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994Y1 - 변좌 오픈 장치 - Google Patents

변좌 오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994Y1
KR200397994Y1 KR20-2005-0018058U KR20050018058U KR200397994Y1 KR 200397994 Y1 KR200397994 Y1 KR 200397994Y1 KR 20050018058 U KR20050018058 U KR 20050018058U KR 200397994 Y1 KR200397994 Y1 KR 200397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shaft
toilet
foot swi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 I&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 I&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 I&D
Priority to KR20-2005-0018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9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세식 양변기에 장착되며, 소변 용무를 위한 남성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면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풋 스위치와, 상기 수세식 양변기의 변좌에 회동력을 가하도록 상기 변좌에 연결되는 변좌 연결부 및 상기 풋 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작동 신호를 상기 변좌 연결부에 전달하는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손을 대거나 하지 않고도 간단한 발동작만으로 변좌가 열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용무를 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변기의 사용 역시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변좌 오픈 장치 {Device For Opening a Seat of Chamber Pot}
본 고안은 좌식 수세식 양변기에 장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변기 본체와 뚜껑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좌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세식 양변기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을 대지 않고도 상기 변좌를 상향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좌 오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양변기 중 남,녀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수세식 양변기는, 통상 세라믹 재질로 제조되며 좌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무릎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변기 본체(Pot)와, 상기 변기 본체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 그리고 상기 변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이는 닫힌 위치와 등받이 쪽으로 젖혀지는 열린 위치의 두 위치 사이에서 대략 90°각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변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세식 양변기는, 대변과 소변용 모두에 사용되며, 여성 사용자의 경우에는 대, 소변 모든 용도에 상기 변좌를 닫힌 위치 상태로 놓고 사용하나, 남성 사용자의 경우 대변시에는 상술한 여성 사용자와 같은 형태로 상기 수세식 양변기를 사용할 지라도, 소변시에는 상기 양변기의 전방에 선 자세로 상기 변좌를 열린 상태로 놓고 용무를 보게 된다.
즉, 대부분의 소변 용무의 경우, 남성 사용자는 상술한 형태의 양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변좌를 열거나 닫는 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변좌를 열고 닫는 동작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변좌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기분을 좋지 않게 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좌식 사용의 경우를 위해 필요한 변좌를, 남성의 소변 용무시에는 손쉽고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 내지 장치 등이 요구되나, 기존에는 상기 변좌의 열림-닫힘 시의 부드러운 동작을 위해 댐퍼가 적용된 힌지 등을 채용하는 형태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 왔을 뿐, 상기 변좌의 손쉽고 위생적인 열림-닫힘을 실현하기 위한 직접적인 장치 등은 개발되어 오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변 용무를 위한 남성 사용자가 손을 대지 않고도 간단한 발 동작 만으로 변좌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변좌 오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페달을 이용한 기계적 동력 전달 방식에 의하여 변좌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변좌 오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유, 무선의 전달 수단을 통한 동작 신호 전달에 의해 전동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변좌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변좌 오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세식 양변기에 장착되며, 소변 용무를 위한 남성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면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풋 스위치와, 상기 수세식 양변기의 변좌에 회동력을 가하도록 상기 변좌에 연결되는 변좌 연결부 및 상기 풋 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작동 신호를 상기 변좌 연결부에 전달하는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풋 스위치는, 페달, 페달 받침 및 상기 페달과 상기 페달 받침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페달 방식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은, 상기 풋 스위치의 힌지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 1 피니언과, 상기 제 1 피니언에 일단부가 맞물리는 제 1 랙기어와, 상기 제 1 랙기어의 타단부에 맞물리는 제 2 피니언과, 상기 제 2 피니언에 맞물리는 제 2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좌 연결부는, 상기 제 2 랙기어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변좌 회동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변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변좌는 상기 변좌의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변좌의 회동축이 회전할 경우 상기 변좌의 회동축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변좌 회동축의 적어도 일 회동 방향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은, 상기 풋 스위치의 힌지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변좌의 회동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과 연결되는 전달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 상기 전달축, 상기 제 2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기어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변좌 연결부는, 상기 변좌에 회동력을 가하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풋 스위치는 상기 변좌 연결부의 상기 전동 모터의 작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풋 스위치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상기 변좌 연결부에 전달하는 상기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의한 무선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좌식 수세식 양변기에 적용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변기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200), 그리고 본체(100)와 뚜껑(200) 사이에 개재되어, 뚜껑(200)과 동일한 회동축을 공유하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변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좌식 수세식 변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을 통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풋스위치(1)로서, 접철되는 힌지부를 포함한 페달부(1)와, 상기 페달부(1)의 힌지축(5)에서 연장되는 제 1 회전축(10), 변좌(300)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상하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는 변좌 연결부(2) 및 상기 페달부(1)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변좌 연결부(2)에 전달시켜주며, 상기 페달부(1) 회동축의 회전력을 변좌 연결부(2)에서의 병진운동을 위한 힘으로 전환시켜 주기 위한,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을 내부에 포함하는 프레임(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페달부(1), 변좌 연결부(2) 및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을 안정적으로 연결,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4)을 포함한 형태로 구성되어, 종래 일반적인 변기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고정구(8) 등을 이용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은 좌식 용변시 팔걸이 등으로 사용되거나,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안전 손잡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본 고안의 특수한 목적에 따른 용도 외에 별도의 용도를 추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간략히 언급한 페달부(1) 및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의 보다 구체적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첨부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페달부(1)의 확대도로서, 사용자가 페달부(1)에 압력을 가할 경우 회동력이 발생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페달부(1)는,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발에 닿아 압력을 받고 회동되는 페달(51), 힌지축(53)을 통하여 상기 페달(5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 받침(52)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페달부(1)의 페달(51)을 밟을 경우, 페달(51)로부터 제 1 회전축(10)에 회동력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회전축이 연결된 회동축(53)이 페달(51)의 회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페달(51)을 도면상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힌지축(53)을 관통하며 삽입된 걸림샤프트(56)가, 페달(51)의 힌지축(53) 연결 부위에 형성된 걸림턱(57)에 걸림으로써, 힌지축(53)이 페달(51)과 함께 회동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힌지축(53)에 발생한 회전력이 그대로 제 1 회전축(10)에 전달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이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등, 회동축(53)과 페달(51)의 상대적 회전을 일 방향 이상에 대해 상호 고정하는 다양한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상술한 바와 유사한 작동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의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의 각 구성 요소들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가이드해 주기 위한 수단들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4) 및 그 내부 구조에 의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적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간의 연결 상태 및 작동 원리를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상기 프레임(4) 및 그 내부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은 생략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축(10)의 단부에는 제 1 피니언(11) 기어가 고정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51)로 부터 발생한 회전력은 제 1 회전축(10)에 직접 전달되며, 제 1 회전축(10)의 회전에 따른 회전운동은 상기 제 1 피니언(11)에 일 단부의 기어산이 맞물리는 제 1 랙기어(21)에 의해 병진운동으로 변환된다.
제 1 랙기어(21)의 병진운동은 그 타단부에 맞물리는 제 2 피니언(12)에 의해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며, 제 2 피니언의 회전 운동은, 일 단부가 제 2 피니언(12)에 기어 산이 맞물리며, 상기 제 1 랙기어(21)와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랙기어(22)에 의해 다시 도면상 상, 하 방향의 병진운동으로 변환된다.
이 때, 제 2 랙기어(22)의 타단부에는 변좌 연결부(2)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 2 랙기어(22)의 상,하 병진운동은 변좌 연결부(2)에 그대로 전달된다.
변좌 연결부(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300)의 회동축 을 벗어난 전방 밑면에서 변좌(3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페달(51)을 밟을 경우 변좌 연결부(2)는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변좌(300)를 상부로 밀고, 따라서 변좌(300)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되어 열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남성 사용자의 경우 페달(51)을 밟는것 만으로 손을 대지 않고도 변좌(300)를 열린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소변 용무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페달(51)의 회동 각도에 대한 변좌(300)의 회동 각도는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에 포함되는 기어들의 지름 및 기어산의 수 등을 조절 하는 방법으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열린 위치로 이동된 변좌를 다시 닫힌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 역시, 변좌 자체의 무게를 이용해 돌아오게 하는 메카니즘, 스프링 장치 등을 이용한 메카니즘 등 종래의 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장치는 도 1에서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나, 변좌 연결부(2)가 변좌 회동축에 직접 연결된 제 2 회동축(20)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풋스위치(1)인 페달부(1)에 압력을 가할 경우, 변좌(300)의 회동축에 연결된 제 2 회동축(20)이 회전됨으로써 변좌(300)가 열리게 되는 형태이다.
상기 작용을 위한 작동 신호 전달 수단(3) 구성의 예를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은 페달부(1)의 힌지축에서 연장된 제 1 회전축(10), 변좌(300)의 회동축에서 연장되는 제 2 회전축(20)과, 상기 제 1 회전축(10) 및 제 2 회전축(20)을 연결해주는 전달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전달축(30)은, 도면상 밑쪽에 위치하는 제 1 회전축(10)으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도면상 위쪽에 위치하는 제 2 회전축(20)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 1 전달축(31)과 제 2 전달축(32)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형태이다.
즉, 페달부(1)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발생한 제 1 회전축(10)의 회전운동은, 제 1 회전축(10)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 제 1 전달축(31)에 전달되는데, 이는 제 1 회전축(10)과 제 1 전달축에 각각 고정되어 상호 맞물려 회전되는 한쌍의 베벨기어(41)에 의해 달성된다. 베벨기어(41)는 상호 다른 축방향을 가진 축들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형태의 기어로서, 제 1 전달축(31)과 제 2 전달축(32) 사이, 제 2 전달축(32)과 제 2 회전축(20) 사이에도 개재되어 페달부(1)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이 제 2 회전축(20)을 경유하여 변좌 회동축에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변좌(300)는,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페달(51)과 힌지축(53)과의 관계에서와 같이, 적어도 일 방향에 대해 변좌 회동축에 상대적으로 회전 고정됨으로써, 변좌 회동축의 회전시 변좌(300)가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페달부(1)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변좌(300)가 열린 위치로 이동되게 할 수 있으므로, 남성 사용자의 경우 페달(51)을 밟는 것 만으로 손을 대지 않고도 변좌(300)를 열린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게 도와준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4)을 생략하는 대신, 프레임(4)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작동 신호 전달 수단(3) 등의 구조를 변기 내부에 직접 내장되도록 설치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경우, 변기 자체를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맞춰 특수한 형태로 제작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변기 내부에 변기와 일체화 되어 결합된 형태가 되므로,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외부 구조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번거로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앞선 제 1, 제 2 실시예에서 작동 신호 전달 수단(3) 등을 기계적으로 구성한 것과는 달리, 전동 모터(50)에 의해 변좌가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변좌 연결부(2)는 변좌(300)에 회동력을 가하도록 변좌 회동축 등에 연결되며, 풋 스위치(1)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된다.
상기 작동 신호는, 풋 스위치(1)를 누를 경우 변좌 연결부(2)의 전동 모터(50)에 전류를 인가해주도록 유선의 방식으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특정 주파수의 신호에 따라 전동 모터(50)가 작동되도록 무선의 방식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사용자가 풋스위치(1)를 밟을 경우,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을 통해 변좌 연결부(2)에 작동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신호에 따라 변좌 연결부(2)가 변좌(300)를 상향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적용되는 변기 등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폭넓은 형태의 변기에 채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손을 대거나 하지 않고도 간단한 발동작만으로 변좌가 열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용무를 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변기의 사용 역시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 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페달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 신호 전달 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좌 오픈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풋 스위치 2: 변좌 연결부
3: 작동 신호 전달 수단 4: 프레임
10: 제 1 회전축 11: 제 1 피니언
12: 제 2 피니언 20: 제 2 회전축
21: 제 1 랙기어 22: 제 2 랙기어
30: 전달축 41,42,43: 베벨기어
50: 전동 모터 100: 변기 본체
200: 뚜껑 300: 변좌

Claims (6)

  1. 본체(100), 상기 본체(100)를 덮는 뚜껑(200) 및, 상기 본체(100)와 뚜껑(2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100)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세식 양변기에 장착되며,
    소변 용무를 위한 남성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면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풋 스위치(1)와;
    상기 수세식 양변기의 변좌(300)에 회동력을 가하도록 상기 변좌(300)에 연결되는 변좌 연결부(2) 및;
    상기 풋 스위치(1)로부터 발생된 작동 신호를 상기 변좌 연결부(2)에 전달하는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좌 오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1)는, 페달(51), 페달 받침(52) 및 상기 페달(51)과 상기 페달 받침(52)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53)을 포함하여 구성된 페달 방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오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은, 상기 풋 스위치(1)의 힌지축(5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회전축(10)과; 상기 제 1 회전축(10)에 고정되는 제 1 피니언과(11); 상기 제 1 피니언(11)에 일단부가 맞물리는 제 1 랙기어(21)와; 상기 제 1 랙기어(21)의 타단부에 맞물리는 제 2 피니언(12)과; 상기 제 2 피니언(12)에 맞물리는 제 2 랙기어(22);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좌 연결부(2)는, 상기 제 2 랙기어(22)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변좌 회동축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변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오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300)는 상기 변좌의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변좌의 회동축이 회전할 경우 상기 변좌의 회동축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변좌 회동축의 적어도 일 회동 방향에 대하여 회전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은, 상기 풋 스위치(1)의 힌지축(5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회전축(10)과; 상기 변좌(300)의 회동축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회전축(20)과; 상기 제 1 회전축(10) 및 상기 제 2 회전축(20)과 연결되는 전달축(30); 및 상기 제 1 회전축(10), 상기 전달축(30), 상기 제 2 회전축(20)을 상호 연결하는 기어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오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 연결부(2)는, 상기 변좌(300)에 회동력을 가하는 전동 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풋 스위치(1)는 상기 변좌 연결부(2)의 상기 전동 모터(50)의 작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오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풋 스위치(1)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상기 변좌 연결부(2)에 전달하는 상기 작동 신호 전달 수단(3)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의한 무선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오픈 장치.
KR20-2005-0018058U 2005-06-22 2005-06-22 변좌 오픈 장치 KR200397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58U KR200397994Y1 (ko) 2005-06-22 2005-06-22 변좌 오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58U KR200397994Y1 (ko) 2005-06-22 2005-06-22 변좌 오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994Y1 true KR200397994Y1 (ko) 2005-10-12

Family

ID=4369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58U KR200397994Y1 (ko) 2005-06-22 2005-06-22 변좌 오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9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KR100789513B1 (ko) 2006-10-09 2007-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개폐식 양변기 및 그 개폐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KR100789513B1 (ko) 2006-10-09 2007-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개폐식 양변기 및 그 개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87A (ja) 便口幅可変型便座を設ける便器及びそれに用いる便座
AU2008257925A1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for toilets
US10791888B1 (en) Automatic toilet seat and lid assembly
KR200397994Y1 (ko) 변좌 오픈 장치
AU2008257924A1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for toilets
KR100898837B1 (ko) 변기 시트 및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JP2006085134A (ja) 開閉部材のモータ式自動開閉装置
JP2019170537A (ja) 便座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JPH10212747A (ja) 排水栓装置
CN114680702A (zh) 一种全自动子母坐圈坐便器
JP7353710B2 (ja) 浴室用椅子
JP2008518665A (ja) 便座昇降装置
KR101656207B1 (ko) 양변기 시트커버 회전력을 이용한 물내림 및 절수장치
PL178423B1 (pl) Urządzenie do uruchamiania zatyczki odpływu, zwłaszcza w wannie
CN217218874U (zh) 一种全自动子母坐圈坐便器
JP3152430U (ja) 自動的に方向転換を行う便蓋を備える便座
KR200208295Y1 (ko) 좌식 변기용 시트 회전장치
JPH039708A (ja) 洋式便器
TWM508289U (zh) 衛生設備及座墊裝置
JP2005177457A (ja) 便座装置
RU640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подъема сиденья с крышкой унитаза
KR101782636B1 (ko) 자동 양변기
CN208808283U (zh) 一种食物处理器配件及食物处理器
KR20090001159U (ko) 자동 개방 기능을 가진 좌변기용 변기시트 및 작동장치
JP4680138B2 (ja) 反転移動可能な足揉み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