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98Y1 -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 Google Patents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98Y1
KR200396398Y1 KR20-2005-0019536U KR20050019536U KR200396398Y1 KR 200396398 Y1 KR200396398 Y1 KR 200396398Y1 KR 20050019536 U KR20050019536 U KR 20050019536U KR 200396398 Y1 KR200396398 Y1 KR 200396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lock
block
rubber
drain groov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알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알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알이씨
Priority to KR20-2005-0019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층과 폐타이어, 우레탄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진 상부 유색층으로 구성된 고무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블럭의 중앙부에 배수홈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홈에 우레탄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진 결합블럭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 배수가 용이한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은, 시공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며, 고무블럭의 중앙부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수홈과 관통공을 형성하여, 우천시 등에 우수가 블럭 상부에 고이지 않게 되므로, 보행자에게 안락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A U-type rubber block unified}
본 고안은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층과 폐타이어, 우레탄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으로 이루어진 상부 유색층으로 구성된 고무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블럭의 중앙부에 배수홈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홈에 결합블럭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 배수가 용이한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인도나 광장 등에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던 보도블럭은 골재와 모래 시멘트를 일정비율로 혼합, 성형된 것이었다.
그러나 콘크리트재 보도블럭은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특성으로 그 수명이 짧고 보행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므로, 근래에는 폐타이어, 우레탄, 고무 등을 이용한 고무블럭을 사용하는 예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고무블럭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폐자재들 중 하나인 자동차 폐타이어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일조할 수 있고, 일정한 탄력성과 부드러운 보행감으로 피로를 감소시키며, 마찰계수가 높아 우천시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고무블럭은 그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분통과가 어려우므로, 크기가 다소 큰 블럭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블록 상부에 우수 등이 고이게 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작은 블럭을 짜맞추어 블럭들의 사이로 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인건비가 증가하여 전체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고무블럭이 갖는 내구성 및 탄력성을 그대로 갖으며, 배수가 용이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한 고무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은, 2~8mm의 굵은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층과, 0.5~2mm의 가는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에 유색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상부 유색층으로 구성된 고무블럭에 있어서, 여러 개의 블럭이 결합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상부 유색층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고무블럭의 두께의 30~50%에 해당하는 깊이로 상기 고무블럭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고무블럭의 하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과,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홈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결합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은, 고무블럭의 상부 유색층이 우레탄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하부 탄성층은 2~8mm 입경의 굵은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와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부 유색층은 0.5~2mm 입경의 가는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와 폴리우레탄 바이더와 유색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무블럭의 금형에 하부 탄성층의 혼합재와 상부 유색층의 혼합재를 차례로 적층시킨 뒤 가압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동시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유색층은 폐타이어 대신 우레탄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안료 등을 혼합하지 않고도 우레탄이나 EPDM 자체의 색상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폐타이어칩등에 도색을 하던 방식과는 달리 색이 벗겨지거나, 탈색됨이 없이 선명한 색을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여러가지 색으로 이루어진 고무블럭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연출로 화려하고 세련된 바닥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1)은 블럭측면의 굴곡을 이용하여 끼워 맞춰 시공되던 종래의 블럭이 여러 개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나의 고무블럭(1)으로 종래의 블럭에 비하여 4~5배 정도 더 넓은 면적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각 면에 지그재그의 굴곡이 형성된 블록의 형태만을 나타내었으나,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의 성격이나, 원하는 바닥면의 도안에 따라, 각 면이 직선이나 곡선으로 구성된 다각형의 블럭 또는 결합구를 갖는 블럭으로 변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1)에서 상부 유색층(3)의 상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블럭이 서로 결합된 모양으로 오목홈(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블럭(1)의 중앙부에는 오목홈(4)의 연장된 선을 따라 고무블럭(1) 두께의 30~50% 정도의 깊이로 배수홈(5)이 형성된다.
우천시 등에 고무블럭(1)의 상부에 떨어져 고인 우수는 오목홈(4)을 따라 흐르게 되어 결합된 고무블럭(1)들의 틈이나 고무블럭(1) 중앙부의 배수홈(5)으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배수홈(5)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무블럭(1)의 하면까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6)이 형성되어, 배수홈(5)으로 흘러들어간 물은 배수홈(5)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6)을 따라 고무블럭(1)의 하면으로 이동함으로써 배수가 이루어진다.
배수홈(5)에는 배수홈(5)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결합블럭(7)이 결합되게 된다. 결합블럭(7)은 우레탄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무블럭(1) 두께의 30~50%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된 배수홈(5)에 보행자의 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고무블럭 시공 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블럭(7)의 색채만 고무블럭(1)의 상부 유색층(3)의 색채와 달리하는 경우에는 화려한 색채의 조합에 의한 미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결합블럭(7)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관통공(6)이 형성된 배수홈(5)의 형태는 가려지게 되며, 오목홈(4)의 형태로 인하여 외견상 종래의 블록이 여러개 짜맞추어져 결합된 것으로 보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합블럭(7)은 배수홈(5)에 꼭 맞도록 제작되어 시공되고, 고무블럭(1)의 하부 탄성층(2) 및 상부 유색층(3)을 구성하고 있는 폐타이어칩이나 합성고무 등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갖음으로 인하여 고무블럭(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보다 내구성 있는 시공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은 굵은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층과, 가는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와 유색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상부 유색층으로 구성되고, 고무블럭의 두께의 30~50%에 해당하는 깊이로 배수홈이 상기 고무블럭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고무블럭의 하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에 우레탄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진 결합블럭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우천시 등에 우수는 고무블럭(1) 상부면의 오목홈(4)을 따라 흐르게 되어 배수홈(5)으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배수홈(5)으로 흘러들어간 물은 배수홈(5)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6)을 따라 고무블럭(1)의 하면으로 이동하며, 고무블럭(1)의 하면에 도달한 물은 고무블럭(1)의 하면에 형성된 수통로(8)를 따라 흐름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은, 종래의 다수 개의 블럭각각을 결합시켜서 시공하던 것을 하나의 블럭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가 절약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의 중앙부에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수홈과 관통공을 형성하여, 우천시 등에 우수가 블럭 상부에 고이지 않게 되므로, 보행자에게 안락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배수홈의 상부에는 우레탄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진 결합블럭을 결합시킴으로써 한층 정돈된 시공을 할 수 있으며, 결합블럭의 색채를 고무블럭의 상부 유색층 색채와 달리함으로써, 화려한 색의 조화에 의한 미적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의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블럭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고무블럭 2. 하부 탄성층
3. 상부 유색층 4. 오목홈
5. 배수홈 6. 관통공
7. 결합블럭 8. 수통로

Claims (2)

  1. 2~8mm의 굵은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하부 탄성층과, 0.5~2mm의 가는 폐타이어칩 또는 합성고무에 유색안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상부 유색층으로 구성된 고무블럭에 있어서,
    여러 개의 블럭이 결합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상부 유색층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고무블럭의 두께의 30~50%에 해당하는 깊이로 상기 고무블럭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고무블럭의 하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과,
    우레탄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배수홈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결합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색층은 우레탄 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식 U자형 고무블럭.
KR20-2005-0019536U 2005-07-05 2005-07-05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KR200396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36U KR200396398Y1 (ko) 2005-07-05 2005-07-05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36U KR200396398Y1 (ko) 2005-07-05 2005-07-05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98Y1 true KR200396398Y1 (ko) 2005-09-21

Family

ID=4369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36U KR200396398Y1 (ko) 2005-07-05 2005-07-05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08B1 (ko) * 2023-04-26 2023-09-26 (주)홍익이엔아이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 고무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08B1 (ko) * 2023-04-26 2023-09-26 (주)홍익이엔아이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 고무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407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CN204875441U (zh) 建筑装饰地板砖
KR200396398Y1 (ko)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CN1332095C (zh) 含废聚氨酯屑的现有道路用弹性排水路面及其铺筑方法
KR20110016158A (ko)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KR102140338B1 (ko) 합성투수블럭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30986B1 (ko) 투수성 플렉스 로드 자전거 도로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KR100659768B1 (ko) 탄성 포장재의 배수 장치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0895438B1 (ko) 보도블럭 커버
KR101283346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100877350B1 (ko) 자연석 및 인조석을 이용한 투수성 마감층 포장재 및 마감층의 포장방법
CN201062336Y (zh) 人造大理石、花岗岩侧石
KR100936968B1 (ko) 교량의 오수 차단용 커버
JP2625343B2 (ja) 耐退色性、透水性表面舗装材
CN215104355U (zh) 一种防止打滑的再生水洗石
KR100514660B1 (ko) 폐타이어 고무칩과 세골재를 이용한 고무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361674Y1 (ko) 생태용 도로경계석
KR200378258Y1 (ko) 물흐름 경사각이 형성된 투수형 고무매트
KR200248503Y1 (ko) 보도블록
KR200317142Y1 (ko) 자연석을 이용한 차도블록
WO2020230474A1 (ja) 透水性構造体
KR20120113031A (ko)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KR100636024B1 (ko) 명색 야광 우레탄을 이용한 포장재의 포장구조 및 그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