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706A -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706A
KR20040000706A KR1020020035623A KR20020035623A KR20040000706A KR 20040000706 A KR20040000706 A KR 20040000706A KR 1020020035623 A KR1020020035623 A KR 1020020035623A KR 20020035623 A KR20020035623 A KR 20020035623A KR 20040000706 A KR20040000706 A KR 2004000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jection
call
message
call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2927B1 (ko
Inventor
양수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인포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인포메이션 filed Critical (주)에이치인포메이션
Priority to KR10-2002-003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9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발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거부시 송출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통화거부가 이루어져 통화 불능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ON CALLING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회의 등과 같은 통화거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발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 등 휴대용 단말기들은 어느 장소에서나 긴급한 연락을 취할 수 있어 그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유선전화와는 달라서 수신자의 수신위치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수신자의 대화 가능상태가 유선전화와 같이 일정하지 않다. 즉 사무실과 같이 안락한 상황에서 길게 대화를 해도 좋을 상황이 있는가 하면 회의와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호가 착신되어 전화벨이 울리게 되는 경우 주위에 불편함을 주거나 동시에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등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꺼놓게 되는 경우 발신자는 휴대폰의 전원이 꺼져있다는 단순한 메시지만을 전송받거나 그대로 신호가 울려 수신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면 모든 발신자에게 통화를 할 수 없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기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저장된 발신자 번호에 대해 제 1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로 이루어진 통화요청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기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저장된 발신자 번호에 대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기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정부 20 :키신호 입력부
30 : 제어부 40 : 표시부
50 : 음성신호 입력부 60 : 음성신호 처리부
70 : 표시부 80 : 송수신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통화거부시 송출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통화거부가 이루어져 통화 불능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발신자 번호와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더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설정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발신자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통화거부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신자에게 송출되는 메시지는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추출되는 발신자 번호 중 제 1 통화거부모드 해제시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도록 하는 한편,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한편, 발신자에게 수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일반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릍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부에 저장시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저장 안내 메시지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 1 통화거부모드 키신호에 응하여 해제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종료된 경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통화거부시 송출되는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저장과정; 및 사용자에 의해 통화거부가 이루어져 통화 불능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메시지전송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때 상기 저장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복수의 발신자 번호와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는 대해서 통화거부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메시지전송과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설정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발신자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통화거부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통화거부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상기 통화거부과정은, 상기 통화거부 메시지가 출력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 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통화요청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통화거부과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추출되는 발신자 번호 중 제 1 통화거부모드 해제시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도록 하는 한편,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한편, 발신자에게 수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일반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릍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부에 저장시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저장 안내 메시지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제 키신호에 응하여 해제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종료된 경우 해제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기 이전에 이하에서 설명되는 용어 중 제 2 통화거부모드와 제 1 통화거부모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제 2 통화거부모드는 사용자(수신자)가 모든 발신자에 대해 동일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화거부 메시지로 전송하는 모드이고, 제 1 통화거부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발신자에게 별도의 메시지 예를 들면 '약 30분 후에는 통화가 가능합니다. 그 시간에 연락을 다시 주세요. 아니면 메시지를 남겨주세요' 와 같이 발신자를 배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모드이며,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미리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발신자 번호가 아닌 경우 제 2 통화거부모드에서 송출되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가 발신자에게 송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된 경우 모든 발신자에게 전송되는 수신불능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고, 복수의 발신자 번호와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는 통화거부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와, 사용자에 의도에 따라 키넘버 신호, 통화거부신호, 수신불능 신호 등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신호 입력부(20)와, 마이크로서,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 도는 수신불능 알림 메시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음성신호 입력부(30)와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후술하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0)에 저장시키는 음성신호 처리부(40)와, 발신자 번호 및 각종 메시지 등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50)와 착신신호를 수신하고,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에서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읽혀지는 통화거부 알림 메시지 또는 수신불능 알림 메시지 등을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송수신부(60)와,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설정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발신자 번호가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통화거부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신불능 메시지 또는 통화거부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통화거부 메시지가 출력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저장부(10)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발신자 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통화요청 메시지를표시부(50)의 화면상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추출되는 발신자 번호 중 제 1 통화거부모드 해제시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0)에 등록되도록 하는 한편,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10)에 저장시키는 한편, 발신자에게 수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일반통화모드로 전환시킨다.
또한 제어부(70)는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릍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부(10)에 저장시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부(10)에 저장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저장 안내 메시지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제 키신호에 응하여 해제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종료된 경우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입력 메뉴항목을 이용하여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에서 발신자에게 송출되는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 알림 메시지(이하, '알림 메시지'라 약칭함)를 입력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음성신호 또는 문자신호 모두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발신자에게 자신의 목소리로 이루어진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마이크인 음성신호 입력부(30)를 통해 음성메시지를 입력하면, 음성신호 처리부(4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부(10)에 저장된다. 한편, 문자신호는 상기 키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제 1 통화거부모드일 경우 발신자에 대해 선택적으로 알림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와 알림 메시지를 매칭시켜 저장시켜 두면, 제어부(70)는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매칭되어 저장된 알림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 및 제 2 통화거부모드에 대해 첨부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제어부(70)는 사용자가 키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선택하여 입력되는 모드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S100).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제 1 통화거부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0). 판단 결과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된 경우제어부(70)는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제 1 통화거부모드로 전환시킨다(S120).
그리고, 제어부(70)는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130). 체크 결과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착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발신자 번호를 인식한다(S140).
제어부(70)는 상기 S140 과정을 통해 인식된 발신자 번호가 상기 저장부(1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발신자 번호인지를 체크한다(S150). 체크 결과 미리 등록된 발신자 번호인 경우 제어부(70)는 상기 발신자 번호를 표시부(50)의 화면상에 표시한 후, 저장부(10)에 상기 발신자 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알림 메시지, 예를 들면 'XXX씨 안녕하세요. 제가 지금 운전중입니다. 약 30분 후 연락드리겠습니다''안녕하세요 제가 지금 중요한 회의중이라 전화를 받을 수 없네요. 끝나면 곧 연락드리겠습니다.' 와 같은 좀더 구체적인 알림 메시지를 독출하여 송수신부(60)를 통해 발신자에게 음성메시지로 송출한다(S160). 한편 상기 S160 과정에서 제어부(70)는 상기 음성 메시지 대신에 '회의중', '운전중', '해외 출장중', '운동중' 등의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부(60)를 통해 발신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가 발신자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발신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상기 발신자 번호를 저장부(10)에 저장(S170)시킨 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80). 판단 결과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0)는 상기 S130 과정부터 반복수행하고,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된 경우 제어부(70)는 현재의 모드를 일반통화모드로 전환한 후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발신자 번호를 표시부(50)의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표시부(50)의 화면상에 통화요청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수신 받을 수 없었던 착신신호에 대해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S190).
한편 제어부(70)는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메뉴 항목에 따라 자동으로 발신자 번호를 송출시켜 통화라인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초기 조건 설정시 사용자로 하여금 자동 통화라인을 연결할 발신자 번호 및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부(10)에 등록시켜 두어야 한다.
한편, 상기 S110 과정의 판단 결과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0)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0). 판단 결과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70)는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제 2 통화거부모드로 전환시킨다(S210).
그리고, 제어부(70)는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220). 체크 결과 착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70)는 착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발신자 번호를 인식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S230).
그리고, 제어부(70)는 미리 설정된 예를 들면 '저는 지금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제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연락드리겠습니다' 등과 같은 알림 메시지인 음성 메시지를 송수신부(60)를 통해 발신자에게 전송하고(S240), 저장부(10)에 상기 발신자 번호를 저장한다(S250).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음성 메시지 대신에 '회의중', '운전중', '해외 출장중', '운동중' 등의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부(60)를 통해 발신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가 발신자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발신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60). 판단 결과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0)는 상기 S210 과정부터 반복수행하고,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된 경우 제어부(70)는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모드를 일반통화모드로 전환시킨다(S270).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70)는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릍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부(10)에 저장시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부(10)에 저장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저장 안내 메시지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를 해제하는데 있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제 키신호에 응하여 해제시키거나, 또는 모드 선택시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종료된 경우 자동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면 모든 발신자에게 통화를 할 수 없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등록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여 발신자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저장된 발신자 번호에 대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통화요청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잃어버리지 않고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저장된 발신자 번호에 대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신자에게 발송한 메시지에 따라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17)

  1. 통화거부시 송출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통화거부가 이루어져 통화 불능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발신자 번호와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더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설정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발신자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통화거부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신자에게 송출되는 메시지는 음성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거부 메시지가 출력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 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통화요청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추출되는 발신자 번호 중 제 1 통화거부모드 해제시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도록 하는 한편,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릍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시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의 메시지 저장 안내 메시지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제 키신호에 응하여 해제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종료된 경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10. 통화거부시 송출되는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저장과정; 및
    사용자에 의해 통화거부가 이루어져 통화 불능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메시지전송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복수의 발신자 번호와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는 대해서 통화거부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메시지전송과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가 설정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발신자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통화거부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통화거부 메시지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과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2 통화거부모드가 선택되고,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거부 메시지출력과정은,
    상기 통화거부 메시지가 출력된 발신자 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 번호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통화요청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거부 메시지출력과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통화거부모드에서 추출되는 발신자 번호 중 제 1 통화거부모드 해제시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발신자 번호를 미리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도록 하는 한편, 통화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릍 통해 발신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저장부에 저장시켜,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가 해제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자의 메시지 저장 안내 메시지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17.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화거부모드 또는 제 2 통화거부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제 키신호에 응하여 해제되거나,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종료된 경우 해제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방법.
KR10-2002-0035623A 2002-06-25 2002-06-25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48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23A KR100482927B1 (ko) 2002-06-25 2002-06-25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23A KR100482927B1 (ko) 2002-06-25 2002-06-25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163U Division KR200289651Y1 (ko) 2001-10-17 2002-06-25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706A true KR20040000706A (ko) 2004-01-07
KR100482927B1 KR100482927B1 (ko) 2005-04-14

Family

ID=3731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623A KR100482927B1 (ko) 2002-06-25 2002-06-25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9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89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알림방법
KR100752849B1 (ko) * 2004-01-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재 모드 설정 방법
KR100762222B1 (ko) * 2006-01-10 2007-10-05 박정일 부재신호 자동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101280584B1 (ko) * 2010-10-22 2013-07-02 이너비트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상황에 따른 전화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456A (ja) * 1995-12-14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00066072A (ko) * 1999-04-13 2000-11-15 윤종용 자동응답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자동응답방법
KR100345535B1 (ko) * 1999-07-24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20010087677A (ko) * 2000-03-08 2001-09-21 전기수 휴대폰의 자동응답 처리방법
JP2002094652A (ja) * 2000-09-12 2002-03-29 Kenwood Corp 携帯電話機
KR20010079454A (ko) * 2001-07-20 2001-08-22 이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재중 메시지 전달방법
KR20030060670A (ko) * 2002-01-10 2003-07-16 남호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방법
KR20030093038A (ko) * 2002-06-01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89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알림방법
KR100752849B1 (ko) * 2004-01-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재 모드 설정 방법
KR100762222B1 (ko) * 2006-01-10 2007-10-05 박정일 부재신호 자동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101280584B1 (ko) * 2010-10-22 2013-07-02 이너비트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상황에 따른 전화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2927B1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2586B1 (en) Text messaging with embedded telephony action keys
US6377795B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597766B1 (en) Telephone apparatus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US20050037785A1 (en) Method of handling a received telephone call
KR100650452B1 (ko)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752849B1 (ko) 부재 모드 설정 방법
JP2008258999A (ja) メール応答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50077989A (ko) 운전모드에서 휴대폰 특정기능 실행 방법
JP2001230856A (ja) 発信者確認応答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JP2005197915A (ja) 通話機器および通話機器の呼出方法
KR100698292B1 (ko) 휴대폰 통화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70048157A (ko)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단말기 및 시스템
KR100620582B1 (ko) 이동 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20040088098A (ko) 발신중 통화연결 성공음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