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12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12Y1
KR200396212Y1 KR20-2005-0018411U KR20050018411U KR200396212Y1 KR 200396212 Y1 KR200396212 Y1 KR 200396212Y1 KR 20050018411 U KR20050018411 U KR 20050018411U KR 200396212 Y1 KR200396212 Y1 KR 200396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sertion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12Y1/ko
Priority to CNB2006100833665A priority patent/CN100518203C/zh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여도 이탈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힌지체를 이탈 시키고자 할 때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고 나머지 타측은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힌지체를 이탈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분해를 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그로 인해 상기 폴더부 또는 본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량방지와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힌지부는, 상기 고정 힌지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기 힌지체 장축방향의 일단 외주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 일부가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된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여도 이탈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힌지체를 이탈 시키고자 할 때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고 나머지 타측은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힌지체를 이탈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분해를 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그로 인해 상기 폴더부 또는 본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량방지와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엘씨디(Main-Liquid Crystal Display; Main-LCD) 모듈(310) 및 서브엘씨디(Sub-Liquid Crystal Display; Sub-LCD) 모듈(미도시)과 같은 화상표시부(310)가 마련된 폴더부(300)와 다이얼링키 및 각종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210)가 마련된 본체부(200)가 힌지결합장치(5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2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연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칩셋(미도시)(Main Chipset)이 구비되는데, 상기 칩셋(미도시)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Main PCB)(240)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칩셋(미도시)이 실장된 메인 인쇄회로기판(240)은 상기 본체부(200)를 구성하는 본체 전면커버(201)와 후면커버(202) 사이에 구비된 고정부(미도시)에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320)에는 상기 각각의 인쇄회로기판(240, 320)에 실장된 상기 각각의 칩셋(미도시)에서 출력되거나 상기 각각의 칩셋(미도시)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연결장치인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600)이 상기 각각의 인쇄회로기판(240, 320)상에 마련된 제1 및 제2 커넥터(610, 6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와 폴더부(300)는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된 가동 힌지부(510)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된 고정 힌지부(520)에 마련된 힌지 삽입공(521a) 및 힌지 수용부(510a)에 삽입되는 힌지체에 의하여 힌지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체(530)를 상기 힌지장치(500)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이탈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상기 힌지장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폴더 전면커버(301)에 구비된 힌지체 이탈 홈에 송곳 및 드라이버와 같은 힌지 이탈부재(A)를 삽입하여 상기 힌지체(530)를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내면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힌지체(530)를 상기 힌지장치(500)로부터 이탈 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힌지체 이탈 홈(511)은 상기 폴더 전면커버(301)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체(530)는 상기 본체 전면커버(201)에 장착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힌지체(530)를 상기 힌지장치(50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를 모두 분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에서 상기 힌지체(530)를 이탈시킴에 있어 분리된 상기 폴더부(300) 및 본체부(200)에 이물질이 침투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성능구현의 불량이 발생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힌지체(530)를 상기 힌지장치(500)에서 이탈시킴에 있어 상기 폴더부(300)와 상기 본체부(200)를 모두 분리하여야 함으로 인해 상기 힌지체(530)의 이탈 작업에 소요되는 공정이 많아지고 그로 인해 상기 힌지체(530)의 이탈공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여도 이탈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힌지체를 이탈 시키고자 할 때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고 나머지 타측은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힌지체를 이탈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분해를 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그로 인해 상기 폴더부 또는 본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량방지와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힌지부는, 상기 고정 힌지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기 힌지체 장축방향의 일단 외주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 일부가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된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삽입공은, 상기 힌지체가 상기 힌지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 힌지부의 외부 일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걸림턱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걸림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여도 이탈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힌지체를 이탈 시키고자 할 때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고 나머지 타측은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힌지체를 이탈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분해를 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그로 인해 상기 폴더부 또는 본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량방지와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는, 본체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521a)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520) 및 상기 본체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510a)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51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510a)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5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힌지부(520)는,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기 힌지체(530) 장축방향의 일단 외주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5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의 내주면 일부가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된 홈(70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체(530)는,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510a)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530)와, 상기 힌지체(530)의 일측 단축높이방향으로 소정이 높이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5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은, 상기 힌지체(530) 및 상기 걸림턱(533)이 상기 힌지 삽입공(521a)에 모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530) 및 상기 걸림턱(533)의 외주면과 각각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533)은, 상기 힌지 삽입공(521a)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700)은, 상기 걸림턱(533)의 내측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5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외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걸림턱(533)의 두께보다 더 큰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의 내주면까지 함몰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홈(700a)은 전술한 홈(700)의 구성과는 달리 상기 걸림턱(533)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5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외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걸림턱(533)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의 내주면까지 함몰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걸림턱(533)은, 상기 홈(700a)이 함몰된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턱(533)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걸림 홈(53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에 구비되는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은, 상기 힌지체(530)가 상기 힌지 삽입공(521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5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533)은,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외부 일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에 구비되는 상기 홈(700b)은, 상기 걸림턱(533)의 내측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5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외부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의 내주면까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700b)의 함몰 깊이는, 상기 걸림턱(533)의 돌출 높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는 상기한 구성이외에 다른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의 변형 실시예를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힌지장치(500)는 본체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521a)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520) 및 상기 본체부(200) 및 상기 폴더부(3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510a)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51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폴더부(300)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510a)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5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삽입공(521a)은, 상기 힌지체(530)가 상기 힌지 삽입공(521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5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533)은, 상기 고정 힌지부(520)의 외부 일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걸림턱(533)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걸림 홈(533a)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전술한 본 고안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500)에 구비되는 힌지체(530)는, 상기 힌지 삽입공(521a)에 관통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531)와, 상기 고정부(531)의 장축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31)의 일면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 수용부(510a)에 삽입 수용되어 고정되는 회동부(532)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533)은 상기 고정부의 타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는,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여도 이탈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힌지체를 이탈 시키고자 할 때 폴더부 또는 본체부 중 어느 일측만 분리하고 나머지 타측은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힌지체를 이탈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분해를 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그로 인해 상기 폴더부 또는 본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량방지와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이탈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본체부
201 : 본체 전면커버 202 : 본체 후면커버
210 : 키 입력부 230 : 배터리
240 : 메인 인쇄회로기판 300 : 폴더부
301 : 폴더 전면커버 302 : 폴더 후면커버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인쇄회로기판
500 : 힌지장치 510 : 가동 힌지부
510a : 힌지 수용부 511 : 힌지체 이탈 홈
520 : 고정 힌지부 521 : 고정힌지커버
521a : 힌지 삽입공 522 : 제2 고정 힌지부
530 : 힌지체 531 : 고정부
532 : 회동부 533 : 걸림턱
533a : 걸림 홈 540 : 더미힌지
600 : 연성회로기판 610 : 제1 커넥터
620 : 제2 커넥터 700, 700a, 700b : 홈
A : 힌지 이탈부재

Claims (11)

  1.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힌지부는,
    상기 고정 힌지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기 힌지체 장축방향의 일단 외주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 일부가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된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는,
    상기 힌지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와,
    상기 힌지체의 일측 단축높이방향으로 소정이 높이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삽입공은,
    상기 힌지체 및 상기 걸림턱이 상기 힌지 삽입공에 모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 및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과 각각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힌지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걸림턱의 내측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힌지부의 외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걸림턱의 두께보다 더 큰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까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걸림턱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힌지부의 외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걸림턱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까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홈이 함몰된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턱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걸림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삽입공은,
    상기 힌지체가 상기 힌지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 힌지부의 외부 일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걸림턱의 내측면이 상기 가동 힌지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힌지부의 외부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대응되는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까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삽입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걸림턱의 돌출 높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10.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힌지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폴더부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일측에 힌지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가동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폴더부가 회동되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힌지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힌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삽입공은,
    상기 힌지체가 상기 힌지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 힌지부의 외부 일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걸림턱의 두께방향 상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걸림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11. 제 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는,
    상기 힌지 삽입공에 관통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장축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면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어 고정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부의 타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005-0018411U 2005-06-25 2005-06-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96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411U KR200396212Y1 (ko) 2005-06-25 2005-06-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CNB2006100833665A CN100518203C (zh) 2005-06-25 2006-06-06 移动通信终端的合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411U KR200396212Y1 (ko) 2005-06-25 2005-06-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12Y1 true KR200396212Y1 (ko) 2005-09-21

Family

ID=3758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411U KR200396212Y1 (ko) 2005-06-25 2005-06-25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6212Y1 (ko)
CN (1) CN10051820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730A (ko) * 2010-07-01 2012-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730A (ko) * 2010-07-01 2012-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KR101676880B1 (ko) 2010-07-01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8203C (zh) 2009-07-22
CN1885862A (zh)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313B1 (en) Folding electric apparatus
KR100713536B1 (ko) 전자기기의 연성회로
KR20039621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745572B1 (ko) 일체형 피씨비 모듈
KR20040011275A (ko)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카메라 구조
JP4597213B2 (ja) 携帯端末装置
CN100536492C (zh) 一种具有直线型软性印刷电路板的移动通信终端
KR20030033880A (ko) Lcd가 장착된 힌지장치를 갖는 듀얼-폴더형 이동 단말기
US8422214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KR101098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1139783B1 (ko) 착탈 가능한 폴더부를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10185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한 폴더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7301B1 (ko) 휴대용 단말기
JP4560793B2 (ja) 携帯情報端末
JP4643732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JP537570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1051523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KR100631591B1 (ko) 이동단말기
KR1005866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표시부 연결구조
JP2010277750A (ja) 携帯電子機器
KR100651496B1 (ko) 전자기기의 연성 회로
JP3170870U (ja) 切換スイッチ兼用スライドシャッタ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