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983A -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합병증의 치료약 - Google Patents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합병증의 치료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983A
KR20040012983A KR10-2003-7016988A KR20037016988A KR20040012983A KR 20040012983 A KR20040012983 A KR 20040012983A KR 20037016988 A KR20037016988 A KR 20037016988A KR 20040012983 A KR20040012983 A KR 2004001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fication
treatment
vitamin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따미찌노리
Original Assignee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61K31/5939,10-Secocholestane derivatives, e.g. cholecalciferol, i.e. vitamin D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rathyroid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을 저감할 수 있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및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경화, 허혈성 심질환 등) 의 치료약 또는 예방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을 갖지 않는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치료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 합병증의 치료약{MEDICINAL COMPOSITIONS FOR TREATING SECONDARY PARATHYROID HYPERFUNCTION AND REMEDIES FOR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FOR SECONDARY PARATHYROID HYPERFUNCTION}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이하「2HPT」라고도 함) 에서는 비타민 D 가 투여되고 있으나 (Drugs of the Future, 21 (12), 1229-1237 (1996)),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은 혈중 칼슘 상승 작용이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심혈관에 대한 석회화 유도 가능성이 있다 (Am. J. Kidney Diseases, 29, 641-649, 1997). 따라서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이 적은 의약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투석 환자 사인의 약 절반이 심혈관계 장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대부분은 심장, 혈관계에 석회화가 확인되고 있다 (Raggi P. Clinical Nephrology, vol.54. No.6, p325-333, 2000). 심혈관계의 장해 원인으로는 혈소판 응집, 고지혈증 등 혈중지질, 혈관의 석회화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전자빔 컴퓨터 토모그라피 (Electron beam computed tomography, EBCT) 에 의한 해석 등에 의해, 승모판에 대한 석회화와 심장 장해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다 (Stehen G 외, Kidney Int. vol.56, p383-392, 1999). 또한 혈관에 대한 석회화와 혈중의 칼슘ㆍ인적 (燐積) (Ca ×Pi products) 의 양의 상관성이 보고되어 있다 (Keigo Kimura 외, Kidney Int. vol.56 suppl. 71, pS 238-241, 1999). 따라서 투석 환자에서는 혈중 칼슘ㆍ인적 상승을 수반하는 심혈관계에 대한 석회화가 심질환을 조장하는 위험 인자의 하나로 생각된다.
투석 환자의 합병증의 하나인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이하「2HPT」라고도 함) 에서는, 비타민 D 에 의한 치료가 유효하나,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은 혈중 칼슘 상승 작용이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심혈관에 대한 석회화 유도의 가능성이 있다 (Am. J. Kidney Diseases, 29, 641-649, 1997). 따라서 칼슘 작용이약하고, 이소성 (異所性) 석회화 유도가 적은 화합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을 저감할 수 있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한 비타민 D 유도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을 갖지 않는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갖는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심혈관계 합병증으로는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의약 조성물에서는 비타민 D 유도체가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한 비타민 D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타민 D 유도체가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 치료용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법으로서,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상기 어느 하나의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에서의,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을 갖지 않는 비타민 D 유도체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투여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경화, 허혈성 심질환 등) 의 치료약 또는 예방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이, 2HPT 실험 신염 (腎炎) 모델 랫트에게 혈중 칼슘 상승을 수반하지 않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은, 일본 공개특허 공보 평3-723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약으로서 유용한 비타민 D 유도체이다.
즉 본 발명은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치료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심혈관계 합병증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심혈관계 합병증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 의 치료약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 의 예방약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 의 치료방법으로서,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적유효량의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 19)-프레그나트리엔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예를 들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 의 예방 방법으로서, 이러한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출원이 주장하는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출원인 일본 특허출원 2001-201673호의 개시는 모두 인용을 통해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心血管系) 합병증의 유발 작용을 갖지 않는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22-옥사-1α, 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 본 명세서 중에서「OCT」라고 함) 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치료약 또는 예방약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랫트의 혈장 중의 칼슘ㆍ인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막대그래프의 바는 평균 ±SE 의 범위를 나타낸다. *** 는 SNX 대조군에 대한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 (檢定) 으로, 위험률 (p)〈 0.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2 는, 랫트의 대동맥의 Ca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막대 그래프의 바는 평균 ±SE 의 범위를 나타낸다. *** 는 SNX 대조군에 대한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으로, 위험률 (p)〈 0.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3 은, 랫트의 대동맥의 Pi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막대 그래프의 바는 평균 ±SE 의 범위를 나타낸다. *** 는 SNX 대조군에 대한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으로, 위험률 (p)〈 0.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4 는, 랫트의 심장의 Ca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막대 그래프의 바는 평균 ±SE 의 범위를 나타낸다. *** 는 SNX 대조군에 대한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으로, 위험률 (p)〈 0.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 는 대응이 없는 t 검정으로, 위험률 (p)〈 0.05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5 는, 랫트의 심장의 Pi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막대 그래프의 바는 평균 ±SE 의 범위를 나타낸다. *** 는 SNX 대조군에 대한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으로, 위험률 (p)〈 0.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 는 대응이 없는 t 검정으로, 위험률 (p)〈 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6 은, 혈청 중에 함유되는 부갑상선 호르몬 (PTH) 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막대 그래프의 바는 평균 ±SE 의 범위를 나타낸다. *** 는 SNX 대조군에 대한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한 검정으로, 위험률 (p)〈 0.001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 은 대응이 없는 t 검정으로, 위험률 (p)〈 0.05 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에서,「비타민 D 유도체」란 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5Z,7E)-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α,5Z,7E)-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1-올 구조를 갖는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1α,5Z,7E)-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1,25-디올 구조를 갖는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1α,3β,5Z,7E)-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1,3-디올 구조를 갖는 화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1α,3β,5Z,7E)-9,10-세코콜레스타-5,7,10(19)-트리엔-1,3,25-트리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들 구조를 갖는 한 비타민 D 유도체이고, 또한 비타민 D 수용체에 결합하는 활성을 갖는 한,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은 공지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공보 소61-26755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치료」란, 증상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에 있던 증상을 어느 정도라도 경감시키는 경우, 치료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증상의 진행이나 악화의 정도를 지연시키거나 경감시키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인간의 정상적인 총혈청 칼슘 농도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도 다르나, 일반적으로 8.8 ~ 10.4 ㎎/㎗ (2.20 ~ 2.60 m㏖/ℓ) 이다. 전체 혈중 칼슘 중 약 40 % 는 혈장 단백질 (주로 알부민) 과 결합되어 있다. 나머지 60 % 는 인산 염이나 시트르산 염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칼슘 이온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한편 체내의 대부분의 인은 산소와 결합하여 인산 염 (PO4) 으로 존재한다. 체내에는 거의 500 ~ 700 g 의 PO4가 존재하는데, 그 85 % 는 뼈에 함유되어 뼈의 결정 히드록시애퍼타이트 (hydroxyapatite) 의 중요 성분이 된다. 성인의 정상적인 혈장무기 PO4농도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도 다르나, 일반적으로 2.5 ~ 4.5 ㎎/㎗ (0.81 ~ 1.45 m㏖/ℓ) 의 범위이다.
칼슘 대사와 인산 대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Ca 농도 평형과 PO4농도 평형의 양자의 조절은 부갑상선 호르몬 (PTH), 비타민 D, 칼시토닌의 순환 혈액 중의 농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건강한 정상인의 칼슘ㆍ인적의 수치는 통상적으로는 30 (㎎/㎗)2이나, 70 (㎎/㎗)2를 초과하면 인산 칼슘의 결정이 연부 조직에 침착될 위험성이 증대된다 (Am. J. Kidney Diseases, 31(4), 607-617, 1998).
본 발명에서「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을 갖지 않는다」란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이 전혀 인정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비타민 D 유도체 (예를 들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등) 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발 작용이 저감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을 발생시키는 리스크를 갖지 않거나,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에 비해 리스크가 저감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혈청 칼슘ㆍ인적을 정상 범위보다 상승시키는 작용이 없는 것, 또는 투여 전후에 혈청 칼슘ㆍ인적을 상승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혈청 반감기가 짧고, 바람직하게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보다 짧기 (예를 들어 30 분 이하) 때문에 대동맥이나 심장에 대한 Ca 또는 Pi 침착이 저감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갖는다」의 정의에서,「예방」이란 증상의 발현을 완전히 방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본원의 의약품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현하는 증상이 경감되는 경우 또는 증상의 발현이 지연되는 경우 등을 포함하고,「개선」이란 이미 존재하는 증상을 어느 정도라도 경감시키거나, 본원의 의약품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증상의 진행이나 악화의 정도를 지연시키거나 경감시키는 경우 외에, 증상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경우도 포함한다.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갖는다」란 바람직하게는 혈청 칼슘ㆍ인적을 정상 범위보다 상승시키는 작용이 없는 것, 또는 투여 전후에 혈청 칼슘ㆍ인적을 상승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혈중 반감기가 짧고, 바람직하게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보다 짧기 (예를 들어 30 분 이하) 때문에 대동맥이나 심장에 대한 Ca 또는 Pi 침착이 저감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혈청 칼슘ㆍ인적을 정상 범위보다 상승시키는 작용을 갖지 않거나 투여 전후에 혈청 칼슘ㆍ인적을 상승시키지 않는다」란, 일반적으로 혈청 칼슘ㆍ인적을 70 (㎎/㎗)2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2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2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투여량에서 칼슘ㆍ인적 상승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하다」란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과 동등한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 효과가 발휘되는 투여량에서,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보다도 혈청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타민 D 유도체의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의 유무는, 예를 들어 본원 기재의 방법에 의해 동물 모델 등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비타민 D 유도체를 투여한 약물 투여군의 혈청 중의 칼슘ㆍ인적과, 대상군 (약물 비투여군) 의 혈청 중의 칼슘ㆍ인적을 비교하여 약물 투여군에서 대상군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칼슘ㆍ인적이 상승되어 있으면, 당해 비타민 D 유도체는 칼슘ㆍ인적의 상승 작용을 갖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서 약물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비교투여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한 비타민 D 유도체」란, 예를 들어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 효과를 유의하게 발휘하는 최소 투여량과,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을 유의하게 발휘하는 최소 투여량을 구한 경우에 양자에 차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 효과를 유의하게 발휘한다」란 혈청 중의 PTH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투여하고,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하는 투여량과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을 발휘하기 시작하는 투여량을 구하면 된다. 양자의 차가 바람직하게는 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100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과 비교 투여하고,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과 동등한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 효과가 발휘되는 투여량에서,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보다도 혈청 칼슘ㆍ인적의 상승 작용이 약하면, 칼슘ㆍ인적 상승이 약한 비타민 D 유도체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환자」란, 심혈관계 합병증이 앞으로 고빈도로 발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혈관계 합병증이 앞으로 고빈도로 발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이다. 고빈도로 발증하는지의 여부는 통계 조사 또는 역학적 조사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별도의 관점에서 기술하면, 본 발명에서「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환자」란, 예를 들어 혈청 칼슘ㆍ인적이 60 (㎎/㎗)2이상, 또는 65 (㎎/㎗)2이상, 특히 70 (㎎/㎗)2이상인 환자가 포함된다.
또한 혈청 칼슘ㆍ인적이 65 (㎎/㎗)2미만 또는 60 (㎎/㎗)2미만인 환자라도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에 의해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하기 쉬운 환자이면 본 발명의「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환자」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만성 신부전 환자 또는 투석 환자,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에 의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로서, 특히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로서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이다.
본 발명의「치료약」의 정의에서,「치료」란 증상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미 있는 증상을 어느 정도라도 경감시키는 경우, 본 발명의 치료약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증상의 진행이나 악화의 정도를 지연시키거나 경감시키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예방약」의 정의에서,「예방」이란 증상의 발현을 완전히 방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본원의 예방약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현되는 증상을 경감시키는 경우나 증상의 발현을 지연시키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료법에서의 투여방법 또는 본 발명의 치료약이나 예방약의 투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구 투여이거나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등)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비타민 D 유도체를 소망에 따라서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향료, 착색제 등과 함께 적당한 제형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약 또는 예방약은, 유효 성분인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소망에 따라서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향료, 착색제 등과 함께 적당한 제형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형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세립제, 캡슐제, 산제, 주사제, 용액제, 현탁제, 유제, 경피흡수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또는 치료약이나 예방약의 투여량은 대상질환, 환자의 상태, 체형, 체질, 연령, 성별, 또는 투여 경로, 제형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투여량은 유효 성분당 일반적으로 0.001 ~ 1000 ㎍/㎏/day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01 ~ 100 ㎍/㎏/day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day 의 범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장을 5/6 적출한 랫트 (5/6 신장 적출 랫트) 를 실험 모델로 하여, 본원의 심혈관계 합병증의 약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5/6 신장 적출 랫트는 2HPT 실험 신염 모델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Ichikawa 외, Nephrology, vol.4, p391-395, 1998).
1. 실험방법
7 주된 수컷 SD 랫트 (닛뽄 에스엘시) 에게 Platt들의 방법 (Platt. R 외, Clin. Sci.11, 217-231, 1952) 에 의해 5/6 신장 적출술 (우측 신장을 전부 적출하고 또한 좌측 신장을 2/3 적출) 을 실시하고, 10 주일 방치하여 2HPT 신부전 모델을 만들었다.
랫트를 4 개의 실험군으로 나누고, 각각을 OCT 1.25 ㎍/㎏ 투여군 (8 마리), OCT 6.25 ㎍/㎏ 투여군 (8 마리),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0.125 ㎍/㎏ 투여군 (8 마리),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0.625 ㎍/㎏ 투여군 (8 마리) 로 나누었다.
수술 완료 후의 10 주째부터 각 군의 랫트에게 각각 소정 투여량의 OCT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모두 pH 6.52 의 인산 완충액에 용해) 을 꼬리 정맥에 투여하였다. 투여는 주 3 회로 합계 7 회 실시하였다 (즉 월, 수, 금, 월, 수, 금, 월요일에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24 시간 후, 에테르 마취 하에서 복부 하강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한 후에 방혈 치사시켜 심장, 대동맥을 적출하였다.
5/6 신장 적출술 대신에 신장의 피막만 박리하고 신장 적출은 실시하지 않은 랫트를 모의 수술 (Sham 대조) 군 (6 마리) 으로 하고, OCT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대신에 pH 6.52 의 인산 완충액을 투여하는 것 이외에는, 실험군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또한 OCT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대신에 pH 6.52 의 인산 완충액을 투여하는 것 이외에는, 실험군과 동일하게 처리한 랫트를 SNX 대조군 (9 마리) 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2. 혈청 중의 Ca, Pi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 중에 함유된 Ca, Pi 를 오토세라 시약 (제일화학약품 주식회사) 을 사용하여, 히타치 7170-E 형 자동분석장치로 측정하여 혈청 중의 칼슘ㆍ인적을 구하였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Sham 대조군과 SNX 대조군의 관계는 대응이 없는 t 검정으로 해석하였다. SNX 대조군과 OCT 투여군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군의 관계는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해 검정하였다.
도 1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0.625 ㎍/㎏ 투여군에서의 혈청 칼슘ㆍ인적은 SNX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상승 (p〈 0.001) 을 나타내었다. 또한 OCT 6.25 ㎍/㎏ 투여군과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0.125 ㎍/㎏ 투여군은 거의 동등하였다.
3. 각종 장기 중의 Ca, Pi 함량
심장, 대동맥을 FREEZE DRYER FD-5N (상품명, EYELA) 에서 24 시간 동결 건조시킨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액 (클로로포름 : 메탄올 = 2 : 1 용액, 클로로포름 특급 시약, 메탄올 특급 시약 모두 준세이 화학 주식회사) 으로 48 시간 처리하였다. 그후 아세톤 (특급 시약, 준세이 화학 주식회사) 에 의한 탈수 처리를 3 시간 실시한 후, 24 시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탈지, 탈수 후의 장기를 도가니에 옳기고, 각 장기의 건조 중량을 메틀러 (mettler) 에 의해 측정하였다. 회화 (灰化) 는 머플 킬른 KDF S 90(상품명, Denken Co., Ltd., Kyoto, Japan) 에서 900 도 12 시간에 의해 실시하였다. 회화 샘플에 1.0 ㎖ 의 36 ㏖/ℓ염산을 첨가하여 3 시간 방치하고 충분히 용해시킨 후, 폴리프로필렌 튜브에 회수하였다. 도가니의 내부는 정제수 1.0 ㎖ 로 적신 후 건조시켰다. 샘플은 측정이 시작되기까지는 4 ℃ 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Ca 및 Pi 는 7170-E 형 히타치 자동분석장치에 의해 측정하고, 각 장기 1 g 당의 Ca 및 Pi 함량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2 ~ 5 에 나타낸다. Sham 대조군과 SNX 대조군의 관계는 대응이 없는 t 검정으로 해석하였다. SNX 대조군과 OCT 투여군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군의 관계는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해 검정하였다.
도 2, 3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에 의해 대동맥의 Ca 및 Pi 함량은, SNX 대조군에 비해 용량 의존적이며 유의 (p〈 0.001) 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칼슘ㆍ인적이 동등한 OCT 6.25 ㎍/㎏ 투여군과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0.125 ㎍/㎏ 투여군을 비교할 때,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은 OCT 에 비해 대동맥에 대한 Ca 및 Pi 침착이 확실히 강한 것이 인정되었다.
도 4, 5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에 의한 심장의 Ca 및 Pi 함량은, SNX 대조군에 비해 용량 의존적이며 유의 (p〈 0.001) 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칼슘ㆍ인적이 동등한 OCT 6.25 ㎍/㎏ 투여군과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0.125 ㎍/㎏ 투여군을 비교하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은 OCT 에 비해 심장에 대한 Ca 및 Pi 침착이 유의 (각각 p〈 0.05, p〈 0.01) 하게 강한 것이 인정되었다.
4. 혈액 중에 함유되는 갑상선 호르몬 함량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 중에 함유되는 부갑상선 호르몬 (PTH) 농도를 시판하는 라디오 임뮤노 어세이 키트 (Immutopics, Inc., USA) 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Sham 대조군과 SNX 대조군의 관계는 대응이없는 t 검정으로 해석하였다. SNX 대조군과 OCT 투여군 또는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군의 관계는 Dunnett 의 다중 비교에 의해 검정하였다.
도면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의 OCT 는 모든 투여량에서도 PTH 저하 활성을 갖고 있고,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약으로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결과를 도 1 과 비교하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에서는 0.125 ㎍/㎏ 에서는 유의한 칼슘 인적 수치의 상승이 보이지 않으나, 0.625 ㎍/㎏ 에서는 유의한 상승이 인정되었다. 한편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 효과, 즉 PTH 저하 작용은, 0.125 ㎍/㎏ 및 0.625 ㎍/㎏ 의 모든 투여량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의 칼슘 인적 상승 작용 발휘의 최소 투여량은 0.625 ㎍/㎏ 이고,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 효과가 0.125 ㎍/㎏ 에서 발휘되는 것을 고려하면, 양자는 최소한 5 배의 차밖에 나지 않는다. OCT 에서는, 1.25 ㎍/㎏ 및 6.25 ㎍/㎏ 의 모두 유의한 칼슘 인적 상승 작용이 인정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PTH 저하 작용은 1.25 ㎍/㎏ 및 6.25 ㎍/㎏ 의 모든 투여량에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OCT 에서의 PTH 저하 작용과 칼슘 인적 상승 작용의 발휘량의 격차는 적어도 5 배 이상이고, 25 배 이상의 격차가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연부 조직 석회화의 주요 인자의 하나는, 혈중의 칼슘ㆍ인적의 상승이나, 그 예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얽혀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D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로의 칼슘이나 인산의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을 갖고, 기본적으로 석회화를조장하나, 이러한 작용을 갖지 않는 비타민 D 유도체이면 심혈관계의 석회화를 촉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석회화가 혈관에서 발생되는 것을 고려할 때, 혈중 존재 시간이 짧은 비타민 D 유도체도 심혈관계의 석회화를 촉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OCT 의 혈중 반감기는 약 20 분이고, 혈중 반감기가 1 시간 이상인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과 비교하면, 혈중으로부터 더욱 신속하게 소실된다. 이러한 반감기의 차이도, OCT 투여군 쪽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투여군에 비해 대동맥이나 심장으로의 Ca 및 Pi 침착이 유의하게 낮은 결과에 기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혈중 반감기가 짧고, 바람직한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보다 짧은 (예를 들어 30 분 이하) 비타민 D 유도체에서는, 대동맥이나 심장으로의 Ca 및 Pi 침착이 저감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을 저감시킬 수 있고,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약은 1,25-디히드록시 비타민 D3에 비해 석회화를 초래할 위험이 적다는 것이 분명하고,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 합병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약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3)

  1.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유발 작용을 갖지 않는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2.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갖는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타민 D 유도체가 칼슘ㆍ인적 상승 작용이 약한 비타민 D 유도체인 의약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비타민 D 유도체가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인 의약 조성물.
  5.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법으로서,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환자가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치료방법.
  7. 비타민 D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증 리스크를 갖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8.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 -프레그나트리엔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치료약.
  9. 제 8 항에 있어서, 심혈관계 합병증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인 치료약.
  10.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 -프레그나트리엔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심혈관계 합병증이 동맥 경화 또는 허혈성 심질환인 예방약.
  12.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세코-5,7,10(19) -프레그나트리엔의,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약 또는 치료약의 제조에 대한 용도.
  13. 투석 환자에서의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석회화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으로서,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1α,3β-디히드록시-20S-(3-히드록시-3-메틸부틸옥시)-9,10 -세코-5,7,10(19)-프레그나트리엔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3-7016988A 2001-07-03 2002-07-02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합병증의 치료약 KR20040012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01673 2001-07-03
JP2001201673 2001-07-03
PCT/JP2002/006690 WO2003004036A1 (fr) 2001-07-03 2002-07-02 Compositions medicinales pour le traitement de l'hyperfonction des glandes parathyroides secondaires et medicaments servant a traiter les complications cardiovasculaires liees au traitement de l'hyperfonction des glandes parathyroides secondai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983A true KR20040012983A (ko) 2004-02-11

Family

ID=1903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988A KR20040012983A (ko) 2001-07-03 2002-07-02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합병증의 치료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248859A1 (ko)
EP (1) EP1402893A4 (ko)
JP (1) JPWO2003004036A1 (ko)
KR (1) KR20040012983A (ko)
WO (1) WO2003004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2255A1 (en) * 2003-07-30 2005-09-01 Jin Tian Use of Vitamin Ds or Vitamin D analogs to treat cardiovascular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789A (en) * 1989-03-28 1990-08-14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Suppression of parathyroid hormone synthesis and secretion
US6242434B1 (en) * 1997-08-08 2001-06-05 Bone Care International, Inc. 24-hydroxyvitamin D, analog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2893A4 (en) 2006-02-08
EP1402893A1 (en) 2004-03-31
WO2003004036A1 (fr) 2003-01-16
US20040248859A1 (en) 2004-12-09
JPWO2003004036A1 (ja)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941A (en) Oral 1 α-hydroxyprevitamin D
JP3529790B2 (ja) 続発性上皮小体機能亢進症の治療のための薬剤の製造におけるビタミンd▲下2▼又はビタミンd▲下4▼誘導体の用途
US20080031957A1 (en) Pulmonary delivery of 1alpha,25-dihydroxyvitamin D3 and co-administration of parathyroid hormone or calcitonin
KR20000062405A (ko) 지연방출성 및/또는 서방출성 비타민 d 제형을 사용하여 전립선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IE5962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increasing bone mass
CZ20031167A3 (cs) Prostředky a způsoby pro snižování plasmatického lipoproteinu(a) a rizika kardiovaskulárních onemocnění
AU2013281217B2 (en) Use of 2-methylene-19-nor-(20S)-1alpha,25-dihydroxyvitamin D3 to trea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AU784160B2 (en) Treatment of subnormal bone mineral density
Gimenez et al. Prevention of phosphate-induced progression of uremia in rats by 3-phosphocitric acid
US7214671B2 (en) Use of 2-methylene-19-nor-20(S)-1α,25-dihydroxyvitamin D3 for the prophylaxis of bone diseases
US5908824A (en) Nasally administ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s
KR20040012983A (ko) 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2차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에 수반되는 심혈관계합병증의 치료약
JP2002511418A (ja) ヘモクロマトーシス治療のためのエリトロポエチンの使用
JP6928611B2 (ja) 組合せ
CN115192597A (zh) 用于防治肺动脉高压的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EP1863492B1 (en) Use of megestrol acetate for improving heart function and the treatment of heart insufficiency
Liu et al. Androgen therapy in non-gonadal disease
KR20010021764A (ko) 피에이취에프 과다 또는 세포내 칼슘 과다와 관련한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상어 연골에서 유래한 조제물
WO2002017911A1 (fr) Inhibiteurs de la production de parathormone contenant des derives de vitamine d3
TWI228992B (en) Treatment of subnormal bone mineral density
JPH04279522A (ja) 血清カルシウム濃度調整薬
Calvey et al. G. Seyffart, Drug Dosage in Renal Insufficienc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