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60Y1 -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 Google Patents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60Y1
KR200399360Y1 KR20-2005-0021927U KR20050021927U KR200399360Y1 KR 200399360 Y1 KR200399360 Y1 KR 200399360Y1 KR 20050021927 U KR20050021927 U KR 20050021927U KR 200399360 Y1 KR200399360 Y1 KR 200399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ratio
chop
electric shock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홍준
Original Assignee
송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홍준 filed Critical 송홍준
Priority to KR20-2005-0021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72Cover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5Composi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명칭]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구성]
양 측면에는 손이나 납작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11)이 형성되고, 사방의 모서리에는 지중 저압 접속함(30)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볼트(13)가 삽입되는 구멍(12)이 형성되며, 안쪽 면에는 하기의 중량충진물(20)이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의 구멍(15)이 수평으로 관통된 돌출단(14)이 최소 2개소 이상 일체로 형성된 팬(fan) 형태의 절연성 프레임(10)과;
상기 절연성 프레임(10)의 내부에 충진 된 채 일체로 경화·고정되며 그 상면으로는 논슬립 돌기부(21)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된 중량충진물(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코자 하는 과제]
금속으로 된 지중 저압 접속함의 뚜껑은 우기(雨期) 시 보행자가 감전이 되는 문제를 안고 있음에 이를 해결코자 함.
[산업상 이용 분야]
지중 저압 접속함

Description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Electric accident protection cover}
본 고안은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도로 경계석(50)을 기준하여 인도와 도로(5)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30)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지중 저압 접속함의 뚜껑은 주물품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우기(雨期) 시 보행자가 상기 뚜껑을 밟거나 뚜껑과 가까운 곳에 위치할 경우 지중 저압 접속함(30) 내부의 전기 케이블(60)로부터 발생된 누설 전류가 상기 금속제 뚜껑의 전체 면적에 걸쳐 최단거리로 인체에 직접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예가 종종 야기되었고 심한 경우 목숨을 잃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즉, 전기 케이블(60)로부터 발생된 누설전류가 상기 금속제 뚜껑의 전체 면적에 걸쳐 수직 상방으로 최단거리로 인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뚜껑을 밟거나 뚜껑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면 감전이 되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중량이 무거운 차량이 잦은 충격을 가하게 되는 이유로 인하여 상기 금속제 뚜껑과 지중 저압 접속함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방수 패킹에 균열이 생기거나 파손이 되어 빗물이 지중 저압 접속함(30) 안으로 유입되고 고이게 되어 누설전류의 작용은 더욱 심각해져서 감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커지는 폐단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지중 저압 접속함용 금속제 뚜껑의 감전사고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로서, 양 측면에는 손이나 납작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11)이 형성되고, 사방의 모서리에는 지중 저압 접속함(30)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볼트(13)가 삽입되는 구멍(12)이 형성되며, 안쪽 면에는 하기의 중량충진물(20)이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의 구멍(15)이 수평으로 관통된 돌출단(14)이 최소 2개소 이상 일체로 형성된 팬(fan) 형태의 절연성 프레임(10)과; 상기 절연성 프레임(10)의 내부에 충진 된 채 일체로 경화·고정되며 그 상면으로는 논 슬립 돌기부(21)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된 중량충진물(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성 프레임(10)은,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중량충진물(20)은, 석분과 폴리에스텔이 5:5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거나,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거나, 석분과 아스팔트 몰탈이 5:5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로서, 사각형을 띠는 절연성 몸체(100)의 양 측면에는 손이나 납작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101)이 형성되고, 사방의 모서리에는 지중 저압 접속함(30)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10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논슬립 돌기부(103)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임의 형태의 보강살(1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용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성 몸체(100)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불포화폴리에스텔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의 주 요부인 절연성 프레임(10)의 구성과 그 제조공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이거나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이거나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 또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감전사고를 거의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하 요철식 결합형인 한 벌의 핫(hot) 프레스 금형을 통해 제작이 되는데, 먼저 하부 금형 위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식 절연 소재(6겹 내지 12겹 정도)를 올려놓은 다음, 상부 금형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 금형에는 상기 돌출단(14)이 형성될 수 있도록 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어서 상부 금형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소재가 130℃ 내지 150℃의 열을 받으면서 상하부 금형 사이에서 압력을 받은 채 팬(fan) 형태로 성형이 되고 이때 상부 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홈 안으로 상기 소재가 밀려들어 가면서 돌출단(14)이 형성이 된다. 한편, 위와 같은 공정에서 하부 금형의 안쪽이면서 상부 금형의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시켜서 상기 돌출단(14)이 보다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연성 시트 성형 기술은 본 고안자의 선 등록된 특허 및 실용신안에 명시되어 있는 기술과 유사하고 또한 당해 분야의 업자라면 큰 어려움 없이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의 가공 기술이라 할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상하 금형에 의해 다수 적층된 상기 소재는 압착·열 경화 공정을 거쳐 도면과 같은 절연성 프레임(10)이 완성 되는데, 성형 전의 소재 적층 두께 대비 성형 후의 소재 완성 두께는 1/2 이하가 되고, 상기 소재는 압착 및 결합이 되어 일체형을 이루게 되며 탄성과 강도가 양호한 절연성 프레임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 금형작업을 할 때 절연성 프레임(10)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구멍(12)과 양 측면에 형성된 홈(11)도 동시 성형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차 성형 후 드릴링 작업과 밀링 작업을 통해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절연 프레임(10)의 높이는 종래의 금속제 뚜껑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제작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성형된 절연성 프레임(10) 안의 돌출단(14)에는 소형 드릴링 머신을 사용하여 수평으로 다수의 구멍(15)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킨다.
다음, 절연성 프레임(10)의 공간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중량충진물(20)을 넣고 2차 가공을 하게 되는데, 상기 중량충진물(20)의 가공 전 상태는 겔 상태가 된다. 이를 적량 투입시킨 후 저면에는 상기 논슬립 돌기부(21)를 형성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상부 금형을 상기 중량충진물(20) 위에 올려놓고 전체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절연성 프레임(10) 안에 투입된 겔 형태의 중량충진물(20)은 또 다른 상부 금형의 중량과 진동파에 의해 골고루 퍼지면서 돌출단(1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5) 안으로도 충진이 되면서 결국 도2와 같이 상면에 논슬립 돌기부(21)가 형성된 중량충진물(20)이 1차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절연성 프레임(10)과 중량충진물(20)을 누르고 있는 또 다른 상부 금형 모두를 열 경화실로 이동시키고 120℃ 내외의 열을 가하면서 약 30분 정도 경화를 시킨 후 상기의 또 다른 상부 금형을 중량충진물(20)로부터 분리시키면 도면과 같은 본 고안이 완성이 된다.
한편, 중량충진물(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석분과 폴리에스텔이 5:5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거나 석분과 아스팔트 몰탈이 5:5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중량충진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일단 절연성 프레임(10) 내부에 이들을 충진 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1차 성형을 한 후 2차로 양생(건조 및 경화)하는데 24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생산에 따르는 문제는 없다.
중량충진물(20)은 절연성 프레임(10)을 보강하는 가능과 함께 차량의 하중이 가해져도 절연성 프레임(1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안정감이 있도록 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를 살핀다.
이는 도3과 도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본 실시예에서 중량충진물(20)이 생략된 구조적 특징이 있다. 즉, 상술한 본 고안의 소재를 사용하여 기본 실시예와 유사한 상하 금형을 이용·핫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부 금형의 저면에는 논슬립 돌기부(103)를 형성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금형의 안쪽에는 보강살(104)을 형성시키기 위한 돌출부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측의 홈(101)은 상하 금형에서 성형시킬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 가공을 통해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응용 실시예는 기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중량충진물(20)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그 두께를 30mm 내지 50mm 정도로 두껍게 하여 제작한다(바람직하게는 금속제 뚜껑과 비슷한 35mm). 그러므로 상술한 소재는 수 십 겹이 사용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응용 실시예는 기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강도상으로 뒤짐이 없음을 알 수 있었고, 무게는 기본 실시예에 비하여 1/3 정도 가볍고 종래의 금속제 뚜껑에 비해서는 무려 1/10 정도로 가벼워진다는 사실이 확인 되었다.
또한, 절연성 시험에서 기본 실시예는 양호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나 응용 실시예는 매우 양호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므로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와 응용 실시예에 따른 제품 모두는 종래의 금속제 뚜껑을 훌륭하게 대체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지만, 기본 실시예는 중량충진물(20)이 사용되므로 기존의 도로와 시각적 조화를 이루는 차원에서 적합하다 할 수 있고 응용 실시예는 중량이 매우 가벼우면서 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경제적인 타입으로 채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도2와 같이 지중 저압 접속함(30)의 상단부 안쪽 테두리와 연한 단에 얹힌 채 사용되는데, 물론 방수 기능을 가지는 패킹(40)이 동시에 사용됨은 당연한 것이고, 지중 저압 접속함(30)의 네 귀퉁이에 인서트 고정되어 있는 너트(31)는 절연성 프레임(10)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을 관통한 고정 볼트(13)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을 지중 저압 접속함(30)에 도2와 같이 고정시킬 때 작업자는 절연성 프레임(1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1)에 손을 끼우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만일 본 고안품을 지중 저압 접속함(3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고정 볼트(13)를 전부 풀고 납작한 공구를 홈(11)에 끼운 채 아래로 재끼면 본 고안품은 상기 접속함(30)으로부터 간단히 들어 올려져 분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 돌기부(21)(103)의 디자인은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번호찰을 고정시키는 홈이나 시행회사의 마크 등도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므로 도면으로 표현하지는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뚜껑 자체가 절연성을 띠기 때문에 우기 시 본 고안품을 밟거나 본 고안품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더라도 감전이 되지 않음은 물론 전기 케이블(60)로부터 발생된 누설 전류는 종래의 금속제 뚜껑과는 달리 절연성 프레임(10)을 직접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통과(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전사고의 위험이 격감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패킹(40)이 파손되어 우수가 상기 접속함(30) 안에 고인다고 하더라도 누설전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수직 상방으로 직접 관통하지 않고 본 고안의 저면 전체를 따라 흘러 패킹(40) 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국 누설전류의 작용거리가 길어져서 힘이 약해지므로 심각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품의 중량충진물(20)의 표면에는 형광물질이나 야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고, 재귀반사도료를 도포하여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화 정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경우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절연성 프레임(10)이나 응용 실시예는 절연성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사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는 본 고안으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는 상업적인 변형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절연성 프레임(10)은 그 외부 저면에 논슬립 돌기부를 형성시켜서 도2의 상태에서 중량충진물(20)이 전기 케이블(60)을 향하고 절연성 프레임(10)의 저면이 대기 중으로 노출되도록 즉, 도2의 예와 반대의 방향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응용 실시예 역시 도3의 상태[논슬립 돌기부(103)가 상면이 되도록 도시함]에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절연성 프레임과 중량충진물 또는 절연성 몸체만으로 구성된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을 제공함으로서, 종래 금속제로 된 뚜껑을 사용함에 따른 우기 시 감전사고 발생을 소멸시킬 수 있어 우기 시에도 보행자나 운전자가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3은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절연성 프레임 20: 중량충진물
100: 절연성 몸체

Claims (13)

  1. 양 측면에는 손이나 납작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11)이 형성되고, 사방의 모서리에는 지중 저압 접속함(30)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볼트(13)가 삽입되는 구멍(12)이 형성되며, 안쪽 면에는 하기의 중량충진물(20)이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의 구멍(15)이 수평으로 관통된 돌출단(14)이 최소 2개소 이상 일체로 형성된 팬(fan) 형태의 절연성 프레임(10)과;
    상기 절연성 프레임(10)의 내부에 충진 된 채 일체로 경화·고정되며 그 상면으로는 논 슬립 돌기부(21)가 임의의 형태로 형성된 중량충진물(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2. 사각형을 띠는 절연성 몸체(100)의 양 측면에는 손이나 납작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101)이 형성되고, 사방의 모서리에는 지중 저압 접속함(30)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10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논슬립 돌기부(103)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임의 형태의 보강살(1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절연성 프레임(10)은,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절연성 프레임(10)은,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불포화폴리에스텔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절연성 프레임(10)은,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절연성 프레임(10)은,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중량충진물(20)은, 석분과 폴리에스텔이 5:5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중량충진물(20)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중량충진물(20)은, 석분과 아스팔트 몰탈이 5:5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10. 제2항에 있어서, 절연성 몸체(100)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11. 제2항에 있어서, 절연성 몸체(100)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불포화폴리에스텔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12. 제2항에 있어서, 절연성 몸체(100)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에폭시 수지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 사고 방지용 뚜껑.
  13. 제2항에 있어서, 절연성 몸체(100)는, 불포화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직조망과, 화이버 글래스 촙(chop)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5:5 내지 6:4의 비율로 혼합된 젤리 형태의 시트와, 불포화폴리에스텔 : 유리섬유가 6:4의 비율로 혼합된 촙(chop) 시트가 교대로 적층·경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KR20-2005-0021927U 2005-07-25 2005-07-25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KR200399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927U KR200399360Y1 (ko) 2005-07-25 2005-07-25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927U KR200399360Y1 (ko) 2005-07-25 2005-07-25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60Y1 true KR200399360Y1 (ko) 2005-10-25

Family

ID=437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927U KR200399360Y1 (ko) 2005-07-25 2005-07-25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80B1 (ko) * 2008-08-29 2011-04-12 이종현 선박용 맨홀장치
CN108565785A (zh) * 2018-06-05 2018-09-21 中铁十五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直埋电缆敷设方法以及该方法专用的电缆保护套管
CN110005119A (zh) * 2019-02-28 2019-07-12 中国铁路总公司 人行道盖板外框及其组件
KR20210038226A (ko) * 2019-09-30 2021-04-07 김석중 맨홀 충격 방지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80B1 (ko) * 2008-08-29 2011-04-12 이종현 선박용 맨홀장치
CN108565785A (zh) * 2018-06-05 2018-09-21 中铁十五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直埋电缆敷设方法以及该方法专用的电缆保护套管
CN110005119A (zh) * 2019-02-28 2019-07-12 中国铁路总公司 人行道盖板外框及其组件
KR20210038226A (ko) * 2019-09-30 2021-04-07 김석중 맨홀 충격 방지구
KR102250711B1 (ko) * 2019-09-30 2021-05-10 김석중 맨홀 충격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360Y1 (ko)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뚜껑
CN1821522B (zh) 一种复合保温隔热砖或砌块及其制造和砌筑方法
KR102041262B1 (ko)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US4160761A (en) Plastic articles
KR100935413B1 (ko) 축광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CN104894969A (zh) 一种桥面铺块及铺装该铺块的桥梁及该铺块的加工方法
KR101955570B1 (ko)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1048014B1 (ko) 방수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방수방법
KR101746409B1 (ko) 하이브리드 탄성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한 신축이음 및 그 시공방법
KR100745095B1 (ko) 복합재료 맨홀뚜껑, 이의 제작을 위한 금형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맨홀뚜껑 제작방법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200398659Y1 (ko) 지중 저압 접속함의 감전사고 방지용 절연성 보조 캡
KR102149523B1 (ko) 엘이디 발광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CN204781001U (zh) 一种多层耐压自动检查的复合材料井盖
KR10227279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EP2868843B2 (en) Baseboard post guard
KR20120008265A (ko) 격자형 복합블록
KR20024845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CN213774271U (zh) 一种防变形的环氧复合工业地板
KR102667212B1 (ko) 스크랩이 첨가된 합성수지 맨홀뚜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맨홀 낙하 안전장치를 구비한 맨홀뚜껑
KR200336955Y1 (ko)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방수 시트
KR101040684B1 (ko) 건축용 내외장재
KR200288117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CN215564148U (zh) 一种防油耐污染地坪
KR20120092805A (ko) 합성목재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