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13Y1 - 자전거 도난경보기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난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13Y1
KR200398713Y1 KR20-2005-0022812U KR20050022812U KR200398713Y1 KR 200398713 Y1 KR200398713 Y1 KR 200398713Y1 KR 20050022812 U KR20050022812 U KR 20050022812U KR 200398713 Y1 KR200398713 Y1 KR 200398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bicycle
ball sensor
thef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정보
Priority to KR20-2005-0022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1Preventing theft of parts or accessories used on cycles, e.g. lamp, dynamo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외부에 세워두었을 경우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도난시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자전거 소유자 또는 외부사람들에게 도난 상황을 알려 도난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잠굼 및 해지 조작이 가능하며, 도난시 인식할 수 있는 경보음을 선택할 수 있는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의하면 운행자가 본 경보기를 자전거에 장착함으로써 멋진 디자인을 가진 악세사리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운행자가 자전거를 세워두고서 본 경보기의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잠굼 및 해지 조작을 할 수 있으며, 도난시 인식할 수 있는 경보음을 선택할 수 있고, 기존의 도난경보기 중 전자유도나 가변저항에 의한 진동감지센서 대신 간단한 구조의 경제적인 기계식 볼센서를 통해 그만큼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고장이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도난경보기{BIKE ALARM}
본 고안은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외부에 세워두었을 경우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도난시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자전거 소유자 또는 외부사람들에게 도난 상황을 알려 도난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잠굼 및 해지 조작이 가능하며, 도난시 인식할 수 있는 경보음을 선택할 수 있고, 자전거의 진동을 감지하는 기존 센서를 간단한 구조의 경제적인 기계식 볼센서로 대체함으로써 한번의 건전지 교체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잔고장이 적은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자전거 도난경보기는 알람의 잠금이나 해지를 할 경우, 키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 키조작으로 필요시마다 알람을 작동시키거나, 단순 설정 버튼에 의해 알람의 작동을 행하였다. 하지만, 전자는 키를 가지고 다녀야 되는 불편함과 키조작의 어려움, 키장치의 고장 등 여러 문제점이 있고, 후자는 손쉬운 조작으로 자전거를 강탈해가는 폐단이 있다.
또, 도난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도난방지장치는 도난시의 흔들림이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 회로 및 경보장치를 포함하는데 이 센서는 가변코일의 자기장 변화에 따른 전류변화로 도난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전자유도)을 취하거나, 기계적인 부품의 움직임에 의한 접촉식 가변코일의 전류변화로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을 갖는다. 하지만, 이 센서의 도난방지장치는 장시간 자전거를 고정시켜 놓는다는 점에서 전류소모가 많고, 부품의 구조가 복잡하며, 잔고장이 일어날 소지가 많을 뿐 아니라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의 도난으로 인한 이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자전거 소유자 또는 외부 사람들에게 도난 상황을 알려 도난사고에 신속히 대응하고,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잠굼 및 해지 조작이 가능하며, 도난시 인식할 수 있는 경보음을 선택할 수 있고, 자전거의 진동을 감지하는 기존 센서를 간단한 구조의 경제적인 기계식 볼센서로 대체함으로써 한번의 건전지 교체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잔고장이 적은 자전거 도난방지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보수단과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자전거의 진동을 감지하는 볼센서(3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8)와; 상기 볼센서(30)에 연결되어 진동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경보발생회로부(27)와; 상기 경보발생회로부(27)에 별도로 연결되어 외부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부저(29)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볼센서(30)는 자전거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하는 관성체인 볼과 상기 볼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인 볼센서커버와 상기 볼센서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볼의 진동압을 기전력변화로 바꾸어 주는 볼센서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보발생회로부(27)는 버튼부(45)를 더 포함하여 경보음 선택,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 알람 잠금 및 해지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착수단은 테두리에 오링(19)을 갖고, 상기 볼센서(30), 상기 경보발생회로부(27), 상기 부저(29), 부저캡(8), 버튼체(5), 홀더(13) 및 렌즈(4)가 내장된 상·하부 케이스(1,2)와; 양측에 고정캡(9)과 오링(20)을 포함한 배터리캡(10)이 결합되고, 배터리(28)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본체(3)와; 상기 본체(3)에 체결수단으로 자전거에 부착되는 고정대(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경보발생회로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경보수단과 장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보수단은 알람의 작동상태와 도난을 외부에 알리는 수단으로, 크게 볼센서(30), 배터리(28), 경보발생회로부(27) 및 부저(29)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센서(30)는 일종의 스위치로, 자전거의 움직임에 따라 내부에서 운동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관성체인 볼과 상기 볼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한정한 볼센서커버(윗면과 옆면에 해당)와 상기 볼센서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볼의 진동압을 기전력 변화로 바꾸어주는 볼센서캡(아랫면에 해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센서(30)는 경보발생회로부(27)에 연결된다.
이 볼센서캡의 밑면은 압전소자로, 동심원의 두 원형 전극이 이 두 원형 전극에 경보발생회로부(27)로부터 나온 각각의 +, - 성분 극과 연결되며 이 사이에 얇은 박막을 둔 채 적층, 형성된다.
따라서, 자전거가 움직이면 볼센서(30) 내부의 볼은 자전거의 진동에 따라 상하,좌우 이동되면서 공진함과 동시에, 볼센서캡은 진동에 따른 공진을 센싱하여 볼센서(30)측의 기전력 변화를 일으키고, 이를 통해 도난 여부를 경보발생회로부(27)가 감지하여 외부로 경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 볼센서(30)는 장시간 자전거를 고정시키고, 자전거 주행중 진동이 많은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전자유도현상과 기계적인 부품의 움직임에 의한 접촉식 가변코일을 이용한 센서와 비교하여 전류소모가 적고, 부품의 구조가 단순하며, 잔고장이 일어날 소지가 거의 없고 가격이 싸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터리(28)는 1.5V AAA건전지로 3개 직렬 연결되어 4.5V의 전원을 경보발생회로부(27)에 공급한다.
상기 경보발생회로부(27)는 PCB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보회로부(40), 버튼부(45), 전원부(48) 및 경보발생부(49)로 구성된다.
상기 경보회로부(40)는 볼센서(30)의 기전력변화를 감지하여 이상이 있으면 경보발생부(49)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게 한다. 즉, 상기 경보회로부(40)는 Y1인 볼센서(30), U1인 전원 레귤레이터(REGULATOR), LED, 중앙칩 및 각종 소자로 구성되어 전원부(48)로부터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버튼부(45)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과 변경, 알람 작동과 해지, 경보음 변경등의 신호를 받아 선택된 부저음을 발생하도록 경보발생부(49)로 제어신호를 보내며, 각종 경보음 발생과 버튼 누름으로 인한 설정 등의 경우에 연동하여 LED를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한다. 이러한 모든 소자의 감지와 제어는 중앙칩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45)는 확인버튼(5d), 1번버튼(5c), 2번버튼(5b), 3번버튼(5a)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 S1, S2, S3, S4와 각 소자로 구성되어 확인버튼(5d)에 연결된 S1에 의해 한번 누름, 두번 연속 누름, 길게 또는 짧게 누름 등의 방법으로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경보음 선택, 알람 작동 및 해지 모드의 신호가 중앙칩으로 전송되게 하며, 1번버튼(5c), 2번버튼(5b), 3번버튼(5a)에 각각 연결된 S2, S3, S4에 의해 비밀번호 입력과 경보음의 신호가 중앙칩으로 전송되게 한다.
상기 전원부(48)는 상기 경보회로부(40)와 상기 경보발생부(49)로 DC 4.5V의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경보발생부(49)는 상기 경보회로부(40)로부터 받은 제어신호를 발진신호로 바꾸어 부저(29)를 울리게 한다. 이때, 상기 경보회로부(40)의 LED와 연계하여 경보음과 함께 시각적으로 경보광이 나오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LED 또는 경광등의 설치로 경보음과 함께 경보광이 나오게 할 수 있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경보수단을 수용하고 경보수단을 자전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게 상부케이스(1), 하부케이스(2), 본체(3), 고무부착대(21,22) 및 고정대(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1)는 내측에 형성된 홈에 볼센서(30)가 삽입되고, 확인버튼(5d), 1번버튼(5c), 2번버튼(5b), 3번버튼(5a)을 가지는 버튼체(5)가 스프링(18), 홀더(13)와 함께 조립되고, 렌즈(4)가 LED에 끼워지는 경보발생회로부(27)가 확인버튼(5d), 1번버튼(5c), 2번버튼(5b), 3번버튼(5a)이 상기 상부케이스(1)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스크류(25)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는 경보음을 울리는 부저(29)와 상기 부저(29) 받침용 부저캡(8)을 내장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와 오링(19)을 사이에 둔 채 스크류(23)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8)를 수용하고 배터리(28)를 직렬로 조합하여 4.5V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지스프링(14,17), 접지와이어(15,16), 배터리마개(12)가 조립되는 배터리홀더(11)를 내장하며, 본체(3)의 한측에는 고정캡(9)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링(20)과 함께 배터리캡(10)이 결합되며, 내부에서 나오는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은 본체(3) 상부의 홈으로 나와 상기 경보발생회로부(27)와 연결되며 스크류(24)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2)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접지와이어(15)중 아래에 있는 것은 첫번째 배터리의 - 극을 상기 접지스프링(14)와 연결시켜주고, 접지와이어(16)는 첫번째 배터리의 + 극을 두번째 배터리의 - 극과 연결시켜주며, 접지와이어(15)중 위에 있는 것은 두번째 배터리의 + 극을 세번째 배터리의 - 극과 연결시켜주고, 접지스프링(17)은 세번째 배터리의 + 극과 접촉되며, 접지스프링(14)은 첫번째 배터리의 - 극과 접촉되어, 최종적으로 두 접지스프링(14,17)에서 직렬 결합된 배터리 전원이 나와 경보발생회로부(27)로 공급된다.
상기 고무부착대(21,22)는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가지는 자전거 원형 프레임을 감싸는 원형띠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파손 방지와 밀착조임을 위해 고무부착대(21,22)는 선택적으로 2단 겹쳐져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6)는 스크류(26)가 상기 본체(3)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나사결합된 후 스크류캡(7)이 상기 스크류의 헤드를 막아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경보수단과 장착수단으로 이루어진 자전거 도난경보기는 버튼의 간단한 조작으로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경보음 선택, 알람 작동 및 해지가 가능하며, 알람 기능으로 인한 선택된 경보음을 도난시 외부로 발생, 외부인들이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여 도난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의하면 운행자가 본 경보기를 자전거에 장착함으로써 멋진 디자인을 가진 악세사리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운행자가 자전거를 세워두고서 본 경보기의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잠굼 및 해지 조작을 할 수 있으며, 도난시 인식할 수 있는 경보음을 선택할 수 있고, 기존의 도난경보기 중 전자유도나 가변저항에 의한 진동감지센서 대신 간단한 구조의 경제적인 기계식 볼센서를 통해 그만큼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고장이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경보발생회로부의 상세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케이스 2 : 하부케이스 3 : 본체
4 : 렌즈 5 : 버튼체 5a : 3번버튼
5b : 2번버튼 5c : 1번버튼 5d : 확인버튼
6 : 고정대 7 : 스크류캡 8 : 부저캡
9 : 고정캡 10 : 배터리캡 11 : 배터리홀더
12 : 배터리마개 13 : 홀더 14,17 : 접지스프링
15,16 : 접지와이어 18 : 스프링 19,20 : 오링
21,22 : 고무부착대 23,24,25,26 : 스크류
27 : 경보발생회로부 28 : 배터리 29 : 부저
30 : 볼센서 40 : 경보회로부 45 : 버튼부
48 : 전원부 49 : 경보발생부

Claims (4)

  1. 경보수단과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자전거 도난경보기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자전거의 진동을 감지하는 볼센서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볼센서에 연결되어 진동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경보발생회로부와; 상기 경보발생회로부에 별도로 연결되어 외부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부저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도난경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센서는 자전거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하는 관성체인 볼과 상기 볼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인 볼센서커버와 상기 볼센서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볼의 진동압을 기전력변화로 바꾸어 주는 볼센서캡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도난경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발생회로부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경보음 선택, 비밀번호 입력 및 변경, 알람 잠금 및 해지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난경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테두리에 오링을 갖고, 상기 볼센서, 상기 경보발생회로부, 상기 부저, 부저캡, 버튼체, 홀더 및 렌즈가 내장된 상·하부 케이스와;
    양측에 고정캡과 오링을 포함한 배터리캡이 결합되고, 배터리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수단으로 자전거에 부착되는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도난경보기.
KR20-2005-0022812U 2005-08-06 2005-08-06 자전거 도난경보기 KR200398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12U KR200398713Y1 (ko) 2005-08-06 2005-08-06 자전거 도난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12U KR200398713Y1 (ko) 2005-08-06 2005-08-06 자전거 도난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13Y1 true KR200398713Y1 (ko) 2005-10-14

Family

ID=4369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812U KR200398713Y1 (ko) 2005-08-06 2005-08-06 자전거 도난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267B1 (ko) 2010-03-10 2011-08-25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알람 옵션 변경 기능을 가지는 도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267B1 (ko) 2010-03-10 2011-08-25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알람 옵션 변경 기능을 가지는 도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8845B1 (en) Tool tracking apparatus
US5574429A (en) Self-contained, programmable non-position-sensitive vibration detecting alarm system
JP2006214257A (ja) 二輪車用施錠装置
ES2734105T3 (es) Un sistema de seguridad para bicicletas
KR200398713Y1 (ko) 자전거 도난경보기
EP0704350B1 (en) Automobile steering wheel lock anti-theft device with sound warning device
KR200398714Y1 (ko) 자전거 도난방지 경보장치
US3828310A (en) Bicycle theft alarm
KR20180036030A (ko) 자전거 도난 방지 센서가 포함된 자전거
JP5130278B2 (ja) 駆動源搭載機器の盗難防止装置
US20110298601A1 (en) Bicycle alarm
JP5246614B2 (ja) 車載用電子機器
EP1439101B1 (en) Key operated antitheft device
JP2007085028A (ja) 携帯電話におけるケース構造体
US11383674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ecurity method
KR100306818B1 (ko) 개인휴대통신기기의 양방향 도난방지시스템
US20060170536A1 (en) Security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6919805B2 (en) Wallet with alarm device installed therein
JP5800874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5610494B2 (ja) 車載用電子機器
WO1989002380A1 (en) Self contained locking vehicle alarm
KR102627403B1 (ko)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CN210570788U (zh) 感应件及传感器装置
JP415403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217435961U (zh) 一种多功能自行车的车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