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463Y1 -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463Y1
KR200399463Y1 KR20-2005-0023432U KR20050023432U KR200399463Y1 KR 200399463 Y1 KR200399463 Y1 KR 200399463Y1 KR 20050023432 U KR20050023432 U KR 20050023432U KR 200399463 Y1 KR200399463 Y1 KR 200399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ot air
chamber
injection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열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주)대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23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8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using one or more blowing devices, e.g. nozzle bar, the effective area of which is adjustable to the width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단 이송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건조열풍 분사챔버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단을 동시에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원단 건조장치(5)는 흡기관(12)을 통해 열풍 보일러(13)에 외기를 불어 넣는 흡기 송풍기(11), 상기 흡기관(12)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는 열풍 보일러(13), 및 상기 열풍 보일러(13)에서 급기관(15)을 통해 공급된 열풍을 분사노즐(52)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코팅 원단(10)에 분사한 후 배기관(19)을 통해 외부로 배기하는 분사챔버(17)를 포함하고 있는 코팅제가 도포된 원단(10)을 건조하는 원단 코팅기(1)의 원단 건조장치(5)에 있어서, 상기 분사챔버(17)는 상기 원단 코팅기(1)의 프레임체(2) 위에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단(10)을 동시에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원단 건조장치에 의하면, 분사챔버(17)를 복수개로 하고, 열풍을 분사챔버(17) 내부로 압송하며, 분사챔버(17) 내부의 분사노즐(52)을 좌우로 길게 배열함으로써 원단(10)에 분사되는 열풍의 분사압을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여 원단(10)의 코팅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textile drying device provided with an injection chamber for a textile coating machine}
본 고안은 원단 코팅기의 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이송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건조열풍 분사챔버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단을 동시에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 코팅기는 각종 원단의 표면에 다양한 기능성 코팅막을 도포함으로써 한 종류의 원단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 내오성, 방수성, 발수성 등 원단 자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원단 코팅기 중의 하나로 도 1에 101로 도시된 원단 코팅기가 있다. 이 코팅기(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코팅장치(110)와 건조장치(140)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코팅장치(110)는 다시 직조 및 제조된 원단(190)이 감겨져 있는 배치롤러(111), 원단(190)을 가열하는 히팅롤러(112), 이 히팅롤러(112)에 의해 주름이 펴진 원단(190)에 코팅제(160)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다이렉트 나이프(170), 그리고 접착제(150)를 도포하는 라미네이션 나이프(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장치(140)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풍기(141), 컨베이어(145)를 통해 일측으로 이송되는 원단(190)에 열풍기(141)에서 발생된 열풍을 가하여 원단(190)에 도포된 접착제(150)가 신속히 굳도록 하는 열풍노즐(142), 및 원단(190)에 가해진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1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단 코팅기(10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원단(190)에 코팅을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포장치(110)의 배치롤러(111)에 감겨 있는 원단(190)이 히팅롤러(112)를 통과하면서 가열 압착되어 주름이 펴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다이렉트 나이프(170)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코팅제(160)가 도포된다. 그 다음, 라미네이션 나이프(180)에 의해 코팅제(160) 위에 다시 접착제(150)가 도포된다.
이와 같이 코팅제(160)와 접착제(150)가 차례로 도포된 원단(190)은 컨베이어(145)에 의해 건조장치(140) 내부로 이송되어 열풍기(141)에서 발생되어 열풍노즐(142)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150)와 코팅제(160)를 신속히 굳히게 된다. 접착제(150)와 코팅제(160)가 도포되어 건조된 원단(190)은 이후 압착과정과 냉각과정을 거쳐 건조장치(140)에 의해 재차 건조된 다음 다시 냉각과정을 거친 뒤 보관롤러에 감겨 보관되면서 일련의 코팅과정을 마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원단 코팅기(110)는 원단 건조장치(140)가 열풍기(141)에서 발생된 열풍을 분사노즐(142)을 통해 원단(190) 위에 분사하여 코팅제(160)가 도포된 원단(190)을 건조하도록 되어 있는바, 분사노즐(142)이 하나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사관(147)에 의해 열풍기(14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풍기(141)에서 멀리 떨어진 분사노즐(142) 열풍 분사압이 가까이에 있는 분사노즐(142)의 열풍 분사압보다 낮아지는 등 열풍기(141)와 분사노즐(142) 사이의 거리차에 따라 도포된 코팅제의 건조 상태가 달라진다. 즉, 열풍기(141)에 가까운 쪽 분사노즐(142)에 의해서 건조가 과도하게 되거나 반대로 열풍기(141)에서 먼 쪽 분사노즐(142)에 의해서 건조가 미흡하게 되는 등 종래의 원단 건조장치(140)에 의하면 코팅제의 건조품질에 전체적으로 불균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원단 코팅기의 원단 건조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조장치의 원단 건조구간을 복수개의 분사챔버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사챔버 마다 송풍기와 같은 별도의 열풍 압송수단과 열풍 토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분사노즐에서 원단에 가해지는 열풍의 분사압을 분사노즐의 위치에 상관 없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열풍에 의한 원단의 코팅제 건조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원단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흡기관을 통해 열풍 보일러에 외기를 불어 넣는 흡기 송풍기, 흡기관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는 열풍 보일러, 및 열풍 보일러에서 급기관을 통해 공급된 열풍을 분사노즐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코팅 원단에 분사한 후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기하는 분사챔버를 포함하고 있는 코팅제가 도포된 원단을 건조하는 원단 코팅기의 원단 건조장치에 있어서, 분사챔버는 원단 코팅기의 프레임체 위에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원단을 동시에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단 건조장치(5)가 적용된 원단 코팅기(1)는 전체적으로 몸체를 이루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된 프레임체(2), 이 프레임체(2) 일측에 설치된 원단 코팅장치(3), 프레임체(2) 상부에 설치된 원단 건조장치(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레임체(2) 아래쪽에는 원단(10)을 공급하는 롤(6)과 코팅이 완료된 원단(10)을 감아 모으는 수납롤(8)이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원단 건조장치(5)는 다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흡기 송풍기(11), 흡기관(12), 열풍 보일러(13), 급기관(15), 분사챔버(17), 배기관(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에서 흡기 송풍기(11)는 흡기관(12)을 통해 열풍 보일러(13)와 연결되어 열풍 보일러(13)에 외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풍 보일러(13)는 흡기관(12)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열풍은 급기관(15)을 거쳐 각각의 급기튜브(41)를 통해 분사챔버(17)로 공급되는데, 이때 분사챔버(17)로 유입되는 열풍은 급기튜브(41) 도중에 설치된 급기 송풍기(42)에 의해 가압되어 분사노즐(52)에서 가압 분사되어 분사챔버(17) 내부를 통과하는 원단(10) 위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건조에 사용된 열풍은 분사챔버(17)의 일측에 연결된 배기튜브(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분사챔버(17)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가 구비되어 원단 코팅기(1) 프레임체(2) 위에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바, 이러한 배열에 의해 복수의 분사챔버(17)를 연속해서 통과하는 원단(10)을 동시에 가열하여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분사챔버(17)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분사공간을 확보하도록 상하부챔버(54,55)로 구성되며, 내부에서 원단(10)을 이송시키도록 하부챔버(55)에는 횡으로 복수개의 이송롤러(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챔버(54)에는 하단 측벽에 내부 투시를 가능하게 해주는 유리창(75)이 장착되어 있고, 열풍 유입측에 노즐블록(73)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노즐블록(73)에는 원단(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사노즐(5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하부챔버(54,55)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59)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힌지(59) 대향측에 상부챔버(54)를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 실린더(57)가 장착되어 있다. 아울러, 하부챔버(55)와 상부챔버(54)가 맞닿는 상하단 모서리면에는 분사챔버(17)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패킹(77)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급기튜브(41)를 통해 급기관(15)과 연결되어 있는 상부 몸체(54)는 급기튜브(41)와의 사이에 필터챔버(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필터챔버(71) 내부에 장착된 여과필터(51)에 의해 급기튜브(41)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의 불순물을 걸러내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5)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원단 건조장치(5)가 적용된 원단 코팅기(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원단 공급롤(6)에서 원단 코팅장치(3)로 이송된 원단(10)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나서, 원단 건조장치(5)의 분사챔버(17)를 통과하는 동안 원단(10)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시킨 뒤, 건조된 원단(10)을 수납롤(8)에 감아 보관함으로써 일련의 원단 코팅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원단 건조과정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원단 건조장치(5)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먼저, 흡기 송풍기(11)에 의해 흡기관(12)을 거쳐 열풍 보일러(13)로 유입된 외기는 이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열풍은 급기관(15)과 각각의 급기튜브(41)를 통해 분사챔버(17)로 공급되는데, 이때 급기 송풍기(42)에 의해 고압으로 가압되어 여과필터(51)를 거치면서 미세먼지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다. 불순물이 제거된 열풍은 여전히 가압된 상태로 노즐블록(73)에 개구된 복수의 분사노즐(52)을 통해 이송롤러(53)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원단(10) 위에 분사되어 원단(10) 위에 도포된 코팅제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노즐블록(73)이 원단(1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노즐블록(73)으로 유입되는 열풍이 급기 송풍기(42)에 의해 가압되므로 열풍은 분사노즐(52)에 의해 원단(10) 코팅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아울러, 상,하부챔버(54,55)는 힌지(59) 대향측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7) 등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필터(51) 등 분사챔버(17) 내부가 지저분해진 경우 상부챔버(54)를 들어올리고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에 의하면, 열풍에 의한 원단 코팅면의 건조가 일렬로 길게 배열된 복수개의 분사챔버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질 뿐 아니라, 각각의 분사챔버 내에서도 원단 이송방향으로 일렬로 길게 배열된 복수의 분사노즐에 의해 일정한 분사압으로 열풍이 분사되므로 원단의 코팅면 건조상태를 위치에 관계 없이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단의 코팅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분사챔버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챔버 내부 청소 등 분사챔버의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원단 코팅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장치의 분사챔버가 적용된 원단 코팅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장치가 적용된 원단 코팅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분사챔버의 상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로 폐쇄된 상태의 분사챔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로 개방된 상태의 분사챔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원단 코팅기 2 : 프레임체
3 : 원단 코팅장치 5 : 원단 건조장치
6 : 원단 공급롤 8 : 원단 수납롤
10 : 원단 11 : 흡기 송풍기
12 : 흡기관 13 : 열풍 보일러
15 : 급기관 17 : 분사챔버
19 : 배기관 41 : 급기튜브
42 : 급기 송풍기 51 : 여과필터
52 : 분사노즐 53 : 이송롤러
54 : 상부챔버 55 : 하부챔버

Claims (3)

  1. 흡기관(12)을 통해 열풍 보일러(13)에 외기를 불어 넣는 흡기 송풍기(11), 상기 흡기관(12)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는 열풍 보일러(13), 및 상기 열풍 보일러(13)에서 급기관(15)을 통해 공급된 열풍을 분사노즐(52)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코팅 원단(10)에 분사한 후 배기관(19)을 통해 외부로 배기하는 분사챔버(17)를 포함하고 있는 코팅제가 도포된 원단(10)을 건조하는 원단 코팅기(1)의 원단 건조장치(5)에 있어서,
    상기 분사챔버(17)는 상기 원단 코팅기(1)의 프레임체(2) 위에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단(10)을 동시에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챔버(17)는 복수의 원단(10) 이송롤러(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챔버(54)와, 상기 하부챔버(55)에 실린더(57)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힌지(59) 연결된 상부챔버(5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챔버(17)는 상기 급기관(15)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여과하기 위해 상기 급기관(15)과의 사이에 형성된 필터챔버(71)에 여과필터(5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KR20-2005-0023432U 2005-08-12 2005-08-12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KR200399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32U KR200399463Y1 (ko) 2005-08-12 2005-08-12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32U KR200399463Y1 (ko) 2005-08-12 2005-08-12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463Y1 true KR200399463Y1 (ko) 2005-10-24

Family

ID=4370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32U KR200399463Y1 (ko) 2005-08-12 2005-08-12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4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31B1 (ko) * 2005-08-17 2007-06-04 (주)대창엔지니어링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원단 코팅기
KR101161176B1 (ko) 2012-02-23 2012-07-02 박해덕 섬유원단 건조기
KR102174610B1 (ko) * 2020-03-31 2020-11-05 주식회사 세진그라코 필름 인쇄장치
KR102652989B1 (ko) * 2024-01-23 2024-03-29 김현석 요실금 팬티 발수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31B1 (ko) * 2005-08-17 2007-06-04 (주)대창엔지니어링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원단 코팅기
KR101161176B1 (ko) 2012-02-23 2012-07-02 박해덕 섬유원단 건조기
KR102174610B1 (ko) * 2020-03-31 2020-11-05 주식회사 세진그라코 필름 인쇄장치
KR102652989B1 (ko) * 2024-01-23 2024-03-29 김현석 요실금 팬티 발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463Y1 (ko) 원단 코팅기의 분사챔버를 구비한 원단 건조장치
KR2018003745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76800B1 (ko) 디지탈프린팅 원단 코팅장치
JP2008121145A (ja) 衣類の乾燥仕上げ装置、並びに衣類の付着物除去方法及び付着物除去装置
KR100355339B1 (ko) 고속유체를사용한저온급속탈수건조장치
KR20140073767A (ko) 세정 시스템
US10782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abric
JP2009165968A (ja) ベルト状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0929823B1 (ko) 아연 도금 강판 제조방법 및 아연 분말 제거장치
US3593353A (en) Washing of a contaminated guideroll and prevention therefrom in cloth treatments
CN206551698U (zh) 一种印花辊筒的清洗装置
US6510788B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coating powder
KR20050092348A (ko)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원단 코팅기
KR101201536B1 (ko) 코팅필름 건조기용 노즐장치
KR20110030966A (ko) 신축성 직물 텐터 공정용 변부 말림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459929Y1 (ko) 피그먼트 코팅장치
KR102140833B1 (ko) 원단 전처리용 릴렉서 정련장치
US11559980B2 (en) Dryer
US6484418B1 (en) Yankee drying hood and method comprising angled impingement nozzles
JP4657498B2 (ja) 熱風又は温風によるフィルム処理装置
JPH08134766A (ja) 織布処理装置と処理方法
KR100860146B1 (ko) 노즐
JP3827370B2 (ja) ガラス板の洗滌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89228B1 (ko) 날염 공정용 건조증열장치
CN216432395U (zh) 一种纺织用物理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