-04-30 | 2020-07-31 | 王震 | 一种具有遮光功能的防爆玻璃窗 |
CN114554756A (zh) * | 2022-02-18 | 2022-05-2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壳体组件及膜材模组 |
KR20230040818A (ko) * | 2021-09-16 | 2023-03-23 | 김석진 | 다기능 창문짝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3779A (ja) * | 1992-09-14 | 1994-04-05 | Satoshi Yoshima | 液体による窓ガラスの光りと熱を和らげる装置 |
JPH0874477A (ja) * | 1994-09-01 | 1996-03-19 | Kajima Corp | ガラスシステム |
JPH0886153A (ja) * | 1994-09-14 | 1996-04-02 | Kajima Corp | ガラスシステム |
KR20000018408U (ko) * | 1999-03-18 | 2000-10-16 | 장건 | 가변성 일광 차단 이중창 장치 |
KR200236104Y1 (ko) * | 2001-01-03 | 2001-10-06 | 장 건 | 유/수성 액체를 이용한 복층 유리 시각 차단 장치 |
KR20030037176A (ko) * | 2001-11-02 | 2003-05-12 | 주식회사 한국하우톤 | 이중 유리창 장치 |
-
2002
- 2002-08-05 KR KR1020020046150A patent/KR2004001329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3779A (ja) * | 1992-09-14 | 1994-04-05 | Satoshi Yoshima | 液体による窓ガラスの光りと熱を和らげる装置 |
JPH0874477A (ja) * | 1994-09-01 | 1996-03-19 | Kajima Corp | ガラスシステム |
JPH0886153A (ja) * | 1994-09-14 | 1996-04-02 | Kajima Corp | ガラスシステム |
KR20000018408U (ko) * | 1999-03-18 | 2000-10-16 | 장건 | 가변성 일광 차단 이중창 장치 |
KR200236104Y1 (ko) * | 2001-01-03 | 2001-10-06 | 장 건 | 유/수성 액체를 이용한 복층 유리 시각 차단 장치 |
KR20030037176A (ko) * | 2001-11-02 | 2003-05-12 | 주식회사 한국하우톤 | 이중 유리창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563B1 (ko) * | 2011-05-17 | 2012-05-08 | 박일흥 | 유,무색 유체 순환구조의 복층유리판넬을 이용한 창문 및 도어 |
CN111472660A (zh) * | 2020-04-30 | 2020-07-31 | 王震 | 一种具有遮光功能的防爆玻璃窗 |
KR20230040818A (ko) * | 2021-09-16 | 2023-03-23 | 김석진 | 다기능 창문짝 |
CN114554756A (zh) * | 2022-02-18 | 2022-05-2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壳体组件及膜材模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075900B (zh) | 密封设备 | |
CN206867155U (zh) | 一种开盖方便的料理机 | |
CN112821223B (zh) | 一种高压配电柜 | |
CN110395095B (zh) | 一种车顶太阳能百叶天窗 | |
KR20040013292A (ko) |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 조립체 | |
CN109649135A (zh) | 一种汽车防晒装置 | |
ZA741199B (en) | Sealing and closure element for doors, windows, closets, refrigerators and the like | |
CN113276645A (zh) | 汽车电子控制入水应急装置 | |
SU803848A3 (ru) | Надувной зонт | |
CN113879713A (zh) | 一种可调温式的贮存装置及调节方法 | |
CN201634754U (zh) | 抽屉式密封腔体 | |
CN112089158A (zh) | 一种具有遮阳功能的智能手环 | |
CN202217716U (zh) | 弹出式电池座 | |
CN114403652B (zh) | 一种可展开的科普巡展箱 | |
CN113464029B (zh) | 一种双开式窗户 | |
CN201249691Y (zh) | 一种可拓展的车厢 | |
CN109367970B (zh) | 一种收纳装置 | |
CN211081526U (zh) | 一种可转动开启的平移自动门 | |
SE9700520D0 (sv) | Fordonssäte | |
CN215883270U (zh) | 一种车辆落水下沉时开启天窗的装置 | |
CN207913255U (zh) | 一种用于电池电解液的氟代有机溶剂的真空干燥箱 | |
CN219176218U (zh) | 一种密封效果好的塑钢门窗 | |
CN218400360U (zh) | 汽车用的防水硬升顶卧舱 | |
JP2793201B2 (ja) | 天窓の構造 | |
CN204928917U (zh) | 一种卡托取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