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50Y1 -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 Google Patents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50Y1
KR200399350Y1 KR20-2005-0021377U KR20050021377U KR200399350Y1 KR 200399350 Y1 KR200399350 Y1 KR 200399350Y1 KR 20050021377 U KR20050021377 U KR 20050021377U KR 200399350 Y1 KR200399350 Y1 KR 200399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ckfall
net
c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종열
Original Assignee
삼화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공업(주) filed Critical 삼화공업(주)
Priority to KR20-2005-0021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석의 위험지역에 설치하는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이들 방지망을 좌우로 연결할 때 연결작업과 안전성 및 견고성에 이어 경제성을 높이할 수 있도록 좌우연결부로 형성되는 종래 낙석방지망의 절단부를 코일형으로 말아서 연결구멍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하고, 이들 연결구멍을 서로 일치시켜 강선와이어로 손쉽게 망과 망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한 코일형의 연결구멍이 구비된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The connection plunger of the coil elder brother the falling rock prevention watch which is had all}
본 고안은 산이나 언덕 및 경사면(傾斜面)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산사태나 바위 등이 떨어지는 낙석의 위험지역에 덮어 설치하는 낙석방지망(落石防止網)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소망하는 크기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망과 망을 서로 안전하고 간편한 작업으로 견고히 연결할 수 있게 한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망은 아연도철(ZINC)로 소망하는 형태의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데 그 구성을 보면 도1a의 도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1)의 상하연결부(2)(2´)에는 망목엮음부(3)(3´)가 형성되고, 이러한 망목엮음부(3)(3´)에 의해 엮어진 망(1)의 좌우연결부(4)(4´)는 날카로운 느낌을 주는 절단부(5)(5´)가 망의 대소에 관계없이 필히 형성되는 상태로 제작되어 낙석지역에 시공 설치된다.
이와같이 낙석지역에 시공 설치되는 방지망(1)은 도4의 도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낙석지역에 덮어주고 그 상면에 가로와 세로로 배열된 와이어 로프(6)(6´)를 이용하여 교차부분에는 와이어 조합구(7)에 의한 앵커 보울트(7´)를 타설하여 고정하고 망(1)의 여기저기에는 철끈(8)을 이용하여 망(1)을 와이어 로프(6)(6´)에 묶어 고정하였다.
상기의 설명에서 a는 낙석지역을 표시한다.
그런데 이렇게 낙석지역(a)에 덮어 설치되는 방지망(1)의 좌우연결상태를 보면 절단부(5)(5´)가 형성된 좌우연결부(4)(4´)을 서로 일정 폭만큼 겹치게 한 중첩부(9)(도 1a 및 도 1b참고)를 통해 강선 와이어(10)를 끼움하여 좌우의 망(1)을 서로 연결하고, 이 중첩부(9)도 상기와 같이 철끈(8)으로 강선와이어(10)와 같이 묶어서 설치하고 있지만, 낙석하중이 큰 낙석물에는 종종 상기의 연결중첩부(9)가 쉽게 벌어지거나 찢어지면서 도로상으로 낙석물이 떨어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더우기 이와 같은 연결방법은 좌우연결부(4)(4´)가 서로 일정폭만큼 포개지는 중첩부(9)에 의한 망(1)의 손실도 상당하여 경제적으로 시공단가를 높이게 됨은 물론 안전성과 견고성에 따른 연결상태의 확실성을 영구적으로 보장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도5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망(1)으로 철책이나 울타리(11)를 설치할 경우 좌우연결부(4)(4´)를 상하로 위치시키고, 반대로 상하연결부(2)(2´)는 좌우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철책이나 울타리(11)의 상하부로 위치하는 좌우연결부(4)(4´)의 날카로운 절단부(5)(5´)에 의해 철책이나 울타리(11)의 외적인 미감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철책이나 울타리(11)를 설치하는 망(1)으로서의 사용이 적합하지 못한 결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낙석방지망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망과 망을 좌우로 연결함에 있어 절단부를 가지는 좌우연결부가 어느 일정한 폭만 큼 서로 겹치는 중첩부를 형성함이 없이 좌우연결부로 강선와이어를 끼움하여 좌우의 망을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의 절단부로 강선 와이어가 끼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단부를 코일 형상으로 말아서 상기의 강선와이어가 용이하게 끼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을 형성한 코일형의 연결공이 형성되어진 구성의 낙석방지망을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책이나 울타리용으로 사용하여 미적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험지역(낙석지역)에 설치하는 망을 구성함에 있어, 망과 망을 연결할 때 좌우연결부를 서로 일정폭만큼 겹치게 한 중첩부를 통해 강선 와이어로 연결하지 않고, 좌우연결부로 형성되는 절단부를 코일형으로 말아서 강선 와이어가 끼움될 수 있도록 연결구멍을 마련하여 망과 망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철책이나 울타리를 설치할 때도 이들이 가지는 연결구멍에 의해 외적인 미감을 높이할 수 있게 한 코일형의 연결구멍이 구비된 낙석방지망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구성은 같은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합니다.
상기 연결부(2)(2´)에는 망목 엮음부(3)(3´)가 형성되고, 좌우연결부(4)(4´)에는 절단부(5)(5´)를 가지는 형태의 소망하는 크기로 제작되는 낙석방지망에 있어서,
상기 망(1)의 좌우연결부(4)(4´)로 절단된 절단부(5)(5´)를 코일형으로 말아서 연결구멍(50)(50´)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구멍(50)(50´)을 서로 일치시켜 이루어진 상기의 구멍(50)(50´)을 통해 강선와이어(100)을 끼움하여 줌으로서, 망과 망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좌우연결부(4)(4´)가 코일형의 연결구멍(50)(50´)으로 형성된 낙석방지망(110)과; 상기의 낙석방지망(110)의 연결구멍(50)(50´)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철책 및 울타리(11)에 적용 가능한 낙석방지망(11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낙석방지망(110)도 종래의 망(1)과 같이 제작되며, 낙석지역(a)에 설치 시공되는 방법도 동일합니다.
그런데 본 고안의 낙석방지망(110)은 좌우연결부(4)(4´)로 형성되는 절단부(5)(5´)를 코일형으로 말아서 연결구멍(50)(5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망(110)과 망(110)을 연결할 때 종래와는 달리 일정폭만큼 연결부(4)(4´)을 포개서 중첩부(9)를 형성하지 않고, 좌우연결부(4)(4´)의 연결구멍(50)(50´)을 서로 일치시켜 상통하는 연결구멍(50)(50´)으로 강선와이어(100)을 끼움하여 바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중첩부(9)에서 일어날 수 있는 포개지는 만큼의 망(1)이 가지는 손실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연결상태도 안전하고 견고히 간단한 작업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코일형의 연결구멍(50)(50´)이 구비된 본 고안의 망(110)을 이용하여 철책이나 울타리(11)을 설치할때도 상하방향으로 연결구멍(50)(50´)이 형성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면 철책이나 울타리(11)의 전체적인 외적 미관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낙석지역에 설치하는 낙석방지망을 제공함에 있어, 망과 망이 연결되는 좌우연결부에 서로 일치시켜 상통하는 연결구멍을 통해 끼움되는 강선와이어에 의해 연결이 용이하도록 좌우연결부의 절단부를 코일형으로 말아서 연결구멍을 마련한 구성의 낙석방지망을 제공하는 효과와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망에 의해 연결시 불필요하게 포개지는 중첩부에 의한 방의 손실을 제거하여 경제성을 높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철책 및 울타리의 경우도 연결구멍이 마련된 망을 상하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하므로서, 이들의 외적미관도 향상시키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일부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 1a의 "A"부분을 발췌 확대한 요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낙석방지망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 도3a의 "B"부분을 발췌 확대한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설치상태의 측단면 일부 예시도
도 5a는 기존 망으로 설치된 철책의 사시도
도 5b도는 본 고안에 의해 설치된 철책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좌우 연결부 5,5´-절단부 100-강선 와이어
50,50´-연결구멍 110-낙석방지망

Claims (2)

  1. 낙석지역에 설치하는 낙석 방지망(1)을 구성함에 있어서,
    좌우연결부(4)(4´)로 형성되는 절단부(5)(5´)을 코일형상으로 말아서 연결구멍(50)(50´)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연결구멍(50)(50´)을 서로 일치시켜 그 속으로 강선와이어(100)를 끼움하여 망(110)과 망(110)을 간편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의 연결구멍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낙석방지망(110)의 좌우연결부(4)(4´)로 형성된 연결구멍(50)(50´)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하여 철책이나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 코일형의 연결구멍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KR20-2005-0021377U 2005-07-22 2005-07-22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KR200399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377U KR200399350Y1 (ko) 2005-07-22 2005-07-22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377U KR200399350Y1 (ko) 2005-07-22 2005-07-22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50Y1 true KR200399350Y1 (ko) 2005-10-24

Family

ID=4370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377U KR200399350Y1 (ko) 2005-07-22 2005-07-22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433B1 (ko) * 2021-11-05 2022-07-25 (주)대한지오이엔씨 낙석 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5369894A (zh) * 2022-08-10 2022-11-22 坑露璐 一种生态环境建设边坡防护可降解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433B1 (ko) * 2021-11-05 2022-07-25 (주)대한지오이엔씨 낙석 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5369894A (zh) * 2022-08-10 2022-11-22 坑露璐 一种生态环境建设边坡防护可降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831B1 (en) Fence post and fence using the same
JP5358028B1 (ja) 斜面の保護構造および保護方法
CA2752023C (en) Safety net, preferably for securing an embankment
JP4102372B2 (ja) 鉄塔への防護ネットの取付け方法
KR200399350Y1 (ko) 코일형의 연결공이 구비된 낙석방지망
KR100778270B1 (ko) 야생 동물 보호용 휀스
JP5272096B2 (ja) ターンバックル及び該ターンバックルを使用したワイヤロープの固定構造
JP3161416U (ja) 亀甲金網と格子型金網とを組み合わせた猪侵入防止柵
AU2018289387B2 (en) Fence post for a flexible fence
JP2011042969A (ja) 雨よけシート
CN205530292U (zh) 被动防护网
CN201485802U (zh) 移动式自发光安全警示围栏
CN205464099U (zh) 一种金属网自动锁边装置
KR20110004717A (ko) 발코니용 안전 울
KR102266784B1 (ko)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KR20060135582A (ko)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KR200149864Y1 (ko) 분진망
KR101926631B1 (ko) 철책용 식물 오름 방지 구조물
CN209001488U (zh) 电缆安装用防小动物结构
KR200183895Y1 (ko) 방범 및 자살방지용 창살판
KR101250541B1 (ko) 건축물 발코니 개구부의 차폐망 시공방법
CN214091096U (zh) 一种安全绳系挂点保护装置
AU2020103115A4 (en) Fencing or hoarding material
KR200241132Y1 (ko) 낙서방지용 앵커볼트와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앵커클립
KR100580660B1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