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629A -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 Google Patents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629A
KR20040010629A KR10-2003-7014039A KR20037014039A KR20040010629A KR 20040010629 A KR20040010629 A KR 20040010629A KR 20037014039 A KR20037014039 A KR 20037014039A KR 20040010629 A KR20040010629 A KR 2004001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assembly
positioning assembly
ey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822B1 (ko
Inventor
조한 에프. 헬렌캄프
Original Assignee
조한 에프. 헬렌캄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 에프. 헬렌캄프 filed Critical 조한 에프. 헬렌캄프
Publication of KR2004001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9Auxiliary devices making contact with the eyeball and coupling in laser light, e.g. gonio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6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외과 수술 중에 위도상으로 좁아진 시각 접근로 내에 배열되는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10)가 개시된다. 위치선정 조립체(10)는 눈의 각막(C)을 수용하고 노출하도록 형성된 구멍(25)을 구비한 유지판(23)을 가지는 위치선정 세그먼트(20)와,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20)가 상기 구멍(25) 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눈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부재(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부재(24)가 적어도 위도상의 반경에 상기 구멍으로부터 근접 이격되게 배열된다. 위치선정 조립체(10)는 눈에 위치선정 세그먼트(20)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위치선정 세그먼트(10)와 관련된 흡입 조립체(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조립체(30)는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각막절삭가공성형술 절삭 헤드 조립체(15)용 아치형 절단 경로를 형성하도록 유지판에 일체로 배열된 가이드 트랙(40)으로부터 이측으로 이격하여 기울어진 진공 포트(3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포스트 부재(50)를 포함하는 피봇 조립체가 더 제공되고 포스트 부재(50)는 커플링 조립체가 피봇하는 피봇 축선을 형성한다. 커트 개시 제어기구는 절삭 헤드 조립체(15)에 의한 이동 및 이에 따른 절삭이 시작되는 개시 지점을 형성하도록 포스트 부재(50)에 제공된다.

Description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A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눈은 카메라와 매우 유사한 작용을 하는데, 홍채, 또는 동공 주위의 눈의 채색된 부분은 눈의 내부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셔터와 같은 기능을 한다. 동공의 뒤쪽에 위치하는 렌즈, 및 각막 또는 눈의 투명한 창(window)은 보여지는 물체로부터의 광선을 눈의 뒤쪽의 망막에 포커싱되게하는 역할을 한다. 그 후에, 망막은 보여지는 물체의 상(image)을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광선은 망막상에 정확하게 포커싱됨으로써, 이격된 물체가 분명하고도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각막 표면의 정상 형상으로부터의 편차는 시각적 인식 과정에서의 굴절 오류를 유발하여 눈이 이격된 물체의 상을 망막에 포커싱할 수 없게 되며, 결과적으로 흐릿한 상으로 보여진다.
수년 전에는, 그러한 굴절 오류는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만으로만 교정될 수 있었으며, 그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의 단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 눈의 굴절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는 외과적인 시술이 개발되었다. 주로 각막을 재성형(reshape)하는 이러한 종류의 외과적 시술을 실시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 및 특별한 기구들이 고안되었다. 각막 재성형의 목적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각막을 보다 편평하게 하거나 또는 보다 굽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각막의 곡률반경을 변경함으로써, 각막을 통과하는 광선이 굴절되어 망막상에 직접 포커싱되거나 수렴되게하여, 환자가 이격된 물체를 선명하게 볼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외과적 시술 중 하나는 각막절삭가공성형술(Keratomileusis)이며, 그 시술은 각막 캡(cap)으로 지칭되는 각막 조직의 얇은 층을 절삭 및 분리하고, 그 조직을 래딩(lathing)하며, 그 후에 재성형된 각막 조직을 다시 눈상의 위치선정에 봉합함으로써, 각막을 정밀하게 재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각막절삭가공성형술은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결과적으로 최근에는 시술되지 않는다. 자동화된 박막 각막절제술(Automated Lamellar Keratectomy; ALK)은 다른 외과적 기술로서, 각막절삭가공성형술로부터 발전되어 개발된 것이다. ALK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마취제를 떨어뜨려 먼저 눈을 마비시키고, 이어서 링 형상의 장치가 눈에 위치되어 각막을 조심스럽게 위치선정시켜(소위 당업계에서 "중심화(centration)"라고 칭한다) 미세각막절삭기(microkeratome)로 알려진 매우 작은 미세 수술용 기구로 절삭한다. 일반적으로, 미세각막절삭기는 각막을 절삭하기 위해 링 형상 장치를 가로지르는 절삭 경로를 따라 수동적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칼날 이송 장치이다. 근시를 치료하기 위한 ALK 과정하에서, 통상적으로 미세각막절삭기는 각막을 분리(sever)시키는 대신에 첫번째로 각막의 얇은 층을 절삭하고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되며, 두번째로, 원하는 소정의 정확한 깊이로 통과하도록 조절된 절삭 기구를 이용하여 미세각막절삭기가 각막을 두번째로 통과하게 함으로써 각막의 재성형을 실행한다. 그 후에, 각막 조직의 얇고 상승된 층은 각막상의 위치선정에 다시 놓여져서 치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에서 다른 상당한 진보가 있었다. 예를 들어, 각막을 재성형하거나 및/또는 윤곽선을 형성(contour)하는데 레이저를 이용하는 라식(Laser Intrastromal Keratomileusis; LASIK)으로 알려진 시술이 안전성, 무통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시술로서 점점 정착되고 있으며, 그 라식은 예를 들어 근시, 원시 및 난시(정난시 및 부정난시 포함)와 같은 시각적 문제점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라식 수술은 현재 최선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이는 인접 조직의 손상 없이각막을 깍을 수 있기 때문이고, 또한 레이저는 컴퓨터의 도움으로 의사가 제거되는 조직의 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기 때문이며, 중요하게는 각막의 재성형에 보다 많은 옵션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식 수술하에서, 통상적으로 눈은 여전히 링 형상 장치내에 위치되며, 통상적으로 미세각막절삭기 절삭 헤드 조립체는 레이저 치료를 위해 눈의 하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각막 조직의 얇은 층을 절삭하고 들어올리는 예비적인 단계로서 사용된다. 각막 조직의 얇은 층의 절삭은 각막절삭가공성형술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각막편(corneal flap)"이 절삭될 것이고, 이는 각막에 부착된 조직의 힌지형(hinged) 부분을 생성한다. 그러나, "프리 캡(떨어져 분리된 각막편;free cap)"이 절삭되고 각막 조직의 상승된 층이 눈으로부터 분리되는 특별한 경우도 있다.
라식 수술중에 눈이 어떻게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되는지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전술한 링 형상 장치가 사용되고 흡입력 또는 진공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안구에 부착된다. 그 경우, 상기 장치는 흡입 링으로 지칭되며, 통상적인 흡입 링은 중간 구멍을 형성하는 환형의 중공(hollow) 링 및 표준 크기의 개방된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각막이 노출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바닥면은 각막을 따라 눈의 표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흡입 링은 중공의 흡입 튜브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 튜브는 링의 개방형 바닥면과 유체 연통된다. 일반적으로, 진공은 흡입 튜브를 통해 상기 흡입 링에 가해지고, 이 때 인가되는 진공은 통상적으로 20" Hg 내지 28" Hg 이며, 상기 진공은 외부 대기압의 영향으로 흡입 링을 눈의 구체(globe)상으로 끌어 당긴다. 그 경우, 흡입 링은 각막을 둘러싸는 안구의 표면에 인가된 흡입력으로 부착되며 라식 수술 중에 그 링을 안구에 적절하게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흡입 링은 안과 시술에서 일반적인 장치가 되었으며, 수명을 다하는 동안에 많은 수의 환자에 대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당업계에서 그러한 흡입 링의 사용이 보다 일반화되는 동안, 몇몇 단점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공지된 흡입 링의 형상 및 크기는 많은 사람들의 눈의 리세스(ocular recess)안에 안락하게 및/또는 적절하게 위치될 수 없었다. 특히, 몇몇 사람들, 및 특히 어린이나 아시아계 사람들은 특정의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는 그러한 흡입 링의 배치에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사람들은 보다 좁은 눈의 리세스를 가지거나 및/또는 특히 위도방향으로 및/또는 상하방향으로 다른 사람과 같이 눈을 많이 뜰 수 없을 것이다. 통상적인 흡입 링의 적절한 고정에 필요한 표면적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적인 접근경로는 의사가 라식과 같은 외과적 시술을 눈에 대해 실시하기 곤란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보다 좁은 눈으로의 접근경로를 가지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환자의 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절삭가공성형술 조립체, 및 특히 그러한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흡입 링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개선된 흡입 링은 환자의 눈의 노출 부분에 효과적으로 그리고 안락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하며, 또한 각막절삭가공성형술 절삭 헤드 조립체에 의한 절삭을 위해 각막의 충분한 깊이 및/또는 지름을 노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선된 흡입 링이 개발되었더라도, 보다 좁은 영역 또는 눈의 리세스에도 불구하고, 절삭 과정을 방해하지 않고 및/또는 정확도의 손상없이, 최적의 결과로 각막절삭가공성형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미국 특허 제 5,624,45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 경로를 따라 절삭하도록 구성된 타입의 절삭 헤드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통상적인 흡입 링은, 특히 옵싸모로지칼(opthamological) 과정중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에 필요한 정밀도 범위내에서 제조 및/또는 조립하기가 곤란하였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만약, 주로 어린이나 아시아계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보다 작은 눈의 리세스에 적합한 흡입 링이 개발된다면, 이러한 문제점들 역시 만족스럽게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선된 흡입 링 또는 효율적이고, 간소화되고(streamlined), 및 콤팩트한 형상으로 모든 필수 부품이 통합된 위치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그리고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고 각막절삭가공성형술 조립체의 안전하고 정밀한 사용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각막절삭가공성형술중에 각막절삭가공성형술 절삭 헤드 조립체가 각막의 절삭을 균일하고 그리고 눈꺼풀 및/또는 각막에 대해 보다 정밀한 위치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부적절한 절삭이 발생할 가능성을 피할 수 있는 개선된 흡입 링이 개발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절삭 헤드 조립체가 적절하게 위치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절개부의 절삭이 시작되지 않도록 하는 개선된 흡입 링 또는 위치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은 1996년 2월 7일자로 출원된 제 598,180 호 출원(1997년 4월 29일자로 미국 특허 제 5,624,456 호로 특허됨)의 계속 출원으로서 1997년 4월 29일에 미국 특허 출원 제 08/840,430 호로 출원되어 현재 계류중인 출원의 부분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안과 시술중에 사용되는 의료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굴절 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시술중에 각막의 절삭(cut)을 위해 환자의 안구를 유지하고, 위치선정키시며 노출시키기 위한 개선된 흡입 링(위치선정 조립체로도 지칭된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이하게 조립되고 사용하기에 안전한 위치선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 조립체는 눈꺼풀 및/또는 안구의 부적절한 절삭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아시아계 사람들이나 어린이들과 같이 위도상으로(latitudinally) 좁은 안과적(ocular) 접근경로를 가지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안구의 효과적인 부착을 달성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postioning assembly)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위치선정 조립체의 결합 조립체와, 자동미세각막절삭기(microkeratome) 커팅 헤드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피봇 부재의 후방 부재의 절단 측면도이며;
도 5는 후방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결합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7은 후방 부재와 이에 결합된 결합 부재 없는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8은 환자의 대응 눈에 적절히 배치된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를 형성하는 자동미세각막절삭기 조립체의 도면이며;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가 바람직하게 관련되는 자동미세각막절삭기 조립체에 대한 정상적인 커팅 경로를 나타내는 일련의 연속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서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상기 요건들 및 기타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개선된 흡입 링 특히, 외과적 시술을 행하기 위해 환자의 눈의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시키는 위치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어린이나 아시아계 사람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이 눈을 깜박이는 방향을 따른 크기가 작은 즉, 위도상으로 좁은 눈의 리세스 또는 눈의 접근 경로를 나타내는 환자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동물 환자의 눈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인간의 눈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은 외과 시술중에 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위치선정시키며 유지하는 위치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라, 이러한 위치선정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미세각막절삭기 조립체의 일부로서 합체되고, 결과적으로, 각막편의 생성 여부에 따라 눈에 절개부를 형성하도록 및/또는 눈을 가로질러 절삭하도록 구성된 미세각막절삭기 절사 헤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다. 위치선정 조립체는 각막이 적절하게 노출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외과 시술중에 눈을 유지하고 위치선정시키게끔 구성된 위치선정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한다. 그 경우, 위치선정 세그먼트는 유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유지 플레이트는 대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이고,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지 플레이트내에 또는 유지 플레이트 상의 대체로 중심에 배치되며, 대체적으로 절삭 영역을 규정하도록 눈의 각막을 수용하고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위치선정 세그먼트는 또한 플랜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 부재는 유지 플레이트로부터 대체적으로 아래쪽으로 매달려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관계로 배치된다. 이처럼, 플랜지 부재는 그 바닥 에지를 따라 눈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진공 챔버는 일반적으로 구멍, 플랜지 부재의 바닥 에지, 및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눈의 표면 사이에서 정해진다. 본 발명의 플랜지 부재는 바람직하게 위치선정 세그먼트(positioning segment)의 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반적으로 그 위도 반경(latitudinal radius)을 따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이격된 거리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환자가 위도상 좁은 눈의 통로를 갖는 상황에서, 눈의 많은 표면이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눈 사이의 유효한 접촉을 달성하고, 구멍 내에 있는 충분한 양의 각막을 효과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눈의 통로에 의해 노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인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흡인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작동상 바람직하게 진공 챔버에서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관계되어,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눈에 부착시킨다. 특히, 흡인 조립체는 진공 챔버와 외부 진공 소오스 사이에서 유체 연통된 진공 포트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흡인력이 진공 챔버에 가해지고, 위치선정 조립체가 눈에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종래의 수직으로 배향된 진공 포트와는 달리 진공 포트는 구멍의 수직 축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각을 이루어, 후술되는 것처럼 자동미세각막절삭기 커팅 헤드 조립체의 이동에 효과적인 여유(clearanc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는 가이드 트랙을 포함한다. 가이드 트랙은 바람직하게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바람직하게 아치형 커팅 경로를 형성하는데, 이는 자동미세각막절삭기 커팅 헤드 조립체를 유지 판 내에 형성된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게 가이드한다. 가이드 트랙은 바람직하게 위치선정 세그먼트의 유지 판을 지나 위도상으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 진공 포트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진공 포트의 외측으로 각을 이룸은 진공 포트에 결합된 흡인 튜브 또는 유사 구조물이 가이드 트랙과 작동상 관련된 커팅 헤드 조립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추가적으로, 위치선정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피봇 조립체 및 관련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피봇 조립체는 커팅 헤드 조립체에 대한 피봇 축을 형성하며, 이는 가이드 트랙 및 바람직하게 적어도 피봇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것처럼 구멍을 아치상으로 가로질러 바람직하게 표시된 것처럼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 후방 부재는 커팅 헤드 조립체가 회전하는 피봇 축을 형성하기 위해 피봇 조립체 내에 포함되고, 결합 부재는 후방 부재를 커팅 헤드 조립체에 적어도 이러한 목적으로 피봇상으로 상호연결시킨다. 그러나, 피봇 조립체는 또한 커트 개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커트 개시 제어기는 결합 부재, 및 따라서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가로질러 커팅 헤드 조립체의 작동상 피봇 이동의 개시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시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의사는 커팅 헤드 조립체가 눈과 결합하고 구멍의에지에서처럼 단지 적절한 지점에서 절개부의 형성을 개시하고, 일반적으로 부주의하게 위치되어 노출된 각막의 중간 지점에서 절개 개시를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관련 도면에 보다 상세히 개시된다.
본 발명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해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눈, 바람직하게 외과 수술 중에 절단되는 환자의 눈의 각막의 유지 및 위치선정을 개선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위치선정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평균적인 환자 뿐만 아니라, 눈이 수용되는 위도상 감소된 눈의 통로(ocular access)를 갖는 환자에게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형이고, 정확성 있게 조립 및 제조 가능하며, 안전성이 향상되고 안정된 위치선정 조립체(10)에 관한 것이다. 특히, 눈의 통로는 일반적으로 눈 소켓과 관련된 눈 리드로서 정의되며, 이들은 위치선정 조립체에 고정되는 것과 같이, 노출될 수 있는 환자의 안구의 양을 제한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한정한다. 특징적이고, 아시아계의 얼굴 특징을 갖는 어린이 및 환자에 대해 소정 및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눈의 통로는 정상적인 위도상의 치수 보다 작게 나타난다. (설명의 목적으로, 위도상 치수는 환자의 얼굴에 대한 위(up) 및 아래(down) 치수로서 정의되고, 위는 환자의 눈섭을 향한 것이고 아래는 환자의 턱을 향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위치선정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안구의 위도상 측면과 충분히 결합될 수 없다. 본래, 이러한 제한은 부적절한 중심잡기(centration) 및/또는 절단을 위해 더 작게 노출되는 각막을 야기한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위도상 감소된 눈의 통로의 경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커팅 중에 용이하고 정확한 조립, 안전성, 및 안정성을포함하는 여러가지 이유로 눈 수술을 할 때 일반적으로 유리한 보다 소형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10)는 바람직하게 본원에 참조된 미국 특허 제 5,642,45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유사할 필요는 없음) 자동미세각막절삭기와 함께 사용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선정 조립체(10)는 또한 눈 위치선정 링으로 알려진 위치선정 세그먼트(20)를 포함한다. 위치선정 세그먼트(20)는 바람직하게 눈과의 결합을 최대화하기 위해 밀폐된 링 구조를 가지고, 눈을 중심잡도록, 즉 수술을 위해 정확하고 정렬된 방식으로 환자 안구의 각막을 적절하게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그러므로, 위치선정 세그먼트(20)는 바람직하게 내부에 밀폐된 구멍(25)을 포함하고 한정하는 주 몸체를 갖는다. 구멍(25)은 수술 중에 각막(C)의 커팅을 위한 소정의 깊이로 노출시키기 위해 눈의 각막(C)을 수용하고 관통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각막(C)은 자동미세각막절삭기 커팅 헤드 조립체(15), 또한 바람직하게 자동미세각막절삭기 조립체의 일부가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면 상으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구멍(25)을 통해 돌출하는 노출된 각막(C) 상으로 이동할 때, 각막(C)이 수술 중에 절단될 것이다. 구멍(25) 자체는 바람직하게 충분한 양의 각막을 노출시키도록 크기가 결정되어 일반적으로 약 7.5 내지 10밀리미터의 직경이 절단될 수도 있다. 위치선정 세그먼트(20)는 바람직하게 강성 재료와 바람직하게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상적으로, 위치선정 세그먼트(20)는 안구와의 정확한 결합을 향상시키고, 부드럽고 안정되며 빛 억제 표면 조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소독 용이성을 제공하는높은 등급의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될 것이다. 선을 따라,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는 다양한 재료 중에서, 도시된 실시에에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배치되고 및/또는 주조될 수도 있지만, 위치선정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정확도와 품질을 달성하도록 가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주 몸체는 구멍(25) 주위에서 정방형, 장방형, 육각형 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를 가져 의도된 목적으로 기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정의된다. 더욱이, 전체 위치선정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눈물 방울 형상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주 몸체는 내부에 형성된 구멍(25), 유지 판(23)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아래로 연장하고 주 몸체(22)에 일반적으로 개방된 바닥 측면을 형성한는 플랜지 부재(24)를 포함하는 유지 판(23)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플랜지 부재(24)는 유지 판(23) 내에 형성된 구멍(25)에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플랜지 부재(24)는 바람직하게 눈의 일부를 유체 불침투성 방식으로 각막 주위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하부 에지(27)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유지 판(23)은 구멍(25)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관계로 배치된 내부 림(26)을 포함하며, 또한 유체 불침투성 방식으로 내부에 배치된 눈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고 믿어진다. 그러므로 위치선정 세그먼트(20)가 눈과 결합 관계로 배치될 때, 효과적인 일반적으로 공기 기밀식 시일이 안구 및 유지 판(23)과 플랜지 부재(24) 사이의 진공 챔버(22) 주위에서 달성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 진다. 추가적으로, 도 2에 도시된것처럼, 채널(29)이 진공 챔버(22) 내에 형성되고, 채널(29)은 미국 특허 제 5,772,675호에 제공된 강성 또는 유연성 삽입물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가해진 진공도를 향상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눈과 결합하는 외측 주변부를 형성하는 것처럼, 플랜지 부재(24)를 보면, 플랜지 부재(24)는 종래의 위치선정 조립체의 경우 보다 구멍(25)의 주변부와 보다 가깝게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까운 이격관계가 좁은 눈의 통로의 감소된 치수에 응답하여 구멍(25)의 위상 반경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플랜지 부재(24)가 구멍(25)으로부터 균일하게 이격되고 눈의 적절한 중심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원형 구성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눈과 결합하는 하부 에지(27)에서, 플랜지 부재(24)의 위상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0.675 내지 0.725 인치 범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약 0.79인치, 또는 0.708인치(18mm) 이하의 위상 직경이 8.5mm 플랩을 형성하기 위해 약 0.350 내지 0.475인치 범위,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0.420인치의 구멍(25) 직경에 대응하기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깝게 이격된 플랜지 부재(24)를 갖는 본 발명은 구멍의 크기를 대응하는 0.375인치, 0.420인치 및 0.465인치 직경으로 수정함으로써 7.5mm, 8.5mm, 9.5mm, 또는 다른 치수의 게재물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필요한 크기의 구멍을 유지하면서 플랜지 부재(24)의 직경을 감소시키면, 위치선정 조립체(10)가 눈(eye) 위에 전달될 수 있는 깊이가 감소된다. 그러나, 적절한 크기의 각막 플랩을 발생시키도록 각막을 통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로는 표준 크기 구멍(25)을 통해 노출된 눈의 동일한 직경을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랜지 부재(24)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이, 감소된 깊이의 위치선정 세그먼트(2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판(retention plate; 23)의 상부면으로부터 플랜지 부재(24)의 하부 엣지(27)까지 대체로 형성된 바와 같이,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깊이는 대체로 약 0.175인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15인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0.420인치의 직경을 가지는 구멍(25)과 0.798인치의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 부재를 사용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깊이는 0.115인치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의 결과로서, 눈의 충분한 부분이 구멍(25)을 통해 노출되며, 환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기초한 눈으로의 접근의 제한이 미연에 방지되고, 위치선정 세그먼트(20)가 완전하게 그리고 확고하게 눈의 표면과 맞물린다.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는 함께 사용하기 위해 추가로 인도되며, 위치선정 세그먼트(20)를 눈에 일시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흡입 조립체(suctioning assembly; 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흡입 조립체가 눈 위에 적절하게 일단 위치되면 눈 위에서 수술이 시행된다. 바람직하게, 흡입 조립체(30)는 위치선정 세그먼트(20) 내에 형성된 진공 포트(32)와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조립체(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이 진공 조립체는 흡입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흡입력은 위치선정 세그먼트(20)를 각막(C) 부근에서 안구에 부착시키고, 각막이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각막이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구멍(25)을 통해 돌출되게 하기에 충분하지만, 안구에 손상을 야기시킬정도로 강하지는 않다. 위치선정 세그먼트(20) 내에 형성된 진공 포트(32)는 진공 조립체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유체 흐름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러한 흡입력이 이를 통해 인가됨을 도면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위치선정 조립체(1)을 파지하고 조종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 제거가능한, 수나사형 진공 핸들(도시 안됨)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진공 핸들은 고정, 유체 불침투 방식으로 진공 포트(32) 안으로 나사조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이러한 진공 포트(32)의 적어도 일부분을 암나사형으로 구성하는 것은, 진공 핸들이 잠재적으로 클로깅(clogging)될 수 있는 갭이 그 사이에 확실히 존재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을 때, 보다 단단한 맞물림을 보장하며, 위치선정 조립체(10)의 클리닝을 상당히 용이하게 하며, 진공 포트(32)의 내부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서 클리닝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진공 포트(32)는 유지판(23) 혹은 플랜지 부재(2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저면(28)에, 그리고 진공 챔버(22) 안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진공 조립체가 일단 작동되면,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플랜지 부재(24)의 방사상 내부 그리고 구멍(25)의 방사상 외부 지점에 진공 포트(32)가 배치되어, 수술을 막 시행하기 위해 눈의 각막 근처에 시일(seal)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흡입력이 수반될 때,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구조체는 수술을 위해 각막(C)을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정렬시키기 위해, 그리고 수술동안 그 위치를 대체로 유지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전형적으로, 해수면에서 약 25 inchHg의 진공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10)는 그 위에 가이드 트랙(40)이 형성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트랙(40)은 바람직하게 위치선정 세그먼트(20) 위에 직접 그리고 일체로 형성되어, 각막의 절삭 수술 동안 마이크로케라톰(microkeratome)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이동을 안내하고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일체형 기계가공은 가이드 트랙(40)과 위치선정 세그먼트(20) 사이의 단단하고 안정된 연결이 항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조립과 제조의 결과로서 이들 사이의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되지 않음을 보장하듯이, 도시된, 보다 컴팩트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일부 위치선정 조립체들은 개별적로 기계가공된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는데, 이 가이드 트랙은 종래에는 2개 이상이지만,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위치선정 세그먼트(20)에 고정된다. 하나의 스크류를 사용하면 제조 및 조립하는 동안 상당한 주의와 정밀성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구멍에 대한 가이드 트랙의 부적절한 정렬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스크류가 대체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컴팩트한 구성에 근거하면, 다수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대체로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도시된 보다 컴팩트한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밀하고 용이한 조립을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트랙(40)이 예컨대 약 0.03인치의 폭으로 기계가공함으로써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트랙(40)은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하나 이상의 측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지만, 바람직하게로는 위치선정 세그먼트(20)를 넘어 위도방향으로 연장되어, 절삭 헤드 조립체와 가이드 트랙 사이의 결합이 구멍 전방 지점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눈과 플랜지 부재(24)에 의한 최외각 결합을 위해 한정된 크기가 사용되어야 하지만, 비교적 상승된 가이드 트랙(40)은 동일한 정도로 제한될 필요가 없음을 인지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트랙(40)은 유지판(23)을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구멍(25)을 가로지르는 절삭 이전 그리고 그 동안 마이크로케라톰 절삭 헤드 조립체(15)를 추가로 안내하고 안정화시킴으로써, 대부분의 경우에 요구되는 각막 플랩의 완전한 형성을 보장한다. 가이드 트랙(40)이 치형 상부면(42) 및 보유 립(44)을 포함하며, 대체로 아치형 또는 반원형 경로로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가로질러 연장됨을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것이다. 이로써, 가이드 트랩은 눈 위에서 작동가능하에 아래로 맞물린 절삭 헤드 조립체(15)를 유지 및/또는 핀고정시키며, 그리고 예컨대, 가이드 트랙(40)의 치형 상부면(42) 상에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기어 구조체의 맞물림을 통해, 좌측 눈과 관련하여 도 9a 내지 도 9c에 가장 잘 도시된 아치형 절삭 경로를 따라,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흡입 조립체(30)의 진공 포트(32)를 다시 한 번 살펴보면,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멍(25)의 수직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및/또는 가이드 트랙(40)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흡입력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hose) 또는 다른 도관이 진공 포트(32)에 연결될 때, 진공 포트 또는 도관 어느 것도 가이드 트랙(40)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이동을 차단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성은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보다 컴팩트한, 바람직하게로는 원형 구성이 유지되게 하는 한편, 흡입력을 진공 챔버(22)에 여전히 효과적으로 인도한다. 또한, 위치선정 세그먼트, 일반적으로 진공 포트(32)와 가이드 트랙(40)의 일체적 형성은, 스크류 및/또는 다른 패스너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보다 컴팩트한 구성에 더 도움을 준다. 진공 포트(32) 자체는 바람직하게로는 가이드 트랙(40)의 평면 위로 연장되지 않으며, 또한 본 위치선정 조립체(10)의 유선형 특성에도 기여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피봇 조립체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봇 조립체는 아치형 경로를 따라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이동하는 동안 그 절삭 헤드 조립체에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하며, 또한, 가이드 트랙(40)과 연관된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이동을 안정화시키거나, 또는 대안으로 더 안내할 수 있는 피봇 축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봇 조립체는 포스트 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스트 부재(50)는 가이드 트랙(40)과 대체로 상반되게 배치된 강성 직립 요소(rigid upstanding element)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들로부터 다시 이해되듯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선정 조립체(10)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 베이스 섹션(55)을 가지며, 또한 바람직하게로는 피봇 조립체의 일부분은 위치선정 세그먼트(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위치선정 세그먼트(20)로부터 연장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섹션(55)은 지지면을 제공하는데, 조립하는 동안 이 지지면에,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형성된 포스트 부재가 고정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트랙(40) 및 포스트 부재(50)는 본 발명의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2개의 장소에서 위치선정 조립체(10) 상에 효과적으로 안내되고 단단히 수용될 수 있게 하는 한편,포스트 부재(50)에 의해 형성된 피봇 축선 둘레로 피봇 모션에 의해, 대체로 아치형 경로를 따라 위치선정 세그먼트(20) 위로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매끄럽게 그리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물론, 위치선정 조립체(10)는 또한 추가의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추가의 가이드 트랙은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다른 측면의 길이를 따라, 또한 바람직하게로는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상부면 상에 연장되어, 본 발명의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2개의 위치 내의 위치선정 세그먼트(20) 상에 효과적으로 안내되고 단단히 수용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대체로 아치형 경로를 따라 위치선정 세그먼트(20) 위로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매끄럽게 그리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 결과, 피봇 조립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트랙은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아치형 이동을 인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피봇 조립체의 부재으로서 커플링 부재(70)를 포함한다. 눈 위에서 수술을 시행하기 위해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위치선정 세그먼트(20)와 직접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한편, 본 발명의 부재로서 사용되는 커플링 부재(70)는 바람직하게 포스트 부재(50)를 통해, 위치선정 세그먼트(20)에 절삭 헤드 조립체(15)를 작동가능하게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한편, 동시에, 위치선정 세그먼트(20)에 관한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70)는 바람직하게 2개의 세그먼트 즉, a) 보유 세그먼트(72) 및 b) 피봇 세그먼트(74)를 포함한다. 보유 세그먼트(72)는 바람직하게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상부면 상에 끼워맞춤되도록구성되고 배치되어, 그 상부면에 효과적으로 그리고 제거가능하게 고정되고,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이동과 연관해서 이동된다. 커플링 부재(70)의 피봇 세그먼트(74)을 참조하면, 피봇 세그먼트(74)는 포스트 부재(50)에 결합되고, 포스트 부재(50)에 연결된 커플링 부재(70) 및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피봇 세그먼트(74)는 내부에 보어(75)가 형성된 부싱을 포함하는데, 이 보어(75)는 포스트 부재(50)의 실질적인 높이를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가져서, 포스트 부재(50)를 내장한다.
다시 피봇 조립체, 바람직하게로는 피봇 조립체의 포스트 부재(50)를 살펴보면, 이 포스트 부재(50)는 바람직하게 절삭 개시 제어기구(cut origination control)를 형성한다. 이 절삭 개시 제어기구는, 도 9a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시 포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개시 포인트에서, 커플링 부재(70)와 이에 따른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피봇 축선에 대한 작동식 피봇 이동이 시작된다. 특히, 절삭 개시 제어기구는,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적절하게 배치되거나 적절한 개시 포인트에 있지 않다면,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눈 및/또는 가이드 트랙(40)과 맞물릴 수 없어서, 절개(incision)가 형성될 수 있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삭 개시 제어기구는, 절삭 헤드 조립체(15)가 유지판(23), 눈꺼풀 및/또는 구멍(25) 및 눈 주변으로 배치된 다른 도구 및 물품을 절삭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위치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삭 개시 제어기구는 포스트 부재(50)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로는 한 쌍의 슬롯(51,52)을 포함한다. 이 슬롯(51, 52)은 바람직하게로는 반드시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되지 않지만, 각각은 예컨대 좌우측 눈을 위해 개시 포인트를 각각 형성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선으로부터 중심선까지 약 100도 이탈된 각도로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위치선정 조립체(10)가 바람직하게 어느 한 쪽의 눈 위에서의 사용을 위해 구성되듯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선정 세그먼트(20)의 양쪽의 상이한 개시 포인트는 이동의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슬롯(51, 52)은 커플링 부재(70)의 보어(75)내에 바람직하게 형성된 제한기 요소(restirctor element; 7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억제기 요소는 대응 슬롯(51,52)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 및 배열되나, 적절히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 커플링 부재(70)가 포스트 부재(50)로 통행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 및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라인들을 따라, 상기 부재들이 정렬되지 않는 않는 경우에 제한을 가하기 위한 다중 구성 및/또는 더욱 복잡한 구성이 균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정확한 슬롯(51,52)으로 제한기 요소(78)가 부적절하게 통해하더라도,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블레이드가 상기 구멍(25)을 지나서 배열되어 부적절한 절삭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상기 슬롯(51,52)의 필요한 위치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위치선정 세그먼트(20)과 관련한 슬롯(51,52)의 개시가 일반적으로 원점의 위치를 한정하므로, 정밀하게 정렬되는 방법으로 포스트 부재(50)가 베이스 섹션(55)에 고정되게 할 필요가 있다. 다중 나사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정렬 정밀도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더라도, 포스트 부재(50)는 포스트 부재(50)가 적절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베이스 섹션(55)을 작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 섹션(55)은 포스트 부재(50)의 정렬 세그먼트(57)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는 정렬 엣지(5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렬 세그먼트(57)와 정렬 엣지(56)는 확실한 정렬을 제공하도록 대향 결합되는 직선 표면이지만, 다른 결합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 기초하여, 베이스 섹션(55) 및 포스트 부재(50)에 있는 구멍(55)을 통한 패스너 요소의 통행과 같은 베이스 섹션(55)에 포스트 부재의 적합하고 정밀한 정렬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절삭 해드 조립체(15)는 적합한 출발 지점에 있지 않는 한 눈과 결합하지 않는다. 그러나, 포스트 부재(50)와 커플링 부재(70) 사이의 필요한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채널(58)이 포스트 부재(50) 내에 형성되어 커플링 요소(70)의 전체 피봇 운동 중에 제한기 요소 및 절삭 헤드 조립체(15)의 포스트 부재(50)와 관련한 미끄럼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한기 요소가 커플링 부재에 형성된 슬롯의 포스트 부재에 균등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으로서 채널(58)도 커플링 부재(70)가 포스트 부재(50)에 대해 피봇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하나, 오히려 유지 립(44)이 가이드 트랙(40)에서 절삭 헤드 조립체(15)를 아래로 누르는 동일한 방법으로 균일한 운동면으로 아래로 눌린다.
다수의 세부적인 변경예, 변형예 및 변경이 전술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수행될 수 있으므로, 첨부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청구범위와 법적으로 균등한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53)

  1. 외과 수술 중에 위도상으로 좁아진 시각 접근로 내에 배열되는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판을 갖춘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b) 상기 유지판이 내부에 형성되고 눈의 각막을 수용하고 노출하도록 구성되는 구멍을 가지며,
    (c)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가 상기 구멍 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눈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d) 상기 플랜지 부재가 적어도 위도상의 반경에 상기 구멍으로부터 근접 이격되게 배열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를 눈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 조립체가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수직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횡으로 통과하는 절삭 헤드 조립체의 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의 위도상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0.675 내지 0.725 인치 범위인,
    위치선정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의 위도상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0.79 인치 보다 작은,
    위치선정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0.350 내지 0.475 인치 범위인,
    위치선정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구멍에 있는 상기 유지판의 상부면까지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약 0.175 인치 보다 작은,
    위치선정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재의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구멍에 있는 상기 유지판의 상부면까지 상기 위치선정 부재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0.15 인치 범위인,
    위치선정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트랙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단하게 절삭 헤드 조립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일반적으로 아치형 통로를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의 유지판을 지나치도록 위도상으로 연장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를 눈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 조립체가 진공 포트를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가이드 트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의 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가로지르는 절삭 헤드 조립체의 운동을 위한 피봇 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피봇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조립체는 상기 피봇 축을 일반적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피봇 조립체와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를 피봇가능하게 상호연결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의 작동가능한 피봇 운동을 위한 개시 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컷 개시 제어기구를 더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컷 개시 제어기구는 좌우측 눈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개시 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컷 개시 제어기구는 상기 포스트 부재 내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슬롯에 대응되게 배열되지 않는 한 상기 포스트 부재와 상기 커플링 부재와 작동가능한 결합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한기 요소를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한기 요소 통행 및 그에 따른 상기 커플링 부재의 피봇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채널을 더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조립체는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조립체는 상기 포스트 부재가 작동가능하게 연장하는 베이스 섹션을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는 상기 베이스 섹션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포스트 부재의 축방향 정렬을 적절히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정렬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섹션은 정렬 엣지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부재의 정렬 세그먼트는 상기 정렬 엣지와 맞물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27. 외과 수술 중에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 판을 갖춘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b) 상기 유지 판이 내부에 형성되고 눈의 각막을 수용 및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멍을 포함하며,
    (c)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눈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d) 상기 흡입 조립체가 진공 포트를 가지며, 상기 진공 포트가 상기 구멍의 수직 축선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위치선정 조립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가이드 트랙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단하게 컷팅 헤드 조립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가이드 트랙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울어져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의 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이 전체적으로 아치형 통로를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2. 외과 수술 중에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판을 포함하는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b) 상기 유지판은 상기 유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눈의 각막을 수용 및 노출시키기 위해 구조화된 구멍을 포함하고,
    (c) 상기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는 절삭 헤드 조립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조화되는 가이드 트랙을 더 포함하고,
    (d)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전체적으로 아치형 통로를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이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의 상기 유지판을 넘어 위도상으로 연장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눈에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위치선정 세그먼트와 작동가능하게 관련된 흡입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가이드 트랙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트는 상기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이격하여 기울어져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의 이동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8. 외과 수술 중에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판을 포함하는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b) 상기 유지판은 상기 유지판에 형성하고 상기 눈의 각막을 수용 및 노출하도록 구조화된 구멍을 포함하며,
    (c) 상기 구멍을 횡으로 아치형상으로 이동하는 절삭 헤드 조립체를 위한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구조화되는 피봇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d) 상기 피봇 조립체는 상기 피봇 축선을 전체적으로 형성하도록 적어도 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며,
    (e) 상기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를 피봇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f) 상기 피봇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 부재, 및 이에 따른 절삭 헤드 조립체의 작동가능한 피봇 운동을 위해 개시 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조화된 절단 개시 제어기구를 더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개시 제어기구는 좌측 및 우측 눈이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 개의 개시 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개시 제어기구는 상기 포스트 부재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게 배열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스트 부재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제한 작동적 결합이 구조화된 제한기 요소를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으로부터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한기 요소의 통과를 허용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의 피봇 회전을 허용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2. 외과 수술 중에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판을 포함하는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b) 상기 유지판은 상기 유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눈의 각막을 수용 및 노출하기 위해 구조화된 구멍을 포함하고,
    (c) 상기 구멍을 횡으로 아치형태로 이동하는 절삭 헤드 조립체를 위한 피봇 축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조화되는 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d) 상기 포스트 부재와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를 피봇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e) 상기 포스트 부재는 상기 포스트 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f) 상기 커플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한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기 요소는 상기 슬롯에 대응적으로 배열되지 않는 경우 상기 포스트 부재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작동 결합을 제한하도록 구조화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위치는 상기 커플링 부재, 및 이에 따른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의 작동적 피봇 운동을 위한 개시 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으로부터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안 요소의 통과 및 이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피봇 회전을 허용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5. 제 4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슬롯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슬롯은 좌측 눈 및 우측 눈을 위한 상기 개시 지점 중 하나를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6. 제 43 항에 있어서,
    베이스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부재는 상기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작동적으로 연장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는 상기 베이스 섹션과 작동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조화된 정렬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의 적절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된 고정을 보장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섹션은 정렬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부재의 정렬 세그먼트는 상기 정렬 엣지와 정합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조화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49. 외과 수술 중에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판을 포함하는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b) 상기 유지판은 상기 유지판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눈의 각막을 수용 및 노출하도록 구조화된 구멍을 포함하고,
    (c) 상기 구멍을 횡으로 아치형태로 이동하는 절삭 헤드 조립체용 피봇 축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조화되는 포스트 부재를 더 포함하며,
    (d) 상기 포스트 부재가 작동적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섹션을 더 포함하며,
    (e) 상기 포스트 부재는 상기 베이스 섹션을 작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조화된 정렬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의 적절히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고정을 보장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섹션은 정렬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부재의 정렬 세그먼트는 상기 정렬 엣지와 정합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조화되는,
    위치선정 조립체.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는 상기 절삭 헤드 조립체의 작동적인 아치형 이동을 위한 개시 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조화된 절단 개시 제어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는 촤즉 눈 및 우측 눈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개의 개시 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선정 조립체.
  53. 외과 수술 중에 위도상으로 좁아진 시각 접근로 내에 배열되는 눈의 각막을 유지, 위치선정 및 적어도 부부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로서,
    (a) 유지판을 갖춘 위치선정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b) 상기 유지판이 내부에 형성되고 눈의 각막을 수용하고 노출하도록 구성되는 구멍을 가지며,
    (c) 상기 위치 선정 세그먼트가 상기 구멍 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눈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랜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d) 상기 플랜지 부재의 위도상 직경은 일반적으로 약 0.675 내지 0.725 인치 범위인,
    위치 선정 조립체.
KR1020037014039A 2001-04-25 2001-04-25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KR100752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1/013234 WO2002087451A1 (en) 2001-04-25 2001-04-25 A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629A true KR20040010629A (ko) 2004-01-31
KR100752822B1 KR100752822B1 (ko) 2007-08-29

Family

ID=2174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039A KR100752822B1 (ko) 2001-04-25 2001-04-25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389066A4 (ko)
JP (1) JP2004525723A (ko)
KR (1) KR100752822B1 (ko)
CN (1) CN1269462C (ko)
AU (1) AU2001259137B2 (ko)
BR (1) BR0117001A (ko)
CA (1) CA2445318C (ko)
MX (1) MXPA03009827A (ko)
WO (1) WO2002087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05138Y (zh) * 2004-05-26 2005-06-22 无锡市康明医疗器械有限公司 自动眼角膜上皮分离装置
WO2010020878A2 (es) * 2008-08-21 2010-02-25 Armando Orjuela Murillo Anillos cónicos para la succión de la cornea durante la realización de queratectomias de tipo lasik
EP2621421B1 (de) 2010-09-30 2015-03-04 WaveLight GmbH Einrichtung für die augenchirurgie
US8382781B2 (en) 2010-09-30 2013-02-26 Wavelight Gmbh Device for ophthalmic surgery
WO2013068025A1 (en) * 2011-11-10 2013-05-16 Wavelight Gmbh Laser-assisted epithelial removal
CN102697597B (zh) * 2012-05-04 2015-04-15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青光眼手术刀及其定位标尺
US10219948B2 (en) 2016-02-24 2019-03-05 Perfect Ip, Llc Ophthalmic las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10466164B2 (en) * 2017-04-25 2019-11-05 Thermo Eberline Llc Suspension of a sample element with dimensional stability
CN114848292B (zh) * 2022-04-19 2023-12-05 南京朔视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眼球的接口单元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8253A1 (de) * 1988-11-11 1990-05-23 Krumeich Joerg H Saugring fuer operationen am menschlichen auge
US5586980A (en) * 1994-10-14 1996-12-24 Kremer; Frederic B. Microkeratome
US5624456A (en) * 1996-02-07 1997-04-29 Hellenkamp; Johann F. Automat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a cornea
US5772675A (en) * 1996-10-31 1998-06-30 Chiron Vision Corporation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CA2275691C (en) * 1996-12-23 2002-09-10 Instituto Barraquer De America Microkeratome
ES2190516T3 (es) * 1997-08-06 2003-08-01 Sis Ltd Surgical Instr Systems Microqueratomo para realizar cirugia de la cornea con l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9462C (zh) 2006-08-16
AU2001259137B2 (en) 2005-12-15
MXPA03009827A (es) 2005-04-19
EP1389066A1 (en) 2004-02-18
BR0117001A (pt) 2004-04-20
WO2002087451A1 (en) 2002-11-07
KR100752822B1 (ko) 2007-08-29
EP1389066A4 (en) 2008-04-23
JP2004525723A (ja) 2004-08-26
CA2445318A1 (en) 2002-11-07
CN1520275A (zh) 2004-08-11
CA2445318C (en)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9351B2 (ja) 角膜を切開するためのマイクロ角膜切開切刃アセンブリ
US7207998B2 (en) Intracorneal lens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6135984A (en) Cannula for use in corrective laser eye surgery
US5807380A (en) Optical guide and method for use in corrective laser eye surgery
US5772675A (en)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US6143010A (en) Corneal vacuum centering device
US6610076B2 (en)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KR100752822B1 (ko)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AU2001259137A1 (en) A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US20190038373A1 (en) Vision correction surgery laser adaptor which creates laser beam non-irradiated region
EP1420733B1 (en) Keratome
JPS62290457A (ja) 眼科用装置
AU778883B2 (en) Improved automat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a cornea
AU4751499A (en) Improved automatic surgical device for cutting a corn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