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185Y1 - 보석함 - Google Patents

보석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185Y1
KR200396185Y1 KR20-2005-0017807U KR20050017807U KR200396185Y1 KR 200396185 Y1 KR200396185 Y1 KR 200396185Y1 KR 20050017807 U KR20050017807 U KR 20050017807U KR 200396185 Y1 KR200396185 Y1 KR 200396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box
locking
hing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20-2005-0017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기능과 잠금기능을 보완하여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방향 코일스프링의 부드러운 개폐력을 이용하는 개폐방식의 경첩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석함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석함 개폐시 사용자의 손 부상 등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직선동작이 가능한 록킹부재의 확실한 체결력을 이용하는 록킹방식의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잠금부의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오랜 사용시에도 잠금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석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석함{Jewel case}
본 고안은 보석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 코일스프링을 장착한 경첩부와 직선동작이 가능한 잠금부를 포함하는 보석함을 제공함으로써, 열림과 닫힘 동작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잠금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석함 개폐시 사용자의 손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 등을 배제하여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함은 주로 목걸이,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보석함은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보석함 본체 및 덮개와, 힌지수단으로서의 경첩부와, 덮개의 개폐를 위한 잠금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경첩부에는 소정의 탄력강성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서 덮개의 개폐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보석함은 덮개를 열고 닫을 때 판스프링이 발휘하는 탄력강성 때문에 어느 정도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시점에서 빠르게 완전히 닫혀지거나 열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 살점이 찝히면서 상해를 입는 단점이 있고, 또 덮개가 순간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생기는 반동이나 충격에 의해 내용물이 떨어지거나 흐트러지는 등 고가의 내용물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대부분의 보석함들의 잠금부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석함 전체의 외관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고, 또 한쪽으로 젖혀서 풀고 잠그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잠금기능이 느슨해지면서 그대로 쉽게 열리는 단점, 즉 보석함의 닫힘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방향 코일스프링의 부드러운 개폐력을 이용하는 개폐방식의 경첩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석함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석함 개폐시 사용자의 손 부상 등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석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직선동작이 가능한 록킹부재의 확실한 체결력을 이용하는 록킹방식의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잠금부의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오랜 사용시에도 잠금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석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보석함 본체 및 덮개와, 내용물의 안착을 위한 수납케이스와, 힌지수단으로서의 경첩부와, 덮개의 개폐를 위한 잠금부로 이루어진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는 보석함 본체측과 덮개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핀에 의해 힌지구조로 조합되는 2개의 경첩판과 상기 핀의 둘레에 감싸인 상태로 장착되면서 양쪽 끝이 각각의 경첩판에 지지되어 덮개측 경첩판을 항상 열림상태로 탄력지지하는 일방향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보석함 본체의 바닥부에서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덮개측과 걸림 및 해제가능한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첩부의 각 경첩판은 양쪽 측면부에 형성되는 훅형태의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보석함 본체 및 덮개의 벽체측에 강제 압입되어 걸려지는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의 록킹부재는 "L"자형 몸체를 가지면서 보석함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수직체의 전면에서 위아래 형성되는 잠금돌기 및 누름돌기를 통해 덮개측과 걸려지거나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의 누름돌기는 보석함 본체의 벽체에 있는 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석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석함은 통상의 보석함이 갖는 구성요소 및 구조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석함 본체(10)와 덮개(11)는 경첩부(13)로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잠금부(14)가 구비되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되고, 보석함 본체(10)의 내측으로는 소정의 쿠션부재나 플라스틱 성형틀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케이스(12)가 장착되어 이곳에 내용물, 즉 목걸이,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외면은 가죽이나 천으로 된 외피로 쌓여 있다.
또한, 상기 경첩부(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5)에 의해 힌지구조로 조합되는 2개의 경첩판(16a),(16b)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경첩판(16a),(16b)은 양쪽 측면부에 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훅형태로 만든 걸림돌기(20)를 이용하여 보석함 본체(10) 및 덮개(11)의 벽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25) 내에 강제 압입된 후 걸려지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러한 경첩부(13)는 보석함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첩부(13)에는 덮개(11)를 항상 열어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경첩판(16a),(16b)을 이어주고 있는 핀(15)의 둘레에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이 감싸인 상태로 장착되고, 이때의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의 양쪽 끝은 각 경첩판(16a),(16b)의 한쪽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되므로서, 덮개(11)측 경첩판(16b)은 항상 열림상태로 탄력지지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잠금부(14)의 해제동작시 덮개(11)는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이 발휘하는 탄성력을 받아 자연스럽게 열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은 종전의 판스프링과는 달리 닫힘상태시 보유하고 있던 탄성복원력을 선형적으로 균형있게 발휘하게 되므로, 덮개(11)의 열림동작이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게 되고, 따라서 종전과 같이 급작스럽게 열리면서 충격을 주거나 닫힐 때 순간적으로 닫히면서 손가락 등이 찝히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첩부(13)는 보석함 본체(10)측과 덮개(11)측 사이에 걸쳐 박음질되는 내부의 천 등으로 마감하여 외관을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석함 본체(10)의 바닥부에서 전후 슬라이드되는 록킹부재(19)와 이것을 항상 바깥쪽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1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부재(19)는 보석함 본체(10)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1) 내에 조립되는 구조로 장착되며, 가이드홈(21)에 의한 안내를 받아 정확한 전후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덮개(11)측을 걸어주거나 해제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록킹부재(19)는 기본적으로 "L"자형 몸체로 되어 있으며, 수직체의 전면에서 위아래 형성되는 잠금돌기(22) 및 누름돌기(23)를 이용하여 덮개(11)측과 걸려지거나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잠금돌기(22)는 수직체의 상단부분에서 반원형태로 돌출되어 있어서 덮개(11)의 벽체 안쪽면에 있는 록킹홈(26)에 걸려지게 되고, 상기 누름돌기(23)는 보석함 본체(10)의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홀(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이곳을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록킹부재(19)는 대부분이 수납케이스(12)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상단의 잠금돌기(22)와 앞쪽의 누름돌기(23)만 외부로 노출되는 관계로 보석함 전체의 외관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그 자체가 보석과 잘 어울리는 하나의 장식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석함 내에 내용물을 넣거나 빼는 경우, 앞쪽 전면에 있는 누름돌기(23)를 누르면 록킹부재(19) 전체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덮개(11)의 록킹홈(26)에 걸려있던 잠금돌기(22)가 빠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덮개(11)는 경첩부(13)에 있는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의 탄성력을 받아 열려지게 된다.
이때, 덮개(11)는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이 발휘하는 크지 않은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적당한 속도로 열려져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종전과 같은 급작스럽게 열리면서 발생되는 충격 등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11)는 닫는 경우에도 일방향 코일스프링(17)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덮개(11)를 누르게 되면 덮개(11)의 벽체 안쪽면에 잠금돌기(22)가 접촉되면서 록킹부재(19) 전체가 안쪽으로 밀렸다가 스프링(18)의 힘으로 재차 바깥쪽으로 나오면서 걸려지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순간적으로 닫히면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석함은 자연스러운 경첩부의 개폐동작이 가능하고, 또 잠금부가 직선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잠금 및 해제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오래 사용하여도 확실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방향 코일스프링의 부드러운 개폐력을 이용하는 개폐방식의 경첩부 및 직선동작이 가능한 록킹부재의 확실한 체결력을 이용하는 록킹방식의 잠금부를 포함하는 보석함을 제공함으로써, 보석함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자연스럽게 유지하여 보석함 개폐시 사용자의 손 부상 등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및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재의 단순한 누름조작만으로 잠금부의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 및 오랜 사용시에도 잠금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석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석함에서 경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석함에서 잠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석함 본체 11 : 덮개
12 : 수납케이스 13 : 경첩부
14 : 잠금부 15 : 핀
16a,16b : 경첩판 17 : 일방향 코일스프링
18 : 스프링 19 : 록킹부재
20 : 걸림돌기 21 : 가이드홈
22 : 누름돌기 23 : 누름돌기
24 : 홀 25 : 홈
26 : 록킹홈

Claims (4)

  1.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보석함 본체(10) 및 덮개(11)와, 내용물의 안착을 위한 수납케이스(12)와, 힌지수단으로서의 경첩부(13)와, 덮개(11)의 개폐를 위한 잠금부(14)로 이루어진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13)는 보석함 본체(10)측과 덮개(11)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핀(15)에 의해 힌지구조로 조합되는 2개의 경첩판(16a),(16b)과 상기 핀(15)의 둘레에 감싸인 상태로 장착되면서 양쪽 끝이 각각의 경첩판(16a),(16b)에 지지되어 덮개(11)측 경첩판(16b)을 항상 열림상태로 탄력지지하는 일방향 코일스프링(17)으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14)는 보석함 본체(10)의 바닥부에서 스프링(18)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아 전후 슬라이드되면서 덮개(11)측과 걸림 및 해제가능한 록킹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13)의 각 경첩판(16a),(16b)은 양쪽 측면부에 형성되는 훅형태의 걸림돌기(20)를 이용하여 보석함 본체(10) 및 덮개(11)의 벽체측에 강제 압입되어 걸려지는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4)의 록킹부재(19)는 "L"자형 몸체를 가지면서 보석함 본체(10)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수직체의 전면에서 위아래 형성되는 잠금돌기(22) 및 누름돌기(23)를 통해 덮개(11)측과 걸려지거나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4)의 누름돌기(23)는 보석함 본체(10)의 벽체에 있는 홀(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KR20-2005-0017807U 2005-06-21 2005-06-21 보석함 KR200396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07U KR200396185Y1 (ko) 2005-06-21 2005-06-21 보석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07U KR200396185Y1 (ko) 2005-06-21 2005-06-21 보석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185Y1 true KR200396185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07U KR200396185Y1 (ko) 2005-06-21 2005-06-21 보석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1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373A (en) Suitcase with variable capacity
US8485007B2 (en) Key organizing device
KR200451999Y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EP1988796B1 (en) Detachable receptacle
KR101354441B1 (ko) 화장품 용기
KR200396185Y1 (ko) 보석함
KR101983647B1 (ko) 액세서리 보관함
JPH0319301Y2 (ko)
JP3065399U (ja) 眼鏡などの物品用ケースの改良
KR200444235Y1 (ko) 나전 쌍합 보석함
EP2511457B1 (en) Locking device, particularly for containers of the type of suitcases, trunks and the like
JP4721215B2 (ja) 蓋体付き容器
JP2006182434A (ja) 蓋体付き容器
JP6830643B2 (ja) 収納ケース
KR200453475Y1 (ko) 키 홀더
KR10212179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H0722162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10985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3959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639642B2 (ja) ラッチ
KR200235240Y1 (ko) 장식품 케이스의 잠금장치
JP4104884B2 (ja) 化粧料容器
KR200228857Y1 (ko) 바인더
JPH09191910A (ja) 観音開き型中留構造
JPH10113206A (ja) 装身具用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