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049A -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049A
KR20040007049A KR1020020041690A KR20020041690A KR20040007049A KR 20040007049 A KR20040007049 A KR 20040007049A KR 1020020041690 A KR1020020041690 A KR 1020020041690A KR 20020041690 A KR20020041690 A KR 20020041690A KR 20040007049 A KR20040007049 A KR 2004000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hemming
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049A/ko
Publication of KR2004000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1Urea;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30 ~ 60 중량%, 에폭시 경화제 5 ~ 10 중량%, 아민계 및 우레아계 혼성 경화촉진제 0.5 ~ 5 중량%, 충진제 15 ~ 45 중량%, 조색제 0.5 ~ 5 중량%, 첨가제 2 ~ 10 중량%, 희석제 0.5 ~ 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밍 실러( Hemming sealer )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차체 강판의 헤밍 플렌지( Hemming flange ) 부위의 실러용으로 사용하면 강판의 용접 및 용접 후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A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hemming sealer}
본 발명은 헤밍 실러( Hemming sealer )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비경화성 및 저장안정성이 월등히 우수하여 차체 강판의 헤밍 플렌지 부위의 방청성과 도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제조 공정에서 후드나 도어 등의 강판 부재를 제작할 때, 내부 판넬과 외부 판넬이 서로 압착되는 헤밍 플렌지( Hemming flange )부위에는 수밀 및 방청 효과를 얻기 위하여 헤밍 실러를 도포 한다. 그런데 종래의 헤밍 실러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강판 부재를 도장라인 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내부 판넬과 외부 판넬간에 유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렌지 부위를 용접하고 용접 후처리( Metal finish )를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와같이, 강판 플렌지 부위를 용접하고 그 후처리를 하게 되면 강판 표면의도금층이 손상되기 때문에 강판부재의 방청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강판의 두께가 감소하여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실러 조성물에 사용된 이미다졸계 경화촉진제 대신에 아민계 및 우레아계 경화촉진제를 혼합 사용하므로서, 번거러운 용접 공정 및 후 처리가 필요 없는 새로운 실러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실러 조성물에 비해 예비 경화성 및 저장 안정성이 월등히 우수하면서 강판 부재의 방청성과 도장성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30 ~ 60 중량%, 에폭시 경화제 5 ~ 10 중량%, 아민계 및 우레아계 혼성 경화촉진제 0.5 ~ 5 중량%, 충진제 15 ~ 45 중량%, 조색제 0.5 ~ 5 중량%, 습기제거 및 수축 방지제 2 ~ 10 중량%, 희석제 0.5 ~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각 구성 성분의 기능 및 함량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수지인 에폭시 수지는 수지 조성물의 전체적인 특성을 결정하는 기초 성분으로서, 비스페놀 A형 수지(예:YD-128, 국내산)와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변성 에폭시 수지(예:KR-909, 국내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초수지의 함량은 30 ~ 60 중량% 인데, 만일 30 중량% 미만이면 접착강도가 부족하고, 반대로 60 중량% 초과하면 원가가 상승하며 작업성이 불량해진다.
에폭시 경화제는 수지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물질로서, 디시안 디아미드(Dicyandiamide)를 사용하며, 그 함량은 5 ~ 10 중량% 이다. 에폭시 경화제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수지조성물의 접착성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 초과하면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되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특징인 경화 촉진제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하여 예비경화성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아민계 경화 촉진제( 예 : PN-23, 일본산 )와 우레아계 경화 촉진제( 예 : SKW UR-100, 독일산 )를 30대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경화 촉진제의 함량은 0.5 내지 5 중량% 인데, 이때 0.5중량% 미만이면 예비 경화 후의 접착강도가 불량하고, 5 중량% 초과하면 저장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의 혼성 경화 촉진제는 고주파 가열에 의한 예비경화가 가능한 저온용 경화 촉진제이다.
충진제는 작업성 및 충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며,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마이카 등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함량은 15 ~ 45중량% 이다.
조색제는 색상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며,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함량은 0.5 ~ 5 중량% 이다.
습기 제거 및 수축 방지제로서, CaO, 벤토나이트, 훈연 실리카( Fumed silica )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함량은 2 ~ 10 중량% 이다.
마지막으로, 희석제는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한 함량은 0.5 ~ 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차체 제작 공정에서 고주파 가열공법으로 예비경화 되고, 도장 건조로를 통과 하면서 완전히 경화되어 강력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별도로 차체 강판을 용접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다음 표 1과 같은 구성 성분 및 함량으로 이루어진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상기 표1에서 경화 촉진제로서 이미다졸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예비 경화성 및 저장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다음 표 2와 같다. 이때, 저장 안정성 시험은 40℃의 온도에서 방치한 후의 점도와 초기 점도를 비교한 것이다.
상기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종래 기술의 비교예에 비하여 예비 경화성 및 저장 안정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차체 강판의 헤밍 실러용으로 사용하면 용접 및 용접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강판 부재의 방청성 및 강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특히 외관 상태가 양호하여 도장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에폭시 수지 30 ~ 60 중량%, 에폭시 경화제 5 ~ 10 중량%, 아민계 및 우레아계 혼성 경화촉진제 0.5 ~ 5 중량%, 충진제 15 ~ 45 중량%, 조색제 0.5 ~ 5 중량%, 습기 제거 및 수축 방지제 2 ~ 10 중량%, 희석제 0.5 ~ 5 중량%를 포함하는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아민계 및 우레아계 혼성 경화촉진제는 아민계와 우레아계가 30 대 1의 비율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KR1020020041690A 2002-07-16 2002-07-16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040007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690A KR20040007049A (ko) 2002-07-16 2002-07-16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690A KR20040007049A (ko) 2002-07-16 2002-07-16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049A true KR20040007049A (ko) 2004-01-24

Family

ID=3731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690A KR20040007049A (ko) 2002-07-16 2002-07-16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0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07B1 (ko) * 2007-11-09 2010-08-25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17A (ja) * 1989-06-22 1991-02-01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材料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812860A (ja) * 1994-06-30 1996-01-16 Mitsubishi Chem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
JP2000063637A (ja) * 1998-08-20 2000-02-29 Toshiba Chem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20000049234A (ko) * 1996-10-18 2000-07-25 웨인 씨. 제쉬크 에폭시 경화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17A (ja) * 1989-06-22 1991-02-01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材料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812860A (ja) * 1994-06-30 1996-01-16 Mitsubishi Chem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
KR20000049234A (ko) * 1996-10-18 2000-07-25 웨인 씨. 제쉬크 에폭시 경화제
JP2000063637A (ja) * 1998-08-20 2000-02-29 Toshiba Chem Corp エポキシ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07B1 (ko) * 2007-11-09 2010-08-25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600B2 (en) Epoxy resin compositions for pre-gel ovens
EP2828860B1 (en) Wash-off resistant epoxy adhesive composition and pre-gelled adhesive
KR101269132B1 (ko) 친환경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1946B1 (ko) 강판 보강용 실러 조성물
KR100575009B1 (ko) 다양한 재질의 차체 패널을 접착할 수 있는 충전제 조성물
JP6684906B2 (ja) 加熱硬化により色が変化する構造用接着剤組成物
KR20040007049A (ko) 헤밍 실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CN108530836B (zh) 一种低温补强衬板用复合材料及其低温补强衬板
KR100776325B1 (ko)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는 실란트 조성물
EP0518067B1 (de) Reaktiver Warmschmelzklebstoff
KR20070078135A (ko) 재생 폐페인트 분말을 이용한 금속접합용 구조접착 실러조성물
KR100534884B1 (ko) 도포형 강판 보강제 실러 조성물
KR102173326B1 (ko) 자동차용 접합강판의 접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강판
KR100197169B1 (ko) 자동차 철구조물의 연속적 면접합이 가능한 고강도 접착제 조성 물
CA2053426A1 (en) Induction curing electro-coatable seam filler
KR100600098B1 (ko) 금속 패널용 보강제 조성물
JPH05156226A (ja) 構造用接着剤組成物
KR100501651B1 (ko) 차체 외판 보강용 실러 조성물
KR100513746B1 (ko) 알루미늄 자동차 판넬의 접합부 충전용 페이스트상 조성물
JPH0517030B2 (ko)
KR100359403B1 (ko) 미끄럼방지 고형재 함유 에폭시 조성물
JPH02169683A (ja) 熱加硫性接着剤および接着方法
CN114341260A (zh) 用于聚合物体系的交联剂
JPS61143480A (ja) 熱硬化性接着組成物
KR100303986B1 (ko) 동력제동용 접착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