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651A -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651A
KR20040001651A KR1020020036940A KR20020036940A KR20040001651A KR 20040001651 A KR20040001651 A KR 20040001651A KR 1020020036940 A KR1020020036940 A KR 1020020036940A KR 20020036940 A KR20020036940 A KR 20020036940A KR 20040001651 A KR20040001651 A KR 2004000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651A/ko
Publication of KR2004000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다른 저항값이 설정된 스위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각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도록 설정하여 별도의 마이컴을 통한 제어신호 출력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해 이어 마이크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기의 원격제어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에 별도의 마이컴을 구비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 내부 회로가 보다 간소화되어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제작될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mote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phone and method of work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이 직렬접속된 스위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각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도록 설정하여 별도의 마이컴을 통한 제어신호 출력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단말기 사용자가 제 3자와의 통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운전 중 또는 다른 작업으로 인해 키 패드 조작 및 단말기 소지가 불편한 경우에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 및 핸즈프리 연결을 위한 이어 마이크 잭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어 마이크에는 훅 버튼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훅 버튼 눌림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훅 버튼의 눌림에 따라 통화 연결 또는 통화 중단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어 마이크에 구비되는 훅 버튼은 단순한 통화 연결 및 통화 중단 제어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데, 점차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기술이 폭넓게 개발되면서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되어 다양한 기술이 개발 및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MP3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단말기에 저장한 후 재생하거나 다양한 동영상 파일을 재생시켜 보는데 종래의 이어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소정의 미디어 파일 재생 시 단말기의 키 입력부로 해당되는 버튼을 선택하고 표시부를 통해 선택 정보를 확인한 후에 이어 마이크를통해 청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이어 마이크를 이용한 멀티 미디어 재생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하여 앞서 제안된 바 있는 특허출원 제 2000-0004704호(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전화와 음악 재생을 위한 겸용 리모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는 엠피쓰리(MP3) 음악파일(Music File) 재생 기능을 가지며 이동통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겸용 리모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리모콘 장치의 경우에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통신 또는 엠피쓰리(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의 내부 회로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제조단자가 상승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통화 연결 및 미디어 재생 등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에서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에 따라 각 스위치에 설정된 저항값으로 변화되는 전압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가하고, 이동통신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여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처리 결과를 원격제어 장치의 액정 표시부로 표시함으로써 원격제어장치에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해이어 마이크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기의 원격제어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미디어 재생 및 통화 연결을 위한 단말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제어 장치의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재생 및 통화 연결과 관련된 스위치 선택을 입력받는 스위치 선택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선택에 따라 변화되는 ADC전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는 신호 처리단계와; 상기 스위치 선택에 따른 신호 처리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액정 표시부로 표시하는 처리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 장치가 구비된 이어 마이크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한 통화 연결 및 미디어 재생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격제어 장치 110 : 입력수단
120 : 인터페이스부 130 : 액정 표시부(LCD Module)
200 : 이동통신 단말기 210 : 제어부
300 : 이어 마이크 플러그 400 : 마이크로 폰
500 : 스피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조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에 있어서, 원격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를 간소화하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원격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소정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각각의 스위치에 상이한 저항소자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저항 소자에 의해 변화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원격제어장치(100)와, 상기 원격제어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통해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여 해당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동작 제어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를 원격조정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MCU:Micro-Controller Unit)(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수단(110)과, 상기 입력수단(1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기의 원격제어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LCD Module)(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수단(110)은 각각 다른 값의 저항소자로 연결된 소정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 예로 4개의 스위치(SW1(111), SW2(112), SW3(113), SW(114))를 내부에 설치하고, 4개의 스위치(SW1,SW2,SW3,SW)에 각각 직렬로 접속되는 저항(R1,R2,R3,R4)의 저항값을 R1=100K, R2=200K, R3=300K, R4=400K로 설정하며 공급전원(Vcc)=3V로 설정하는 경우, 각 스위치들이 눌릴 때마다 해당되는 저항에 의해 인터페이스부(120)의 감지단자(SNS)(124)를 통해 제어부(21)에 인가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전압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SW1 SW2 SW3 SW4
ADC port 1.5V 2V 2.25V 2.4V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단자(Vcc)와, 원격제어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Data)와, 원격제어수단의 동작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주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단자(Clock)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의 선택을 감지(sensing)하기 위한 감지단자(SNS)와,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GN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일 예에 따라 전원 공급단자(Vcc)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스위치가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감지단자(SNS)를 통해 스위치 선택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 값을 읽어들여 해당 스위치 선택을 인식한다.
또한,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동작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는 데이터 단자(Data)를 통해 원격제어장치(100)로 수신되어 액정 표시부(130)를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단말기 동작제어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미디어 재생 및 통화 연결을 위한 단말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제어 장치의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장치의 입력 수단(1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재생 및 통화 연결과 관련된 스위치 선택을입력받는 스위치 선택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선택에 따라 변화되는 ADC전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는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는 신호 처리단계와; 상기 스위치 선택에 따른 신호 처리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로 표시하는 처리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에 구비된다면, 이어 마이크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통화 및 미디어 재생을 이어 마이크의 원격제어장치(100)를 사용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어 마이크 사용자가 이어 마이크의 이어 마이크 플러그(300)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이어 마이크 잭에 장착하면,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이어 마이크 사용모드로 모드 전환하여 이어 마이크 플러그(300)를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이어 마이크(400) 및 스피커(500)를 통해 음성신호 입/출력을 수행하고, 원격 제어장치(100)와의 부가적인 데이터 송/수신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이어 마이크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및 미디어 재생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는 초기 상태에서 기능 스위치 SW1은 모드 전환키, SW2는 선택 키,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SW3과 SW4는 스크롤 키로 사용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어 마이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 가운데 MP3 파일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 마이크 사용자는 초기화면 상태가 표시된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를 확인하고(S1), 미디어 재생을 위해 모드전환 기능 스위치인 SW1을 선택한다.
사용자의 SW1 선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 내부의 SW1 회로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감지단자(SNS)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사용자의 모드전환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여 초기상태의 전화번호 모드에서 미디어 재생을 위한 MP3 모드로 모드 전환시키고, 모드전환 결과를 데이터 단자를 통해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에 MP3 모드로의 모드전환이 표시된다(S2).
이와 같이, MP3 모드로 모드 선택을 전환한 이어 마이크 사용자는 MP3 모드에 따른 기능 실행을 위해 선택 기능 스위치인 SW2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SW2 선택에 따라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단말기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 목록을 검출하여 검출된 미디어 파일 목록을 원격제어장치(100)로 데이터 단자(122)를 통해 출력하고, 원격제어장치(100)에서는 수신되는 미디어 파일 목록을 액정 표시부(130)로 표시한다(S3).
이어 마이크 사용자는 이와 같이 표시되는 미디어 파일 목록을 스크롤 기능 스위치에 해당되는 SW3 또는 SW4를 사용해 검색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SW3 또는 SW4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사용자의 커서 선택 활성 상태를 이동시키고 이를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SW3 또는 SW4를 이용한 미디어 파일목록 검색과정에서 재생시키고자 하는 미디어 파일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선택 기능 스위치인 SW2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SW2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커서 선택된 미디어 파일을 재생시켜 이어 마이크의 스피커(500)를 통해서는 음악이 출력되고,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미디어 파일 재생정보가 표시된다(S4).
또한 예를 들어, 이어 마이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저장된 전화번호 가운데 특정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 마이크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전화번호부 모드가 선택된 초기화면(S1) 상태에서 선택기능 스위치인 SW2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SW2 선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 내부의 SW2 회로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감지단자(SNS)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스위치 선택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전화번호부 모드에 따른 기능을 실행시켜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화번호부 목록을 데이터 단자를 통해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전화번호부 목록 데이터를 수신한 원격제어장치(100)에서는 액정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고(S5), 사용자는 스크롤 기능 스위치인 SW3 또는 SW4를 사용해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한다.
사용자의 SW3 또는 SW4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사용자의 커서 선택 활성 상태를 이동시키고 이를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SW3 또는 SW4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과정에서 사용자는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확인 시 선택 기능 스위치인 SW2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SW2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커서 선택된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을 실행시키고, 전화번호 다이얼링 정보를 원격제어장치(10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 정보가 표시된다(S6).
이러한 다이얼링 과정에서 상대방의 응답으로 통화 연결되면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음성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이어 마이크의 마이크로 폰(400) 및 스피커(500)로 스위칭하고, 통화 정보를 원격제어장치(100)의 액정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S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제어 장치의 각 기능 스위치에 각각 다른 저항소자를 설치하여 각 저항소자에 따른 전압변화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고 해당되는 기능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에 별도의 마이컴을 구비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 내부 회로가 보다 간소화되어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제작될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해 이어 마이크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원격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기의 원격제어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각각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이 직렬접속된 소정의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단자(Vcc)와, 원격제어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Data)와, 원격제어수단의 동작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주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단자(Clock)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의 선택을 감지(sensing)하기 위한 감지단자(SNS)와,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GN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4.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미디어 재생 및 통화 연결을 위한 단말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제어 장치의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재생 및 통화 연결과 관련된 스위치 선택을 입력받는 스위치 선택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선택에 따라 변화되는 ADC전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스위치 선택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는 신호 처리단계와;
    상기 스위치 선택에 따른 신호 처리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액정 표시부로 표시하는 처리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20036940A 2002-06-28 2002-06-28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40001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940A KR20040001651A (ko) 2002-06-28 2002-06-28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940A KR20040001651A (ko) 2002-06-28 2002-06-28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51A true KR20040001651A (ko) 2004-01-07

Family

ID=3731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940A KR20040001651A (ko) 2002-06-28 2002-06-28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7254B2 (en) 2004-05-12 2008-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7254B2 (en) 2004-05-12 2008-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677B2 (ja) タッチパッド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8862553B2 (en) Telephone stations with independent backup/restore feature
EP1829339B1 (en) In-car user interface for mobile phones
KR20090073256A (ko)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용 도킹 스테이션
KR20040087422A (ko) 기능 조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기능 조작의 가이드 방법
RU2366113C2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клавиш
JP4685942B2 (ja) 携帯電話のハンズフリー付属品
JP4990582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40001651A (ko)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265749B2 (ja) 液晶リモコン付き電子装置
KR20030030616A (ko) 다이얼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KR100690709B1 (ko) 휴대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8270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KR100226473B1 (ko) 전화기의 메모리장치
KR200233075Y1 (ko) 휴대폰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
JP3067335B2 (ja) 電子機器
KR1003696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KR100354985B1 (ko) 라인 파워를 이용한 다기능 전화기를 내장한 키보드 장치
KR200292416Y1 (ko) 이동단말기용 외장 콘트롤러
JP2002247177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キー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KR20050115156A (ko) 터치 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7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모드 전환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03501A (ko) 이동단말기용 외장 콘트롤러
JP2000341393A (ja) 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