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969A -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969A
KR20040003969A KR1020020039002A KR20020039002A KR20040003969A KR 20040003969 A KR20040003969 A KR 20040003969A KR 1020020039002 A KR1020020039002 A KR 1020020039002A KR 20020039002 A KR20020039002 A KR 20020039002A KR 20040003969 A KR20040003969 A KR 2004000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enu
shortcut
item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354B1 (ko
Inventor
한정수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3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단축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의 선택바이동키 입력에 따라 메뉴리스트 또는 아이템리스트에서 하나의 메뉴 또는 아이템으로 이동하며, 이후, 단축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이 단축키에 의해 곧바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을 단축키에 매치시켜 메모리에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메뉴 또는 아이템이 설정된 단축키가 선택되면, 메모리에서 단축키에 설정된 아이템을 독출하고, 독출된 내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축키에 양면인쇄와 같은 기능을 설정한 경우, 이후, 인쇄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양면인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단축키를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device having hot key capable of changing th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모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입력키를 제공하는 것은 오히려 장치의 이용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명령입력키 외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하며, 이동키를 통해 원하는 메뉴 및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점점 더 장치의 기능이 다양화 됨에 따라 그만큼 제공되는 메뉴가 많아지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수차례의 키입력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었다.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기본적인 명령입력키와 함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단축키를 제공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패널(10)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11), 단축키들(12), 온라인키(13), 선택키(14), 메뉴이동키들(15), 아이템이동키들(16), 그리고 설정값변경키들(17)이 마련되어 있다.
LCD(11)는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내용을 표시한다.
단축키들(12)은 각각 대응되는 기능이 장치에 등록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시 곧 바로 대응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는, 취소키(12-1), 토너절약키(12-2), 그리고 양면인쇄키 (12-3)를 단축키로 제공한 예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키(13)는 장치의 온라인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한다.
선택키(14)는 메뉴 및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메뉴이동키들(15)은 LCD(11)에 내림차순으로 표시된 메뉴 리스트에서 좌 또는 우측 이동키(15-1)(15-2)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뉴선택바(미도시)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메뉴선택바는 일반적으로 LCD(11)에서 메뉴의 선택을 나타내기 위하여 문자를 반전시켜 표시하는 음영표시영역을 말한다.
아이템이동키들(16)은 LCD(11)에 내림차순으로 표시된 각 메뉴의 아이템 리스트에 대하여 좌 또는 우측 이동키(16-1)(16-2)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아이템선택바(미도시)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설정값변경키들(17)은 좌 또는 우측 이동키(17-1)(17-2)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의 설정값을 변경시킨다.
한편, 도면에는 메뉴이동키들(15), 아이템이동키들(16), 설정값변경키들(17)이 각각 제공되고 있지만, 또 다른 종래 화상형성장치에는 좌우이동키 한 쌍만을제공하고 LCD(11)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 좌우이동키의 역할이 다르게 이용될 수 있도록 구현된 제품도 있다.
위와 같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장치의 이용환경을 변경하거나 기능을 변경하려면, 사용자는 '메뉴'키(15)를 선택하여 LCD에 메뉴리스트가 표시되면, 메뉴이동키들(15), 아이템이동키들(16) 그리고 설정값변경키들(17)을 통해 메뉴 및 아이템 리스트에서 선택바를 이동시켜 메뉴 및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키를 통해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을 장치에 인식시켜 원하는 이용환경 및 기능을 설정한다.
한편, 위의 일련의 과정을 생략하고, 제공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이용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아이템 설정화면으로 이동하거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양면인쇄'키(12-3)가 선택되면, 이후, 인쇄물에 대해 양면으로 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토너절약키(12-2)가 선택되면, 토너량을 조정하기 위한 메뉴를 LCD(11)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설정값변경키(17)를 통해 원하는 토너량으로 설정값을 변경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토너절약키(12-2)가 선택되면, 메뉴를 표시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값으로 토너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축키(12)를 갖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제조회사에서 단축키가 미리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지 않는 기능이 단축키로 제공된 경우에는, 단축키 본래의 의미를 상실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면인쇄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면, 양면인쇄키(12-3)는 존재의의미가 전혀 없어 사용자는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한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축키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 이용의 효용성을 높이며,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보인 조작패널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보인 조작패널을 통한 단축키 설정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보인 과정을 통해 아이템이 설정된 단축키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조작패널 11, 112-1: LCD
12, 111-1: 단축키 13: 온라인키
14: 선택메뉴(아이템/설정값)확인키 15, 16, 17: 메뉴선택바이동키
112-2: LED 111: 키입력부
112: 디스플레이 120: 입출력인터페이스
130: 메모리 140: 제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메뉴표시키 및 장치이용관련키들을 통해 메뉴표시명령 및 장치이용관련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 및 아이템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축키의 기능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입력부를 통한 메뉴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뉴 또는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장치 이용관련키들중 단축키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키를 상기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을 즉시 수행하는 단축키로 상기 메모리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키는 장치이용관련키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키가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키의 단축키 등록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예비키를 상기 메모리에 상기 단축키로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이 등록된 상기 단축키의 선택시, 상기 단축키에 대응하여 등록된 아이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제어방법은, 메뉴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장치 이용에 관련된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메뉴들 가운데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고, 마련된 장치이용관련키들 가운데 단축키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임의의 키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뉴를 즉시 수행하는 단축키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뉴 표시 단계는, 표시된 메뉴들 가운데 선택된 메뉴의 하위메뉴들 또는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축키 등록 단계는, 상기 하위메뉴들 또는 아이템들 가운데 하나의 하위메뉴 또는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상기 임의의 키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뉴를 즉시 수행하는 단축키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키는 상기 장치이용관련키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키가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단축키 등록 단계는, 상기 예비키의 단축키 등록시 사용자에게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예비키를 상기 단축키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이 등록된 상기 단축키가 선택되면, 상기 단축키에 대응하여 등록된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축키의 기능을 자신이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어 장치에 마련된 단축키의 효용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프린터는, 조작패널부(110), 입출력인터페이스(120), 메모리(130), 그리고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조작패널부(110)는, 단축키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다수의 키가 마련된 키입력부(111) 및 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2)에는 장치의 동작을 화면에 표시하는 LCD 및 장치의 또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LED들을 포함한다. 도 3은 기능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프린터 조작패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작패널에는 LCD(112-1), 4개의 LED(112-2), 메뉴표시키(미도시), 선택바이동키(미도시), 선택확인키(미도시) 등을 포함한 일반키(111-2) 및 단축키(111-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단축키(111-1)는 한 개의 키로 표시되고 있지만, 복수의 키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단축키(111-1)는 제품 출하시에 이뮬레이션(emilation) 변경과 같은 기능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공장 출하시 기능이 설정되지 않고 단지 예비키로서 설치될 수도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120)는,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
메모리(130)는, 조작패널에(110)에 마련된 각 명령입력키들(111-1)(111-2)에 대한 기능이 등록된다.
제어부(140)는,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며, 특히, 사용자의 선택바이동키 입력에 따라 메뉴리스트 또는 아이템리스트에서 하나의 메뉴 또는 아이템으로 이동하며, 이후, 단축키(111-1)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이 단축키(111-1)에 의해 곧바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을 단축키(111-1)에 매치시켜 메모리(130)에 등록한다.
도 4는 도 2에 보인 프린터에서 단축키(111-1)의 기능 설정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40)는, 조작패널(110)에 마련된 메뉴표시명령입력키를 통해 메뉴표시명령이 입력되면(S410), 메모리(130)에 등록된 메뉴의 리스트를 LCD(112-1)에 표시한다(S420).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선택바이동키를 통해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S430), 선택된 메뉴의 아이템들을 LCD(112-1)에 표시한다(S440). 이후, 제어부(140)는 표시된 아이템들에 대해 선택키를 통해 어느 한 아이템이 선택되고(S450), 이어서 단축키(111-1)가 선택되면(S460), 단축키(111-1)에 대해서 선택된 아이템을 곧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등록한다(S470). 한편, 복수의 예비키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40)는 각 예비키에 대해서 식별자를 미리 부가하며, 각 예비키가 메뉴 또는 아이템과 함께 선택되는 경우, 각 예비키에 대해서 미리 부가된 식별자와 함께 선택된 아이템을 매치시켜 메모리에 등록함으로서 복수의 단축키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메뉴 또는 아이템이 선택되고, 단축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템에 대해 단축키를 설정할 것인가를 LCD(1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한 후, 사용자가 등록을 승인하면, 단축키를 선택된 메뉴에 매치시켜 메모리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통해 아이템이 설정된 단축키(111-1)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프린터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111-1)가 선택되면(S510), 메모리(130)에서 단축키(111-1)에 설정된 아이템을 독출하고, 독출된 내용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520). 예를 들어, 단축키(111-1)에 양면인쇄와 같은 기능이 설정된 경우, 이후, 인쇄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양면인쇄를 수행한다.
또한, 도 6은 도 4의 과정을 통해 아이템이 설정된 단축키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프린터의 또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111-1)가 선택되면(S610), 단축키(111-1)에 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뉴를 LCD(112-1)에 표시한다(S620). 이후, 사용자로부터 아이템수행명령이 확인되면, 즉, 단축키(111-1)에 설정된 아이템이 재선택되면(S630), 제어부(140)는 단축키(111-1)에 설정된 아이템을 수행한다(S640). 예를 들어, 단축키(111-1)에 토너절약과 같은 기능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단축키(111-1)를 선택하면, 토너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값들(예를 들어, 매우 진하게, 진하게, 약하게, 아주 약하게 등)을 메뉴로 갖는 화면을 LCD(112-1)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바를 이동시켜 원하는 토너 농도를 선택한 후, 선택확인키를 누르면, 이후, 인쇄되는 화상에 대하여선택된 토너 농도로 인쇄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보인 과정은, 한 대의 프린터에서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르게는, 단축키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 과정으로만 동작이 되도록 하거나, 도 6에서 설명한 과정으로만 동작을 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준비된 예비키를 통해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장치의 기본적인 명령입력키를 제외한 또 다른 명령입력키를 단축키로 지정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숫자키 등에 대해 사용자가 위의 과정을 통해 단축키로 등록하고, 현재 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상황에 따라 숫자키가 단축키로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단축키로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기능 실현을 위해 반복 조작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되며, 단축키가 마련된 경우, 단축키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며,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메뉴표시키 및 장치이용관련키들을 통해 메뉴표시명령 및 장치이용관련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 및 아이템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축키의 기능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메뉴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메뉴 또는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장치 이용관련키들중 단축키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키를 상기 선택된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을 즉시 수행하는 단축키로 상기 메모리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는 장치이용관련키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키의 단축키 등록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예비키를 상기 메모리에 상기 단축키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이 등록된 상기 단축키의 선택시, 상기 단축키에 대응하여 등록된 아이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해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메뉴표시명령이 입력되면, 장치 이용에 관련된 메뉴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메뉴들 가운데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고, 마련된 장치이용관련키들 가운데 단축키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임의의 키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뉴를 즉시 수행하는 단축키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 단계는,
    상기 메뉴 표시 단계에 표시된 메뉴들 가운데 선택된 메뉴의 하위메뉴들 또는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축키 등록 단계는,
    상기 하위메뉴들 또는 아이템들 가운데 하나의 하위메뉴 또는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임의의 키가 선택되면, 상기 임의의 키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뉴를 즉시 수행하는 단축키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는 상기 장치이용관련키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등록 단계는,
    상기 예비키의 단축키 등록시 사용자에게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예비키를 상기 단축키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의 기능이 등록된 상기 단축키의 선택시, 상기 단축키에 대응하여 등록된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또는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39002A 2002-07-05 2002-07-05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46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002A KR100461354B1 (ko) 2002-07-05 2002-07-05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002A KR100461354B1 (ko) 2002-07-05 2002-07-05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969A true KR20040003969A (ko) 2004-01-13
KR100461354B1 KR100461354B1 (ko) 2004-12-14

Family

ID=3731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002A KR100461354B1 (ko) 2002-07-05 2002-07-05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91B1 (ko) * 2008-09-26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입력방법
KR20140102339A (ko) * 2013-02-12 2014-08-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선호 기능의 연결 정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호출 방법 및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2272A (ja) * 1984-09-03 1986-03-31 Canon Inc 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91B1 (ko) * 2008-09-26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입력방법
US8988704B2 (en) 2008-09-26 201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140102339A (ko) * 2013-02-12 2014-08-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선호 기능의 연결 정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호출 방법 및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354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502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US64961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ch-sensitive screen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908867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operational event determining method
WO2011135894A1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9157560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JP2010086146A (ja) 入力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入力表示プログラム
JP6624046B2 (ja) 画像処理装置
WO2022242586A1 (zh) 应用界面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090204923A1 (en) Device setting apparatus and device setting system
JP2015204047A (ja) 画像処理連携システムと連携方法、携帯端末装置及び画像処理連携プログラム
CN101650635A (zh) 终端设备控制远端显示的方法及其终端设备
KR100461354B1 (ko) 기능 변경이 가능한 단축키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02685314B (zh) 移动装置和移动装置控制方法
JP2010079488A (ja)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023117A (ja) 携帯電話装置
JP2018151820A (ja) 表示装置または表示制御方法
JP2008040957A (ja) 表示入力装置および表示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4860459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TW554309B (en) Liquid crystal display
JPH10124690A (ja) グラフ表示装置及びグラフ表示方法
JP200613967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1930720A (zh) 电子系统、操作方法及其显示装置
JP2001034413A (ja) ペン入力システム及びペン入力方法
EP2403227A1 (en) Method for moving a cursor and display apparatus
KR20050037041A (ko)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