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35Y1 - 나전 쌍합 보석함 - Google Patents

나전 쌍합 보석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35Y1
KR200444235Y1 KR2020070018711U KR20070018711U KR200444235Y1 KR 200444235 Y1 KR200444235 Y1 KR 200444235Y1 KR 2020070018711 U KR2020070018711 U KR 2020070018711U KR 20070018711 U KR20070018711 U KR 20070018711U KR 200444235 Y1 KR200444235 Y1 KR 200444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drawer
hook
jewelr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만욱
Original Assignee
하만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욱 filed Critical 하만욱
Priority to KR2020070018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석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 전면의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경사면(200a, 300a, 400a)을 형성하여 상기 서랍(700)의 전면과 분리대(600)의 전면이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의 전면 보다 후방으로 들어가게 하여 서랍(700)의 전면에 손잡이(90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200)의 앞쪽 하면과 분리대(600)의 앞쪽 하면 각각에 돌출되는 서랍 걸림대(200b, 600b)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00)와 본체(100)를 경첩(800)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고리(400b)를, 다른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걸이(400c)를 각각 설치하여 고리(400b)와 걸이(400c)가 잠금수단을 이루어 보석함의 개폐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으면서 열림과 닫힘 동작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어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2개의 보석함을 연결하여 입구를 폐쇄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보석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중량이 가볍고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한 경제성이 탁월하며, 서랍부위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면서 사용시 서랍이 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아 사용하기에 편리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나전 쌍합, 보석함, 귀중품, 장신구.

Description

나전 쌍합 보석함{A Na-Jeon pair jewel case}
본 고안은 보석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쌍의 보석함을 경첩으로 결합하여 입구를 폐쇄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보석의 보관시 외관이 미려하고, 열림과 닫힘 동작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나전 쌍합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귀걸이, 반지 등의 귀중품이나 소중한 장신구 등의 물건들은 분실이나 도난의 우려가 있어 한곳에 모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보석함 들이 사용되고 있는바, 금속을 주재료로 하여서 열고 닫을 수 있는 함의 형태로 성형한 후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잠가 둘 수 있도록 구성된 것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석함은 대부분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보석함 본체 및 덮개와, 힌지수단으로서의 경첩부와, 덮개의 개폐를 위한 잠금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경첩부에는 소정의 탄력강성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서 덮개의 개폐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보석함은 덮개를 열고 닫을 때 판스프링이 발휘하는 탄력강 성 때문에 어느 정도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시점에서 빠르게 완전히 닫혀지거나 열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 살점이 찝히면서 상해를 입는 단점이 있고, 또 덮개가 순간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생기는 반동이나 충격에 해 내용물이 떨어지거나 흐트러지는 등 고가의 내용물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대부분의 보석함 들의 잠금부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석함 전체의 외관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고, 또 한쪽으로 젖혀서 풀고 잠그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잠금 기능이 느슨해지면서 그대로 쉽게 열리는 단점, 즉 보석함의 닫힘 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의 보석함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석함이 널리 알려져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보석함은 몸체부(10)와 덮개부(20)를 경첩(30)으로 연결하여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와 덮개부(20)는 모두 금속판(철판)을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함지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서, 일측벽 일부가 천공되어 내측으로 복수개의 고정편(42)이 돌출되도록 구성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편(42)이 별도로 마련된 경첩(30)의 결합공(32)에 각각 대응되어 끼워진 다음, 절곡하여 경첩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석함은 다수 단계의 제작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대략적인 공정은 몸체부(10)와 덮개부(20)로 성형 될 금속판의 절단 -> 프레스 성형 -> 일측벽 천공 -> 경첩결합 -> 마무리작업 -> 완성의 공정이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종래의 보석함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석함은 금속판으로 성형됨에 따라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데,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금속판을 절단한 다음 압축하고 천공한 후 경첩을 결합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야 비로소 제품이 완성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이러한 복잡한 제작공정 및 원가상승 등의 요인에 따라 완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져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생산한다 하더라도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나전 쌍합 보석함으로 알려져 있다.
도 3에 도시한 종래 나전 쌍합 보석함은 상판(2)과 하판(3), 양측판(4) 및 배면판(5)이 상호 결합 구성되어 통상을 이루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분리대(6) 및, 상기 분리대(6)로 분리된 본체(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통상의 서랍(7)으로 구성되어 2개의 본체(1, 1)를 붙여 쌍합 보석함으로 사용하는데, 본체(1)와 본체(1)가 분리되어 사용상 불편하고, 본체(1)와 본체(1)가 벌어져 미관상 보기도 흉하였다.
또한, 종래 나전 쌍합 보석함은 상판(2)과 하판(3), 양측판(4)의 앞면과 서랍(7)의 앞면이 일 평면상으로 일치하여 서랍(7)의 앞면에 돌출 손잡이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서랍(7)의 앞면에 손잡이 구멍(7a)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 경우 손잡이 구멍(7a)에 의해 보석함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보석을 사용하려고 서랍(7)을 뺄때, 걸림대가 없어 서랍(7)이 밖으로 완전히 이탈되어 보석이 밖으로 쏟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보석함에서 야기되는 각종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첩에 판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아 보석함의 개폐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으면서 순간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일이 없어 내용물이 떨어지거나 흐트러지는 일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나전 쌍합 보석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첩과 잠금수단(고리와 걸이)으로 2개의 보석함을 연결하여 입구를 폐쇄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보석함의 외관이 미려하고,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나전 쌍합 보석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서랍에 돌출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서랍이 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아 사용하기에 편리한 나전 쌍합 보석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 전면의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경사면(200a, 300a, 400a)을 형성하여 미관이 좋은 나전 쌍합 보석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은 상판(200)과 하판(300), 양측판(400) 및 배면판(500)이 상호 결합 구성되어 통상을 이루는 본 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분리대(600) 및, 상기 분리대(600)로 분리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통상의 서랍(700)으로 구성된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 전면의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경사면(200a, 300a, 400a)을 형성하여 상기 서랍(700)의 전면과 분리대(600)의 전면이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의 전면 보다 후방으로 들어가게 하여 서랍(700)의 전면에 손잡이(90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200)의 앞쪽 하면과 분리대(600)의 앞쪽 하면 각각에 돌출되는 서랍 걸림대(200b, 600b)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00)와 본체(100)를 경첩(800)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고리(400b)를, 다른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걸이(400c)를 각각 설치하여 고리(400b)와 걸이(400c)가 잠금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경첩에 판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아 보석함의 개폐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으면서 순간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일이 없어 내용물이 떨어지거나 흐트러지는 일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2개의 보석함을 연결하여 입구를 폐쇄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보석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경첩과 잠금수단(고리와 걸이)으로 서랍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2개의 보석함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로 보관하여 외관이 미려하며, 사용시 서랍이 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아 사용하기에 편리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은 상판(200)과 하판(300), 양측판(400) 및 배면판(500)이 상호 결합 구성되어 통상을 이루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분리대(600) 및, 상기 분리대(600)로 분리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통상의 서랍(700)으로 구성된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 전면의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경사면(200a, 300a, 400a)을 형성하여 상기 서랍(700)의 전면과 분리대(600)의 전면이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의 전면 보다 후방으로 들어가게 하여 서랍(700)의 전면에 돌출 손잡이(900)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200)의 앞쪽 하면과 분리대(600)의 앞쪽 하면 각각에 돌출되는 서랍 걸림대(200b, 600b)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00)와 본체(100)를 경첩(800)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고리(400b)를, 다른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걸이(400c)를 각각 설치하여 고리(400b)와 걸이(400c)가 잠금수단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한 것이거나 금속재이며, 그 형태는 함 형태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본체(100)가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사출 성형하여 경첩(800)과 고 리(400b) 및 걸이(400c)를 설치하고, 목재인 경우는 경첩(800)과 고리(400b) 및 걸이(400c)를 접착제나 못 등으로 설치하게 되며, 금속재인 경우는 용접으로 경첩(800)과 고리(400b) 및 걸이(400c)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하나의 분리대(600)를 설치하여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를 둘로 구분하여 2개의 서랍이 설치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분리대(600)를 설치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랍을 설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외부표면에는 나전칠기 가공된 다양한 형상과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관시에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본체(100, 100)를 경첩(800)을 이용하여 접어서 고리(400b)에 걸이(400c)를 걸어서 보관하게 되는 데,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자물쇠와 같은 잠금장치를 구성하여 본체(100, 100) 내에 보관되는 내용물을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을 사용할 때에는 고리(400b)에서 걸이(400c)를 분리한 후 경첩(800)을 기준으로 좌측 본체(100)는 시계방향으로, 우측 본체(10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서랍(700)의 전면이 나타나게 하여 돌출 손잡이(900)를 잡고 서랍(700)을 열어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서랍(700)을 열 때에는 서랍(700)의 후면 상부가 서랍 걸림대(200b) 또는 서랍 걸림대(600b)에 걸려 본체(100)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보석함의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보석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쌍합 보석함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나전 쌍합 보석함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상판
200a : 경사면 200b : 걸림대
300 : 하판 300a : 경사면
400 : 측판 400a : 경사면
400b : 고리 400c : 걸이
500 : 배면판 600 : 분리대
600b : 걸림대 700 : 서랍
800 : 경첩 900 : 돌출 손잡이

Claims (3)

  1. 상판(200)과 하판(300), 양측판(400) 및 배면판(500)이 상호 결합 구성되어 통상을 이루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분리대(600) 및, 상기 분리대(600)로 분리된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통상의 서랍(700)으로 구성된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 전면의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경사면(200a, 300a, 400a)을 형성하고 상기 서랍(700)의 전면과 분리대(600)의 전면이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 및 양측판(400)의 전면 보다 후방으로 들어가게 하여 서랍(700)의 전면에 돌출 손잡이(900)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00)와 본체(100)를 경첩(800)으로 연결하고,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고리(400b)를, 다른 하나의 본체(100)의 측판(400) 외측에 걸이(400c)를 각각 설치하여 고리(400b)와 걸이(400c)가 잠금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 쌍합 보석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의 앞쪽 하면과 분리대(600)의 앞쪽 하면 에는 돌출되는 서랍 걸림대(200b, 600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 쌍합 보석함.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700)은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 쌍합 보석함.
KR2020070018711U 2007-11-21 2007-11-21 나전 쌍합 보석함 KR200444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711U KR200444235Y1 (ko) 2007-11-21 2007-11-21 나전 쌍합 보석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711U KR200444235Y1 (ko) 2007-11-21 2007-11-21 나전 쌍합 보석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35Y1 true KR200444235Y1 (ko) 2009-04-22

Family

ID=4134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711U KR200444235Y1 (ko) 2007-11-21 2007-11-21 나전 쌍합 보석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701A (ko)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픽시스 다용도 함
KR20160027948A (ko) 2015-12-29 2016-03-10 주식회사 픽시스 다용도 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701A (ko)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픽시스 다용도 함
KR20160027948A (ko) 2015-12-29 2016-03-10 주식회사 픽시스 다용도 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7881S1 (en) Combined bracelet and purse hook
USD790134S1 (en) Combined cosmetic holder and mirror
USD588799S1 (en) Shaving kit
USD643624S1 (en) Suitcase with easy access opening with security straps
USD515362S1 (en) Container
USD896068S1 (en) Box
USD806946S1 (en) Smoker's utility holder
USD910371S1 (en) Coffee filter
USD552847S1 (en) Wallet with threaded screwcap closure
USD889682S1 (en) Sanitizing machine with filter door
USD963750S1 (en) Button cover
USD899219S1 (en) Lock box
USD566963S1 (en) Jewelry box
KR200444235Y1 (ko) 나전 쌍합 보석함
USD990228S1 (en) Tumbler lid
USD965980S1 (en) Storage box with removable lid
USD988799S1 (en) Tumbler with lid
USD807437S1 (en) Card box
KR200415144Y1 (ko) 슬림 수납함
USD1009007S1 (en) Phone case
USD932261S1 (en) Storage box for crackers
CN206729441U (zh) 一种方便耐用首饰盒
USD826136S1 (en) Tool accessory box
USD995223S1 (en) Clamshell cooler
USD945158S1 (en) Watch box orga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