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556Y1 -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556Y1
KR200396556Y1 KR20-2005-0020304U KR20050020304U KR200396556Y1 KR 200396556 Y1 KR200396556 Y1 KR 200396556Y1 KR 20050020304 U KR20050020304 U KR 20050020304U KR 200396556 Y1 KR200396556 Y1 KR 200396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charge
charg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오
Original Assignee
김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오 filed Critical 김윤오
Priority to KR20-2005-0020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5/00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 G07F15/003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 G07F15/006Coin-freed apparatus with meter-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gas or electricity for electricity dispensed for the electrical charging of other devices tha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 및 디지털 카메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속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배터리 급속 충전시 충전데이터를 외부에서 확인 관리할 수 있도록 배터리 충전시간 및 충전량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되,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는 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 급속충전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이 일정량 이상 충전되면 이를 충전 횟수에 산입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에서의 충전 횟수 변경시 그에 따른 충전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터 기록부; 전체 회로와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충전기의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서 생성된 충전데이타를 POS 컴퓨터로 연결 전송하기 위한 송신 포트와 연결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Recharger for recharging the battery quickly}
본 고안은 급속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충전시간 및 충전량 등과 같은 충전데이터를 외부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급속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급속 충전기는 국내 CDMA/ PCS의 휴대폰과 디지털 카메라 배터리 및 수출용 G.S.M방식의 배터리 등을 급속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용의 편의상 통상적으로 편의점, 또는 여행지 등의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영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속 충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급속 충전기는 충전용 PCB를 내장하는 바텀 커버(1)와, 이 바텀 커버(1)에 대향하여 조립하는 탑 커버(2)와, 상기 탑 커버(2) 상에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배터리를 거치하는 슬라이드 홀더(3,4)와, 상기 슬라이드 홀더(3,4)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탑 커버(1) 상에서 힌지 이동하는 핀커버(5)와 그와 쌍을 이루는 하판(6), 및 그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식으로 삽지되는 │자 형상의 컨택핀(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속 충전기는 충전 상태 및 이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충전량 표시램프(8)와, 카운터부(9), 및 카운터 표시부(10)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량 표시램프(8)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 상태를 램프의 점등에 의해 표시해 주며 배터리의 충전상태는 25%, 50%,75%, 완충으로 구분되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운터부(9)는 지금까지의 충전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능을 가지며, 배터리의 충전량이 약 25% ~ 50% 정도 충전되었을 때 이를 지금까지의 충전 횟수에 합산하여 카운터한 후, 그 값을 카운터 표시부(9)로 출력한다.
상기 카운터 표시부(10)는 상기 카운터부(9)의 출력신호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몇 번 사용하였는지 숫자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가지며, 사용횟수는 1~999까지 표시되며 999이상으로 사용시 다시 1부터 카운터 되어 영구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배터리 급속 충전기는 배터리를 충전한 후 그에 따른 충전시간 및 충전량에 대한 충전데이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어, 소비자가 일정량 이상 배터리를 충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간에 시간 여건상 배터리를 뺄 경우에는 그에 합당한 비용을 요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상기 카운터부(9)는 배터리 충전량이 약 25 ~ 50%정도 충전된 상태에서 카운터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배터리 충전량이 50% 이상 충전된 상태에서 중간에 배터리를 뺀 경우에는 소비자로부터 비용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카운터 표시부(10)에는 충전 횟수가 산입되게 되어, 종업원과 고용주와의 사이에 오해의 소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신형의 카메라폰 및 PDA 폰의 경우에는 배터리 접촉단자가 단말기의 배면 하측에 형성된 경우가 많으나, 상기 │자형의 컨텍핀(7)은 종래 단말기 저면에 형성된 배터리 단자에 맞추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최신형 단말기에는 접촉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 급속 충전기에서 충전되는 충전시간 및 충전량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급속충전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급속 충전기는 충전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는 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 급속충전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배터리 단자가 단말기 저면에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배터리 단자가 단말기의 배면 하측에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도 컨텍핀에 의한 접촉이 용이하도록 한 배터리 급속충전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이 일정량 이상 충전되면 이를 충전 횟수에 산입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에서의 충전 횟수 변경시 그에 따른 충전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터 기록부; 전체 회로와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충전기의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서 생성된 충전데이타를 POS 컴퓨터로 연결 전송하기 위한 송신 포트와 연결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급속 충전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급속 충전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한편, 본 고안의 급속 충전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도 2의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급속 충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이 일정량 이상 충전되면 이를 충전 횟수에 산입하는 카운터부(9)와, 상기 카운터부(9)에서의 충전 횟수 변경시 그에 따른 충전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터 기록부(11)와, 전체 회로와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 충전기의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12); 및 상기 데이터 기록부(11)에서 생성된 충전데이타를 POS 컴퓨터로 연결 전송하기 위한 송신 포트(13)와 연결 커넥터(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속 충전기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8)와, 상기 카운터부(9)의 충전 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터 표시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부(9)는 배터리의 충전 횟수를 카운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시 배터리 충전량을 감시하여 그 충전량이 약 25% ~ 50% 정도 충전되었을 때 이를 지금까지의 충전 횟수에 합산하여 카운터한 후, 그 값을 상기 카운터 표시부(10)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기록부(11)는 상기 카운터부(9)에서의 충전 횟수 변경시 그에 따른 충전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기록부(11)에서 기록된 충전데이터는 해당 충전의 완료시점 또는 충전 시간별로 상기 POS 컴퓨터(2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충전데이터는 충전 전·후의 충전시간 및 그에 따른 충전량으로 표시되며, 상기 충전량은 전체 배터리 충전량에 대한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연결 커넥터(14)에 의해 충전기가 POS 컴퓨터(20)에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 접촉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5)의 전원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배터리 충전량이 25% ~ 50% 정도 충전되면 상기 카운터부(9)에 충전횟수를 카운터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부(9)에서의 충전 횟수 변경시 이를 상기 데이터 기록부(11)로 출력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5)는 상기 연결 커넥터(14)에서 어스시키어 수동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충전기가 연결 커넥터(14)에 의해 상기 POS 컴퓨터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충전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종업원이 충전데이타를 POS 컴퓨터(20)에 남기지 않고 고용주 몰래 충전 서비스를 하고자 하더라도, 상기 연결 커넥터(14)에 의해 상기 POS 컴퓨터(20)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충전기에 전원조차 들어오지 않게 되어 종업원의 눈속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 커넥터(14)는 해당 제조업체에서 제공되는 전용 커넥터만이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OS 컴퓨터(20)는 편의점 등에서의 POS(Point of Sales) 시스템에 이용되는 컴퓨터로서, 상기 POS 시스템이란 매상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바코드나 광 문자, 인식(OCR) 문자 등 기계가 읽어 들일 수 있는 형태로 표현된 상품명이나 가격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컴퓨터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POS 시스템에서 본 고안의 충전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충전서비스를 한 시점에 매출을 등록, 집계, 관리하여 경영자에게 필요한 각종 영업, 경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POS 컴퓨터를 인터넷과 연결할 경우에는, 상기 충전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웹을 통한 시스템 유지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같은 POS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상기 POS 컴퓨터(20) 외에, 바코드스캐너, POS 키보드(계산대), 영수증프린터, 모니터 등의 입출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바, 필요시 상기 충전데이터를 상기 영수증프린터로 출력하여 보관하거나 증빙용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급속 충전기는 배터리 충전단자에 접속되는 컨텍핀(7)을 ㄱ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배터리의 배면 하단부에 배터리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최신형 카메라폰 및 PDA 폰 등에도 접점 단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급속 충전기의 기능 및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 커넥터(14)에 의해 POS 컴퓨터(20)에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기에 전원이 들어오게 된다. 이후 충전기의 ㄱ자형 컨텍핀(7)에 휴대폰에서 분리된 배터리의 충전단자가 일치되면, 프로그램가능한 IC를 갖는 PCB로부터 극성을 자동으로 읽어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배터리에 충전된 충전량을 상기 충전량 표시램프(8)에 표시하게 된다.
충전시작 후 배터리 충전이 약 25% ~ 50% 정도 충전되면, 제어부(12)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카운터부(9)에서는 이전까지의 충전 횟수에 1을 가산한 후, 이를 상기 카운터 표시부(10)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부(9)에서의 충전횟수 변경시, 상기 데이터 기록부(11)에서는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전·후의 충전시간 및 그에 따른 충전량에 대한 충전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POS 컴퓨터(2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에 의해 POS 컴퓨터(20)로 전송된 충전데이터는 영수증프린터로 출력되거나, POS 컴퓨터 내의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분류 저장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급속 충전기는 충전되는 충전시간 및 충전량에 대한 충전데이터를 외부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서비스에 대한 매출 관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급속 충전기는 충전데이타의 저장 및 출력이 가능한 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종업원 등의 눈속임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배터리 단자가 단말기 저면에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배터리 단자가 단말기의 배면 하측에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에도 컨텍핀에 의한 접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급속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급속 충전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컨텍핀 8: 충전량 표시램프
9: 카운터부 10: 카운터 표시부
11: 데이터 기록부 12: 제어부
13: 송신 포트 14: 연결 커넥터
15: 전원 공급부 20: POS 컴퓨터
30: 배터리

Claims (4)

  1.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충전이 일정량 이상 충전되면 이를 충전 횟수에 산입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에서의 충전 횟수 변경시 그에 따른 충전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터 기록부;
    전체 회로와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충전기의 전체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서 생성된 충전데이타를 POS 컴퓨터로 연결 전송하기 위한 송신 포트와 연결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연결 커넥터에서 어스시키어 수동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램프와
    상기 카운터부의 충전 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터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충전기
  4.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단자에 접촉되는 컨텍핀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급속충전기
KR20-2005-0020304U 2005-07-12 2005-07-12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KR200396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04U KR200396556Y1 (ko) 2005-07-12 2005-07-12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04U KR200396556Y1 (ko) 2005-07-12 2005-07-12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556Y1 true KR200396556Y1 (ko) 2005-09-22

Family

ID=4369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04U KR200396556Y1 (ko) 2005-07-12 2005-07-12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5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758B2 (en) Locating equipment docking station communicatively coupled to or equipped with a mobile/portable device
JP5073365B2 (ja) 非接触充電装置
EP2445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US20080007212A1 (en) Universal charger
EP0591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lurality of portable computers
JPH09101842A (ja) 携帯型電子機器
US20060267754A1 (en) Data collection apparatus
KR20060125404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WO2012076573A1 (fr) Dispositif de paiement électronique apte à recevoir et maintenir un téléphone portable
KR100851361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0801122B1 (ko) 모바일 단말기
KR200396556Y1 (ko) 배터리의 급속 충전기
US9129315B2 (en) Bill folder with visual device and dynamic information content updating system
CN201655140U (zh) 一种具有事务管理功能的电子台历
US20160126761A1 (en) Power Management Systems for Product Demonstration Fixtures
JP2006246217A (ja) 携帯端末システム
CN202486888U (zh) 自助照片打印机
US10401831B2 (en) POS system with life-percentage displaying and prompting function
US2009027187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isassemble history information and judg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668944B2 (en) Modular head-mounted peripheral platform
KR200485866Y1 (ko) 메뉴판이 구비되는 보조 전원 공급 장치
CN114222943A (zh) 模块化头戴式外围平台
JP6978954B2 (ja) リーダライタ、携帯型決済端末機及び決済システム
KR200485324Y1 (ko) 크래들과 무료충전용광고 앱을 이용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CN217467756U (zh) 新型政府服务中心用自助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