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030Y1 - 풀러 - Google Patents

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030Y1
KR200397030Y1 KR20-2005-0020722U KR20050020722U KR200397030Y1 KR 200397030 Y1 KR200397030 Y1 KR 200397030Y1 KR 20050020722 U KR20050020722 U KR 20050020722U KR 200397030 Y1 KR200397030 Y1 KR 200397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arm
puller
arms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취흐 쿠오 후
Original Assignee
취흐 쿠오 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취흐 쿠오 후 filed Critical 취흐 쿠오 후
Priority to KR20-2005-0020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0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6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of the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한정된 공간 내에서 턱들의 신속하고 용이한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풀러는 나사봉(1), 구동기구(2), 액티베이션기구(3) 및 다수의 턱(4)들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예비연결아암(314)과 예비고정아암(324)이 연접베이스(3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아암(311,312,313)과 볼트조임베이스(32)로부터 연장되는 고정아암(321,322,323)에 대하여 연접베이스(31)와 볼트조임베이스(32)에 각기 설치되고; 어떤 턱(4)이든지 상기 예비연결아암(314)과 예비고정아암(324)에 제각기 연결될 수 있도록 쑥 들어가게 할 수 있으며; 나비너트(22)는 예비연결아암(314)과 그것에 대응하는 연결아암(311,312,313)을 끌어당기도록 회전되어, 나사봉(1)의 중앙단부(12)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을 제거하기 위해 그 축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동안 그 원주에 의해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을 움켜쥐게 된다.

Description

풀러{puller}
본 고안은 풀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의 조건에 따라 턱(jaws)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풀러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풀러는 그것에 기대어 있는 원통모양의 봉을 밀어냄으로써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을 제거하도록 제품의 원주를 붙잡음으로써 제품의 교체나 조립 작업에 적용된다.
종래 기술은 기본적으로 중앙에 배치된 나사봉(8)과 그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세 개의 고정아암(71)들을 구비하는 풀러(7); 상기 풀러(7)의 아래에 장치되는 연결홀더(9); 상기 각 고정아암(71)으로부터 연장하는 연결아암(91); 상기 각 연결아암(91)의 말단에 추축으로 결합되는 턱(92); 상기 풀러(7) 속으로 삽입되는 나사봉(8)의 스프링(82); 및 상기 스프링(82)에 나사결합되는 손잡이(8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82)을 밀어내도록 손잡이(81)를 돌림으로써, 상기 풀러(7)는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을 움켜쥐도록 모든 세 개의 턱(92)들이 인접하게 가까워지도록 구동된다.
실제로, 세 개의 턱(92)들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을 잡아서 고정시키도록 끌어당겨지고 상기 손잡이(81)는 세 개의 턱(92)들에 충분한 압박력을 제공하도록 적당한 위치로 조절되며; 상기 나사봉(8)은 심봉(心棒)을 밀어내어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이 위치된 제한된 공간에서 세 개의 턱(92)들은 동시에 제품을 죄일 수 없게 되거나, 어떤 턱(92)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주변 구조에 의해 에워싸짐으로써 일반적인 죔 작용을 실행할 수 없다.
그 결과, 상기 세 개의 턱(92)들을 구비하는 풀러는 제거되어야만 하고 두 개의 턱들을 구비하는 다른 풀러가 필요로 된다. 결과적으로, 풀러를 교체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작업이다. 게다가, 세 개의 턱을 구비하는 풀러와 두 개의 턱들을 구비하는 다른 풀러 모두를 소유하는 것은 별도의 공간과 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접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선택된 연결아암에 대하여 연접베이스에 예비연결아암이 설치되고; 볼트조임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선택된 연결아암에 대하여 볼트조임베이스에 예비고정아암이 설치되는 풀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떤 턱은 예비연결아암과 예비고정아암에 각기 연결되도록 이동된다. 다른 풀러의 설치를 위해 현존하는 풀러를 후퇴시킴 없이 어떤 턱이든지 즉시 이동시킴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용이하게 작업하도록 하기 위해, 중앙단부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축을 붙잡고 있는 동안,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원주에서 제품을 움켜잡기 위해 그것들에 각기 연결된 턱들을 각각 구동시키도록 상기 예비연결아암과 그것의 대응 연결아암이 끌어당겨지게 하기 위해 상기 연접베이스를 구동시키도록 나비너트가 회전된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 끝단에 작용너트와 하부끝단에 중앙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단부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축을 붙잡아 고정하도록 중앙단부에 대하여 슬롯을 통해 관통하는 상기 나사봉과; 헤드가 구비되고 다수의 아암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타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를 통하여 관통하는 슬롯이 구비되는 풀러와, 상기 슬롯에 피벗되고 상기 작용너트에 가까운 위치에서 나사봉에 고정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기구와; 연접베이스와 볼트조임베이스로 구성되는 액티베이션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접베이스는 상기 나사봉의 중앙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나사봉을 통하여 관통되고 각 신장 아암(expansion arm)에 제각기 고정되며, 다수의 연결아암들은 상호간에 정해진 공간에서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볼트조임베이스는 상기 풀러의 헤드와 연접베이스 사이에서 나사봉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아암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아암이 상호간에 정해진 공간에서 볼트조임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된다. 각 고정아암의 길이는 상기 연접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연결아암의 길이보다 더 길다.
턱은 볼트조임베이스의 고정아암 말단에 각기 피벗되고 액티베이션아암은 상기 턱의 중간에 피벗됨과 동시에 상기 연접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연결아암에 각기 피벗된다.
하나의 예비연결아암이 상기 연접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정해진 연결아암에 대하여 연접베이스에 배치되고 하나의 예비고정아암이 상기 볼트조임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정해진 연결아암에 대하여 볼트조임베이스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턱들 중 어느 것이라도 쑥 들어가게 할 수 있고(retractable), 그래서 제거된 턱은 상기 예비연결아암 및 예비고정아암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나비너트는 예비연결아암에 적용된 상기 연결아암과 그것에 대응하는 예비연결아암을 끌어당기도록 상기 연접베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되어, 나사봉의 중앙단부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축을 붙잡고 있는 동안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원주에 의해 제품을 움켜잡도록 그것들에 연결된 턱들을 각기 구동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들과 잇점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다음 기술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며 그 구성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해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나사봉(1), 구동기구(2), 액티베이션기구(3) 및 세 개의 턱(4)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봉(1)은 상부 끝단에 작용너트(11)와 하부끝단에 중앙단부(1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구(2)는 풀러(21)와 나비너트(22)를 포함한다. 상기 풀러(21)는 그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헤드(211)가 연장되고 풀러(21)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세 개의 아암(23)이 세로로 동일한 방향에서 연장된다. 상기 풀러(21)의 헤드(211)를 관통하는 슬롯(212)은 나비너트(22)가 슬롯(212) 속으로 피벗되게 C-클램프(221)에 의해 잠겨지도록 그 꼭대기에 고리모양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나비너트(22)는 작용너트(11)에 가까운 위치에서 나사봉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봉(1)은 그것의 중앙단부(12)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의 축을 붙잡아 고정시키도록 슬롯(212)을 통하여 관통한다. 상기 액티베이션기구(3)는 연접베이스(31)와 볼트조임베이스(32)를 포함한다. 상기 연접베이스(31)는 나사봉(1)의 중앙단부(12)에 가까운 위치에서 나사봉(1)을 통하여 관통하고 각 아암(23)의 말단에 제각기 고정된다. 세 개의 연결아암(311,312,313)들은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 연접베이스(31)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상기 세 개의 연결아암(311,312,313)들을 절충함으로써, 세 개의 고정아암(321,322,323)들이 그것의 대응 연결아암(311,312,313)들 보다 각각 긴 길이로 풀러(21)의 헤드(211)와 연접베이스(31) 사이에서 제2베이스(볼트조임베이스)(32)에 배치된다.
각각의 고정아암(321,322,323)은 그것의 말단에서 대응하는 턱(4)의 일단에 피벗된다. 상기 턱(4)의 타단에는 후크(41)가 설치된다.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액티베이션아암(42)은 일단이 상기 턱(4)의 중간부에 피벗되고 타단이 연결아암(311,312,313)에 피벗된다.
상기 연접베이스(31)의 연결아암(312)과 연결하여, 예비연결아암(314)이 상기 연접베이스(31)에 배치된다. 볼트조임베이스(32)의 고정아암(322)과 연결하여, 예비고정아암(324)이 볼트조임베이스(32)에 배치된다. 이 점에서, 이러한 턱(4)들로부터의 하나가 쑥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지고 그 후, 상기 제거된 턱은 예비연결아암(314)과 예비고정아암(324)에 각기 적용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비너트(22)는 연접베이스(31)와 볼트조임베이스(32)가 둘 다 상호 인접하게 가까워지도록 회전되어서, 나사봉(1)의 중앙단부(12)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을 잡고 있는 동안 원주에 의해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을 붙잡도록 상기 턱(4)의 각 후크(41)를 끌어당기고; 그 후, 작용너트(11)가 상기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의 축을 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중앙단부(12)를 밀어내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을 움켜잡고 제거하기 위해 세 개의 턱들이 구비된 풀러에 적용가능하다.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이 위치된 곳에서, 세 개의 턱(4)을 갖는 풀러의 사용을 방해하는 다른 기구에 의해 야기되는 제한된 공간이나 어떤 장애물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예비연결아암(314)과 예비고정아암(324)에 각기 적용되기 위한 하나의 턱(4)만을 남기도록 제거된 두 개의 턱(4)들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나비너트(22)는 턱(4)의 후크(41)로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의 원주를 붙잡을 수 있게 턱(4)을 각기 작동시키는 예비연결아암(314)과 그것에 대응하는 연결아암(312)이 끌어당겨지도록 연접베이스(31)와 볼트조임베이스(32)가 모두 상호 인접되게 하기 위해 회전되고; 그 후 작용너트(11)는 상기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의 축을 붙잡기 위해 중앙단부(12)를 밀어내도록 회전된다.
그러므로,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이 위치되고 세 개의 턱을 갖는 풀러가 사용되는 한정된 공간에서 상기 풀러는 두 개의 턱을 갖는 풀러(4)로 즉시 변환될 수 있어서, 두 개의 다른 풀러들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고 두 개의 다른 풀러들을 위해 요구되는 저장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게다가, 세 개의 턱(4)에서 두 개의 턱(4)으로의 손쉬운 변환은 최소의 시간 내 최상의 작업 능률을 준다.
본 고안에 따른 풀러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턱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최소의 시간 내 최상의 작업 능률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을 잡아서 고정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풀러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턱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을 잡아서 고정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풀러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턱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나사봉(threaded rod) 2 : 구동기구(drive mechanism)
3 : 액티베이션기구(activation mechanism)
4 : 턱(jaw) 11 : 작용너트(working nut)
12 : 중앙단부(centering end) 21 : 풀러(puller)
22 : 나비너트(winged nut) 23 : 아암(arm)
31 : 연접베이스(connecting base) 32 : 볼트조임베이스(bolting base)
41 : 후크(hook) 42 : 액티베이션아암(activation arm)
211: 헤드(head) 212: 슬롯(slot)
221: C-클램프
311,312,313: 연결아암(connecting arm)
314: 예비연결아암(auxiliary connecting arm)
321,322,323: 고정아암(fixing arm)
324: 예비고정아암(auxiliary fixing arm)

Claims (4)

  1. 나사봉(1), 구동기구(2) 및 액티베이션기구(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봉(1)은 상부 끝단에 작용너트(11)와 하부끝단에 나사봉(1)의 중앙단부(12)가 배치되고, 나사봉(1)의 중앙단부(12)가 제조공정에 있는 제품(5)의 축을 붙잡아 고정하도록 상기 나사봉(1)이 슬롯(212)을 통하여 관통하며;
    상기 구동기구(2)는 풀러(21)와 나비너트(22)를 포함하고, 상기 풀러(21)는 헤드(211)가 구비되고 다수의 아암(23)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타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풀러(21)의 헤드(211)가 관통되도록 슬롯(212)이 설치되며, 상기 슬롯(212)에 피벗된 나비너트(22)는 상기 작용너트(11)에 가까운 위치에서 나사봉(1)에 고정되고;
    상기 액티베이션기구(3)는 연접베이스(31)와 볼트조임베이스(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접베이스(31)는 상기 나사봉(1)의 중앙단부(12)에 가까운 위치에서 나사봉(1)을 통하여 관통되고 각 신장 아암에 제각기 고정되며, 다수의 연결아암(311,312,313)들은 상호간에 정해진 공간에서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접베이스(31)로부터 연장되는 정해진 연결아암(311,312,313)에 대하여 하나의 예비연결아암(314)이 연접베이스(31)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조임베이스(32)는 상기 풀러(21)의 헤드(211)와 연접베이스(31) 사이에서 나사봉(1)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아암(311,312,313)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아암(321,322,323)이 상호간에 정해진 공간에서 볼트조임베이스(32)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볼트조임베이스(32)에 정해진 고정아암(321,322,323)에 대하여 예비고정아암(324)이 볼트조임베이스(32)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아암(321,322,323)의 길이가 상기 연접베이스(31)로부터 연장하는 연결아암(311,312,313)의 길이보다 더 길고, 어떤 턱(4)이든지 상기 예비연결아암(314) 및 예비고정아암(324)에 각기 연결될 수 있도록 쑥 들어가게 할 수 있으며,
    턱(4)이 상기 볼트조임베이스(32)의 고정아암(321,322,323)의 말단에 각기 피벗되고, 액티베이션아암(42)이 상기 턱(4)의 중간에 피벗됨과 동시에 상기 연접베이스(3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아암(311,312,313)에 각기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암(321,322,323)의 말단에 위치되는 턱(4)의 한 끝단에 후크(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베이션아암(42)이 두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비너트(22)를 축으로 하여 선회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212)에 C-클램프(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러.
KR20-2005-0020722U 2005-07-15 2005-07-15 풀러 KR200397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22U KR200397030Y1 (ko) 2005-07-15 2005-07-15 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22U KR200397030Y1 (ko) 2005-07-15 2005-07-15 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030Y1 true KR200397030Y1 (ko) 2005-09-28

Family

ID=4369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22U KR200397030Y1 (ko) 2005-07-15 2005-07-15 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0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520B1 (ko) * 2013-04-30 2015-02-17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배기용 슬리브 교환 장치
CN107351019A (zh) * 2017-09-12 2017-11-17 周楠 一种混合型多功能机械拉拔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520B1 (ko) * 2013-04-30 2015-02-17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배기용 슬리브 교환 장치
CN107351019A (zh) * 2017-09-12 2017-11-17 周楠 一种混合型多功能机械拉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573B1 (en) Puller
US9724807B2 (en) Clip clamping mechanism of pressure fixture and pneumatic caliper having the same
CN1049172C (zh) 一种可调整夹紧装置
US20090026428A1 (en) Extension rod used for a jack arm
CN109361077B (zh) 人型电力线夹及其装拆线方法和装拆线所使用的机械手爪
US6665921B2 (en) Pu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pulling
KR200397030Y1 (ko) 풀러
JPS61288977A (ja) 端部開口レンチ
JPS6133873A (ja) 蒸気発生器の管床から伝熱管を引き抜く工具
CN110524463B (zh) 一种多用套筒及其使用方法
CN105923461A (zh) 一种焊丝轴定位工装锁紧机构
US20160243685A1 (en) Fastener staging and place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I711512B (zh) 車用接頭之拔取工具
CN212601539U (zh) 一种扳手
JP2005279809A (ja) 引抜工具
WO2020207122A1 (zh) 对敲式反作用力臂机构
CN220922280U (zh) 一种二通插装阀拉拔器
KR20100011072A (ko) 분할핀 분리장치
US20190184533A1 (en) Tool for pulling in a fastener
CN215093328U (zh) 链条拆装工具
EA03899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тягивания резьб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CN220029901U (zh) 一种灵活性高的取样钳钳头组件
CN217338882U (zh) 器械夹持钳
CN220698776U (zh) 过盈安装辅助工具
CN219945848U (zh) 双头挡圈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