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06Y1 -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 Google Patents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06Y1
KR200228906Y1 KR2020010001288U KR20010001288U KR200228906Y1 KR 200228906 Y1 KR200228906 Y1 KR 200228906Y1 KR 2020010001288 U KR2020010001288 U KR 2020010001288U KR 20010001288 U KR20010001288 U KR 20010001288U KR 200228906 Y1 KR200228906 Y1 KR 200228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obile phone
folder
auxiliar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익
신의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1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0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더형 휴대폰에 이중 표시부를 설치하여 그중 하나의 표시부에서 메시지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폴더형 휴대폰의 상폴더 안쪽에 메인 LCD를, 힌지에 보조 LCD를 배치하여 이중 LCD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휴대폰 사용자는 상폴더(上folder)를 열 필요 없이 메시지 수신여부나 휴대폰의 상태 등을 보조 LCD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모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본 고안은 아이디 엘씨디를 이용한 폴더형 휴대폰 및 그것에 의한 메시지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형 휴대폰에 이중 표시부를 설치하여 그중 하나의 표시부에서 메시지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일반인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되어가고 있다. 휴대폰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제품이므로 그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플립형이나 폴더형과 같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휴대폰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화면도 작아지게 되었다.
한편, 무선인터넷의 등장에 따라 휴대폰으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도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큰 것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크기는 작게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 폴더형 휴대폰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더형 휴대폰의 단점은 폴더를 닫았을 때 디스플레이의 내용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보조 LCD(17a)를 폴더의 외측에 마련하는 형태의 이른바 듀얼엘씨디 폴더(Dual LCDfolder)가 등장하였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수신이나 휴대폰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모드를 위한 보조 LCD(17a)와 메인 표시부인 메인 LCD(16a)가 휴대폰 상측 폴더의 앞뒤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폴더가 닫혀 있는 경우에도 보조 LCD(17a)를 통해 현재 시간, 수신 전파의 세기, 남아 있는 배터리의 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한쪽 커버에 LCD가 이중으로 배치됨으로써 제작 공수가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상측 폴더가 무거워져서 힌지(hinge) 부분이 쉽게 헐거워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보조 LCD(17a)가 상측 폴더의 배면에 위치함으로 인해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 폴더를 열게 되면 보조 LCD(17a)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사용자가 이를 보기 위해서는 다시 커버를 닫거나 다른 방법을 써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 LCD(17b)를 휴대폰의 몸체에 배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하면 폴더를 닫았을 때에는 투명창(18)을 통해 보조 LCD(17b)를 볼 수 있고, 폴더를 열였을 때에도 메인 LCD(17a)와 함께 보조 LCD(17b)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상폴더 안쪽에 투명창(18)을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메인 LCD(16b)의 크기가 심한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다 넓은 화면을 휴대폰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투명창(18)을 통해서 보조 LCD(17b)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창(18)이 약간이라도 더러워져 있거나 투명창(18)에 상처가 생기면 보조 LCD(17b)를 볼 때 매우 불편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폴더형 휴대폰에서 폴더를 열지 않고서도 메시지수신 및 휴대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폴더를 열었을 때나 닫았을 때나 항상 보조 화면을 볼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메인 화면의 디스플레이영역을 최대한 넓게 제공하는 것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폴더를 닫아놓은 상태에서도 보조 화면을 깨끗하게 볼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안의 폴더형 휴대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고안의 다른 폴더형 휴대폰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폴더형 휴대폰의 외형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폴더가 닫혀 있을 때의 화면예로서, 도 5a는 폴더가 닫혀 있을 때의 일반적인 화면예이고, 도 5b는 전화수신시에 휴대폰이 발신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화면예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화면예와 종래의 휴대폰의 화면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화면예이고, 도 6b는 종래의 휴대폰의 화면예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설명******
16. 메인 LCD 17. 보조 LCD
16a. 메인 LCD 17a. 보조 LCD
300. 상폴더 310. 몸체
본 고안은 폴더형 휴대폰의 상폴더 안쪽에 메인 LCD를, 힌지부에 보조 LCD를 배치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휴대폰 사용자는 상폴더(上folder)를 열 필요 없이 메시지 수신여부나 휴대폰의 상태 등을 보조 LCD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모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조 LCD를 볼 때 투명창을 거치지 않고 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을 나타내는 폴더형 휴대폰의 외형도이다.
도 3a는 상폴더(300)와 몸체(310)가 닫혀 있는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b는 상폴더를 열었을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보조 LCD(17)는 힌지부(20)의 전면(前面)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폴더의 개폐와 상관없이 몸체의 동일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또한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표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 LCD(16)는 상폴더(300)의 안쪽에 존재하고 폴더를 열어 젖힌 도 3b의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며 보조 LCD(17)와 물리적으로 접하거나 상충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폴더(300)의 하단부에는 빈 공간(19)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폴더(300)는 하측 좌우단(21a, 21b)만이 힌지부(20)에 연결되고, 하측 좌우단(21a, 21b) 사이는 빈 공간(19)이 존재하게 된다. 이 빈 공간(19)은 폴더가 닫혔을 때 힌지부(20)에 마련된 보조 LCD(17)가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힌지부(20)는 폴더가 닫혔을 때 보조 LCD(17)의 윗면과 닫힌 상폴더의 바깥면이 서로 평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310)의 버튼이 위치하는 평면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폴더가 닫혔을 때 보조 LCD(17)와 상폴더(300)의 바깥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하게된다. 물론, 폴더가 닫혔을 때 보조 LCD(17)가 상폴더(300)의 바깥면보다 낮도록 설계하거나 바깥면보다 돌출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휴대폰은 제어부(10), 무선회로부(11), 기저대역부(12), 오디오처리부(13), 송수화기(14), 입력부(15), 그리고 메인 LCD(16), 보조 LCD(17)를 구비한다.
제어부(10)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15)를 통해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거나 무선회로부(11)를 통해 신호가 착신되면, 이를 처리하여 메인 LCD(16)나 보조 LCD(17) 또는 오디오 처리부(13)에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역할을 담당한다.
입력부(15)는 주로 키패드를 지칭하며 도 6a에서 보는 것처럼 화면의 메뉴를 업/다운할 수 있는 방향키, 메뉴를 불러올 수 있는 메뉴키, 실행을 종료하는 종료키, 단축다이얼을 위한 단축키, 숫자와 문자입력을 위한 숫자키 등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입력부인 키패드를 통해 여러 가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회로부(11)는 제어부(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전송하거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받아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기저대역부(12)는 제어부(10) 또는 오디오 처리부(13)로 부터의 신호를 무선회로부에 보내기 전에 소스코딩(source coding), 채널코딩(channel coding) 등의 디지털 신호처리를 하거나 무선회로부(11)로부터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처리부(13) 또는 제어부(10)에 전송한다.
오디오 처리부(13)는 송수신 음성이나 멜로디 등의 전기신호를 생성하거나 증폭, 필터링 등의 처리를 하는 역할을 한다.
송수화기(14)는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폴더가 닫혀 있을 때의 화면예로서, 도 5a는 폴더가 닫혀 있을 때의 일반적인 화면예이고, 도 5b는 전화수신시에 휴대폰이 발신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화면예이다.
상기 도 3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폴더가 닫혀져 있는 경우, 상태모드의 화면을 제공하는 보조 LCD(17)는 평상시에 도 5a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날짜와 현재 시간, 밧데리 상태, 음량, 메일상태 등의 일반적인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도 5a의 화면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내용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보조 LCD(17) 화면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상폴더(300)를 열 필요 없이 보조 LCD(17)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기능이 없거나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단지 전화가 오고 있다는 메시지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도착한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또는 음성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보조 LCD(17)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화면예와 종래의 휴대폰의 화면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화면예이고, 도 6b는 종래의 휴대폰의 화면예이다.
도 6a에서는 종래에는 메인화면에 있던 상태표시와 가변버튼에 대한 안내, 즉 밧데리 용량표시, 음량표시, '선택', '이동', '취소' 등을 전부 보조 LCD(17)에 배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메인LCD(16)에는 메뉴만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6b에서는 한 화면(16a)에 상태표시와 가변버튼에 대한 안내, 그리고 메뉴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메뉴의 수가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메뉴를 더 보기 위해서는 해당 키버튼을 추가로 조작해야만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종류의 표시가 한 화면에 나타나므로 좀더 복잡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에 비해, 도 6a는 상폴더(300)를 완전히 열었을 때 휴대폰의 이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으로 상단에는 메인LCD화면(16)이 놓이고 이 메인LCD 바로 하단에 상태모드의 화면을 제공하는 보조 LCD(17)을 배치함으로써 육안으로 보아도 화면이 더 크고 효과적으로 보인다. 즉, 동일한 크기의 LCD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휴대폰의 메인화면(16)의 메뉴가 기존의 휴대폰이 제공하는 메인화면(16a)의 메뉴의 수보다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변버튼(22)의 바로 위에 가변버튼(22)의 각 기능에 대한 표시가 나타나게 되므로 가변버튼을 사용할 때 편리하게 참조할 수 있다. 가변버튼은 상황에 따라서 각 버튼에 할당되는 기능이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가변버튼을 사용할 때 각 버튼이 현재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가변버튼의 현재 기능에 대한 표시가 메인LCD(16)에 표시되므로 가변버튼(22)에서 많이 떨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변버튼(22)을 누를 때 위에 있는 메인LCD(16)를 확인해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가변버튼(22)의 바로 위에 있는 보조LCD(17)에 가변버튼의 현재 기능에 대한 표시가 나타나므로 버튼 조작시에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a에서는 보조LCD(17)에 상태표시와 가변버튼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상태표시와 가변버튼에 대한 내용을 메인LCD(16)에 표시하고, 보조LCD(17)에는 현재 시간이나, 상대방의 전화번호, 현재 접속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주소를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증권정보, 뉴스정보 등을 계속해서 갱신하여 보여주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폴더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보조 LCD(17)에 메인 LCD(16)에 나타난 화면을 설명해주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LCD(16)에 동영상 등이 표시되고 있을 때, 해당 동영상에 대한 제목 또는 가변버튼(22)을 이용한 제어방법 등을 보조 LCD(17)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문자메세지나 음성메세지의 수신시에도 메인 LCD(16)에는 그 내용을, 보조 LCD(17)에는 해당 메세지의 발신자 정보 또는 가변버튼(22)을 이용한 제어방법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폴더를 닫은 상태에서도 보조LCD를 통해 휴대폰의 상태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더를 열었을 경우 메인 LCD와 보조 LCD를 동시에 볼 수 있음에 따라, 보조 LCD를 메인 LCD의 보조기능(메인 LCD에 나타나는 문서나 그림의 제목, 메인 LCD 제어방법, 휴대폰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보 등을 표시)을 하게 하여 메인 LCD의 확장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LCD를 기존 폴더형 휴대폰의 힌지(hinge)부위에 설치함으로써 상폴더에 별도의 투명창 등 부가물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폴더에 투명창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폴더에 마련하는메인LCD의 크기가 투명창에 의해 제한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보조 LCD가 몸체의 상단 특히 기존 힌지부위에 위치됨으로 기존 방식의 문제점 즉, 상폴더에 설치된 투명창을 통해 몸체의 보조 LCD를 보는 데에 따른 불편함이나, 깊이감 등을 해결하였고, 또한 상폴더를 열었을 경우, 두 개의 LCD가 구조상 가까운 위치에 놓여 사용자가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보조 LCD를 기존 폴더형 휴대폰의 힌지부위에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힌지부분이 하나의 출력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어 휴대폰에서의 물리적인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인LCD가 안쪽에 마련되어 있는 상폴더와, 힌지부를 통해 상기 상폴더와 연결되어 있으며 안쪽에 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전면(前面)에 보조 LCD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폴더는 그 하단 좌우측만이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 좌우측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는 상기 몸체의 버튼이 존재하는 평면보다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에는 전파 수신 상태, 배터리 잔량 등의 상태 표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5. 제1항에 있어서,
    전화가 걸려오면 보조 LCD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폴더형 휴대폰.
  6. 제1항에 있어서,
    폴더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보조 LCD에 가변버튼의 현재의 기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더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보조 LCD에 메인 LCD에 나타난 화면을 설명해주는 제목, 제어방법 등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KR2020010001288U 2001-01-17 2001-01-17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KR200228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288U KR200228906Y1 (ko) 2001-01-17 2001-01-17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288U KR200228906Y1 (ko) 2001-01-17 2001-01-17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201A Division KR100367550B1 (ko) 2001-01-15 2001-01-15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906Y1 true KR200228906Y1 (ko) 2001-07-19

Family

ID=7306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288U KR200228906Y1 (ko) 2001-01-17 2001-01-17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03A (ko) * 2001-02-10 2001-05-07 양준영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폴더형의 보조 표시창.
KR20030046893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하폴더에 보조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430593B1 (ko) * 2001-11-02 200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폰과 그휴대폰의 윈도우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447882B1 (ko) * 2001-12-07 2004-09-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에 이중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403A (ko) * 2001-02-10 2001-05-07 양준영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폴더형의 보조 표시창.
KR100430593B1 (ko) * 2001-11-02 200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폰과 그휴대폰의 윈도우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0046893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하폴더에 보조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447882B1 (ko) * 2001-12-07 2004-09-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에 이중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139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US673175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JP4201442B2 (ja) 折畳式携帯電話装置
KR0173076B1 (ko) 이동가능 하우징 소자 및 그 안에 배치된 캐패드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
EP167536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fferent operation modes selected by the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EP2005716B1 (en) Hous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device wtih a display
US20020022503A1 (en) Mobile phone of du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the same
JP2000124977A (ja) 電子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JPH1168899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通信装置
KR100367550B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KR200228906Y1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JP200234459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JP4039796B2 (ja) 無線情報端末機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5337B1 (ko) 듀얼 엘씨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엘씨디디스플레이 방법
KR200500240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와이드 스크린 제어 장치
KR200293959Y1 (ko)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통화 및 통화목록 검색이 가능한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전화기
KR100360872B1 (ko) 휴대용정보단말기
KR1003811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4651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모 기능 구현방법
JP2001168973A (ja) 携帯電話装置
KR100447882B1 (ko) 상폴더에 이중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56443A (ko) 확장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429205B1 (ko) 스크롤 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