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722Y1 - 물놀이 용구 - Google Patents

물놀이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722Y1
KR200395722Y1 KR20-2005-0017510U KR20050017510U KR200395722Y1 KR 200395722 Y1 KR200395722 Y1 KR 200395722Y1 KR 20050017510 U KR20050017510 U KR 20050017510U KR 200395722 Y1 KR200395722 Y1 KR 200395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ll
person
buckl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용
김순옥
Original Assignee
박광용
김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용, 김순옥 filed Critical 박광용
Priority to KR20-2005-0017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30Rowing boats specially adapted for racing;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를 저어 원하는 방향으로 물위를 이동하면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물놀이 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선단 및 후미를 갖는 배 형상으로 내부에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밀폐된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의 상면에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둔부안착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부구와; 소정 길이를 갖는 스틱의 양단에 물을 젓는 물갈퀴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노;로 이루어져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를 저어 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놀이 용구{BUOY FOR RIPPLING OF WATER}
본 고안은 물놀이 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를 저어 원하는 방향으로 물위를 이동하면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물놀이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다양한 물놀이 용구 중 튜브는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허리에 끼워 물 속에서 떠 있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기능이 단지 물놀이를 하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물위를 떠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물놀이 기구 중 배와 같은 경우에는 사람이 물과 직접 닿지 않도록 배 안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 또는 페달등으로 물을 저어 배를 움직이게 됨으로 배에 탑승한 사람이 물과 친해지지 못하고 쉽게 지루해지거나 피곤함을 느끼게 되었었다.
이에 물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의 기호가 다양해지는 요즘 보다 시원하면서도 안정적이며 다양한 즐거움이 요구되는 물놀이 용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를 저어 원하는 방향으로 물위를 이동하면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물놀이 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선단 및 후미를 갖는 배 형상으로 내부에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밀폐된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의 상면에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둔부안착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부구와; 소정 길이를 갖는 스틱의 양단에 물을 젓는 물갈퀴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노;로 이루어져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를 저어 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물놀이 용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물놀이 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인 물놀이 용구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물놀이 용구(100)는 선단(111a) 및 후미(111b)를 갖는 배 형상으로 내부에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밀폐된 중공부(112)가 형성된 선체(111)의 상면에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둔부안착부(113)가 함몰되게 형성된 부구(110)와, 소정 길이를 갖는 스틱(121)의 양단에 물을 젓는 물갈퀴(122)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노(120)로 이루어져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120)를 저어 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구(110)의 둔부안착부(113)와 인접된 선체(111)의 상면 좌우측에 상기 둔부안착부(113)에 착석한 사람의 대퇴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다리안착부(114)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상기 부구(110)에 안정적으로 착석하여 노(120)를 저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저면에는 방향키(115)가 돌출 형성되어,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110)에 착석하여 노(120)를 저을 경우 상기 부구(110)가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측면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링(111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111c)에는 안전줄(116)이 연이어지게 결합되어, 물 속에서 있는 사람이 상기 부구(110)의 안전줄(116)을 잡고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11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부구(110)에 착석하거나 물 속에 있는 사람이 상기 부구(110)의 손잡이(117)를 잡고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체(111)의 상면에는 덮개(118a)를 갖는 수납함(118)이 형성되어, 물놀이에 필요한 수경이나 튜브 등과 같은 기타 장비를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측면에는 물에 뜨는 부레(119)가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부구(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및 부레(119)의 측면에 각각 상호 일치하는 나사공(111d)(119a)을 갖는 결합편(111e)(119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111e)(119b)의 나사공(111d)(119a)에 결합나사(119c)가 체결되어, 상기 부구(110)에 부레(119)가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구(110)는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물과의 마찰력을 적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구(110) 및 부레(119)의 재질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타 상기와 같은 성질 즉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다른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노(120)의 스틱(121)은 봉 형상이고, 물갈퀴(122)는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노(120)의 스틱(121)과 물갈퀴(122)에는 각각 상호 일치하는 결합공(121a)(12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1a)(122a)이 결합볼트(122b)가 체결되어 상기 스틱(121)과 물갈퀴(122)가 상호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물놀이 용구(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물놀이 용구(100)를 이용하여 물놀이를 즐기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물놀이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이 부력을 갖는 안전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가에 놓여진 부구(110)의 둔부안착부(113)에 착석함과 아울러 다리의 대퇴부를 부구(110)의 다리안착부(114)에 삽입하면서 다리가 부분적으로 물속에 잠기도록 하여 부구(110)에 안전하게 탑승한다.
이후 물을 노(120)로 젓게되면, 상기 사람이 착석한 부구(110)가 전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물위를 이동하게되어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부구(110)에 어린아이가 탑승할 경우에는 어린아이가 부구(110)의 손잡이(117)를 잡고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성인이 상기 부구(110) 또는 부구(110)의 안전줄(116)을 잡고 잡아당겨 어린아이가 탑승한 부구(110) 이동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물놀이 용구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와 함께 노를 이용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물놀이가 가능하게 되어 각 개인마다 추진방법(입수된 다리를 이용, 노를 이용 또는 부구 몸을 엎드려 손을 이용 등)을 선택하여 개성 있는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며, 복합적인 기능성으로 사용 편이성을 극대화함으로서 물놀이 용구로서 제품 경쟁력 향상과 다양한 연령의 수요층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물놀이 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인 물놀이 용구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물놀이 용구
110 : 부구 111 : 선체
111a : 선단 111b : 후미
111c : 고정링 111d : 나사공
111e : 결합편 112 : 중공부
113 : 둔부안착부 114 : 다리안착부
115 : 방향키 116 : 안전줄
117 : 손잡이 118 : 수납함
118a : 덮개 119 : 부레
119a : 나사공 119b : 결합편
119c : 결합나사 120 : 노
121 : 스틱 121a : 결합공
122 : 물갈퀴 122a : 결합공
122b : 결합볼트

Claims (7)

  1. 선단(111a) 및 후미(111b)를 갖는 배 형상으로 내부에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밀폐된 중공부(112)가 형성된 선체(111)의 상면에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둔부안착부(113)가 함몰되게 형성된 부구(110)와;
    소정 길이를 갖는 스틱(121)의 양단에 물을 젓는 물갈퀴(122)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노(120);로 이루어져 물놀이를 하는 사람이 부구(1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노(120)를 저어 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110)의 둔부안착부(113)와 인접된 선체(111)의 상면 좌우측에 상기 둔부안착부(113)에 착석한 사람의 대퇴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다리안착부(114)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저면에 방향키(115)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측면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링(111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111c)에 안전줄(116)이 연이어지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117)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11)의 상면에 덮개(118a)를 갖는 수납함(118)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110)의 선체(111) 측면에 물에 뜨는 부레(119)가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용구.
KR20-2005-0017510U 2005-06-17 2005-06-17 물놀이 용구 KR200395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10U KR200395722Y1 (ko) 2005-06-17 2005-06-17 물놀이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10U KR200395722Y1 (ko) 2005-06-17 2005-06-17 물놀이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722Y1 true KR200395722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10U KR200395722Y1 (ko) 2005-06-17 2005-06-17 물놀이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567B1 (ko) * 2015-11-09 2017-06-29 조용태 보트용 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567B1 (ko) * 2015-11-09 2017-06-29 조용태 보트용 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3614C (en) Dual hull kayak
US9403585B2 (en) Elliptical human-powered watercraft
US6227925B1 (en) Flotation device
US6155899A (en) Flotation device
US20180141624A1 (en) Aquatic sports board
US3751030A (en) Aquatic apparatus with buoyancy control structure
US7736205B2 (en) Human powered watercraft
KR200395722Y1 (ko) 물놀이 용구
JP6889729B2 (ja) 遮光システムを備えた透明で調節可能なカヤック
EP1648760A1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KR100803283B1 (ko) 물놀이 기구
EP0118305B1 (en) Easily transportable boat
US20140315450A1 (en) Buoyant apparatus system
KR101203604B1 (ko) 패들링 스포츠용 보트
GB2482229A (en) An aquatic exercise resistance device with detachable fins
KR200351398Y1 (ko) 수상레저기구
GB1572391A (en) Water craft
WO2022195148A1 (es) Un dispositivo acuático para realizar actividades deportivas y/o lúdicas
JP3090347U (ja) フロート型手動遊泳機
NZ330979A (en) Floatation device using non-inflatable parts
DE2920913A1 (de) Unterwellengleiter
ITTO20060643A1 (it) Dispositivo natatorio polifunzionale
CZ20419U1 (cs) Dětský vodní surfs elektrickou pohonnou jednotk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