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939A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07939A KR20040007939A KR1020020041220A KR20020041220A KR20040007939A KR 20040007939 A KR20040007939 A KR 20040007939A KR 1020020041220 A KR1020020041220 A KR 1020020041220A KR 20020041220 A KR20020041220 A KR 20020041220A KR 20040007939 A KR20040007939 A KR 200400079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le
- rubber
- tie rod
- vehicle
-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링형상의 조립부(111)가 형성된 로드(110)와, 상기 로드(110)의 조립부(111) 전후면에 용착되는 러버(120)와, 상기 러버(120)가 용착되어 있는 조립부(111)가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조립부(111)가 결합되도록 양측단부가 너트(150) 체결되는 핀(140)으로 구성하여, 러버(120)가 전후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로드(110)의 조립부(111)가 차동차의 차축(액슬축)(300)과 차체보디에 용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0)에 너트(150) 체결되는 핀(140)에 의해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마찰 누적으로 인해 러버(120)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타이로드(100)가 차축(액슬축)(300)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타이로드(100)가 차축(액슬축)(300)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운행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마찰 누적으로 인해 러버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타이로드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타이로드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운행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구동방식에 따라 4륜구동식과 후륜구동식 및 전륜구동식으로 구분 된다.
상기의 구동방식중 4륜구동식과 후륜구동식 자동차는 엔진의 동력이 추진축(프로펠러 샤프트)에 의해 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추진축에 동력을 전달받으며 바퀴가 구동하여 주행되는 자동차를 운행시에는 바퀴(타이어)에 많은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충격은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토크로드이다.
상기 토크로드는 바퀴(타이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이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차축(액슬축)과 차체보디에 양단이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링형상의 조립부(111)가 형성된 로드(110)와, 핀(140)의 일측단에 충격을 흡수하는 러버(120)가 파이프(130)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고, 상기 핀(140)의 타측단부에는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너트 체결되는 볼트(150)가 가공되어 있는 엔드조립체(1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는 로드(110)의 조립부(111)에 엔드조립체(160)의 파이프(130)가 압입되는 것에 의해 타이로드(100)의 조립이 완료되고 있다.
이와같이 조립이 완료된 타이로드(100)는 엔드조립체(160)의 핀(140)에 가공형성된 볼트(150)를 차동차의 차축과 차체보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에 끼운 후 너트를 체결시켜 주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됨으로서, 자동차를 운행중 바퀴에 발생되는 하중을 러버(120)에서 흡수하면서 차축(액슬축)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는 로드(110)의 조립부(111)에 엔드조립체(160)의 파이프(130)가 압입되어 조립되는 것이어서 자동차를 운행시 토크로드(110)에 충격(진동)이 심하게 가해지는 경우에는, 로드(110)와 엔드조립체(160)가 이탈됨은 물론, 상기 충격에 의해 파이프(130)에 열융착되어 있는 러버(120)가 쉽게 마모되는 것에 의해 핀(140)이 러버(12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토크로드(110)를 구성하는 엔드조립체(160)의 핀(140) 일측단부 즉, 러버(120)를 포함하는 단부의 측면에 로드(110)의 조립부(111) 구멍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이탈방지플레이트(141)를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타이로드를 장시간 사용하여 러버(120)가 마모된 경우에는, 상기 러버(120)가 자동차를 운행시 타이어에 발생되는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차축(액슬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링형상의 조립부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조립부 전후면에 용착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가 용착되어 있는 조립부가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조립부가 결합되도록 양측단부가 너트 체결되는 핀으로 구성하여, 러버가 전후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로드의 조립부가 차동차의 차축(액슬축)과 차체보디에 용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에 너트 체결되는 핀에 의해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마찰 누적으로 인해 러버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타이로드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타이로드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운행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타이로드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종래 타이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타이로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타이로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타이로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링형상의 조립부(111)가 형성된 로드(110)와, 상기 로드(110)의 조립부(111) 전후면에 용착되는 러버(120)와, 상기 러버(120)가 용착되어 있는 조립부(111)가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조립부(111)가 결합되도록 양측단부가 너트(150) 체결되는 핀(140)으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용착되는 용착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착부(210)의 좌우 양측에는 지지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지지부(220)에는 핀(140)이 관통하며 체결되는 체결공(22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2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121)과 삽입공(111a)이 러버(120)와 조립부(111)에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로드(110)의 조립부(111)에 전후면에 러버(120)를 열융착시키는 시키는 것에 의해 타이로드(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조립부(111)에 형성된 삽입공(111a)과 러버(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은 중심과 내경이 일치된 상태임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타이로드(100)는 차동차의 차축(액슬축)(300)과 차체보디에 용착부(210)가 용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0)의 지지부(220)와 지지부(220) 사이에 러버(120)가 전후면에 각각 열융착되어 있는 타이로드(100)의 조립부(111)를 위치시킨 후 상기 러버(120)와 조립부(111)를 관통하도록 체결공(221)을 통해 핀(140)을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체결공(221)을 통해 삽입된 핀(140)의 전후 단부에는 각각의 너트(150)를 체결시켜 주는 것에 의해 타이로드(100)의 설치가 완료됨으로서, 자동차를 운행중 바퀴에 발생되는 하중을 러버(120)에서 흡수하면서 차축(액슬축)(300)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러버(120)가 전후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로드(110)의 조립부(111)가 차동차의 차축(액슬축)(300)과 차체보디에 용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0)에 너트(150) 체결되는 핀(140)에 의해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마찰 누적으로 인해 러버(120)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타이로드(100)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타이로드(100)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운행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링형상의 조립부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조립부 전후면에 용착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가 용착되어 있는 조립부가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조립부가 결합되도록 양측단부가 너트 체결되는 핀으로 구성하여, 러버가 전후면에 열융착되어 있는 로드의 조립부가 차동차의 차축(액슬축)과 차체보디에 용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에 너트 체결되는 핀에 의해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마찰 누적으로 인해 러버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타이로드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타이로드가 차축(액슬축)이나 차체보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차량을 운행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링형상의 조립부(111)가 형성된 로드(110)와, 상기 로드(110)의 조립부(111) 전후면에 용착되는 러버(120)와, 상기 러버(120)가 용착되어 있는 조립부(111)가 차축(액슬축) 또는 차체보디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조립부(111)가 결합되도록 양측단부가 너트(150) 체결되는 핀(1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차축(액슬축)(300) 또는 차체보디에 용착되는 용착부(2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착부(210)의 좌우 양측에는 지지부(22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20)에는 핀(140)이 관통하며 체결되는 체결공(22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2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관통공(121)과 삽입공(111a)이 러버(120)와 조립부(111)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1220A KR20040007939A (ko) | 2002-07-15 | 2002-07-15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1220A KR20040007939A (ko) | 2002-07-15 | 2002-07-15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7939A true KR20040007939A (ko) | 2004-01-28 |
Family
ID=3731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1220A KR20040007939A (ko) | 2002-07-15 | 2002-07-15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07939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7212A (ko) * | 1994-08-18 | 1996-03-22 | 한승준 | 차량용 더블위쉬본 현가장치의 로드축 취부구조 |
KR970040873A (ko) * | 1995-12-28 | 1997-07-24 | 김태구 | 조향 컬럼(Steering Column)의 취부구조 |
KR19980053002A (ko) * | 1996-12-26 | 1998-09-25 | 박병재 | 초저상 버스용 벨크랭크 어셈블리 |
KR20020030205A (ko) * | 2000-10-16 | 2002-04-24 | 류정열 | 자동차용 현가장치 |
-
2002
- 2002-07-15 KR KR1020020041220A patent/KR200400079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7212A (ko) * | 1994-08-18 | 1996-03-22 | 한승준 | 차량용 더블위쉬본 현가장치의 로드축 취부구조 |
KR970040873A (ko) * | 1995-12-28 | 1997-07-24 | 김태구 | 조향 컬럼(Steering Column)의 취부구조 |
KR19980053002A (ko) * | 1996-12-26 | 1998-09-25 | 박병재 | 초저상 버스용 벨크랭크 어셈블리 |
KR20020030205A (ko) * | 2000-10-16 | 2002-04-24 | 류정열 | 자동차용 현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59404B2 (en) | Modular axle assembly and method | |
EP2293967B1 (en) | Power steering for an all terrain vehicle | |
US7648170B2 (en) | Interchangeable suspension system | |
KR101184285B1 (ko) | 차량의 엔진마운팅 구조 | |
JP2002302087A (ja) | 小型車両のエンジン支持構造 | |
US4534440A (en) | Apparatus for attaching transmission casing and brake casing in motorized three-wheeled vehicle | |
KR20040007939A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타이로드 | |
CN212447775U (zh) | 适用于前驱、四驱的转向节总成及转向节总成安装结构 | |
US7370871B2 (en) | Vehicle frame with shock absorbing system | |
CN209851975U (zh) | 全地形车的后桥总成 | |
JPH11325145A (ja) | 防振ゴムブッシュ | |
KR200230869Y1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토크 로드 구조 | |
KR200230863Y1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토크 로드 구조 | |
KR100369773B1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토크 로드 구조 | |
JP3530973B2 (ja) |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 |
KR100386430B1 (ko) | 자동차 현가장치 토크로드의 엔드조립체 구조 | |
KR100316958B1 (ko) |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 |
US8382158B2 (en) | All terrain vehicle | |
JP7212657B2 (ja) | 車両 | |
CN209852486U (zh) | 全地形车的后摇架总成 | |
KR20140111412A (ko) | 후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미션 지지 장치 | |
JPH0463726A (ja) |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構造 | |
JPS60191826A (ja) | 四輪駆動自動車 | |
KR200141621Y1 (ko) | 차량의 리어 액슬 샤프트 탈거용 지그 | |
KR100422554B1 (ko) | 듀얼링크타입 리어 서스펜션의 마운팅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