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979A -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 - Google Patents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979A
KR20040002979A KR10-2003-7015059A KR20037015059A KR20040002979A KR 20040002979 A KR20040002979 A KR 20040002979A KR 20037015059 A KR20037015059 A KR 20037015059A KR 20040002979 A KR20040002979 A KR 2004000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insulation layer
shield
insulator
therma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틸턴제프리에이
파텔바라트디
블럭토마스티
타깃래리이
Original Assignee
오웬스 코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웬스 코닝 filed Critical 오웬스 코닝
Publication of KR2004000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18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차량용 언더 카펫 열 차폐물/플로어 팬 절연체 (10) 가 제공된다. 이 차폐물/절연체는 대략 150℃(302℉)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때 330시간 이상동안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두께증가, 박리, 열화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중합체 섬유로 된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을 포함한다. 이 차폐물/절연체는 중합체 섬유로 된 비교적 고밀도의 비적층형 막 (14) 및/또는 중합체 재료 (16,20) 로 구성된 1이상의 외장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UNDER CARPET HEAT SHIELD AND FLOOR PAN INSULATOR}
차량용 소음 및 열 절연체, 및 라이너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절연체는 소음을 감쇠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흡음(즉, 입사 음파를 흡수하는 능력) 및 투과손실(즉, 입사 음파를 반사하는 능력)에 좌우된다. 이러한 절연체는 또한 다양한 열원(예를 들어, 엔진, 변속기 및 배기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열 차폐특성에 좌우된다. 이러한 절연체는 통상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로 사용된다.
홀트로프 등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 제 4,851,283 호 및 카퍼휘트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 제 6,008,149 호를 포함하는 다수의 종래기술에서는, 라이너 형태의 소음 및 열 절연체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2개 특허의 검토결과 명백하게, 공학자들은 (a) 일반적으로 필요한 소음 및 열 절연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1이상의 층과, (b) 설치중 용이한 취급을 위한 어느정도의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1이상의추가적인 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구조로 라이너를 제조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힐러 등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6,092,622 호 및 바이드 등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6,123,172 호는, 다양한 층의 중합체 섬유, 유리섬유, 금속포일, 면 및 다른 외장재(facing)를 포함하는 니들 컴포지트(needled composite) 열 및 소음 절연체를 개시하고 있다. 금속포일 외장재는 접착제로 제자리에 고정된다. 층 내부의 니들링(needling) 구조는 내부 절연층의 천공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열과 소음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적층물의 다양한 층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특히 다수의 접착제, 접착웨브 및 결합섬유들이 수년동안 개발되어 왔지만, 적층된 차폐물 및 절연체는 박리(층간분리;delamination) 및 파괴(failure)의 고유의 위험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위험은, 사실, 차폐물과 절연체가 놓이는 가혹한 작동환경 때문에 심각하게 된다. 엔진, 변속기 및 배기시스템과 같은 고온의 열원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차폐물과 절연체가 그 근처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차폐물 및 절연체는 종종 접착제와 결합제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93℃(200℉)를 넘는 온도에 있게된다.
언더 카펫과 플로어 팬에 사용되는 차폐물과 절연체는 또한 풋 트래픽(foot traffic)를 수반하여 가압과 감압을 반복한다. 이러한 작용은 차폐물과 절연체상에 심각한 변형을 주며, 그 결과, 차폐물 또는 절연체의 접착파괴 및 박리를 일으킨다.
따라서, 배기시스템 및 특히 촉매 컨버터와 같이 고온의 열원 근처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필요한 소음 및 열 절연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 섬유의 비적층 소음 및 열 절연층을 결합한 언더 카펫 열 차폐물/플로어 팬 절연체에 대한 요구가 있게 되었다. 유리하게, 이러한 절연체는 간단하고 편리한 장착을 하기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면서, 신뢰성 있는 성능에 특징이 있는 긴 수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음 및 열 절연분야, 특히 차량용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명세서에 첨부되어 있는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양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대체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참조번호를 상세히 도시하였으며, 그 예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언더 카펫 열 차폐물/플로어 팬 절연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이다. 이 차폐물/절연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로 된 단일의,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을 포함한다. 이 열 절연층은 바람직하게 부직포이며 특정 분야에서 특정 성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리섬유와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된 추가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소음 및 열 절연층은 그 1이상의 면을 따라 중합체 섬유로 된 비교적 고밀도의 비적층형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절연체는 소음 및 열 절연층의 제 1 면 위에 제 1 금속포일 외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음 및 열 전열층의 제 2 면 위에 제 2 금속포일 외장층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는, 330시간 이상동안 약 150℃(302℉)의 온도에 있을 때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두께증가, 박리, 열화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의 어떤 징후도 나타내지 않는,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로 된 단일의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을 포함한다. 특히, 이 차폐물/절연체는 실질적으로 10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잇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 질 것이며,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몇몇 모드를 예증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몇몇 실시형태가 서술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상이한 실시형태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고, 명백한 모든 관점에서 발명의 몇몇 세부사항들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본래 예시로서 간주되며 한정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않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 (10) 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중합체 섬유로 된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용이한 설치, 및 필요한 소음 및 열 절연 특성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을 갖는 단일의 비적층형 층 (12) 이 제공된다. 유리하게, 이러한 모든 잇점은, 연비로 인해 제조업자로 하여금 가능한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소형 차량에도 사용될 수 있는 저중량 절연체 (10) 에서도 달성된다.
중합체 섬유는 발포체가 아니고 전형적으로 부직포이다. 중합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은 330시간 이상 동안 대략 150℃(302℉)의 온도에 있는 경우 성능에 영향을 끼칠수 있는 두께 증가, 박리, 열화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의 어떤 조짐도 나타내지 않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 이러한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40 - 130 g/ft2의 중량을 갖는다. 예를 들어,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은 실질적으로 10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10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폴리에스테르 층 사이에 개재된 유리섬유 층으로 제조된 종래의 차폐물의 상태와 비교할 때 많은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에지를 주기위해 히트 나이프(heat knife)로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폐물 또는절연체 (10) 는 상이한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예비성형될 수 있으며, 결국에는 공동(cavity)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공동크기로 성형된다. 종래 차폐물의 상태는 이와같은 방법으로 차량의 차체 또는 골격내에 공동을 장착하도록 형상을 개조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약간의 황화가 발생할 수 있는 232℃(450℉)까지의 온도에의 노출에 치수적으로 안정하지만, 종래의 차폐물의 상태는 외관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으며 석탄산 결합제가 방출되어, 그 결과 차폐물이 거무스름하게 되고 악취가 나게된다. 물론, 본 발명의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또한 유리섬유가 없어, 설치가 친화적이다(소재에 접촉하는 자에게 가려움을 유발하지 않는다). 반면에 종래 제품의 상태에서 유리섬유는 2개의 폴리에스테르 층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제품은 그에 접촉하는 사람에게는 여전히 더욱 자극적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많은 분야에서 이러한 잠재적인 자극을 회피하기 위해 차폐물 또는 절연체의 에지를 피복할 필요가 있다.
도 2 에 도시된 제 1 의 대체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또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 예컨데, 부직포로된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층 (12) 은 또한 중합체 섬유의 적어도 한 면을 따라 비교적 고밀도, 비적층 또는 단일의 막 (14) 을 포함하고 있다.
유리하게, 상기 고밀도 막 (14) 은 차량의 카펫 아래 그리고 플로어 팬을 따라 존재하는 환경조건 하에서 층 (12) 으로부터 박리하지 않으며, 또한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에 구조적인 일체성 및 강도를 추가하여 설치중 이 부분을 조작하고 고정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준다. 고밀도 막 (14) 은 심미적으로 더욱 만족스럽다. 고밀도 막 (14) 은 또한 다른 종류의 소재로 된 추가적인 외장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은 박리로 인한 차폐물 또는 절연체의 잠재적인 파괴를 제거하며, 또한 차폐물 또는 절연체가 오직 하나의 재료로만 제조되어, 재생하여 이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막은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를 필요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중에 열간압반(hot platen)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추가적인 공정단계도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외장층을 갖는 차폐물 또는 절연체와 비교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데, 왜냐하면 외장층은 별도의 공정단계에서 소음 및 열 절연층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3 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예를 들어, 부직포)로 된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의 제 1 면 (18) 위에 금속포일 외장층 (16) 이 결합된 소음 및 열 절연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금속포일 외장은 1이상의 층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다른 대체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상술한 중합체 섬유의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의 제 1 면 (18) 을 덮는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16) 과 상기 절연층의 제 2 반대 면 (22) 을 덮는 제 2 금속포일 외장층 (20) 이 결합된 소음 및 열 절연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 2 외장층 (20) 은 제 1 외장층 (16) 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외장층 (16) 과 제 2 외장층 (20) 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종래기술에 따라 적당한 접착제 또는 접착웨브에 의해 상기 층 (12) 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상술한 중합체 섬유(예를 들어, 부직포)로 된 단일의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16) 과 상기 절연층의 제 2 면 (22) 을 덮는 제 2 금속포일 외장층 (20) 과 결합된 소음 및 열 절연층을 포함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이 실시형태의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예를 들어, 부직포)로 된 추가적인 소음 및 열 절연층 (24) 을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16) 은 2개의 소음 및 열 절연층 (12,2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상술한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소음 및 열 절연층 (12 및/또는 24) 은, E-유리, S-유리, 케나프(kenaf), 대마(hemp) 및 그 혼합물 등의 유리 및/또는 천연섬유를 약 10 - 6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및 천연섬유의 사용은 몇몇 가능한 분야에 필요한 성능 파라미터를 충족시키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 사상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잇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또는 플로어 팬 절연체 (10) 는, 촉매 컨버터등의 고온의 열원 근처에서 조차 오랜 서비스 수명동안 일관되고 확실하게 유지되는 열 및 소음 특성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와 강성의 독특한 조합을 제공한다.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교적 고밀도의 비적층형 막이 제공되어, 조작을 돕고, 만족스러운 심미감을 주며 차폐물 또는 절연체의 완전한 재생능력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예증 및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즉, 본 발명을 개시한 형태 그대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명백한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비교적 고밀도의 비적층형 막 (14) 을 차폐물 또는 절연체의 양면에 및/또는 에지를 따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1이상의 고밀도, 비적층형 막 (14) 을 갖는 차폐물 또는 절연체 (10) 는 또한, 특정분야의 소음, 열, 구조 및/또는 심미적 성능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면, 1이상의 외장층 (16,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가 계획하는 특정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수정을 가하여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리와 본 발명의 실제 응용에 최상의 실예를 제공하도록 실시형태를 선택한다.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을 명백하게, 법률적으로 그리고 정당하게 부여된 범위에 따라 해석할 때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Claims (14)

  1.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로 된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을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 카펫 열 차폐물/플로어 팬 절연체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은 유리섬유와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된 추가적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의 1이상의 면을 따라 중합체 섬유로 된 비교적 고밀도, 비적층형 막 (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의 제 1 면 (18) 위에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의 제 2 면 (22) 위에 제 2 금속포일 외장층 (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위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로 된 추가적인 소음 및 열 절연층 (24)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포일 외장층은 상기 추가적인 소음 및 열 절연층과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8. 실질적으로 10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로 된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을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 카펫 열 차폐물/플로어 팬 절연체 (10).
  9. 제 8 항에 있어서, 차폐물/절연체의 1이상의 면을 따라 비교적 고밀도인 막 (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의 제 1 면 (18) 위에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의 제 2 면 (22) 위에 제 2 금속포일 외장층 (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포일 외장층 위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로 된 추가적인 소음 및 열 절연층 (24)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포일 외장층은 상기 추가적인 소음 및 열 절연층과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13. 150℃(302℉)에서 330시간 이상동안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두께증가, 박리, 열화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레이온, 나일론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섬유로 된 비적층형 소음 및 열 절연층 (12) 을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 카펫 열 차폐물/플로어 팬 절연체 (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및 열 절연층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물/절연체.
KR10-2003-7015059A 2001-06-01 2002-05-28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 KR20040002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543201P 2001-06-01 2001-06-01
US60/295,432 2001-06-01
PCT/US2002/016691 WO2002098707A1 (en) 2001-06-01 2002-05-28 Under carpet heat shield and floor pan insu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979A true KR20040002979A (ko) 2004-01-07

Family

ID=2313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059A KR20040002979A (ko) 2001-06-01 2002-05-28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92547A1 (ko)
JP (1) JP2004530925A (ko)
KR (1) KR20040002979A (ko)
BR (1) BR0209573A (ko)
CA (1) CA2444641C (ko)
MX (1) MXPA03010863A (ko)
WO (1) WO2002098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1081B4 (de) * 2004-01-05 2013-02-14 Airbus Operations Gmbh Isolationsaufbau zur Innenisolierung eines Fahrzeuges
US7686132B2 (en) 2005-12-29 2010-03-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ous membrane
AU2016235776A1 (en) 2015-03-20 2017-11-09 Lydall Inc. Oleophobic insulating shield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285A (ja) * 1997-02-14 1998-08-25 Toyoda Gosei Co Ltd 吸音材
JPH1134760A (ja) * 1997-07-24 1999-02-09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ダッシュインシュレータ
US6123172A (en) * 1999-07-22 2000-09-26 Lydall, Inc. Thermal and acoustical insulating sh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44641C (en) 2010-02-09
CA2444641A1 (en) 2002-12-12
MXPA03010863A (es) 2004-02-17
JP2004530925A (ja) 2004-10-07
BR0209573A (pt) 2004-07-13
WO2002098707A1 (en) 2002-12-12
EP1392547A1 (en)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547B2 (en) Under carpet heat shield and floor pan insulator
US6669265B2 (en) Multidensity liner/insulator
EP2669888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 sound-proof material
EP2604476B1 (de) Akustisch und thermisch wirkende Isolation
KR101983890B1 (ko) 방음재, 및 방음 커버의 제조 방법
US20050202740A1 (en) Acoustical insulator for a vehicle
US20030124314A1 (en) Structurally enhanced sound and heat energy absorbing liner and related method
JP4129427B2 (ja) 多密度インシュレータ型ライナ
WO2010092968A1 (ja) 自動車用吸音シート及びこの吸音シートを用いた自動車用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
WO2011019783A2 (en) Embossed thermal shield and methods of contruction and installation
US8361912B2 (en) Hood, dash, firewall or engine cover liner
US4619344A (en) Composite sound and heat insulating board
KR20040002979A (ko) 언더 카펫 열 차폐물 및 플로어 팬 절연체
WO2019004153A1 (ja) 防音用被覆材およびエンジンユニット
JP3930484B2 (ja) 超軽量な防音材
JP3701010B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
JP6754724B2 (ja) 防音用被覆材およびエンジンユニット
JPH11245320A (ja) 吸音材、吸音材の成形方法、および遮蔽カバー
JPH09251295A (ja) 吸音材及び遮音カバー
KR101497379B1 (ko)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KR20090073718A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JP3006967B2 (ja) 車両用防音材
CN104044521B (zh) 三层隔音器
EP3804976A1 (en) Multilayer laminate for heat shielding applications
JP2003316366A (ja) 吸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