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51Y1 -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 Google Patents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51Y1
KR200398051Y1 KR20-2005-0020100U KR20050020100U KR200398051Y1 KR 200398051 Y1 KR200398051 Y1 KR 200398051Y1 KR 20050020100 U KR20050020100 U KR 20050020100U KR 200398051 Y1 KR200398051 Y1 KR 200398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utlet
gas meter
gas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택
이수연
안희갑
Original Assignee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0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2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 G01F15/04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of gases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계량기에서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입구 및 출구를 봉인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입구 및 출구와 대응하는 소통공을 가지며, 상기 가스배관을 상기 입구 및 출구와 연결한 경우에 상기 입구 및 출구를 봉인하도록 상기 소통공에 캡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캡부재가 가스배관의 소통공에 끼워지므로써, 종래와 달리 작업자가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와 가스배관의 소통공 사이의 좁은 틈으로 손을 넣어 작업을 한다할지라도, 캡부재를 가스배관으로부터 손 쉽게 끼우거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계량기의 봉인작업과 봉인해제작업을 아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Sealing structure for gas meter}
본 고안은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를 봉인시키거나 봉인해제할 경우에 작업자가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에 설치되는 가스계량기는 입구 및 출구가 가스배관과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이 가스계량기는 가스공사시에 습기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구 및 출구를 봉인시키게 되며, 가스공사가 완료 후에는 가스계량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입구 및 출구의 봉인해제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계량기(1)의 봉인구조는, 가스계량기(1)의 입구(2) 및 출구(3)를 차폐부재(10)로 막고, 상기 가스계량기(1)의 입구(2) 및 출구(3)와 대응하는 가스배관(4)의 소통공(5)과 인접한 상기 가스배관(4)의 외주면에 직접 끼워지는 오링부재(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스계량기(1)의 입구(2)는 유입관(6)에 형성되고 출구(3)는 유출관(7)에 형성된다. 이 유입관(6)과 유출관(7)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8,9)이 형성된다.
또한, 가스배관(4)의 소통공(5)과 인접한 상기 가스배관(4)의 외주면에는 돌출턱(16)이 형성된다. 이 돌출턱(16)에는 내면에 나사산(17)이 형성되는 체결부재(18)의 일단이 걸린다.
상기한 설명에서, 상기 차폐부재(10)는 입구(2) 및 출구(3)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와, 상기 삽입부(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2) 및 출구(3)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지지부(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폐부재(10)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배관(4)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오링부재(15)는 가스배관(4)과 가스계량기(1)의 입구(2) 및 출구(3)와의 밀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 오링부재(15)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가스계량기(1)의 입구(2) 및 출구(3)와 가스배관(4)의 소통공(5) 사이는 좁은 틈으로 이루어지므로써, 가스계량기(1)의 봉인작업과 봉인해제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가스계량기(1)의 입구(2) 및 출구(3)와 가스배관(4)의 소통공(5) 사이의 좁은 틈으로 직접 손을 넣어 차폐부재(10)를 가스계량기(1)의 입구(2) 및 출구(3)에 삽입시키거나 제거시키는 작업과, 상기 가스배관(4)의 외주면에 오링부재(15)를 끼우거나 제거하는 작업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봉인구조는 복수의 부품 즉, 차폐부재(10) 및 오링부재(15)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공정도 복잡할 뿐더러 작업시간도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스계량기의 봉인작업과 봉인해제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서 작업공정과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가스계량기에서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입구 및 출구를 봉인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입구 및 출구와 대응하는 소통공을 가지며, 상기 가스배관을 상기 입구 및 출구와 연결한 경우에 상기 입구 및 출구를 봉인하도록 상기 소통공에 캡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캡부재가 상기 소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스배관을 상기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한 경우, 상기 캡부재의 하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부재의 하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의 하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삽입되도록 단턱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통공과 인접한 상기 가스배관의 외주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상기 소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과 소정의 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재는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스계량기(20)에서 가스배관(30)과 연결되는 입구(21) 및 출구(22)를 봉인하기 위한 구조이다.
가스배관(30)은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대응하는 소통공(31)을 가진다.
이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는 유입관(23)에 형성되고 출구(22)는 유출관(2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입관(23)과 유출관(24)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25,26)이 형성된다.
소통공(31)은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동일한 원형을 가진다.
그리고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과 인접한 상기 가스배관(30)의 외주면에는 돌출턱(32)이 형성된다.
이 돌출턱(32)에는 내면에 나사산(34)이 형성되는 체결부재(33)의 일단이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배관(30)을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연결한 경우에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를 봉인하도록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에 캡부재(40)가 탈부착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가스배관(30)을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연결은,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를 봉인하도록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에 캡부재(40)가 탈부착가능하게 끼워진 후에, 유입관(23) 및 유출관(24)의 나사산(25,26)과 체결부재(33)의 나사산(34)을 서로 체결하므로써 완료된다.
도 2에서, 캡부재(40)는 소통공(3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스배관(30)을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연결한 경우, 캡부재(40)의 하부는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평탄하게 이루어진다.
이 캡부재(40)는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캡부재(40)가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에 끼워진다면, 종래와 달리 작업자가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 사이의 좁은 틈으로 직접 손을 넣어 작업을 한다할지라도, 캡부재(40)를 가스배관(30)으로부터 손 쉽게 끼우거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계량기(20)의 봉인작업과 봉인해제작업이 훨씬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봉인구조와는 달리 하나의 부품 즉, 캡부재(40)만을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에 끼우는 구조이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할 뿐더러 작업시간도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40a,40c)의 하부는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캡부재(40a,40c)의 하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진다면, 캡부재(40a,40c)가 소통공(31)에 끼워진 상태로 가스배관(30)을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연결시킬 경우,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의 봉인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40d,40e)의 하부는 입구(21) 및 출구(22)에 삽입되도록 단턱부(50)를 가질 수도 있다. 캡부재(40d,40e)의 하부에 단턱부(50)를 가진다면, 캡부재(40d,40e)가 소통공(31)에 끼워진 상태로 가스배관(30)을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와 연결시킬 경우, 가스계량기(20)의 입구(21) 및 출구(22)의 봉인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과 인접한 가스배관(30)의 외주면에는 돌출턱(32)이 형성된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40b,40c,40e)는 가스배관(30)의 소통공(31)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턱(32)과 소정의 틈(H1,H2,H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캡부재(40b,40c,40e)가 소통공(3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스배관(30)의 돌출턱(32)과 소정의 틈(H1,H2,H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면, 사용자가 그 틈(H1,H2,H3)을 이용하여 캡부재(40b,40c,40e)를 가스배관(30)으로부터 보다 손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계량기(20)의 봉인해제작업이 훨씬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캡부재가 가스배관의 소통공에 끼워지므로써, 종래와 달리 작업자가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와 가스배관의 소통공 사이의 좁은 틈으로 손을 넣어 작업을 한다할지라도, 캡부재를 가스배관으로부터 손 쉽게 끼우거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계량기의 봉인작업과 봉인해제작업을 아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하나의 부품 즉, 캡부재만을 가스배관의 소통공에 끼우는 구조이므로, 작업공정과 작업시간이 훨씬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캡부재의 하부가 경사지게 이루어지므로써, 캡부재가 소통공에 끼워진 상태로 가스배관을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시킬 경우에,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의 봉인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캡부재가 소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스배관의 돌출턱과 소정의 틈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써, 그 틈을 이용하여 캡부재를 가스배관으로부터 보다 손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계량기의 봉인해제작업을 훨씬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에 시공하여 가스를 장기 미사용시 가스누출이나 제3자의 임의 가스계량기 전단밸브의 조작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가스무단사용과 신규입주 또는 이사입주시 도시가스사의 고객정보관리 및 계약서작성 등 공급절차를 철저히 이행할 수 있으며, 안전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에 차폐부재를 끼워 가스를 차단시는 가스계량기 내부로 차폐부재가 밀려 들어가므로, 시공이 번거로우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종래의 오링부재를 대신하여 고무재질의 캡부재로 손 쉽게 시공하고, 시공시 에러를 줄이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계량기용 봉인구조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가스계량기 21; 입구
22; 출구 23; 유입관
24; 유출관 25; 유입관의 나사산
26; 유출관의 나사산 30; 가스배관
31; 소통공 32; 돌출턱
33; 체결부재 34; 체결부재의 나사산
40,40a,40b,40c,40d,40e; 캡부재 50; 단턱부

Claims (4)

  1. 가스계량기에서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입구 및 출구를 봉인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가스배관은 상기 입구 및 출구와 대응하는 소통공을 가지며, 상기 가스배관을 상기 입구 및 출구와 연결한 경우에 상기 입구 및 출구를 봉인하도록 상기 소통공에 캡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가 상기 소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스배관을 상기 가스계량기의 입구 및 출구와 연결한 경우, 상기 캡부재의 하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평탄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캡부재의 하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거나 단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공과 인접한 상기 가스배관의 외주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상기 소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과 소정의 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KR20-2005-0020100U 2005-07-11 2005-07-11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KR200398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100U KR200398051Y1 (ko) 2005-07-11 2005-07-11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100U KR200398051Y1 (ko) 2005-07-11 2005-07-11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51Y1 true KR200398051Y1 (ko) 2005-10-11

Family

ID=4369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100U KR200398051Y1 (ko) 2005-07-11 2005-07-11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403A (ko) 2017-03-20 2018-10-02 최승영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계량기의 봉인장치
KR102359862B1 (ko) * 2020-08-19 2022-02-09 (주)위지트에너지 계량기 봉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403A (ko) 2017-03-20 2018-10-02 최승영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계량기의 봉인장치
KR102359862B1 (ko) * 2020-08-19 2022-02-09 (주)위지트에너지 계량기 봉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184B2 (ja) 排水ますの継手手段に適用される着脱機構
ATE364807T1 (de) Ventilvorrichtung
TW200600980A (en) Improved immersion lithography system with wafer sealing mechanisms
KR200398051Y1 (ko) 가스계량기의 봉인구조
KR101023264B1 (ko)
JP2006348683A (ja) 高圧洗浄用保護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排水管の高圧洗浄方法
DE20305230U1 (de) Durchfluss-Messvorrichtung
JP2008014352A (ja) 逆止弁ユニットと濾過整流板
JP6608025B2 (ja) 弁装置取付方法及び弁装置取外方法
JP2008261183A (ja) 排水トラップ
JP2016044763A (ja) ホース継手
CN205331492U (zh) 一种脸盆龙头
KR101884750B1 (ko) 스펙터클 블라인드와 액체 차단 장치
CN205592528U (zh) 一种便捷型水管对接结构
JP4191162B2 (ja) レジスト塗布装置のレジスト配管の洗浄方法
JP6454854B2 (ja) 排水器の取付構造
KR200451043Y1 (ko) 수로변경용 오수받이
CN217033140U (zh) 一种水处理净化设备用管道取样器
JP7205853B2 (ja) 継手部材及びそれの閉塞解除方法
JP7115736B2 (ja) 継手部材
KR20090015555A (ko) 계량기용 유니온의 커플링 봉인장치
JP5267331B2 (ja) ガスシステム
KR101357218B1 (ko) 자석을 이용한 역류 방지 장치
JP2009197847A (ja) 空管分水栓分水孔穿孔における機構保護方法と筒状プレート
JP2004052864A (ja) 流体漏洩防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