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78Y1 - 어신 감지용 전자 찌 - Google Patents

어신 감지용 전자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78Y1
KR200396278Y1 KR20-2005-0019323U KR20050019323U KR200396278Y1 KR 200396278 Y1 KR200396278 Y1 KR 200396278Y1 KR 20050019323 U KR20050019323 U KR 20050019323U KR 200396278 Y1 KR200396278 Y1 KR 200396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ing
electronic
lithium batte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이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수 filed Critical 이해수
Priority to KR20-2005-0019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바다 낚시에 있어 어신 감지용 전자 찌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사용자에게 신속한 어신 전달을 하고 동시에 1차적인 낚아채는 동작을 발생시키고 리튬 전지의 소모량을 절약시키며 정밀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어신 감지용 전자 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안의 구성
본 고안의 어신 감지용 전자 찌를 사용하여 밤 낚시를 할 때 어신 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에서는 비 발광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있고 고기로부터 어신 을 받게 되면 본 고안의 어신 감지용 전자 찌의 하단으로 돌출되어있는 어신 감지 봉에 어신 이 전달되고 내부에 잠겨있던 잠금장치에 어신 을 다시 전달하게 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상기의 잠금장치는 비교적 먼 거리인 약 40mm까지 직접 상승 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상단에 위치하며 리튬전지가 꼽혀있는 리튬전지 기판에 상기의 탄성력이 전달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달된 힘에 의해 상승이 된 리튬전지 기판은 상단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전기를 통하여 발광이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압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과 잠금장치의 순간 상승 기능을 낚시 바늘까지 연계시켜 고기의 입질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낚아채는 동작과 신속한 어신 전달을 제공하여 즐거운 낚시 시간을 가지게 하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어신 감지용 전자 찌 {Electronic float}
<1> 종래의 어신 감지용 전자 찌의 구조는 무선 송수신, 센서기술, 자석 등 구조가 복잡하고 어신 을 받은 뒤 낚아채어서 낚시 바늘까지 힘을 전달하는데 걸리는 전체 소요시간이 입질한 후 고기가 돌아서는 속도보다 보통 느리기 때문에 고기는 쉽게 낚이지 않는다.
<2> 종래 캐미라이트 사용 찌는 한번 출조시 보통 10개 구비해야될 정도로 불량품이 많고 남아있는 제품을 다음에 사용하기 위해 포장용기를 뜯어보면 광도가 희미하여 이미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리튬건전지를 끼워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 찌의 경우는 항상 발광시켜야 하며 보통은 한번에 2개씩 끼워 사용하므로 그 소모량이 너무 많다.
<3> 종래 전자 찌의 조립 방법에 있어 몸체에 각 부품의 요부를 그냥 끼워서 조립시킴으로 부품들 간의 낌, 회전, 좌우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제품들 간의 정밀성과 균일성이 충분치 못하였다.
본 고안은 야간 낚시에 있어 어신 감지용 전자 찌에 관한 것으로 내설 되어있는 압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직접 이용하여 발광시키는 것과 동시에 낚아채는 효과를 가지는 어신 감지용 전자식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에 찌 스스로 낚아채는 동작을 1회 하게 되어있고 동시에, 신속한 어신 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전자식 낚시 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에 찌 스스로 낚아채는 동작을 1회 하게 되어있고 동시에 신속한 어신 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리튬전지의 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는 전자식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기의 입질이 있을 때에 찌 스스로 낚아채는 동작을 1회 하게 되어 있고 동시에, 신속한 어신 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리튬전지의 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정밀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전자식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어신 감지용 전자 찌의 개략적인 구조와 동작을 함께 설명하면 반구형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상부와 하부에 구멍이 뚫려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면서 상하 분리형의 부력체를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는 상하 분리형의 내실 상부의 상단은 돔형으로써 세로무늬가 있으며 안쪽에 볼록 돋보기가 붙은 적색 덮개가 발광 다이오드(LED) 를 감싸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에 연결된 도전선 이 내벽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탄성 스펀지와 리튬전지를 끼울 수 있고 저항이 내장되어 있으며 측면에 도전판이 끼워져 있어 동시에 승강되는 리튬전지 기판에 접착되어 있으며 도전선 과 리튬전지 기판 키 홈 밖으로부터의 방수를 위해 내실 상부 덮개로 나사조립이 되어 발광부를 이루는 내실의 상부와: 하단의 내실의 하부는 내측 좌우 수직방향의 승강용 홈을 가지는 승강구간과 승강구간을 상하이동하는 일체형의 잠금장치와 원형통과 어신감지봉이 있으며 어신감지봉을 감싸고 있는 자바라 형 방수포와 그 밖의 스프링과 충격흡수 스펀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내실상부와 내실하부는 O-링과 나사조립이 되며 내실하부 외경의 숫나사와 몸체 하단 중심의 암나사가 조립, 접착, 고정 되며 그 사이에 방수 스펀지가 삽입 되며 몸체 하단 밖으로 이피디엠(EPDM) 방수고무와 원형 통형의 플라스틱 마개로 나사 조립후 접착 고정되며 몸체 하단 가운데는 황동 추가 나사조립 되며 상기 내실 하부 바닥과 몸체 하부의 구멍을 통하여 어신 감지봉은 안과 밖을 반복 이동 할수 있게 되어 있고 어신 감지봉 하단끝에 연결된 유동고리와 낚시줄로 전달되는 어신 을 상기 상승구간을 통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신호전달을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어신 감지용 전자 찌에 의해 상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종래의 전자 찌의 조립은 각 부품을 몸체 내벽에 끼워 단순조립하는 방식이며 본 고안의 찌의 조립은 승강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은 별도의 원통형 내실속의 동축상에서 조립을 완성한 후 몸체 하단 중심의 나사에 조립, 접착 됨으로 정밀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낚시줄 에 유동고리와 어신 감지 봉이 연결되어 있고 사용 직전에 상기 전자찌의 하부의 어신 감지봉을 밖으로 당겨 빼면 내부의 장금장치가 측면 홈에 걸리며 스프링은 압축되고 발광부 발광 다이오드(LED) 는 비 발광 상태로써 준비 상태가 된다.
이를 수면의 목표위치에 던져 기다리고 있다가 고기가 입질을 하게 되면 상부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가 발광을 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다리는 대기 상태에는 비록 발광 부는 소등이 된 상태이지만 몸체 상부의 야광현상으로 본 고안의 전자 찌의 위치를 충분히 알수있다. 낚시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는 이 대기 시간동안 리튬전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리튬전지 사용량을 많이 절약할수 있다.
대기상태에서 고기가 입질을 하게 되면 어신 감지 봉은 아래로 약 5mm 하강 되면서 내부의 잠금장치가 풀림과 동시에 압축된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부로 작용하여 잠금장치와 함께 리튬 전지가 끼워져 있는 리튬전지 기판을 상승 시켜 발광부에 통전되면서 발광다이오드(LED) 가 순간적으로 발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또한 상기의 상승시의 승강구간은 약 40mm로 설정되어 있어 전자 찌 내부로 보면 비교적 긴 거리이지만 잠금 장치에 연결되어있는 어신 감지 봉도 같은 속도로 상승함에 따라 물속에 미끼를 물고 있는 고기의 입속에서 미끼 속의 낚시 바늘을 순식간에 상승시켜서 고기의 입언저리를 자동적으로 살짝 걸게 되는 기능 (아오시 기능) 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고기의 입질 발생시 어신 감지 봉은 약 5mm이상은 하강하지 못하고 전자 찌의 몸체가 잠수해 버리면 목적을 이룰 수 없게 되며 전자 찌의 작동의 강도는 약하게 되어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 찌의 각 재료의 두께, 공간의 넓이, 전체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1차적으로 충분한 부력을 갖추고 있겠지만 상기와 같은 추가부력을 순간적으로 필요로 할때 대처하기 위하여 본고안의 전자 찌 표면은 수직방향의 양각비늘 무늬 또는 음각 비늘무늬가 형성 되어있어 큰 표면적과 수직의 큰부력작용을 순간적으로 필요로할때 효과적인 역할을 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자 찌의 몸체는 상부(10) 하부(20) 으로 분리되며 중간에 O-링(21)을 끼워 나사조립이 된다. 재료는 취성이 낮고 강도가 높은 고급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며 야광염료, 안료를 혼합하여 사출성형 됨으로 밤 낚시중 전자 찌의 위치를 충분히 관찰될 수 있게 되어있으며 낚시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 발광 상태에서 리튬전지(93)의 사용을 하지 않게 되어 전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몸체의 표면은 수직 방향의 고기비늘 무늬가 양각 또는 음각(11) 되어있어 일반적인 파도 속이나 소형의 찌를 사용 할 때에 고기의 입질로 인하여 본 고안의 찌가 잠수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밑으로 당기는 어신을 찌 내부의 잠금 장치(60)에 집중시켜 발광, 비 발광 동작을 정확하고 빠르게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사용자가 찌 표면의 디자인을(11) 볼 때 고기를 연상하고 친밀감을 느끼도록 디자인하였다. 몸체 하단 내측 가운데에 내설 된 황동 추(22)는 나사 조립, 교체가 가능하며 찌의 안정된 무게 중심을 부여하고 찌의 무게와 부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내실 상부의 상단은 세로 방향 줄무늬가 있고 안쪽으로 볼록 돋보기가 부착되어 적색의 돔형 덮개가 있고 돔형 덮개의 외경에 나사 가공과 O-링 홈을 두어 조립시에 O-링(31)을 끼우고 접착시켜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몸체의 상부(10)와 하부(20)의 개폐시 내실 상부(30)와 하부(40)가 함께 개폐되는 구조이며 수명이 다 된 리튬전지(93)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 하단에 도전선 고정용 홈(32)이 두 개 좌우에 있으며 그 아래에는 승강로(33) 가 수직으로 뚫려 있으며 내실 상부의 외경은 전면에 숫나사가 가공되어 있다. 상단의 중심부 속에는 8~10mm 의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ED)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연결되어있는 + - 의 도전선(81)은 상기 홈(32)에 끼워 고정된다. 중심의 빈 공간에는 원판형의 탄성 스펀지(91)와 하단의 리튬전지 기판(90)과 끼워진 리튬전지(9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동시에 승강로(33)를 따라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끼워진 리튬전지(93)는 가벼운 충격에 흘러 내리지 않게 되어있으며 리튬전지의 접점 손상 방지와 접촉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스펀지(91)를 리튬전지 기판(90) 상부에 접착 고정시켜 동시 승강 되도록 구성하였다.
상단에 저항(95)을 내장하고 있는 원기둥 형 리튬전지 기판(90)은 측면 좌우의 수직 홈에 폭이 약 1.0~1.5mm 도전판(94)이 내장 노출되어 있어 상승시에 이부분이 발광 다이오드(80)의 연결 도전선(81)과 접촉되면서 통전하여 발광하게 되어있다.
상기 수직 홈(94) 하단에는 좌우 측에 키 홈(96)이 자리하고 직사각형의 돌출키(92)가 끼워져 있어 밖의 승강로(33)를 따라 승강하게 되며 리튬전지 기판(90)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내실 상부 외경에 방수목적의 원통형 내실 상부 덮개(50)가 나사조립 되어진다.
내실의 하부(40)는 상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있고, 중앙의 좌우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약 40mm의 음각홈의 승강로(4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잠금장치의 잠금걸이(61)를 수용하는 잠금걸이 홈(4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턱이 있어 잠금 걸이의 하강시 약 5mm이상 더 하강을 할 수 없게 되어 있고 하단의 외경에는 나사(45,46)가 형성되어 있어 몸체 하단(20)의 중심에 조립되게 구성되어 있고, 내실하단의 중심에는 어신 감지봉이 상하이동되는 구멍이 뚫려있다. 상기 내실의 하부(40) 중앙에는 작은 원형 통(65)이 뚫려 하단에 노출되어 어신 감지봉(70)과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잠금장치(60)가 내설 되며 잠금장치의 상단 좌우에 안이 막힌 잠금 걸이 홈(66)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 소형 스프링(62)과 잠금 걸이(61)가 함께 내장되어 좌우 방향으로 입출왕복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내실 하부의 잠금 걸이 홈(43)과 잠금장치의 잠금 걸이(61)는 라운드 (round)가공을 하여 입 출시에 부드럽게 작동이 되어진다. 내실 하단바닥과 잠금장치의 작은 원형 통(65) 밖으로 스프링(63)이 있게 되고 하단으로 충격흡수 스펀지(64)가 바닥에 접착 되며 내실 하부 내측 바닥과 잠금장치의 작은 원형통 하단에 소형의 자바라 형 방수포(71)가 어신 감지봉(70)을 감싸고 상하에 접착 고정되어있다. 상기 자바라 형 방수포(71)는 어신 감지봉(70)을 따라 함께 승강되는 구조이며 접혔다 폈다 하지만 승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있고 어신 감지봉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접촉되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 스펀지(64)는 고기의 어신 이외의 외력 즉 찌를 투척할 때 받는 저항과 충격, 파도에 의한 영향과 조류, 바람, 수면 아래 봉돌의 유동 등 불필요한 힘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전자 찌는 잠금장치에 직접 영향이 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필요로 하는 각 부품을 내장 한 다음 내실의 상부(30)와 하부(40)는 O-링(41)과 나사조립되고 몸체 하단의 중심의 공간에 원기둥 형상의 방수스펀지(72)가 삽입되고 내실하부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45)는 조립, 접착된다.
상기의 충격흡수 스펀지(64)와 방수 스펀지(72)는 물과 비 친화성의 클로즈셀(Close cell)형 하이파론(Hypalone)이나 네오프랜(Neoplane) 스펀지(잠수복재료)를 재료를 사용한다.
몸체 최하단 밖으로 방수 고무팩킹 (이피디엠 고무)(73)을 삽입한 뒤 플라스틱 원형통 마개(74)를 나사 조립하여 접착 고정 한다.
어신 감지 봉(70)과 잠금장치(60)의 재료는 가늘어도 강하면서 부러지지 않는 탄소섬유나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어신 감지봉(70)의 외경을 가능한 작게 제작하여 방수효과를 증대 시킨다. 상기한바와 같이 어신 감지봉 주변의 방수능력을 극대화 시켜 최악의 조건에서도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 지게 구성하였다. 어신 감지봉(70) 밖을 감싸는 자바라 형 방수포(71)와 방수 스펀지(72), 방수고무(73)는 직접 방수 역할을 하게 되며 내실 하부 바닥과 몸체 하부 바닥과 플라스틱 원형통마개(74)등은 상기의 방수 재료를 잡아주는 실린더의 내벽이나 주사기의 내벽과 같은 기둥역할 을 하게 되어 우수한 방수 효과가 기대된다. 어신감지봉의 최하단 구멍(76)에 유동고리(75)가 연결되어 낚시줄과 연결되게 되어있다.
본 고안의 어신 감지용 전자 찌의 작동의 원리는 고기를 간단하면서도 쉽게 잘 잡도록 낚시할 방법이 없는지 고민을 하던중 쥐덫을 보면서 착안을 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동작을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낚시줄의 밑줄 선정, 길이 결정, 봉돌의 무게 와 부력의 결정, 낚시줄의 수심위치 결정, 낚시바늘의 종류, 크기결정과 미끼 끼우기 등의 낚시조건을 선정 한 후 낚시줄에 연결된 본고안의 전자찌 하부로부터 밖으로 노출된 어신 감지봉(70)을 밖으로 당겨 빼면 내설되어있는 잠금장치(60)의 잠금걸이(61)가 내실 하부의 측면 홈(43)에 끼이게 되어있으며 이때 더이상 당겨도 약 5mm이상 더 하강될수 없도록 하단에 닿게 된다. 또한 어신 감지봉 밖에 구분 색상이 표시되어 있어 더이상 배지 못하도록 표기 되어있다. 이때 스프링은 압축 정지 상태에서 대기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찌와 채비를 수면 목표 위치에 투척하면 본 고안의 전자 찌는 수면 아래의 봉돌등의 무게를 어신감지봉(70)을 통하여 받게 되고 찌의 부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수면에 떠있는 상태가 되며 발광부는 비 발광 상태에 있지만 전자 찌 몸체 상부(10)는 야광 현상을 나타냄으로 전자 찌의 위치는 사용자가 충분히 파악을 하고 있게 된다.
상기 전자 찌를 투척할 때 찌의 어신 감지 봉(70)에는 투척시 방향전환과 수면에 닿는 순간 불균일한 충격을 받게 되지만 본 고안의 전자찌의 내실하부(40)바닥에 위치한 충격 흡수 스펀지(64)에서 일정량의 불균일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잠금장치(60)의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있다. 상기 충격흡수 스펀지(64)는 재료의 밀도, 두께, 충격흡수 강도는 이미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와 유사한 종류의 외력과 충격 즉, 수면 아래 봉돌의 유동, 해조류의 접촉, 파도에 의한 영향, 조류, 바람 등의 영향도 흡수할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기다리다가 고기가 미끼를 물게 되면 어신감지봉(70)의 하단을 아래로 당기는 힘이 작용되면서 상단에 연결된 잠금장치(60)와 압축된 스프링(63)에 전달되어 내실 하부 측면 홈(43)에 걸려있던 잠금장치의 걸이(61)가 풀려 빠지면서 약 5mm 하강하게 된다.
상기 동작과 연동 되어 압축되어있던 스프링(63)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잠금장치(60)는 내실 측면에 음각된 승강구간(44)의 승강로(42)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계속하여 상부에 세 부품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리튬전지 기판(90)의 하단에 탄성 복원력이 전달되면서 일체로 된 탄성 스펀지(91), 리튬전지 기판(90), 리튬전지(93)는 내실 상부에 형성된 승강로(33)를 따라 상승하여 내실상부 내측 좌우측면(32)에 내설된 발광다이오드(LED)(80)의 도전선(81)과 리튬전지 기판(90)의 측면에 내설된 도전판(94)이 접촉되어 통전이 발생되면서 발광 다이오드(LED)(80)가 발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 전체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불과 1~2초밖에 걸리지 않음으로 본 고안의 전자 찌는 신속하고 정확한 어신을 사용자에게 전달할수 있다.
종래기술의 전자 찌는 찌의 잠수도 많고 항상 켜져 있어 미끼를 건드린 건지 파도 때문인지 바람탓인지 구분이 잘 되지 않아 짜증이 나고 매우 피곤하였다.
상기 찌의 작동에 있어 상승구간(44)은 최소 25mm 에서 최대 40mm 로 써 조절 가능한 구조를 생산할 수 있지만 적당한 사용구간을 약 40mm로 고정된 본 고안의 전자 찌가 사용자에게는 편리할 것이다.
상기 상승구간을 따라 잠금장치(60)가 상승할 때 하단에 연결된 어신 감지봉(70)과 낚시줄과 고기바늘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승 거리에 있어서는 잠금장치(60)와 어신 감지 봉(70)은 상승 구간과 동일하지만 1~2초의 빠른 속도의 승강으로 인하여 물속의 낚시줄과 낚시바늘의 상승거리는 그보다 먼 거리를 상승하게 되어있으며 이때 고기가 미끼를 물고있게 되면 고기의 입속에서 낚시바늘은 순간적인 시간에 상승하게 됨으로 고기입에 낚시바늘이 걸리게 되는 (아오시 시킴) 기능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어신을 받게 되면 본 전자 찌의 내부에서 낚아채는 공정이 순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종래의 낚시보다 더욱 흥미롭고 즐거울 것이며, 실전에서 효과가 클것으로 기대된다.
입질이 있은 후 고기가 바늘에 걸리지는 않았지만 미끼가 낚시바늘에 남아있다고 생각되면 좀 기다릴 필요가 있다. 이때 찌의 상황은 발광 다이오드(80)에 불이 들어온 발광된 상태이며 찌는 그 자리에 움직이지 않고 정지 상태로 있게 된다. 다시 고기가 미끼를 건드리게 되면 이번에는 상기의 자동적인 공정이 없으며 즉시 소등이 되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낚시대를 잡아채면 고기를 잡을수 있게 되어있다. 일반적인 경우 어신을 받고 낚시대를 잡아챌때 낚시대의 이동속도는 빠르지만 낚시대와 찌와 낚시바늘의 위치는 직각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강도가 약화됨과 물속 낚시줄의 저항등으로 낚시 바늘이 이동하는 속도는 느리게 나타나며 입질을 하였던 고기는 그 순간 빠져 달아날 확률이 높다. 본 고안의 전자 찌는 순간적인 상승동작 기능을 찌 내부에서 낚시바늘에 작용하게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어신 감지용 전자 찌에 있어 작용 되는 힘의 종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스프링의 압축 탄성력 : 본 전자 찌의 스프링의 총 변위량을 45mm로 (스프링 총 권수를 많게. 이동거리를 크게) 넓게 설정시킴으로 스프링의 지수 값은 커지고 스프링 상수는 작아지게 되어 스프링의 단면적, 선경을 감소 할수 있으므로 약한 어신에 의해서도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스프링 상수(kg/mm)=(재료별 정수*선경4)/(8*유효 권수*중심경3)
외력의 크기 : 투척시 수면에 떨어질 때의 충격, 파도, 해조류의 접촉, 바람, 조류등의 영향으로 발생 되며 실제 실험하여 변위량을 측정하여 최대값 을 구한다.
충격흡수 스펀지의 충격 흡수력 : 외력의 최대값 이 충격 흡수력보다 작거나 같도록 충격흡수 스펀지의 압축되는 변형율을 스펀지의 밀도와 두께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찌의 부력 : 찌의 부력은 바닷물 속 전자 찌의 접촉 부피에 비례하므로 어신 작용시에 가능한 재료의 두께와 무게, 부피를 고려하여 잠수 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잠금장치의 잠금력 : 상대 변위 량을 40mm까지 인위적으로 스프링이 압축 고정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밖으로 나타나지 않는 1차 작동 구간 내에서 비 발광의 대기상태가 유지된다.
어신 작용력 : 수면에 떠 있는 전자 찌의 부력이 작용하는 평형상태 하에서 어신이 작용하여 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이 상대 변위량 40mm를 넘었을 때 2차 작동구간에 들어가며 잠금 장치는 풀리게 되고 압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광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어신 감지용 전자 찌는 압축 스프링으로 발생 되는 탄성 복원력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동축 일체형의 긴 승강로 를 순식간에 상승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한 어신 의 전달과 자동적으로 잡아채는 작동을 제공함으로써 낚시를 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즐거운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 찌의 외관 조립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 찌의 전체를 분해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잠긴 비 발광 상태의 조립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풀린 발광 상태의 조립 종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어신 감지용 전자 찌
10:몸체 상부 11:비늘 무늬
20:몸체 하부 21:O-링 22:황동 추
30:내실 상부 31:O-링 32:도전선 홈 33:승강 로 34:돔형 발광 덮개
40:내실 하부 41:O-링 42:승강 로 43:잠금장치 홈 44:승강 구간 45: 나사 46:나사
50:내실 상부 덮개
60:잠금 장치 61:잠금 걸이 62:스프링 63:스프링 64:충격 흡수 스펀지 65:원형 통 66:잠금 걸이 홈
70:어신 감지 봉 71:자바라 형 방수포 72:방수 스펀지 73:이피디엠(EPDM) 방수 고무 74:원형 통 마개 75:유동고리 76:유동고리구멍
80:발광 다이오드(LED) 81:도전선
90:리튬전지 기판 91:탄성 스펀지 92:돌출 키 93:리튬 전지 94:도전 판 95:저항 96:키 홈

Claims (2)

  1. 본 어신 감지용 전자 찌의 구성에 있어 압축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승강구간을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낚아채는 작동(아오시 시킴)이 되는 점과 직접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발광,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 감지용 전자 찌.
  2. 본 어신 감지용 전자 찌의 몸체 표면을 수직방향의 비늘 무늬를 양각 또는 음각 시킴으로 순간적인 부력 증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 감지용 전자 찌
KR20-2005-0019323U 2005-07-04 2005-07-04 어신 감지용 전자 찌 KR200396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323U KR200396278Y1 (ko) 2005-07-04 2005-07-04 어신 감지용 전자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323U KR200396278Y1 (ko) 2005-07-04 2005-07-04 어신 감지용 전자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78Y1 true KR200396278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323U KR200396278Y1 (ko) 2005-07-04 2005-07-04 어신 감지용 전자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760A (en) Fish-attracting float
CN107711744B (zh) 可调节咬钩感应灵敏度的发光钓鱼装置
KR101159025B1 (ko) 어신감지용 전자찌
US5184414A (en) Floating fishing light and transducer
KR20090083841A (ko) 조도 반응형 낚시 찌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KR200396278Y1 (ko) 어신 감지용 전자 찌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292616Y1 (ko) 어신감지용 발광 낚시찌
US20140150328A1 (en) Fishing float with catch indicator
US20170055510A1 (en) Signaling fishing float
KR940006936B1 (ko) 전자식 낚시찌
KR200429159Y1 (ko) 입질감지센서가 구비된 전자어신찌 및 전자어신케미
KR200387248Y1 (ko) 낚시용 전자찌
JPH11215942A (ja) 魚の食い込み表示機能付き電気うき
KR20190031917A (ko)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CN211532431U (zh) 一种去壳材料电子漂
KR200150848Y1 (ko) 낚시용 전자찌
KR100593260B1 (ko) 움직이는 루어
JP2002171883A (ja) 運動センサ付発光釣り具
KR102553805B1 (ko) 민물낚시용 전자찌
JP2016015900A (ja) 電気ウキ
KR100842106B1 (ko) 기능성 낚시찌
CN219323096U (zh) 垂钓线组与垂钓竿
CN208590454U (zh) 光学透镜电子浮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