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712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712A
KR20040006712A KR1020020041064A KR20020041064A KR20040006712A KR 20040006712 A KR20040006712 A KR 20040006712A KR 1020020041064 A KR1020020041064 A KR 1020020041064A KR 20020041064 A KR20020041064 A KR 20020041064A KR 20040006712 A KR20040006712 A KR 2004000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ey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수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712A/ko
Publication of KR2004000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개방시 키가 잘못눌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기모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가 개방된 후 기능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판단결과 기능키가 눌리지 않았으면, 슬라이드가 열린 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하는 제 2 단계; 판단결과 기능키가 눌렸으면, 슬라이드가 개방된 후 소정의 기준시간 이내에 기능키가 눌린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게; 판단결과 소정의 기준시간 이내에 기능키가 눌렸으면, 슬라이드가 열린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하는 제 4 단계; 및 판단결과 소정의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기능키가 눌렸으면, 기능키에 의해 지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error push of key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개방시 키가 잘못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바 타입, 플립형 및 폴더형 등이 있음)로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가 외부에 노출되 있어, 키패드가 쉽게 손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플립으로 키패드를 덮어서 보호함으로써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만, 이러한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본체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휴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바 타입 및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갖는 긴 본체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제안된 것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인데, 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었다.
이와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다음과 같은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본체(111)와 이것에 부착된 키패드와 액정화면(LCD)를 덮고 있는 슬라이드 덮개(112)로 이루어진 것으로, 슬라이드 덮개(12)를 슬라이딩(Sliding)하여 키패드와 액정화면을 노출시키거나 덮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a는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휴대하기 위해 슬라이드 덮개(12)로 키패드와 액정화면을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통화하기 위해 도 1a에서와 같이 덮혀진 슬라이드 덮개(12)를 슬라이딩하여 키패드와 액정화면을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경우, 슬라이드 덮개(112)를 슬라이딩하여 키패드와 액정화면을 보호하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플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조한 것에 불과할 뿐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그 길이를 축소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시 사용자가 개폐 완료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슬라이딩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여 본체 길이를 대폭 줄이고 슬라이드 모듈에 의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슬라이딩할 경우 휴대폰 본체의 개폐 완료 상태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슬라이딩에 의한 휴대폰의 개폐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허출원번호 10-2001-0014933"에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 개방시 슬라이드의 외부에 부착된 키가 잘못눌려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개방시 키가 잘못눌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랭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1: 재발신 키 212: 슬라이드 감지부
213: 제어부 214: 송신처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의 전면에 부착된 기능키가 슬라이드 개방시 잘못눌려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가 개방된 후 상기 기능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능키가 눌리지 않았으면, 상기 슬라이드가 열린 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능키가 눌렸으면, 상기 슬라이드가 개방된 후 소정의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기능키가 눌린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게;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소정의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기능키가 눌렸으면, 상기 슬라이드가 열린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소정의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기능키가 눌렸으면, 상기 기능키에 의해 지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재발신 키(211)와, 슬라이드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감지부(212)와, 슬라이드 감지부(212)에 의해 감지되는 슬라이드 개방 여부에 따라 재발신 키(211)의 눌림에 의한 재발신을 제어하는 제어부(213)와,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에게 호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처리부(2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재발신 키(211)가 도 3에서와 같이 슬라이드의 외부에 부착된 경우에 적용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발신 키(211) 이외의 다른 기능키가 슬라이드 외부에 부착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슬라이드 개방과 거의 동시에 재발신 키(211)가 눌릴 경우, 제어부(213)는 슬라이드 감지부(212)를 통헤 슬라이드의 개방을 인식하고 재발신 키(211)의 눌림을 오동작으로 판단하여 재발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슬라이드가 개방되고 나서 50msec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 재발신 키(211)가 눌리면, 제어부(213)는 송신처리부(214)를 통해 바로이전에 전화를 걸었던 상대방에게 호신호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라이드 개방시 키의 잘못눌림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과정에 대하여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의 전면에 재발신 키(11)가 부착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이나 전화수신이 있을 때까지 대기모드를 유지하며(S401),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슬라이드가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2). 판단결과 슬라이드가 개방되지 않았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가 닫힌 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한다.
판단결과 슬라이드가 개방되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전면에 부착된 재발신 키(211)가 눌렸는지를 판단한다(S403). 판단결과 재발신 키(211)가 눌리지 않았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가 열린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한다(S404).
판단결과 재발신 키(211)가 눌렸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가 열린후 약 50msec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S405), 50msec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재발신 키(211)가 정상적으로 눌린 것으로 판단하여 재발신 상대방에게 호신호를 전송한다(S406). 여기서, 50msec 시간은 슬라이드 개방시 재발신 키(211)의 잘못눌림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으로, 이 기준시간은 제품 제조시 설정되는 시간으로 제조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판단과정(S405)에서의 판단결과 50msec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재발신 키(211)가 잘못눌린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모드를 유지한다(S407).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개방시 키가 잘못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의 전면에 부착된 기능키가 슬라이드 개방시 잘못눌려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가 개방된 후 상기 기능키가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능키가 눌리지 않았으면, 상기 슬라이드가 열린 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능키가 눌렸으면, 상기 슬라이드가 개방된 후 소정의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기능키가 눌린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게;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소정의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기능키가 눌렸으면, 상기 슬라이드가 열린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유지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소정의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기능키가 눌렸으면, 상기 기능키에 의해 지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시간은 제품 제조시 설정되는 시간으로, 실질적으로 50msec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KR1020020041064A 2002-07-15 2002-07-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KR20040006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064A KR20040006712A (ko) 2002-07-15 2002-07-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064A KR20040006712A (ko) 2002-07-15 2002-07-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712A true KR20040006712A (ko) 2004-01-24

Family

ID=373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064A KR20040006712A (ko) 2002-07-15 2002-07-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7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52B1 (ko) * 2004-08-12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버튼 장치
KR101067213B1 (ko) * 2006-11-30 2011-09-22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슬라이더 폼 팩터 디바이스에서의 키프레스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73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오픈형 휴대무선단말기에서 잘못된 키눌림에 대한 키보호방법
KR20010034141A (ko) * 1998-01-20 2001-04-25 밀러 럿셀 비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키의 의도하지 않은 활성화를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59798A (ko) * 1999-12-02 2002-07-13 밀러 럿셀 비 수동입력장치의 부주의한 작동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20059557A (ko) * 2001-01-08 2002-07-13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73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오픈형 휴대무선단말기에서 잘못된 키눌림에 대한 키보호방법
KR20010034141A (ko) * 1998-01-20 2001-04-25 밀러 럿셀 비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키의 의도하지 않은 활성화를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59798A (ko) * 1999-12-02 2002-07-13 밀러 럿셀 비 수동입력장치의 부주의한 작동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20059557A (ko) * 2001-01-08 2002-07-13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효한 키눌림 자동 검출 회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52B1 (ko) * 2004-08-12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버튼 장치
KR101067213B1 (ko) * 2006-11-30 2011-09-22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슬라이더 폼 팩터 디바이스에서의 키프레스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139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0337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KR100270381B1 (ko) 플립형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에 통화로 유지 및 차단 방법
US7103395B2 (en) Folding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while folded
GB2275587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JP3448547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20040235540A1 (en) Portable terminal unit
JP2001119467A (ja) 携帯電話装置
KR200400067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잘못눌림 방지 방법
EP1345389A1 (en) COLLAPSIBLE RADIO TERMINAL, CONVERSATION START METHOD, AND CONVERSATION START PROGRAM
JP3606839B2 (ja) 自動及び手動兼用折り畳み型携帯用無線端末機でのサブボディー開閉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367550B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US2007021292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242958A (ja) 携帯電子機器
KR10045472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52347A (ja) 携帯端末装置
KR200228906Y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JP3922084B2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発信方法
KR100487192B1 (ko) 복합입력방식의플립형이동단말기
KR100360872B1 (ko) 휴대용정보단말기
KR100504041B1 (ko) 통화유지 버튼이 구비된 플립형 전화단말기및 그 통화처리방법?
KR20024109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8664A (ko)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
KR200275000Y1 (ko)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폴더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