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59Y1 -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 Google Patents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59Y1
KR200399359Y1 KR20-2005-0021600U KR20050021600U KR200399359Y1 KR 200399359 Y1 KR200399359 Y1 KR 200399359Y1 KR 20050021600 U KR20050021600 U KR 20050021600U KR 200399359 Y1 KR200399359 Y1 KR 200399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hinge device
hing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선
Original Assignee
김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선 filed Critical 김두선
Priority to KR20-2005-0021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화유리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을 갖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상하단에 맞대응되는 문틀 프레임 및 상기 문틀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는 힌지장치로 구성되는 강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가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에, 상기 힌지장치가 안내되도록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홀의 양측단에 힌지장치의 양단이 밀착되도록 밀착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힌지장치의 양단이 상기 밀착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문틀 프레임에 힌지장치를 용접 또는 별도의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나사만으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문틀 프레임을 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의 편의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DOOR FRAME FOR HINGE FIXING OF REINFORCEMENT DOOR}
본 고안은 강화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문틀의 상단부에 결합시킬 때 별도의 브래킷 또는 용접작업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가지는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한 장소의 경계나 건축물의 입구 또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이며, 개폐 방식에 따라 슬라이드식 및 회전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그 중 상기 회전식 도어는, 업무용 건축물의 현관이나 은행 등의 출입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회사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하여 도어의 내측을 볼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강화 유리 도어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화 유리 도어는, 통상적으로 강화 도어라고도 하며, 강화 유리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갖는 도어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하단에 맞대응되게 제공되는 문틀 프레임 및 상기 문틀 프레임에 제공되어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는 힌지장치로 구성되어 강화 도어가 통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가 통행자가 도어를 밀거나 당겼을 때 힌지장치의 힌지를 중심으로 개방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한 강화도어는 설치 작업시 상기 힌지장치가 문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를 결합 및 분리시키고자할 경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외측에 돌출되어 있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강화 도어의 설치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힌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힌지장치는 문틀 프레임에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며, 조절나사의 체결 높이에 따라 시이소편이 동작하여 그 끝단에 결합된 힌지핀을 승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힌지핀의 하강시 도어에 힌지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힌지장치는, 문틀 프레임의 내측에 별도의 브래킷을 용접하여 고정한 다음 그 브래킷을 통해 힌지장치를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별도의 용접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접열에 의해 문틀 프레임의 용접부위가 검게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고, 더불어 강화도어의 설치시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화도어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를 문틀 프레임에 용접작업 또는 별도의 브래킷 없이 나사만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강화 도어의 힌지장치가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에 힌지장치가 안내되도록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홀의 양측단에 밀착편을 형성하여 그 힌지장치의 양단이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문틀 프레임의 금형 제작시 밀착편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주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화유리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을 갖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상하단에 맞대응되는 문틀 프레임 및 상기 문틀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는 힌지장치로 구성되는 강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가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에, 상기 힌지장치가 안내되도록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홀의 양측단에 힌지장치의 양단이 밀착되도록 밀착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힌지장치의 양단이 상기 밀착면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틀 프레임의 밀착편은, 상기 힌지장치의 양단이 소정폭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 자 형상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문틀 프레임의 밀착편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홀에, 커버가 결합되며, 이 커버는 상기 힌지장치를 통과하는 나사를 통해 상기 밀착편과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문틀 프레임은,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측면에 스테인리스판을 추가로 접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어(100), 문틀 프레임(200), 힌지장치(300) 등의 관련된 공지 기술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또는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통행자가 밀거나 당길 경우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상하단에 맞대응되게 제공되는 문틀 프레임(200) 및 상기 문틀 프레임(200)에 제공되어 도어(100)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는 힌지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100)는, 공지된 기술로 통행자가 통행하게 되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어(100)는 상기 문틀 프레임(200)의 사이에 제공되는 강화유리(110)와, 상기 강화유리(110)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1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20)에 제공되어 상기 힌지장치(300)의 힌지핀이 삽입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100)와 문틀 프레임(200)이 맞대응되는 도어(100)측에 패킹부재가 결합되고, 이러한 패킹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100)가 문틀 프레임(200)에 밀착되어 방음, 방풍,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문틀 프레임(200)은, 공지의 기술을 통해 제작되어 상기 도어(100)의 상하단에 맞대응되게 제공되며, 저면의 소정 공간을 통해 상기 힌지장치(3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은 상기 힌지장치(300)가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200)에 상기 힌지장치(300)가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210)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210)의 양측단에 상기 힌지장치(300)의 양단이 밀착 지지가 되도록 밀착편(22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밀착편(220)은 힌지장치(300)의 양단이 소정폭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 자 형상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그 수직면(221)을 통해 상기 힌지장치(300)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수평면(222)을 통해 상기 힌지장치(300)의 양단을 밀착하며, 그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나사홀(240)를 형성한다. 상기 나사홀(240)에 상기 힌지장치(300)을 통과하는 나사(230)가 결합되며, 상기 나사(230)를 통해 상기 힌지장치(300)가 밀착편(220)에 결합되어 지고, 상기 나사(23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접시머리나사를 사용하게 된다.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힌지장치(300)는, 상기 도어(100)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밀착편(220)에 양단이 밀착되는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의 상면에 시이소형상으로 승하강되도록 힌지 고정되는 시이소편(320)과, 상기 시이소편(3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시이소편(320)의 하강시 상기 도어(100)에 삽입 지지가 되는 힌지핀(330) 및 상기 시이소편(320)을 승하강시키는 조절나사(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310)의 상면에는 상기 나사홀(240)과 동일 축선에 관통홀(311)과 제2홀(31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311)과 제2홀(312)을 통해 상기 나사(230)가 나사홀(240)에 결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조립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문틀 프레임(200)의 가이드홀(210)에 힌지장치(300)를 삽입하면 상기 힌지장치(300)의 지지판(310) 양단이 밀착편(220)에 밀착되어 진다. 연속해서 힌지장치(300)의 관통홀(311)에 다수개의 나사(230)를 통과시킨 다음 상기 나사홀(240)에 결합시키면 상기 힌지장치(300)가 밀착편(22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의 내측에 도어(100)를 배치시킨 다음, 상기 힌지장치(300)의 조절나사(340)를 회전시키면 시이소편(320)에 의해 힌지핀(330)이 하강하면서 도어(100)의 힌지 고정부재(130)에 고정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도어(10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힌지장치(300)의 힌지핀(330)을 중심으로 도어(100)가 회전되어 진다.
이와 같은 도어(100)를 장시간 사용에 따라 힌지장치(300)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문틀 프레임(200)에서 힌지장치(300)를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힌지장치(300) 또는 수리된 힌지장치(300)를 상기와 같이 조립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의 밀착편(220)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홀(210)에, 커버(400)가 결합되며, 이 커버(400)는 상기 가이드홀(210)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홀(210)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그의 상면에 상기 나사(230)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1홀(410)과, 상기 힌지핀(330)이 통과하도록 하는 힌지핀 안내홀(420)과, 상기 조절나사(340)가 통과하도록 하는 조절나사 관통홀(4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210)에 상기 커버(400)를 삽입시키면 상기 힌지장치(300)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며, 상기 나사(230)를 커버(400)의 제1홀(410)과 힌지장치(300)의 제2홀(312)을 통과시킨 다음 상기 나사홀(240)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버(400)에 의해 가이드홀(210)이 마감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은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이 적용 가능하며, 그 외측면에 스테인리스판을 추가로 접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강화도어의 힌지장치가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밀착편을 통해 힌지장치를 용접 또는 별도의 브래킷 없이 나사만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더불어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틀 프레임을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측면에 스테인리스판을 추가로 접착하여 제작의 편의성 및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틀 프레임의 가이드홀을 커버를 통해 마감함으로써 안정감을 주고, 시각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도어 110 : 강화유리
120 : 도어 프레임 130 : 힌지 고정부재
200 : 문틀 프레임 210 : 가이드홀
220 : 밀착편 221 : 수직면
222 : 수평면 230 : 나사
240 : 나사홀 300 : 힌지장치
310 : 지지판 311 : 관통홀
312 : 제2홀 320 : 시이소편
330 : 힌지핀 340 : 조절나사
400 : 커버 410 : 제1홀
420 : 힌지핀 안내홀 430 : 조절나사 관통홀

Claims (4)

  1. 강화유리(110)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120)을 갖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상하단에 맞대응되는 문틀 프레임(200) 및 상기 문틀 프레임(200)에 제공되어 상기 도어(100)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는 힌지장치(300)로 구성되는 강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300)가 결합되는 문틀 프레임(200)에, 상기 힌지장치(300)가 안내되도록 가이드홀(210)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홀(210)의 양측단에 힌지장치(300)의 양단이 밀착되도록 밀착편(220)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힌지장치(300)의 양단이 상기 밀착면(220)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의 밀착편(220)은,
    상기 힌지장치(300)의 양단이 소정폭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 자 형상이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의 밀착편(220)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홀(210)에, 커버(400)가 결합되며, 이 커버(400)는 상기 힌지장치(300)를 통과하는 나사(230)를 통해 상기 밀착편(220)과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프레임(200)은,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측면에 스테인리스판을 추가로 접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KR20-2005-0021600U 2005-07-25 2005-07-25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KR200399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00U KR200399359Y1 (ko) 2005-07-25 2005-07-25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00U KR200399359Y1 (ko) 2005-07-25 2005-07-25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246A Division KR100599157B1 (ko) 2005-07-25 2005-07-25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59Y1 true KR200399359Y1 (ko) 2005-10-24

Family

ID=4370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00U KR200399359Y1 (ko) 2005-07-25 2005-07-25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887A3 (fr) Ensemble bloc baie avec volet roulant et bloc d'huisserie
KR101303277B1 (ko)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US9103156B1 (en) Attachable built-in blinds for doors and windows
KR100599157B1 (ko)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0907464B1 (ko) 도어용 경첩
KR200399359Y1 (ko) 강화도어의 힌지 고정용 문틀 프레임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101565961B1 (ko) 창호용 미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0928956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CN205531995U (zh) 一种门中门组件及具有门中门组件的门或窗
KR102636069B1 (ko) 창호
KR102525793B1 (ko) 세이프 도어용 커버 조립식 프레임 구조
KR20090007356U (ko) 강화유리도어용 상부프레임
CN209780725U (zh) 一种平移式纱窗
CN220036499U (zh) 一种窗纱一体化系统门窗
CN210264291U (zh) 一种防盗门安装用调节机构
IE67384B1 (en) Window assembly
KR200462535Y1 (ko) 공기압 조절 장치
JP2006283465A (ja) ドア一体型欄間構造
JP2002061459A (ja) 木製サッシ
JP3833644B2 (ja) 出窓
JP2024055178A (ja) 改装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