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317Y1 -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317Y1
KR200395317Y1 KR20-2005-0016731U KR20050016731U KR200395317Y1 KR 200395317 Y1 KR200395317 Y1 KR 200395317Y1 KR 20050016731 U KR20050016731 U KR 20050016731U KR 200395317 Y1 KR200395317 Y1 KR 200395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door lock
outp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춘
Original Assignee
나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춘 filed Critical 나병춘
Priority to KR20-2005-0016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에 정차하여 차문을 열려고 할 때, 후방에서 진행하는 물체가 차량에 근접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차문을 자동으로 잠그거나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켜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는 좌우측 지시등을 동시에 온오프시키기 위한 비상등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반사신호 수신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감지수단;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및 차량의 현재 운행중 RPM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RPM 속도감지부; 상기 RPM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정차중이고, 또한 비상등 선택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고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n accident for a car}
본 고안은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정차하여 차문을 열려고 할 때, 후방에서 진행하는 물체가 차량에 근접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차문을 자동으로 잠그거나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켜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자동차 뿐만 아니라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도 많이 운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뿐만 아니라 2륜차와 같은 교통수단이 주요한 이동수단의 하나로서 점점 더 그 이용대수가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로인한 크고작은 교통사고가 자동차 운행중 많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이러한 다른 교통수단들과의 추돌사고의 위험에 항상 대비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특히 도로변에 정차한 후 차문을 열고 나올 때, 후방에서 진행하던 다른 차량 혹은 오토바이를 미처 보지못하여 빈번하게 추돌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정차시에, 사이드미러를 통해 확인하거나 미리 후방을 주시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사고는 항상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차시에,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 혹은 물체를 감지하여 적절히 대응하는 기능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변에 차량 정차시 차량의 사이드미러 혹은 좌우측 방향지시등에 부착된 감지센서를 통해 후방에서 다가오는 물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거나 동시에 위험경고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정차시 추돌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측 지시등을 동시에 온오프시키기 위한 비상등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반사신호 수신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감지수단;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및 차량의 현재 운행중 RPM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RPM 속도감지부; 상기 RPM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정차중이고, 또한 비상등 선택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록 작동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동시에 경고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반사신호 수신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감지수단;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5Km-0Km/h 범위인 경우, 상기 감지수단이 작동되도록 하고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차량에 접근하는 오토바이 혹은 기타 차량의 고유진동수를 감지하는 진동감지부와,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5Km-0Km/h 범위인 경우, 상기 감지수단이 작동되도록 하고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내장된 차량 혹은 오토바이등의 진동수와 비교하여 범위내일 경우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사고방지장치(100)는 좌우측 방향지시등(L,R)을 동시에 온시켜 비상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비상등 선택스위치(16)와, 차량의 좌우측 사이드미러(도3 참조)에 장착되며 각각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도시안됨)로 이루어진 감지센서부(12)와, 상기 비상등 선택스위치(16)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부(12)로부터 신호(특정 주파수의 RF 신호, 이에 한정하지 않음)가 송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센서부(12)로부터 반사신호가 접수되는지를 판단하여 반사신호가 접수되는 경우에는 도어록 작동부(1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도시안됨)를 작동시켜 도어를 잠그도록 하고(도어록과 관련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릴레이구조는 일반적이므로 생략함) 동시에 경고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0)는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저장할 수 있고 또는 기준데이터(예를 들면 감지된 속도와 비교할 수 있는 속도범위에 관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18은 속도감지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계와 연동된 전자제어장치(ECU)(도시안됨)로부터 현재 차량의 속도 데이터를 인가받아 속도를 감지한다. 속도감지부(18)의 구성은 기존의 구성과 동일하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속도감지부(18)로부터 항상 차량 운행중에는 속도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참조부호 19는 RPM 감지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RPM 속도계와 연동된 전자제어장치(ECU)(도시안됨)로부터 현재 차량의 RPM 속도 데이터를 인가받아 RPM 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부(12)는 비상등 선택스위치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있다.
도2 는 도1 의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사고방지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의 소유자에 의해 차량용 사고방지장치(100)가 동작되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차량 운전자가 차량용 사고방지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에서 제어부(10)는 먼저 차량이 정차중인가를 판단한다(ST-2). 상기 단계 ST-2의 판단결과, 만약 차량이 정차중인 경우에는, 제어부(10)는 비상등이 점등되었는가를 판단한다(ST-4).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가의 여부는 엔진의 RPM 감지부(19)를 통해 감지한다(이에 한정되지 않음).
상기 단계 ST-4의 판단결과, 만약 차량의 비상등이 점등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는 감지센서부(12)의 송신부를 통해 특정주파수를 송신하고 반사되는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T-6).
상기 단계 ST-6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센서부(12)를 통해 후방접근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신호가 접수된 경우 도어록 작동부(1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ST-8).
상기 단계 ST-8에서, 도어록 작동과 동시에 차량내의 탑승자들에게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출력장치(14)에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사고방지장치(100)가 장착된 차량(A1)의 감지센서부(12)로부터 후방물체(예를 들면 오토바이)(A2)를 향해 특정주파수의 신호가 송출되고 수신되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상기 차량(A1)의 좌우측 사이드미러(LS,LR)에는 각각 감지센서(12)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동작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정차중 비상등을 선택하여 비상등이 작동되면, 감지센서부(12)가 작동을 시작한다.
차량이 도로변 정차시(속도 0Km/h) 상기 감지센서부(12)는 양쪽 모두(좌우측 감지센서부) 작동되며, 뒤에서 오토바이등의(이미 CPU에 입력된 진동에 해당하는 물체) 물체 접근시 탑승자의 하차시 주의나 경고를 하고자 일시적으로 차량의 모든 문이 잠기는 장치이다. 또한, 차량의 속도감지부를 통해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가 5Km 내지 0Km/h 범위이내인 경우에는(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기 제어부를 통해 감지센서부(12)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센서부(12)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설치되거나 혹은 좌우측 방향지시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안테나 타입이나 사이드 미러 유리 뒷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12)는 비상등이 선택된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부(12)는 주파수를 감지하는 것 외에, 별도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차량에 장착된 진동감지부를 통해 차량에 접근하는 오토바이 혹은 기타 차량의 고유진동수(제어부(10)에 미리 내장되어 있음)를 감지하여 내장된 진동수와 비교하여 범위내일 경우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4a 및 도4b 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서 감지센서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들이다.
도4a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2)는 사이드미러 몸체(22)의 상부측에 노출되도록 안테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12a 및 12b는 송수신부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4b를 참조하면, 송수신부(12a,12b)를 포함한 감지센서부(12)는 사이드미러 몸체(22)의 미러부(23) 상단 일측에 내장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의하면, 탑승자 혹은 승객이나 운전자가 정차중 후방에서 진행하는 후방물체로 인해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대비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예방효과가 있으며, 특히, 버스, 학원 및 어린이용 차량 및 택시 등에 장착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는 기존차량이나 신규제작차량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2 는 도1 의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고방지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어부
12: 감지부
14: 출력장치
15: 도어록 작동부
16: 비상등 선택스위치
18: 속도감지부
19: RPM감지부

Claims (4)

  1. 좌우측 지시등을 동시에 온오프시키기 위한 비상등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반사신호 수신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감지수단;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및 차량의 현재 운행중 RPM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RPM 속도감지부;
    상기 RPM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정차중이고, 또한 비상등 선택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작동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동시에 경고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3.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반사신호 수신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감지수단;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5Km-0Km/h 범위인 경우, 상기 감지수단이 작동되도록 하고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4. 차량용 사고방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측 지시등 혹은 사이드미러에 각각 장착되며, 차량에 접근하는 오토바이 혹은 기타 차량의 고유진동수를 감지하는 진동감지부와,
    차량의 현재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속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속도가 5Km-0Km/h 범위인 경우, 상기 감지수단이 작동되도록 하고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내장된 차량 혹은 오토바이등의 진동수와 비교하여 범위내일 경우 도어록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 장치가 작동되도록 도어록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록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KR20-2005-0016731U 2005-06-10 2005-06-10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KR200395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31U KR200395317Y1 (ko) 2005-06-10 2005-06-10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31U KR200395317Y1 (ko) 2005-06-10 2005-06-10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317Y1 true KR200395317Y1 (ko) 2005-09-09

Family

ID=4369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31U KR200395317Y1 (ko) 2005-06-10 2005-06-10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3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466A2 (ko) * 2011-05-20 2012-11-2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466A2 (ko) * 2011-05-20 2012-11-29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2161466A3 (ko) * 2011-05-20 2013-01-17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사이드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4528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90619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815459B2 (en) Collision avoidance support device
US8362922B2 (en) Intersection driving support apparatus
US7834746B2 (en) Two-wheel-vehicle detect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030043033A1 (en) Vehicle safety warning control system
US20080218381A1 (en) Occupant exit alert system
CN112440899A (zh) 一种车门控制方法、装置及汽车
JP4476575B2 (ja) 車両状況判定装置
JP2008158578A (ja) 車両の降車安全装置及び車両の安全降車方法
US20070159319A1 (en) Warning Device and System
JP2018008576A (ja) 車両ドア開閉支援システム
CN102039845A (zh) 避免物体与停着的车辆的车门碰撞的方法和装置
JP495790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08482244A (zh) 基于盲区雷达的汽车侧门主动防碰撞方法及系统
CN110239470B (zh) 车辆控制装置
JP2010064510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5286932B2 (ja) 車車間通信装置および車車間通信システム
KR200395317Y1 (ko) 차량용 사고방지장치
JP5228724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4918922B2 (ja) 乗員保護装置
KR2018010982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23026535A1 (ja) 制御装置
KR0140497Y1 (ko) 자동차의 하차시 충돌위험 방지장치
JP6287697B2 (ja) 接触回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